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15Y1 -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15Y1
KR920003515Y1 KR2019880016682U KR880016682U KR920003515Y1 KR 920003515 Y1 KR920003515 Y1 KR 920003515Y1 KR 2019880016682 U KR2019880016682 U KR 2019880016682U KR 880016682 U KR880016682 U KR 880016682U KR 920003515 Y1 KR920003515 Y1 KR 920003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holes
parts
screw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002U (ko
Inventor
김수일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515Y1/ko
Publication of KR900009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가 적용된 VTR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3a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b도는 제1도의 B방향에서 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품 2 : 사시
3 ; 단자판설치부 4, 4' : 힌지삽입부
5, 5' : 고정구멍 6, 6' : 힌지브라켓
7, 7' : 지지부 8, 8' : 훅크
9, 9' : 힌지부 10, 10' : 가동부
13 : 단자판 14, 14' : 고정부
18 : 회로기판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 후면의 단자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별도의 힌지브라켓을 이용하여 단자부품들이 직접 설치되는 회로기판이 단자판과 함께 설치 고정됨은 물론 함께 회전개폐 가능하도록 구성시킨 단자판의 회전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후면에는 다른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판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자판을 설치함에 있어 종래에는 제품 본체에 직접적으로 고정시켰던 것이므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특히 분해 수리시에는 단자판을 또는 그 회로기판을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 시키게 되므로 이때 단자판의 단자부품과 회로기판 사이에 연결된 전선들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이 가중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자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단자판과 회로기판을 별도의 힌지브라켓으로 함께 설치 및 회전개폐가 가능케하여 분해 수리작업에 편리를 도모하고자 고안한 것인바 그 상세한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품(1) 샤시(2)의 후면에 마련된 단자판 설치부(3)의 좌우측부에 힌지삽입부(4), (4')와 고정구멍(5), (5')이 형성되어 힌지브라켓(6), (6')의 지지부(7), (7')가 삽입됨과 동시에 그에 형성된 훅크(8), (8')가 상기 고정구멍(5), (5')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7), (7')에 힌지부(9), (9')로 연장된 가동부(10), (10')에는 나사삽입구멍(11), (11')과 안내돌기(12), (12')가 형성되어 단자판(13)양측 고정부(14), (14')의 나사홈(15), (15')과 안내홈(16), (16')이 각각 일치되며 동시에 그 고정부(14), (14')의 안내보스(17), (17')는 상기 가동부(10), (10')와 단자판(13)양측 사이에 끼이는 회로기판(18)양측의 안내구멍(19), (19')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삽입구멍(11), (11')과 나사홈(15), (15')사이에 일치되는 나사관통구멍(20), (20')으로 나사(21), (21')가 체결되어 결합되어지되 그 일측 힌지브라켓(6)의 가동부(10)에는 샤시(2)의 측벽(22)상단에 걸릴 수 있는 신축걸이편(23)이 연장 형성된 한편, 단자판(13)하단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자판 설치부(3)의 가장자리와 그 고정구멍(24), (24')에 일치하는 반턱(25)과 나사구멍(26), (26')이 형성되어 나사(27), (27')로 조립되는 구성으로서 미설명부호 (28)은 단자부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조립상태는 먼저 단자판(13) 양측의 고정부(14), (14')에 회로기판(18) 양측부를 얹되 고정부(14), (14')의 안내보스(17), (17')가 회로기판(18)의 안내구멍(19), (19')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또 그위에 힌지브라켓(6), (6')의 가동부(10), (10')를 얹되 그 안내돌기(12), (12')가 상기 고정부(14), (14')의 안내홈(16), (16')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가동부(10), (10')의 나사삽입구멍(11), (11')과 회로기판(18)의 나사관통구멍(20), (20')이 상기 고정부(14), (14')의 나사홈(15), (15')과 각각 일치된다.
