KR20030088313A -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313A
KR20030088313A KR1020020026420A KR20020026420A KR20030088313A KR 20030088313 A KR20030088313 A KR 20030088313A KR 1020020026420 A KR1020020026420 A KR 1020020026420A KR 20020026420 A KR20020026420 A KR 20020026420A KR 20030088313 A KR20030088313 A KR 20030088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wer pipe
sewage
coupling frame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숙
Original Assignee
김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숙 filed Critical 김성숙
Priority to KR102002002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8313A/ko
Publication of KR2003008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3/00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embroider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cillary apparatus for use with embroider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08Cord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12Rigid objects
    • D05D2303/18Sequins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의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시키고,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악취역류방지구(100)는 차단구(102)의 하단 주연과 바닥면(41)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 유격된 틈새(105)가 발생될 수밖에 없어 역류되는 악취와 유해가스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없고, 차단구(102)가 하수관(4)의 상부를 가리고 있어 많은 량의 하수가 배출되는 경우 하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하수관(4)으로부터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역류 방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악취역류방지구(1)가 상하가 개방되고 신축성이 뛰어난 연질의 튜브(3)와, 상기 튜브(3)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테(2)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3)는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재질의 외피층(31)과, 물이 통과되지 않는 불투수(不透水) 재질의 내피층(30)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테(2)는 하수관(4)의 상단주연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21)과, 튜브(3)의 일단 내측에 삽입되어 튜브 내주연과 접착되는 플랜지(22)부와, 결합테(2)의 직경을 조절시킬 수 있게 하는 절취홈(23)으로 형성됨으로서, 악취와 유해가스 및 해충의 실내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수의 배출시 수직 낙하하는 하수가 하수관의 절곡부위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A sink hole valve}
본 발명은 하수관을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방지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의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시키고,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및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하수관은 심한 악취와 함께 유해가스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통로이다. 또한 해충이 실내로 침투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종래 하수관으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와 유해가스 및 해충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악취역류방지구가 제공된 바 있다.
도 1 에서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악취역류방지구(100)는 하수관(4)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망체(101)와, 상기 망체(101)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관(4)의 상단부위를 가려 하수관(4)을 통하여 역류하는 악취의 실내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구(102)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구(102)는 그 단면이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악취역류방지구(100)는 망체(101)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하수가 차단구(102)의 하부주연과 하수전 바닥면(41)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105)를 통하여 하수관(4)내로 흘러 내려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악취역류방지구(100)는 차단구(102)의 하단 주연과 바닥면(41)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 유격된 틈새(105)가 발생될 수밖에 없어 역류되는 악취와 유해가스를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차단구(102)가 하수관(4)의 상부를 가리고 있어 많은 량의 하수가 배출되는 경우 하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와 유해가스 및 해충의 실내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수의 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수의 배출시 수직 낙하하는 하수가 하수관의 절곡부위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하수관으로부터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역류방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악취역류방지구가 상하가 개방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테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는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재질의 외피층과, 물이 통과되지 않는 불투수 재질의 내피층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악취 역류방지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역류 방지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악취역류 방지구 2. 결합테
3. 튜브 4. 하수관
21. 걸림턱 22. 플랜지
23. 절취홈 30. 내피층
31. 외피층 40. 절곡부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역류 방지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4)으로부터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역류방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악취역류방지구(1)가 상하가 개방되고 신축성이 뛰어난 연질의 튜브(3)와, 상기 튜브(3)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테(2)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3)는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재질의 외피층(31)과, 물이 통과되지 않는 불투수(不透水) 재질의 내피층(30)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테(2)는 하수관(4)의 상단주연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21)과, 튜브(3)의 상단과 결합되는 플랜지부(22)와, 결합테(2)의 직경을 조절시킬 수 있게 하는 절취홈(23)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테(2)는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박판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튜브(3)의 제조는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로 외피층(31)을 직조하고, 외피층(31)의 외주연에 불투수(不透水) 재질 즉, 실리콘 등을 코팅시켜 내피층(30)을 형성시킨 후 이를 뒤집어 튜브(3)의 내측에 불투수 재질의 내피층(30)이 위치되게 한다.
상기 외피층(31)의 여성용 스타킹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3)는 상하로 연속되는 길이재로 제조되며, 사용시에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시켜 사용한다.
튜브(3)와 결합테(2)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결합테(2)의 플랜지(22)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시키고, 결합테(2)를 압박하면 자체탄성력을 가지는 결합테(2)가 절취홈(23)에 의해 오므라들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튜브(3)의 일측 단부내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플랜지(22)의 삽입이 완료되어 결합테(2)를 압박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결합테(2)가 탄성력에 의해 확개되면서 플랜지(22)의 외주면이 튜브(3)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견고한 결합을 이룬다.
이와 같은 악취역류방지구(1)를 하수관(4)에 설치시키 위하여는 튜브(3)의 일단 즉, 결합테(2)가 설치되지 않은 단부를 하수관(4)의 내부로 삽입키고, 하수관(4)의 상부 주연이 결합테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플랜지(22)를 하수관(4)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이때 하수관(4)의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3)의 일단은 하수관의 절곡부위(40)를 지나갈 수 있는 정도의 길이 형성시킨다.
