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23Y1 -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23Y1
KR200208323Y1 KR2020000021306U KR20000021306U KR200208323Y1 KR 200208323 Y1 KR200208323 Y1 KR 200208323Y1 KR 2020000021306 U KR2020000021306 U KR 2020000021306U KR 20000021306 U KR20000021306 U KR 20000021306U KR 200208323 Y1 KR200208323 Y1 KR 200208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gate
sewage
hin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병대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1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에 흐르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개문 정도를 달리하여 잦은 개폐로 인한 힌지부의 효과적 보호, 시의적절하고도 원할한 배수 및 악취의 역유입을 근절할 목적으로 안출한 하수구의 악취방지 역지변장치로서, 하수관의 단부에 역지변장치를 연결하고 힌지(9)에다 복귀스프링에 탄지시켜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쏠리게 역지변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역지변(1)을 가요성 합성수지제로 하고, 역지변 문비(1)의 가장자리에 복원용 탄성체(2)를 내장하며, 상기 역지변 본체(7)의 문비의 단면(8)을 하향 구배지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A flap (valve) for the prevention of odor back-flow in sewerage pipes}
본 고안은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개문 정도를 달리 하여 잦은 개폐로 인한 힌지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배수와 악취의 역유입방지작용이 제때에 신속히 이뤄지게 한 하수구 역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내 하수의 흐름은 시간대에 따라 유량의 변화가 있으며, 분류식 오수관에 있어서의 오수의 흐름도 일반 가정, 업소 등에서의 물 사용량에 따라 변화한다. 물 사용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는 주택, 빌딩 등의 배수시설, 예를들면 세면기, 욕조, 바닥 배수구 등과 배수관은 비어 있거나 소량의 오수만이 흐르는 상태로 된다. 이때, 오수관내의 악취가 하수관으로 역류하여 건물내의 바닥 배수구 등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악취 방지용 역지변이다.
힌지축(4)에 복귀스프링을 장착한 채 하수관의 배출단에 설치하여 하수가 흐를 때 하수의 수위에 따라 문비가 하수의 흐름의 세기에 의해 물의 높이 만큼 열리고 하수의 수위가 형성되지 않을 때에는 문비의 가장자리에 있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밸브 본체와 밀착되어 밸브가 닫힌 상태로 머물게 되며, 기존의 하수구용 역지변은 하수가 배수될 때마다 그 수위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힌지를 중심으로 문비 전체가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힌지부의 마찰로 인하여 훼손속도가 빠르고 훼손정도에 따라 기밀유지가 어려웠고 이로인한 수명을 단축을 초래하였으며 하수량이 소량인 경우 문비의 자중으로 인하여 배출이 안되는 경우 초래하였다.
역지변 느슨해진 힌지부는 배수관의 단면에 대한 봉쇄기능의 저하로 이어져서 악취의 역유입으로 인한 민원 발생의 원인으로 수시 점검과 하자발생시 즉시 보수가 필요한데, 보수비용과 관리인력이 문제다.
또, 수압이 상당 수준에 도달하여 역지변에 배수압력이 작용하더라도 그 수압이 역지변의 힌지축상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의 탄력을 능가하기 전에는 역지변이 열리지 않으므로 때맞춰 배수시킬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되는 하수압에 맞게 역지변의 개방면적을 달리 하여 잦은 개폐로 인한 역지변의 힌지부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고, 배수와 악취의 역유입방지기능이 제때에 신속히 이뤄질 수 있는 하수관 악취 역유입 방지용 역지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질긴 가요성 합성수지제 역지변 문비(1)로 하고, 이 역지변 문비(1)의 가장자리에 원형 유지용 탄성체(2)를 내장하며, 힌지축(4)으로 복귀 스프링(5)을 끼워 하수압을 받은 부분만 역지변이 열려서 배수되도록 구성한 하수구용 역지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역지변의 힌지부측 발췌도
도 2는 본 고안의 역지변장치를 갗춘 하수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측면도
도 4는 역지변 힌지부 상세도
도 5는 하수유출시 개문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역지변 문비 2 : 탄성체
7 : 역지변 본체 8 : 단면
도 1에서, 역지변 본체(7)의 배출단에 힌지식(9)으로 설치된 역지변 문비(1)는 질기고 가요성을 지닌 합성수지제이다. 하수압이 작용하는 부위만 여닫히게 하기 위해서 역지변 문비(1)의 가요성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역지변 문비(1)가 가요성을 지님에 따라 반복 개폐작용이 거듭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당초의 원형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잠재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역지변 문비(1)의 가장자리에는 원형 유지용 탄성체(2)를 내장한다. 이 탄성체(2)는 코일스프링과 같이 복원력이 우수한 물체이며, 사출금형에서 역지변 문비(1)를 성형할 때 금형에다 미리 장진 사출하여 매몰시킨다.
