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397Y1 - 소화전용 밸브 - Google Patents

소화전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397Y1
KR200215397Y1 KR2019990004601U KR19990004601U KR200215397Y1 KR 200215397 Y1 KR200215397 Y1 KR 200215397Y1 KR 2019990004601 U KR2019990004601 U KR 2019990004601U KR 19990004601 U KR19990004601 U KR 19990004601U KR 200215397 Y1 KR200215397 Y1 KR 200215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ring
lid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554U (ko
Inventor
차진무
Original Assignee
차진무
중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진무, 중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진무
Priority to KR2019990004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39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397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t Valv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체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밸브체를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오링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소화전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입구(21)와 배출구(22) 사이로 밸브시트(23)가 구비된 밸브케이스(20), 밸브시트(23)를 개폐시키는 밸브체(30), 밸브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40), 뚜껑(40)에 나사결합되어 밸브체(30)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50), 밸브로드(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6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0)의 상부 내경에 환턱(31)을 형성하여 이 환턱(31)내로 밸브로드(50)의 걸림턱(51)이 걸리는 스냅링(70)을 끼워서 고정하고, 오링(80)이 끼워지는 뚜껑(40)의 상부 내경에 암나사(41)를 형성하여 이 암나사(41)내로 오링(80)에 밀착되는 캡볼트(90)를 나사조립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전용 밸브{VALVE FOR FIREPLUG}
본 고안은 소화전(消火栓)용 밸브(valv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밸브체의 체결구조 및 오링의 장착구조를 개선한 소화전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수도(水道) 또는 고층 물탱크가 있는 곳에 설치되는 소화용 수전으로서 구경이 큰 결합관이 주관 가까이 설치된다.
이러한 소화전은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소화전의 내부에는 소화나 방화를 위하여 호스로 물을 내보내는 방수(放水)용 밸브가 설치된다.
소화전용 밸브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입구(1)와 배출구(2) 사이로밸브시트(3)가 구비된 밸브케이스(4), 상기 밸브시트(3)를 개폐시키는 밸브체(5),상기 밸브케이스(4)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6), 상기 뚜껑(6)에 나사결합되어 밸브체(5)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7), 상기 밸브로드(7)의 상단에 결합되어밸브로드(7)를 회전시키는 핸들(8)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체(5)의 저부로는 밸브시트(3)에 밀착되는 패킹(9)이 장착되고, 이때 패킹(9)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밸브체(5)는 밸브로드(7)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한편 상기 뚜껑(6)의 상부 내경으로는 오링(10)이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체 체결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밸브로드(7)의 하단에 걸림턱(7a)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5)의 상부 내경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이 암나사에 연결너트(11)를 나사조립한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밸브체(5)의 조립및 분해시 일일이 연결너트(11)를 조이고 풀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링 장착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뚜껑(6)의 상부 내경에오링(10)을 끼운후 이 오링(10)의 상부에 다시 와셔(12)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캡너트(13)를 체결한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는 구조적으로 오링(10)을 지지하는 별도의 와셔(12)가 추가되므로 이 와셔(12)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밸브체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밸브체를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오링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소화전용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밸브로드의 걸림턱이 끼워지는 밸브체의 내경에 스냅링이 끼워지는 환턱을 형성하고, 오링이 끼워지는 뚜껑의 상부 내경으로 오링에 밀착되는 캡볼트를 나사조립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밸브케이스 21 : 유입구
22 : 배출구 23 : 밸브시트
30 : 밸브체 31 : 환턱
40 : 뚜껑 50 : 밸브로드
51 : 걸림턱 60 : 핸들
70 : 스냅링 80 : 오링
90 : 캡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소화전용 밸브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입구(21)와 배출구(22) 사이로 밸브시트(23)가 구비된 밸브케이스(20), 밸브시트(23)를 개폐시키는 밸브체(30), 밸브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40), 뚜껑(40)에 나사결합되어 밸브체(30)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50), 밸브로드(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6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0)의 상부 내경에 환턱(31)을 형성하여 이 환턱(31)내로 밸브로드(50)의 걸림턱(51)이 걸리는 스냅링(70)을 끼워서 고정하고, 오링(80)이 끼워지는 뚜껑(40)의 상부 내경에 암나사(41)를 형성하여 이암나사(41)내로 오링(80)에 밀착되는 캡볼트(90)를 나사조립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도 상기 밸브체(30)의 저부로 밸브시트(23)에밀착되는 패킹(100)이 장착되고, 이때 패킹(10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밸브체(30)는 밸브로드(5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로드(5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51)을 밸브체(30)의 상부 내경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30)의 상부 내경에 형성된 환턱(31)으로 스냅링(70)을 끼우면 밸브체(30)가 밸브로드(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스냅링(70)을 이용하여 밸브체(30)를 보다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이때, 조립된 상태에서는 걸림턱(51)이 환턱(31)내로 끼워져 고정된 스냅링(70)에 걸려 빠지지 않으므로 밸브로드(50)와 밸브체(3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뚜껑(40)의 상부 내경에 오링(80)을 끼운 상태에서 암나사(41)에 캡볼트(90)를 나사조립하면 이 캡볼트(90)의 하단부가 오링(80)의 상부에 밀착되므로 종래 사용된 와셔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스냅링(70)을 이용하여 밸브체(30)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30)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래 사용된 와셔,연결너트가 삭제되므로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전용 밸브는 밸브체의 체결구조를개선하여 밸브체를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오링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유입구(21)와 배출구(22) 사이로 밸브시트(23)가 구비된 밸브케이스(20), 밸브시트(23)를 개폐시키는 밸브체(30), 밸브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40), 뚜껑(40)에 나사결합되어 밸브체(30)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50), 밸브로드(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6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0)의상부 내경에 환턱(31)을 형성하여 이 환턱(31)내로 밸브로드(50)의 걸림턱(51)이 걸리는 스냅링(70)을 끼워서 고정하고, 오링(80)이 끼워지는 뚜껑(40)의 상부 내경에 암나사(41)를 형성하여 이 암나사(41)내로 오링(80)에 밀착되는 캡볼트(90)를 나사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용 밸브.
KR2019990004601U 1999-03-22 1999-03-22 소화전용 밸브 KR200215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01U KR200215397Y1 (ko) 1999-03-22 1999-03-22 소화전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01U KR200215397Y1 (ko) 1999-03-22 1999-03-22 소화전용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54U KR20000018554U (ko) 2000-10-16
KR200215397Y1 true KR200215397Y1 (ko) 2001-03-15

