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661A -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661A
KR20060063661A KR1020050109577A KR20050109577A KR20060063661A KR 20060063661 A KR20060063661 A KR 20060063661A KR 1020050109577 A KR1020050109577 A KR 1020050109577A KR 20050109577 A KR20050109577 A KR 20050109577A KR 20060063661 A KR20060063661 A KR 2006006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dor
shielding
shielding plate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호
Original Assignee
임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호 filed Critical 임흥호
Priority to KR102005011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297B1/ko
Priority to PCT/KR2005/004162 priority patent/WO2006062340A1/en
Publication of KR2006006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내측 벽면부를 깊게 형성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에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복원되는 차폐판을 더 구비하여 흐르는 빗물 등과 같은 오수는 유입되어 이 빗물의 자체 하중에 의해 차폐판이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오수가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하고, 배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구의 악취는 깊게 형성된 벽면부와 상기 차폐판들에 의해 완전하게 차단되도록 하여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는, 일정높이(h)를 갖는 벽면부(11)가 하단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배수로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단턱부(12)가 연장 형성되며 내측에 집수부(13)가 통공된 몸체(10)와; 서로 대응되어 하단측이 서로 접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광하협지고 배면 상단에 체결부(21a)가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차폐판(21)(21)과, 상기 차폐판(21)(21)의 배면 상단에 형성된 체결부(21a)에 끼워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몸체(10)의 벽면부(11)에 통공된 끼움공(11a)에 각각 끼워지는 장형의 회동봉(22)과, 상기 회동봉(22)의 양측 끝단에 각각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벽면부(11)의 하단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차폐판(21)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폐판(21)의 벌어진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가능 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23)을 갖는 차폐부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는, 배수로에 설치되는 내측에 다수개 형성된 집수부를 갖는 몸체의 벽면부가 깊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집수부가 몸체의 상단측과 일정깊이를 갖음에 따라, 하수구의 악취가 집수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배수로, 악취, 차폐구

Description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BED SMELL HOLDING CHECK CONSTRUCTION FOR DRAINAGEWAY}
도 1은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벽면부
12 : 단턱 13 : 집수부
20 : 차폐부재 21 : 차폐판
22 : 회동봉 23 : 비틀림스프링
24 : 보호막 h : 높이
본 발명은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 둘레부에 일정높이를 갖는 벽면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되는 차폐판을 갖는 차폐부재를 더 구비하여 배수로를 통해 풍겨 나오는 하수구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수로를 통해 빠져나가는 물은 물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로를 악취가 빠져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흐르는 빗물이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된 배수로를 살펴보면, 배수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 배수로와 이 배수로의 상부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뚜껑이 안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흐르는 물이 상기 배수로의 뚜껑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의 끝단은 하수구와 연결되도록 하여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수구를 통해 빠져 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수구에는 배수되는 물과 함께 유입된 각종 이물질(찌꺼기)에 의해 하수구의 막힘 및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악취가 상기 배수로를 통해 다시 외부로 풍겨 나오게 됨으로써 심한 악취에 의해 보행자 등의 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수로의 끝단에 연결된 하수구의 막힘 및 악취를 예방하기 위한 방편으로 배수로의 끝단에 연결되는 하수구에 악취 방지컵 등을 설치하여 배수로를 타고 올라오는 악취를 차폐하고 배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 등을 여과하도록 한 구조가 다수 제안된 바는 있으나, 이러한 것은 그 대부분이 내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한번 설치 후에는 배수구 내부의 청소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281288호인 집수정용 악취방지장치를 안출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개틀에 걸어고정되는 고정부의 하단에 소정길이의 연결부를 연장형성시킨 한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연결부 하단에 회동방지되도록 연결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하향회도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경첩과, 상기 연결부가 상향관통하는 안내홈을 구비하여 경첩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그 주연부에는 집수정과 가압밀착하는 고탄성재의 패킹을 구비한 한쌍의 개폐판과, 상기 고정축에 회동방지되도록 고정설치되어 개폐판에 상향 인장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악취의 대기중 비확산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환경오염과 비위생적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흐르는 오수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판을 통해 배수구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등록특허 제431808호인 배수로용 악취방지구를 안출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특허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물이 흘러 들어가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가로바와 세로바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상기 복수개의 공간부들에 대응하여 각각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차폐막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은 배수되고 평상시에는 자체 탄성력으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악취를 방지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본체의 내측에 다수개 구획 형성된 차폐막에 의해 배수로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가 완벽하게 차폐될 수 있고, 배수로측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차폐막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 281288호 및 제431808호들은 개폐판 또는 차폐막에 의해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 개폐판 또는 차폐막이 본체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기에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차폐막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차폐막의 절개부간의 높이차가 적음에 따라, 이 차폐막과 외부와의 간격이 크기 않음으로써, 상기 배수로를 타 고 