또한 하수관(4)의 직경이 이에 삽입되는 플랜지(22)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결합테(2)의 양측을 압박하여 플랜지(22)의 직경을 작게 한 상태에서 플랜지(22)를 하수관(4)에 삽입시킨다.
플랜지(22)의 삽입이 완료되어 가압하던 힘을 제저하면 자체 탄성력을 보유한 결합테(2)가 원래의 직경으로 복원되면서 플랜지(22)가 하수관(4)의 내면에 강하게 압착되어 하수관(4)과 악취역류방지구(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수전으로 하수가 흘러내리면 하수의 하중에 의해 튜브(3)가 팽창되면서 하수가 튜브(3)내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튜브(3)가 하수관(4)의 절곡부위(40)를 지나도록 설치됨으로서 수직으로 낙하하는 하수가 절곡부위(4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충돌로 인한 소음발생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소음이 비교적 적은 야간에 하수를 배출시키더라도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주위에 소음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튜브(3)는 매우 부드럽고 신축성이 우수하며, 내부면이 불투수 재질로 형성되어 하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표면 장력에 의해 튜브(3)의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어 하수관(4)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와 유해가스의 실내유입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와 유해가스 및 해충의 실내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하수의 배출시 수직 낙하하는 하수가 하수관의 절곡부위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시킬수 있으며,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수관(4)으로부터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악취역류 방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악취역류방지구(1)가 상하가 개방되고 신축성이 뛰어난 연질의 튜브(3)와, 상기 튜브(3)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테(2)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테(2)는 하수관(4)의 상단주연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21)과, 튜브(3)의 상단과 결합되는 플랜지(22)부와, 결합테(2)의 직경을 조절시킬 수 있게 하는 절취홈(23)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
  2. 상기 튜브(3)가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재질의 외피층(31)과, 물이 통과되지 않는 불투수(不透水) 재질의 내피층(30)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구.
KR1020020026420A 2002-05-14 2002-05-14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KR20030088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420A KR20030088313A (ko) 2002-05-14 2002-05-14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420A KR20030088313A (ko) 2002-05-14 2002-05-14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806U Division KR200298296Y1 (ko) 2002-05-15 2002-05-15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13A true KR20030088313A (ko) 2003-11-19

Family

ID=3238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420A KR20030088313A (ko) 2002-05-14 2002-05-14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831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37B1 (ko) * 2005-08-16 2007-02-22 김명례 하수구 악취방지구
KR100722418B1 (ko) * 2005-04-28 2007-06-04 임종순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KR101024146B1 (ko) * 2010-07-13 2011-03-22 정시영 악취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처리 제거 공법
CN102199930A (zh) * 2010-03-26 2011-09-28 都秀会 排水器
CN102939424A (zh) * 2010-01-20 2013-02-20 猎鹰无水技术公司 用在免冲洗小便器和其他排放口中的干式捕集器阀
CN103469865B (zh) * 2009-10-13 2014-08-13 戴永锋 快速排水安全地漏
KR101688916B1 (ko) * 2016-01-05 2016-12-22 (주)한국하수도기술 악취발산 방지용 하수도 시스템
KR101697953B1 (ko) * 2016-06-10 2017-01-19 (주)한국하수도기술 악취발산 방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18B1 (ko) * 2005-04-28 2007-06-04 임종순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KR100684937B1 (ko) * 2005-08-16 2007-02-22 김명례 하수구 악취방지구
CN103469865B (zh) * 2009-10-13 2014-08-13 戴永锋 快速排水安全地漏
CN102939424A (zh) * 2010-01-20 2013-02-20 猎鹰无水技术公司 用在免冲洗小便器和其他排放口中的干式捕集器阀
CN102939424B (zh) * 2010-01-20 2015-04-29 猎鹰无水技术公司 用在免冲洗小便器和其他排放口中的干式捕集器阀
CN102199930A (zh) * 2010-03-26 2011-09-28 都秀会 排水器
KR101024146B1 (ko) * 2010-07-13 2011-03-22 정시영 악취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처리 제거 공법
KR101688916B1 (ko) * 2016-01-05 2016-12-22 (주)한국하수도기술 악취발산 방지용 하수도 시스템
KR101697953B1 (ko) * 2016-06-10 2017-01-19 (주)한국하수도기술 악취발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28996A (ja) 下水道悪臭防止装置
JP2010189874A (ja) 自封トラップ
KR20030088313A (ko)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101922537B1 (ko)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KR200396193Y1 (ko)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KR200298296Y1 (ko)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KR20090129283A (ko) 이음관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JPH0552382B2 (ko)
KR102210653B1 (ko) 오래된 건물의 욕실배수구에 악취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배수트랩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200196995Y1 (ko) 배수구 냄새 역류 방지 장치
JPH0124234Y2 (ko)
JPH1143975A (ja) 浴室ユニットの浴槽排水構造
JP5200254B2 (ja) 接続構造
KR200176513Y1 (ko) 악취 차단 장치
JP7436665B2 (ja) 排水デバイス
KR200333375Y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중간 방취구 구조
KR200368838Y1 (ko) 하수관로 악취 및 벌레 차단장치(튜브)
KR102563529B1 (ko) 절수형 소변기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JP4408359B2 (ja) 浴室ユニット排水構造
KR200156422Y1 (ko) 배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