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918Y1 -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918Y1
KR920001918Y1 KR2019900002463U KR900002463U KR920001918Y1 KR 920001918 Y1 KR920001918 Y1 KR 920001918Y1 KR 2019900002463 U KR2019900002463 U KR 2019900002463U KR 900002463 U KR900002463 U KR 900002463U KR 920001918 Y1 KR920001918 Y1 KR 920001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support
bracket
support body
connec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121U (ko
Inventor
강성태
권상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 주식회사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 주식회사, 김상수 filed Critical 대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2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918Y1/ko
Publication of KR910016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preventing or limiting side-play of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경운기의 개략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지지장치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지지장치를 펼친 상태의 측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 몸체와 브라켓트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에서 제 2 도의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종래 트레일러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운기본체 1a : 경운기본체 연결부
2 : 트레일러 3 : 연결프레임
3a : 연결프레임 연결부 4 : 지지장치
5 : 브라켓트 5a, 5b : 제 1,2 고정구멍
6 : 회동핀 7 : 회전축구멍
8 : 지지대몸체 8a, 8b : 제 1,2 끼움구멍
9 : 높이조절샤프트 10 : 보울트
11 : 탄력클램프 12 : 보강판
13 : 분할핀 14 : 와셔
15 : 고정핀 16 : 클립핀
17 : 높이조정나사부 18 : 조절부재
19 : 발판 31 : 연결브라켓트
32 : 버팀봉 33 : 발판
34, 34' : 지지판 35 : 걸림레버
36 : 스프링
본 고안은 동력경운기 트레일러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동력경운기 본체에다 트레일러를 분리하거나 부착할 때, 트레일러를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력 경운기용 트레일러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경운기 본체에다 연결해서 짐을 실어나르도록 된 트레일러는 연결프레임을 매개로 경운기본체에다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트레일러를 착탈시킬 때 그 무게중심이 앞쪽의 연결프레임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연결프레임 부위가 아래로 쳐지게 되어 착탈작업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실용신안공고 제89-6748호에 게재된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가 제안되어져 있는바, 이 장치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경운기 몸체와 트레일러가 연결시켜지는 연결프레임에 고정부착되는 연결브라켓트(31)의 한쪽부위에 버팀봉(32)이 회동할수 있도록 고정되면서 이 버팀봉(32)의 끝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중앙에 걸림구멍(도시안됨)이 형성된 발판(33)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브라켓트(31)의 버팀봉(32)이 설치된 반대쪽부위에는 걸림레버(35)가 양쪽의 지지판(34, 34')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으면서 스프링(36)으로 탄력설치된 구조로 되어, 동력경운기 본체와 트레일러를 착탈시킬 경우 상기 버팀봉(32)의 발판(33)이 지면에 닿도록 해서 트레일러를 지지하도록 하고, 주행할 때에는 상기 버팀봉(32)을 연결브라켓트(31)과 나란해지도록 접은 다음 걸림레버(35)를 발판(33)에 형성된 걸림구멍에다 끼워넣어 버팀봉(32)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트레일러 지지장치는, 버팀봉(32)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동력경운기 본체에 트레일러를 착탈시킬 때 동력경운기 본체와 트레일러의 각 연결프레임 부위의 높이가 달라져 트레일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동력경운기 본체와 트레일러의 연결프레임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연결프레임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의 높이를 쉽게 조절해서 고르지 못한 지면에서도 착탈시킬수 있도록 된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력경운기 몸체와 트레일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의 고정연결브라켓트에 지지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이 지지대의 지지대 몸체속에 높이조절샤프트가 나사결합시켜진 2중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지지대를 