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397Y1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397Y1
KR920003397Y1 KR929203958U KR920003958U KR920003397Y1 KR 920003397 Y1 KR920003397 Y1 KR 920003397Y1 KR 929203958 U KR929203958 U KR 929203958U KR 920003958 U KR920003958 U KR 920003958U KR 920003397 Y1 KR920003397 Y1 KR 920003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tactor
accessory
casing
coil terminal
connec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9203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도 히로다
구니유끼 고가와
시게아끼 오다께
Original Assignee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425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595Y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11374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03935A/ko
Application filed by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오 다께시
Priority to KR929203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접촉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자(電磁)접촉기 및 그 부속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전자접촉기 결합부의 부분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부속장치의 확대도.
제4도는 탄성멈춤쇠를 가진 결합부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사이의 접속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부속장치가 부착된 전자접촉기의 측면도.
제7도는 변경수정된 부속장치의 사시도.
제8도는 다른 변경된 부속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제7도 또는 제8도의 부속장치가 부착된 전자접촉기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접촉기 2 : 코일단자부
3 : 제1결합부 3a, 3b : 결합돌기
4 : 부속장치 5 : 부속장치케이싱
6 : 탄성멈춤쇠 7 : 접속소자
8 : 코일단자 9 : 단자나사
10 : 절연부재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접촉기의 동체에 서지 억제소자 및 작동 표시등과 같은 추가기능 전기부품을 포함하는 부속장치 또는 부속품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부속장치는 전자접촉기를 배전반에 접속시킨 후에도 전자접촉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킬수 있는 것이 좋다.
배전반에 전자접촉기를 접촉한 후에도 전자접촉기에 분리가능하게 부속장치를 부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전자접촉기에는 전자접촉기의 측벽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가 있으며 또 이 제1결합부와 탄력적으로 맞물림이 가능한 제2결합부를 갖는 부속장치 케이싱이 있음으로써 일거에 전자 접촉기에 부속장치를 부착시킬수 있는 전자접촉기가 공지되어 있었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로 전자접촉기에 부속장치를 용이하게 부착할수는 있다. 그러나 이 부속장치는 전자접촉기에 서로 밀접한 접촉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결합부 사이의 맞물림 상태에 의존하지 않거나,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작동될때마다 진동이 수반되기 때문에 만일 전자 접촉기와 부속장치 사이의 접촉이 충분하게 밀접하지 않으면 부속장치로부터 전자 접속기로 연장되는 리이드선 상에 심각한 부담이 가해진다. 더우기 최악의 경우에는 부속장치가 전자접촉기로 부터 분리된다.
또한 부속장치의 접속소자들은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어 있지 않아 전자접촉기와 접속소자 사이에 양호한 전기절연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 사이에 적합한 간격을 둘것이 요구된다. 결국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콤팩트 사이즈가 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 접속소자와의 접촉에도 장애가 생길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선행기술상의 결함을 해결하고, 전자접촉기에 부속장치의 안정되고 확실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전자접촉기를 배전반에 접속한 후에도 접촉기로 부터 분리할 수 있게 용이하게 부착할수 있으며 또, 필요하면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 사이에 충분한 절연을 제공할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접촉기는 동체, 동체의 측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단자, 측면상에 형성되어 코일 단자 아래에 있는 결합부와 전자접촉기 동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속장치로서 구성되며, 이 부속장치에는 전기부품을 포함하는 케이싱이 있고, 이 케이싱은 그 측면에 형성된 탄성 멈춤쇠를 가지며, 이 탄성멈춤쇠는 동체의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며, 부속장치는 케이싱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성접속 소자를 가지고, 이 접속소자는 코일단자와 접속이 가능하며, 이 판상 접속소자는 코일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부를 제외하고는 전기절연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속장치는 전자접촉기의 결합부와 부속장치의 결합돌기의 탄성적 맞물림에 의하여 전자접촉기에 분리할수 있도록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때 판상 접속소자는 코일단자에 연결된후 단자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전자접촉기로부터 부속장치를 분리하려면 단자 나사를 풀고 부속장치 동체를 전자접촉기로 부터 잡아당긴다.