따라서 이에 나사(21), (21')를 체결하여 주면 단자판(13)과 회로기판(18)그리고 힌지브라켓(6), (6')모두 한 몸체로 체결되고 회로기판(18)에 직접 설치되는 단자부품(28)들은 단자판(13)에 천공된 구멍(부호생략)으로 각기 돌출되어 소정의 단자판을 구성하며 결합된 상태는 단자판(13)과 회로기판(18)이 "ㄱ"자형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힌지브라켓(6), (6')의 지지부(7), (71)를 샤시(2)의 단자판 설치부(3)양측에 형성된 힌지삽입부(4), (4')로 삽입하던 그 고정구멍(5), (5')에 상기 지지부(7), (7')의 훅크(8), (8')가 걸리게 되어 임의로 분리될 수 없는 가조립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단자판(13)은 그 하단에 반턱(25)이 형성되어 단자판설치부(3)의 가장자리와 형합하고 그 양측의 나사구멍(26), (26')은 고정구멍(24), (24')과 일치하므로 이에 나사(27), (27')를 체결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 조립상태에서 그 내부를 수리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나사(27), (27')를 풀어주면 "ㄱ"자형으로 결합된 단자판(13)과 회로기판(18)이 그 양측의 힌지브라켓(6), (6')에 의하여 샤시(2)와는 가조립 상태에 있고 힌지브라켓(6), (6')은 힌지고정부(7), (7')에 삽입된 지지부(7), (7')와 나사(21), (21')가 체결된 가동부(10), (10')가 힌지부(9), (9')로 연결되어 대략 90°정도 꺽일 수 있는 것이므로 샤시(2)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제3a도와 같이 회로기판(18)를 상부로 회전 상승시켜 그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힌지브라켓(6), (6')중 일측 힌지브라켓(6)의 가동부(10)에는 신축걸이편(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조립상태에서는 샤시(2)의 측벽(22)내면에 눌려 있다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8)을 들어 올리면 측벽(22)상단 밖으로 나옴과 동시에 탄발되고 제3b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곧 측벽(22) 상단에 걸리어 완전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수리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수리작업이 끝나고 다시 조립하고자 할때에는 측벽(22)상단에 걸린 신축걸이편(23)을 누르면서 회로기판(18)과 단자판(13)을 가조립상태로 복귀시킨 후 나사(27), (27')를 체결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단자판을 설치하되 별도의 힌지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그 회로기판이 단일화됨은 물론 단자판이나 회로기판을 샤시로부터 완전분리시키지 않고도 수리작업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전선을 끊어야 하는 불편이 없고 한층 간편해진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제품(1)샤시(12)의 후면에 마련된 단자판 설치부(3)의 좌, 우측부에 힌지삽입부(4), (4')와 고정구멍(5), (5')이 형성되어 힌지브라켓(6), (6')의 지지부(7), (71)가 삽입됨과 동시에 그에 형성된 훅크(8), (8')가 상기 고정구멍(5), (5')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7), (7')에 힌지부(9), (9')로 연장된 가동부(10), (10')에는 나사삽입구멍(11), (11')과 안내돌기(12), (12')가 형성되어 단자판(13) 양측고정부(14), (14')의 나사홈(15), (15')과 안내홈(16), (16')이 각각 일치되며 동시에 그 고정부(14), (14')의 안내보스(17), (17')는 상기 가동부(10), (10')와 단자판(13)양측 사이에 끼이는 회로기판(18)양측의 안내구멍(19), (19')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삽입구멍(11), (11')과 나사홈(15), (15')사이에 일치되는 나사관통구멍(20), (20')으로 나사(21), (21')가 체결되어 결합되어지되 그 일측 힌지브라켓(6)의 가동부(10)에는 샤시(2)의 측벽(22)상단에 걸릴 수 있는 신축걸이편(23)이 연장 형성된 한편, 단자판(13)하단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자판 설치부(3)의 가장자리와 그 고정구멍(24), (24')에 일치하는 반턱(25)과 나사구멍(26), (26')이 형성되어 나사(27), (27')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판의 회전지지장치.
KR2019880016682U 1988-10-11 1988-10-11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KR920003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682U KR920003515Y1 (ko) 1988-10-11 1988-10-11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682U KR920003515Y1 (ko) 1988-10-11 1988-10-11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02U KR900009002U (ko) 1990-05-03
KR920003515Y1 true KR920003515Y1 (ko) 1992-05-30

Family

ID=1928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682U KR920003515Y1 (ko) 1988-10-11 1988-10-11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5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02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3152C1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варианты)
US5801331A (en) Switchgear cabinet with door and cover
KR920003515Y1 (ko) 단자판의 회전 지지 장치
KR0120581Y1 (ko) Vcr의 데크플레이트조립구조
JP2615981B2 (ja) キャビネット装置
KR0136596Y1 (ko) 냉장고의 도어체결장치
KR200288568Y1 (ko) 전화교환기의 알람모듈용 배터리 장착기구
KR01338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그라운드 장치
KR0120857Y1 (ko) Vcr의 접지구조
KR100221406B1 (ko) 개선된 피씨비 프레임을 구비하는 티브이씨알 결합 구조물
KR200158406Y1 (ko) 분리형 공조기의 실외기 컨트롤 박스 취부구조
JPH062308Y2 (ja) 端末装置
JPH0627039Y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取付構造
JPS5821199Y2 (ja) 電装部品収納箱
KR0140474Y1 (ko) 셀프의 유니트 착탈장치용 범용 고정브래킷
JPH0340031Y2 (ko)
KR890005616Y1 (ko) 냉장고 톱패널의 도어힌지 설치구조
JP2767624B2 (ja) 配線器具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施工方法
KR920004181Y1 (ko) 전기전자기기 회로기판의 2단 고정구조
JP3733779B2 (ja) 局部洗浄装置
KR100202147B1 (ko) 걸이형 홈 오토메이션장치
JPS5855792Y2 (ja) キヤビネツト
JPS5927629Y2 (ja) 制御機器筐体の開閉装置
JPS596501Y2 (ja) レコ−ドプレ−ヤ
KR870003278Y1 (ko) 선풍기의 모우터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