Family

ID=5476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601U KR200215397Y1 (ko) 1999-03-22 1999-03-22 소화전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3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51Y1 (ko) 2010-01-20 2012-05-25 우명배 소화전 밸브
KR101855167B1 (ko) 2017-10-18 2018-05-04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옥내소화전 방수밸브
KR102373872B1 (ko) * 2021-06-23 2022-03-29 (주) 오행 밸브로드 회전 안내형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927B1 (ko) * 2008-09-19 2009-01-12 (주)화이어대상 옥내 소화전 방수구
KR102622795B1 (ko) * 2021-02-11 2024-01-08 허혜숙 소화전밸브용 개폐뭉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799B1 (ko) * 2021-02-11 2024-01-08 허혜숙 소화전밸브용 개폐뭉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51Y1 (ko) 2010-01-20 2012-05-25 우명배 소화전 밸브
KR101855167B1 (ko) 2017-10-18 2018-05-04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옥내소화전 방수밸브
KR102373872B1 (ko) * 2021-06-23 2022-03-29 (주) 오행 밸브로드 회전 안내형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54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451Y1 (ko) 소화전 밸브
KR200215397Y1 (ko) 소화전용 밸브
US6641060B2 (en) Modular kitchen deck side spray
US4209033A (en) Vacuum breaker valve
JP3261573B2 (ja) 消火栓
US9803350B2 (en) Flush lever and assembly
KR200411912Y1 (ko) 옥내소화전방수구
CN108514964B (zh) 一种充电式喷枪及喷雾器
CN201394303Y (zh) 复式玻璃球洒水喷头
CN212249935U (zh) 一种方便拆装的内防喷器
US20200270854A1 (en) Quick-assembly deodorant drainer for washbasin
KR102304796B1 (ko) 옥외 지상식 소화전
JPH0219147Y2 (ko)
US8622318B1 (en) Integral elastomeric covered body cap for irrigation sprinkler
KR200240720Y1 (ko) 소화전용 밸브의 핸들 체결구조
US20010032949A1 (en) Coupling for a fluid delivery pipe
CN209144929U (zh) 一种面盆下水管组件
AU728128B2 (en) Float valve
CN212318827U (zh) 能自清洗的水龙头控制阀
RU185556U1 (ru) Пожарный вентиль
CN2413497Y (zh) 家畜用饮水器
KR930004150Y1 (ko) 지하매설밸브의 지상개폐 표시장치
KR0132533Y1 (ko) 분무기의 농약 토출부 결합장치
CN220134679U (zh) 一种双功能出水龙头
CN211113896U (zh) 一种室外消防栓用保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