만일 접속소자를 절연재료로 피복하면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 사이의 절연거리를 감소시킬수 있으므로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로 구성된 조립체를 콤팩트 사이즈로 할수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고안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전자접촉기(1)에는 동체가 포함되고, 동체의 한측면에는 코일 단자부2)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3)는 코일단자부(2)아래의 한 측면에 있고 이 제1결합부(3)는 접촉기 동체의 한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되어 있다. 이 제1결합부(3)는 제2도와 제4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대향 결합돌기(3a), (3b)를 가진다.
부속장치(4)는 서지억제 소자, 작동표시등 등을 포함한 케이싱(5)으로 구성되며 부속장치 케이싱(5)은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처럼 한쌍의 대향탄성 멈춤쇠(6), (6)는 부속장치메이싱(5)의 한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판상접속소자(7), (7)는 부속장치케이싱(5)의 위쪽면에 형성되어 케이싱(5)내의 전기부품에 접속된다. 한쌍의 탄성멈춤쇠(6), (6)의 대향하는 외면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한쌍의 결합(맞물림)돌기사이의 거리와 같다. 부속장치케이싱(5)은 제4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코일단자부(2)아래의 전자접촉기(1)에 부착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먼저 탄성멈춤쇠(6), (6)는 각각 결합돌기(3a), (3b)와 접촉한다. 그리고 부속장치 케이싱(5)이 전자접촉기(1)쪽으로 압력을 받으면 탄성멈춤쇠(6), (6)는 안으로 탄성있게 변형되고(즉 서로를 향하여), 탄성멈춤쇠(6), (6)은 경사면(6a), (6b)이 각각 결합돌기(3a), (3b)를 통과하면 탄성멈춤쇠(6), (6)는 결합부(3)에 완전히 맞추어지는 동시에 탄성멈춤쇠(6), (6)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리하여 부속장치 케이싱(5)은 전자접촉기(1)와 서로 밀착접촉이 되어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속장치 케이싱(5)이 전자접촉기(1)로 부터 화살표 A(제4도)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탄성멈춤쇠(6), (6)에 의하여 방지된다. 탄성멈춤쇠(6), (6)가 결합부에 맞추어질때 접속소자(7), (7)의 각 말단 끝은 제5도와 같이 코일단자부(2)의 코일단자(8)와 단자나사(9)의 머리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부속장치 케이싱(5)은 단자나사(9)가 잠기지 않았더라도 화살표 B(제5도)방향으로 전자접촉기(1)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각 접속소자(7)의 말단은 포크형 또는 두개의 포크형으로 갈라져 있으며 따라서 단자나사(9)를 코일단사(8)에서 풀거나 제거하여도 부속장치 케이싱(5)은 전자접촉기(1)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단자나사(9)만 풀면 전자 접촉기(1)에 부착시킬수 있다.
따라서 제6도에서와 같이 부속장치 케이싱(5)를 전자접촉기(1)에 서로 밀착시켜 부착 할수 있다. 부속장치케이싱(5)을 전자접촉기(1)에서 분리하려면 단자나사(9)를 풀고나서 부속장치케이싱(5)을 전자접촉기(1)로 부터 손가락으로 당긴다. 그러면 탄성멈춤쇠(6), (6)는 탄성있게 변형되어 결합돌기(3a), (3b)로 부터 떨어지고 따라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변형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접촉기(1)는 제1도 내지 제6도 실시예의 것과 같은 구조의 것이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들변경 실시예는 접속소자(7), (7)가 각각 전기절연부재(10), (10)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점이 앞의 실시예와 다르다. 제7도에서와 같이 이러한 절연부재(10), (10)는 분리되며 두개의 포크형 말단을 제외한 접속소자(7), (7)의 동체부에 올려져 피복된다.
제8도에서와 같이 절연부재(10), (10)는 부속장치 케이싱(5)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변경 실시예에서 부속장치 케이싱(5)이 전자접촉기(1)에 부착될때 탄성멈춤쇠(6), (6)는 제4도에서 처럼 전자접촉기(1)의 결합돌기(3a), (3b)에 대하여 눌려져 결합부(3)에 맞추어 진다. 이리하여 부속장치 케이싱(5)은 제9도와 같이 전자접촉기(1)에 부착된다.