수직으로 펼치거나 접을수 잇게 되는 한편, 장소의 사정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샤프트를 조절해서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동력경운기 본체로부터 트레일러를 분리한다거나 연결시킬 경우, 지지대몸체를 회동시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펼친 다음 높이조절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해서 쉽게 동력경운기 본체와 연결프레임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가 있게되고, 또 경운기의 주행시에는 지지대몸체를 접어 연결프레임에 나란히 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동력경운기본체(1)와 트레일러(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에 본 고안 지지장치(4)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로써, 이 지지장치(4)는 상기 연결프레임(3)의 하부에 고정연결된 한쌍의 브라켓트(5)과, 이 브라켓트(5)에 회동핀(6)을 매개로 끼워져 회전축구멍(7)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지도록 된 지지대몸체(8), 이 지지대몸체(8)의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길이가 변화시켜질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샤프트(9) 및, 상기 지지대몸체(8)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되어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3)의 아랫면에 고정설치된 탄력클램프(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5)는 연결프레임(3)의 아랫면에 보강판(12)을 매개로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연 시켜지게 되는바, 이 브라켓트(5)에는 상기 회동핀(6)이 끼워지는 회전축구멍(7)과 상기 지지대몸체(8)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핀(15)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 1, 2 고정구멍(5a, 5b)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5)에 회동핀(6)을 매개로 축선회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대몸체(8)에는, 상기 브라켓트(5)의 회전축구멍(7)과 맞추어져 회동핀(6)이 관통삽입되는 제 1 끼움구멍(8a)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고정구멍(5a, 5b)과 맞추어져 고정핀(15)이 관통삽입되는 제 2 끼움구멍(8b)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샤프트(9)는 지지대몸체(8) 내부의 암나사와 나사체결시켜지도록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높이조정나사부(17)와, 한쪽 끝에 이 높이조정나사부(17)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나비너트형으로 된 조절부재(18) 및 지면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발판(19)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4)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연결프레임(3)에 고정연결된 브라켓트(5)에 지지대몸체(8)를 끼워 브라켓트(5)의 회전축구멍(7)과 지지대몸체(8)의 제 1 끼움구멍(8a)을 일치시킨 다음 이들 양구멍(7, 8a)속으로 회동핀(6)을 관통삽입하고서, 이 회동핀(6)의 양쪽에 브라켓트(5)의 바깥쪽으로부터 와셔(14)를 끼우고, 이어 상기 회동핀(6)의 끝부분에 형성된 구멍(도시안됨)에 분할핀(13)을 삽입해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대 몸체(8)가 회동핀(6)을 중심으로 브라켓트(5)에 대해 일정각도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몸체(8)에 발판(19)을 갖춘 높이조절샤프트(9)를 미리 나사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브라켓트(5)와 연결시키거나, 지지대몸체(8)만 먼저 브라켓트(5)에 연결시킨 다음 나중에 높이조절샤프트(9)를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지지장치(4)를 연결프레임(3)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동력경운기 본체(1)에 트레일러(2)를 착탈시키지 않은 때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몸체(8)를 접어 연결프레임(3)의 아랫면에 고정설치된 탄력클램프(11)에 끼워, 상기 브라켓트(5)의 제 2 고정구멍(5b)과 지지대몸체(8)의 제 2 끼움구멍(8b)을 맞춰 이들 구멍(5b,8b)속으로 고정핀(15)을 끼워 클립핀(16)으로 고정시켜 놓게 되면 지지대 몸체(8)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경운기 본체(1)와 트레일러(2)를 착탈시킬 때에는, 제 2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고정핀(15)을 뽑아 탄력클램프(11)로부터 지지대몸체(8)를 빼내 회동핀(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90°각도 만큼 회동시킨 다음, 상기 브라켓트(5)의 제 1 고정구멍(5a)과 지지대몸체(8)의 제 2 끼움구멍(8b)을 일치시켜 이들 구멍(5a, 8b)속으로 고정핀(15)을 끼워 클립핀(16)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4)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고정시켜지게 된다.