상기 역지변 문비(1)의 상단에는 돌쩌기(3)를 형성하여 힌지축(4)을 박고, 돌쩌귀(3)의 양측면으로 노출된 힌지축(4)의 단부에는 폐문용 복귀스프링(5)을 끼운다. 도면부호중 (11)은 하수관(10)의 배출단에 끼운 역지변 본체(7)를 잠그고 풀 때 이용하는 나비보울트이다.
도 2와 도 3에서, 하수관(10)의 단부에는 역지변 본체(7)를 설치한다. 이 역지변 본체(7)는 단면(8)을 하향 구배지게 하여 폐문시 역지변 문비(1)가 밀착되기 쉽게 하고, 단면(8)의 상단에는 역지변 본체 돌쩌귀(9)를 설치하여 상기 역지변 문비(1)의 힌지축(4)을 끼운다.
도 4에서, 역지변 본체 돌쩌귀(9)에 힌지축(4)을 설치할 때 양측 복귀스프링(5)의 내측단(5a)은 역지변 문비(1)의 돌쩌귀(3) 외면에 걸치고 각 복귀스프링(5)의 외측단(5b)은 역지변 본체(7)측 돌쩌귀(9)의 뒷면에 걸치는 방법으로 그 복귀성 탄력이 역지변 문비(1)가 닫히는 방향으로 집중되게 한다.
도 5에서, 하수관(10)내의 수위가 적정 수위에 오르면 그 수압을 받은 역지변 문비(1)의 수면 아래 부분(1a)이 수위 높이 만큼 열린다. 그러나 역지변 문비(1)의 수면 윗부분(1b)은 복귀스프링(5) 탄력 때문에 열리지 않는다. 그래서 역지변 전체가 여닫히던 종래에 비해 개폐속도가 신속하며, 힌지(9), 힌지축(4) 및 힌지 연결부(3)와의 접촉빈도가 줄어 들며, 마찰이 줄어 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기존의 역지변에 있어서 수압에 따라 문비전체가 개문되어 형성된 수위 상부로부터 악취가 유입되었다. 악취유입을 방지하고 역지변의 문비개방정도가 하수관에 흐르는 수위에 따라 문비가 개문되기 때문에 돌쩌귀와 힌지부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압에 따라 하수관의 단부에 역지변 본체(7)를 연결하고 역지변 본체(7)의 배출단에다 복귀 스프링(5)을 탄지시켜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쏠리게 힌지식으로 부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역지변 문비(1)를 가요성 합성수지제로 하고, 역지변 문비(1)의 가장자리에 복원용 탄성체(2)를 내장하며, 상기 역지변 본체(7)의 단면(8)은 하향 구배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악취역류방지용 자동 문비장치.
KR2020000021306U 2000-07-26 2000-07-26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KR200208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06U KR200208323Y1 (ko) 2000-07-26 2000-07-26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06U KR200208323Y1 (ko) 2000-07-26 2000-07-26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23Y1 true KR200208323Y1 (ko) 2000-12-15

Family

ID=1966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06U KR200208323Y1 (ko) 2000-07-26 2000-07-26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01B1 (ko) * 2001-03-14 2004-03-0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KR100749914B1 (ko) 2005-12-30 2007-08-21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탄성자동문비
KR100813225B1 (ko) 2007-08-20 2008-03-13 김창순 악취 방지용 덮개
KR101393094B1 (ko) 2011-12-19 2014-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도 맨홀 및 우수받이에서의 물리적 포집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01B1 (ko) * 2001-03-14 2004-03-0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KR100749914B1 (ko) 2005-12-30 2007-08-21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탄성자동문비
KR100813225B1 (ko) 2007-08-20 2008-03-13 김창순 악취 방지용 덮개
KR101393094B1 (ko) 2011-12-19 2014-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도 맨홀 및 우수받이에서의 물리적 포집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4602C (en) Backwater valve
KR102067559B1 (ko)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KR200208323Y1 (ko)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US8439078B2 (en) Odour trap
KR101289025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200420165Y1 (ko)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KR100562747B1 (ko) 건축 상하수도용 역류차단밸브
FI86004C (fi) Bakvattenstopp foer sjaelvfallsledningar.
KR102619320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TWI691634B (zh) 多功能地板排水器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100637608B1 (ko)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200328176Y1 (ko) 하수역류방지밸브
KR200340880Y1 (ko)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KR200318087Y1 (ko) 하수용 맨홀통
KR19990035530U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KR101707671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CN219261243U (zh) 下水管防臭防蚊虫密封圈
JPH036705Y2 (ko)
KR102267336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