유입되는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차폐막의 절개부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하수구의 악취를 제대로 차폐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폐판 또는 개폐막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졌다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장기간 설치시에 자체 탄성력이 저하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완전하게 복원되지 않아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 틈새를 통해 악취가 새어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배수로용 악취방지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의 내측 벽면부를 깊게 형성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폐판을 갖는 차폐부재가 내측에 구성된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좌/우측방향으로 회동되고 복원되도록 하여 흐르는 빗물 등과 같은 오수가 유입될 경우 유입되는 빗물의 자체 하중에 의해 차폐판이 양측으로 벌어져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오수가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하고, 오수가 완전히 배수되고 난 후에는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차폐판이 원래의 위치로 완벽하게 복원되어 차폐판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구의 악취가 몸체에 형성된 벽면부와 상기 차폐판들의 완벽한 복원력에 의해 완전하게 차단되도록 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는,
일정높이를 갖는 벽면부가 하단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배수로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단턱부가 연장 형성되며 내측에 집수부가 통공된 몸체와;
서로 대응되어 하단측이 서로 접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광하협지고 배면 상단에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배면 상단에 형성된 체결부에 끼워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몸체의 벽면부에 통공된 끼움공에 각각 끼워지는 장형의 회동봉과, 상기 회동봉의 양측 끝단에 각각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벽면부의 하단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차폐판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폐판의 벌어진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가능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을 갖는 차폐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폐판의 둘레부에는 보호막이 더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의 둘레부에 코팅되는 보호막은 열가압에 의해 상기 차폐판의 둘레부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통공되는 집수부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이 1열 이상으로 종방향으로 배열된 집수부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차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는, 내측에 빗물 등과 같은 오수가 모여지는 집수부를 갖는 몸체의 벽면부가 깊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수부의 하단에 오수의 자체하중에 의해 벌어져 오수가 배수되고 오수가 배수된 후에는 다시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차폐판을 갖는 차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가 몸체의 상단측과 일정깊이를 갖고 차폐부재의 차폐판에 의해 하수구의 악취가 집수부를 통해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는, 일정높이(h)를 갖는 벽면부(11)가 하단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배수로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단턱부(12)가 연장 형성되며 내측에 집수부(13)가 통공된 몸체(10)와, 서로 대응되어 하단측이 서로 접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광하협지고 배면 상단에 체결부(21a)가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차폐판(21)(21)과, 상기 차폐판(21)(21)의 배면 상단에 형성된 체결부(21a)에 끼워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몸체(10)의 벽면부(11)에 통공된 끼움공(11a)에 각각 끼워지는 장형의 회동봉(22)과, 상기 회동봉(22)의 양측 끝단에 각각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벽면부(11)의 하단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차폐판(21)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폐판(21)의 벌어진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가능 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23)을 갖는 차폐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차폐부재(20)의 차폐판(21)(21)들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차폐판(21)(21)들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끝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서로 상광하협지게 대응되는 일정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됨 으로써, 상기 몸체(10)의 집수부(13)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과 같은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는, 배수로(30)의 상단부에 상기 몸체(10)의 단턱(12)이 걸쳐지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빗물이나 또는 흐르는 오수가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집수부(13)를 타고 이 집수부(13)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면, 유입되는 오수의 자체하중 즉, 자중에 의해 상기 서로 끝단부가 맞물려 닫혀있던 한 쌍의 차폐판(21)(21)들이 양측 방향으로 벌어져 개방되어 오수는 상기 몸체(10)의 하단측이 끼워진 배수로(3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구로 흘러 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13)를 통해 오수의 유입이 멈추게 될 경우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벌어진 상기 차폐판(21)(21)들이 다시 모이게 되어 개방된 부분이 완벽하게 막힘에 따라, 배수로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경우, 상기 몸체(10)의 벽면부(11)가 일정깊이를 갖도록 깊게 형성되어 일정한 높이(h)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집수부(13)의 내부공간이 깊게 형성됨으로써, 배수로의 악취가 외부로 올라오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오수가 집수부(13)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흐르거나 또는 오수의 유입됨이 멈출 때, 상기 차폐판(21)(21)들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벌어지다가 다시 모여져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이 가능한 이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회동봉(22)과 비틀림스프링(23)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집수부(13)의 내측으로 오수가 유입될 경우엔, 이 오수의 자체하중에 의해 상기 차폐판(21)(21)들이 양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되어 벌어지게 되고, 또한, 오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엔, 상기 회동봉(22)에 축설된 비틀림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 즉, 차폐판(21)(21)들의 끝단부가 서로 모여진 상태로 상기 벌어진 차폐판(21)(21)들이 모이게 됨으로써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21)의 둘레부에는 보호막(24)이 더 코팅되어 포설되는 것으로, 상기 차폐판(21)의 둘레부에 코팅되는 보호막(24)은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열가압에 의해 상기 차폐판(21)의 둘레부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막(24)에 의해 서로 하단측이 모여지는 차폐판(21)(21)들의 하단측이 더욱 확실하게 접할 수 있어 배수구의 악취가 