이때 트레일러(2)의 연결프레임(3) 앞쪽에 구비된 연결부(3a)의 높이가 동력경운기본체(1)의 연결부(1a)의 높이보다 높거나 또는 낮아 그들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 조절부재(18)를 돌려 지지대몸체(8) 내부에서 높이조절샤프트(9)를 회전이동시켜 지지대몸체(8)에 대한 높이조절샤프트(9)의 돌출길이를 조절해서 동력경운기 본체(1)와 연결프레임(3)이 수평이 되도록 하게 되면 경운기본체(1)에 트레일러(2)의 연결프레임(3)을 쉽게 착탈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트레일러(2)를 동력경운기 본체(1)에다 연결시킨 다음에는 지지장치(4)를 다시 접어주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 3 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브라켓트(5)의 제 1 고정구멍(5a)과 지지대몸체(8)의 제 2 끼움구멍(8b)에 끼워진 고정핀(15) 바깥쪽의 클립핀(16)을 제거하고 고정핀(15)을 빼낸 다음 자유상태로 된 지지대몸체(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평상시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몸체(8)를 트레일러(2)의 연결프레임(3)에 부착시켜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지지장치(4)에 의하면, 지지대몸체(8)를 트레일러(2)의 연결프레임(3)에 고정시켜진 브라켓트(5)에 대해 간단히 회동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높이조절샤프트(9)를 써서 지지장치(4)의 높이(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지면의 굴곡정도에 따라 경운기 본체(1)의 연결부(1a)와 연결프레임(3)의 연결부(3a) 높이를 쉽게 일치시켜 경운기본체(1)에 트레일러(2)를 간단히 착탈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동력경운기 본체(1)에 트레일러(2)를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3)에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트레일러(2)를 지지하도록 된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지지장치(4)가, 연결프레임(3)의 아랫쪽에 보강판(12)을 매개로 고정부착된 브라켓트(5)과, 이 브라켓트(5)에 상기 회동핀(6)을 매개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그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지지대몸체(8), 이 지지대몸체(8) 내부의 암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면서 그 한쪽선단에 조절부재(18)가 구비된 높이조절샤프트(9) 및, 상기 지지대몸체(8)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되어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3)의 아랫면에 고정설치된 탄력클램프(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KR2019900002463U 1990-03-03 1990-03-03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KR920001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463U KR920001918Y1 (ko) 1990-03-03 1990-03-03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463U KR920001918Y1 (ko) 1990-03-03 1990-03-03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121U KR910016121U (ko) 1991-10-26
KR920001918Y1 true KR920001918Y1 (ko) 1992-03-23

Family

ID=1929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463U KR920001918Y1 (ko) 1990-03-03 1990-03-03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9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121U (ko) 199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722B1 (ko) 작업기의 전도 보호구조(Roll Over Protection System)
KR920001918Y1 (ko) 동력경운기용 트레일러 지지장치
PL192026B1 (pl) Zespół podporowy wysięgników mocujących przewód ślizgowy trakcji elektrycznej
KR920001922Y1 (ko) 동력경운기용 지지장치
US5511498A (en) Eccentric cam locking assembly
CN210536558U (zh) 光伏发电板支架及具有其的光伏发电板装置
WO1990011420A1 (en) Clamping device
JPH0112786Y2 (ko)
KR200216001Y1 (ko) 트레일러용 견인블럭
JPH0636157Y2 (ja) オーニング装置
CN219951748U (zh) 一种道路施工用的警示牌
CN214315845U (zh) 电气设备的固定装置
KR890008592Y1 (ko) 경운기 쟁기의 체결위치 조정장치
US2425449A (en) Tractor hitch
KR200244205Y1 (ko) 정지판의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트랙터 착탈형 로터베이터
CN114710986B (zh) 一种对行装置及具有该对行装置的农用车
US4009890A (en) Device for connecting working implement to tractor
CN213332720U (zh) 高度可调的立式管道阀门支架
JPS635443Y2 (ko)
JPH039371Y2 (ko)
KR200199990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JPS6121929Y2 (ko)
JPH074Y2 (ja) 対地用延長板の取付装置
JPS5930650Y2 (ja) 農用トラクタの作業機取付装置
JPH0752476Y2 (ja) 防霜ファンの第1俯角及び第2俯角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