전자접촉기(1)에서 부속장치 케이싱(5)의 분리는 제1도 내지 제6도의 선행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할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접촉기의 동체의 측면 코일단자부 아래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와 맞물릴수 있는 탄성멈춤쇠를 부속장치 케이싱에 형성하고, 부속장치 케이싱의 외면에서 돌출된 각 코일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소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부속장치는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전자접촉기에 부착된다.
부속장치와 전자접촉기 사이의 전기절연은 접속소자에 의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리드선의 사용이 필요없으며 이에 따라 부속장치와 전자접촉기 사이의 이러한 리드선 연결을 위한 노동이 절약된다.
또한 부속장치 케이싱은 판상 접속소자에 의하여 전자접촉기에 장착되므로 부속장치 케이싱은 전자접촉기에 완전하게 고정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속소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케이싱 사이의 절연거리가 단축됨으로써 전자접촉기와 부속장치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콤팩트사이즈로 할수 있다.
부속장치 케이싱과 접속소자의 전기절연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자 접촉기와 부속장치 케이싱을 더욱 용이하게 한 유니트로 조립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측면을 가지는 동체, 상기 동체의 측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코일단자(2), 상기 코일단자(2)아래의 상기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부(3), 및 상기 동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속장치(4)를 구비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부속장치(4)는 전기부품을 포함하는 케이싱(5)과 이 케이싱(5)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상접속소자(7)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5)은 그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돌기(6)을 가지며, 상기 탄성돌기(6)는 상기 전자접촉기 동체에 상기 부속장치 케이싱(5)을 장착고정하기 위해 상기 동체의 상기 결합부(3)와 분리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맞물릴수 있으며, 상기 판상접속소자(7)는 상기 코일단자(2)와 접속가능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부속장치(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접속소자(7)는 상기 코일단자(2)와 접속되는 접속소자부분 이외에는 전기절연 재료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절연 재료는 상기 부속장치의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6)는 탄성멈춤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접속소자(7)는 포크형 말단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제5항에 있어서, 나사머리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단자나사(9)가 상기 코일단자(2)에 부착되고, 상기 판상접속소자(7)의 선단부는 상기 코일단자(2)와 상기 단자나사(9)의 머리사이에 접속절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에 한쌍의 대향 결합돌기(3a), (3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929203958U 1988-08-10 1992-03-12 전자접촉기 KR920003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9203958U KR920003397Y1 (ko) 1988-08-10 1992-03-12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84888 1988-08-10
JP105848 1988-08-10
JP1989042589U JPH076595Y2 (ja) 1988-08-10 1989-04-12 電磁接触器
JP42589 1989-04-12
KR1019890011374A KR900003935A (ko) 1988-08-10 1989-08-10 전자접촉기
KR929203958U KR920003397Y1 (ko) 1988-08-10 1992-03-12 전자접촉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374A Division KR900003935A (ko) 1988-08-10 1989-08-10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397Y1 true KR920003397Y1 (ko) 1992-05-30

Family

ID=274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9203958U KR920003397Y1 (ko) 1988-08-10 1992-03-12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93125A (zh) 连接器
JP2933637B2 (ja) 接触器駆動電磁石の保護モジュール
US4992765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0138885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US5169340A (en) Electrical connector
US4447684A (en) Automotive horn switch structure on steering wheel
KR920003397Y1 (ko) 전자접촉기
KR850003995A (ko) 전기 접속자 조립체
EP1073162B1 (en) Switch device with AC inlet
JPH0466077U (ko)
JP3274709B2 (ja) 速結端子
JPH0443981Y2 (ko)
US5169339A (en) Electrical connector
JPS6137188Y2 (ko)
JPH0722085A (ja) 端子台装置
KR870001051Y1 (ko) 전자제품용 회로단자와 리이드선의 연결구조
KR200275327Y1 (ko) 완전결착이 가능한 커넥터
JPH05135820A (ja) コネクタ
KR900003935A (ko) 전자접촉기
KR960007308Y1 (ko) Pcb용 터미널블럭
KR890003584Y1 (ko) Vtr에 있어서 상부 드럼의 헤드와 상부 로우터리 트랜스와의 접속장치
JPH04496Y2 (ko)
JP3357873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およびオーディオ機器または情報機器
JPH04289679A (ja) プリント配線板用電気コネクタ
KR920002170Y1 (ko) 프린트기판용 코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