새어나오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통공되는 집수부(13)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이 1열 이상으로 종방향으로 배열된 집수부(13)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2개의 차폐판(21)(21)들과, 회동봉(22) 및 비틀림스프링(23)을 갖는 차폐부재(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폭이 넓게 형성된 배수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집수부(13)의 개수와 집수부(13)의 하단측에 구성되는 차폐부재(20)의 개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21)의 상단면에 무거운 중량을 갖는 중량체(25)가 더 안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체(25)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판(21)의 상단면에 열가압 용착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볼트(미도시)나 핀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차폐판(21)의 상단면에 안착될 수 있는 것으로, 중량체(25)에 의해 차폐판(21)이 어느정도의 자체 중량을 갖을 수 있음에 따라, 예컨대, 차폐판(21)(21)들의 상단면에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떨어질 경우에는 차폐판(21)(21)들의 무거운 자체 하중에 의해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의 가벼운 하중에도 쉽게 벌어져 차폐판(21)(21)들이 벌어진 상태로 놓이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 및 구성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벽면 중 서로 마주보는 몸체(10)의 벽면의 내측면에 상광하협지게 돌설된 스토퍼면(14)이 더 돌설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면(14)에 의해 차폐판(21)(21)들이 비틀림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때에 복원되는 범위가 상기 차폐판(21)(21)들의 하단측이 접한 상태에서 더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폐판(21)(21)들이 위로 상승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에 의하면, 배수로에 설치되는 몸체에 형성된 벽면부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집수부의 내부 공간 높이가 깊게 형성됨으로써, 하수구의 악취가 배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집수부의 내측 하단에 구비되는 차폐부재에 의해 오수만이 자체하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고 오수가 배출되고 난 이후에는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차폐판이 닫히게 되어 집수부의 하단측이 막히게 됨으로써, 하수구의 악취는 완전하게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일정높이(h)를 갖는 벽면부(11)가 하단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측에는 배수로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단턱부(12)가 연장 형성되며 내측에 집수부(13)가 통공된 몸체(10)와;
    서로 대응되어 하단측이 서로 접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광하협지고 배면 상단에 체결부(21a)가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차폐판(21)(21)과, 상기 차폐판(21)(21)의 배면 상단에 형성된 체결부(21a)에 끼워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몸체(10)의 벽면부(11)에 통공된 끼움공(11a)에 각각 끼워지는 장형의 회동봉(22)과, 상기 회동봉(22)의 양측 끝단에 각각 끼워지고 일측은 상기 벽면부(11)의 하단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차폐판(21)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폐판(21)의 벌어진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가능 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23)을 갖는 차폐부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1)의 둘레부에는 보호막(24)이 더 코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1)의 둘레부에 코팅되는 보호막(24)은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열가압에 의해 상기 차폐판(21)의 둘레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통공되는 집수부(13)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이 1열 이상으로 종방향으로 배열된 집수부(13)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2개의 차폐판(21)(21)들과, 회동봉(22) 및 비틀림스프링(23)을 갖는 차폐부재(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1)의 상단면에는 무거운 중량을 갖는 중량체(25)가 더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벽면 중 서로 대응되게 접하는 상기 차폐판(21)(21)들의 양측단에 접하는 몸체(10)의 벽면의 내측면에 상광하협지게 돌설된 스토퍼면(14)이 더 돌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악취방지장치.
KR1020050109577A 2004-12-07 2005-11-16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KR20060063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286A KR100717297B1 (ko) 2004-12-07 2005-11-30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PCT/KR2005/004162 WO2006062340A1 (en) 2004-12-07 2005-12-06 Fetid gas flowing backward arrester equipment of d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716 2004-12-07
KR1020040102716 2004-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661A true KR20060063661A (ko) 2006-06-12

Family

ID=3715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577A KR20060063661A (ko) 2004-12-07 2005-11-16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3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9A (zh) * 2020-04-22 2020-08-04 广东天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排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9A (zh) * 2020-04-22 2020-08-04 广东天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83Y1 (ko) 오물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101998353B1 (ko) 오물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124941B1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050057B1 (ko)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US6866444B2 (en) Device installed at a ditch on a road, to prevent back flow of sewage and malodor
KR20120044591A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및 그레이팅 개폐장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200448218Y1 (ko) 이단개폐식 맨홀악취차단장치
KR20080111668A (ko) 맨홀 커버장치
KR101124771B1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60063661A (ko)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KR100913210B1 (ko) 밀폐형 배수로 덮개
KR102555249B1 (ko) 자동 개폐식 집수구
KR200378213Y1 (ko)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KR200480003Y1 (ko) 도로용 악취차단 우수받이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90047412A (ko)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WO2009025482A2 (en) Cover preventing an offensive odor
KR20090048527A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 및 유해가스 배출 장치
KR101841998B1 (ko) 악취 역류 방지판이 구비된 그레이팅 구조체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328170Y1 (ko) 하수 악취차단장치
KR100826869B1 (ko) 역류시 동작 가능한 배수구 개폐장치
JP2795631B2 (ja) オイル阻集器の臭気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