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08Y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08Y1
KR920001608Y1 KR2019880011188U KR880011188U KR920001608Y1 KR 920001608 Y1 KR920001608 Y1 KR 920001608Y1 KR 2019880011188 U KR2019880011188 U KR 2019880011188U KR 880011188 U KR880011188 U KR 880011188U KR 920001608 Y1 KR920001608 Y1 KR 920001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coupling
adjacen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651U (ko
Inventor
유끼히꼬 아오노
Original Assignee
유끼히꼬 아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340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239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1145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36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927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0663Y2/ja
Application filed by 유끼히꼬 아오노 filed Critical 유끼히꼬 아오노
Publication of KR890002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2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all parts hing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상자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상자의 전개 평면도로서, 상자가 접혀지지 않고 펼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내지 제 6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내지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조립상태의 절첩식 상자의 사시도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9 도 내지 제 12 도는 제 7 도의 Ⅸ-Ⅸ 내지 선 XII-X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부분전개 평면도로서, 상자가 접혀지지 않고 펼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4 도는 제 13 도의 XIV-X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5 도는 조립한 상태의 절첩식 상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4 도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 16 도는 조립한 상태의 절첩식 상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5 도에 대응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 17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제 16 도와 유사한 부분사시도이다.
제 18 도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사시도로서, 층층으로 쌓아올려진 다수개의 상자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9 도는 제 18 도의 저면도이다.
제 20 도는 상자의 네귀퉁이 부분 고정결합 수단에 대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첩식 상자 2 : 바닥판
2a : 단변 2b : 장변
2c : 요홈부 2d : 하면
3, 4 : 측판 3b, 4b : 결합 가장자리부
3a, 4a : 대향모서리 5 : 지지판
6, 6' : 가이드 홈 7 : 결합구멍
8 : 결합본체 9 : 세로방향 리브
10 : 가로방향 리브 110 : 결합돌기
112, 112' : 결합수단 301, 401 : 돌기부
302, 402 : 요홈부
본 고안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플라스틱 천 혹은 종이 등의 가요성 자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절첩식 상자의 구조는 플라스틱 자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부에 각각 역시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 자재로 이루어진 측판을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또한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시키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측판을 상호 분리시켜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접어올려 대향시킨 다음 이렇게 접어올려져 대향배치된 측판과 측판을 착탈가능한 별개의 결합기구로써 결합고정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절첩식 상자는 분리되어져 서로 인접하여 대향되는 각 측판의 대향 가장자리부에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결합기구를 부착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있었기 때문에, 상기 결합기구를 부착하기 위한 시간 및 노동력의 소비가 있게되는 동시에, 상자의 조립 시 및 분해조작이 번잡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절첩식 상자를 다수개 층층으로 쌓아올렸을 때, 예기치않은 외력으로 인해 쌓아올려진 상기 다수개의 상자가 그의 적층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용이하게 무너져 내리며 훼손됨이 방생하는 결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절첩식 상자에서 발생하는 결점들은 해소한 신규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측방으로부터 가해져 작용하게 되는 하중 또는 부하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된 굽힘부와 측판을 포함하는 신규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절첩식 상자를 용이하게 층층으로 쌓아올릴 수 있고, 동시에 쌓아올려진 다수의 절첩식 상자가 무너져내리며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형성된 신규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후술되는 바와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가요성 자재로서 형성되는 바닥판과 측판을 일체적으로 그리고 굽힘가능하도록 상호 결합 형성시킨다. 서로 인접하는 측판들을 그들이 대향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인접하는 측판중 한쪽의 측판의 대향되는 모서리 부분에 이것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지지판을 일체적으로 그리고 굽힘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인접하는 다른쪽의 측판의 대향되는 모서리 벽부분에 상기 지지판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가이드 홈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과 상기 인접하는 다른쪽의 측판의 대향되는 모서리 벽부분 중의 한쪽에는 결합구멍을 두께방향으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역시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결합본체를 일체적으로 형성시켜 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걸림본체는, 상기 지지판이 상기 가이드 홈 안으로 깊게 끼워넣어져 설치될 때에 상기 결합구멍 안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게 했으므로, 지지판을 가이드홈에 끼워맞춘 상태로 각측판을 바닥판에 대하여 직교방향(윗쪽)으로 굽히면, 상기 지지판이 가이드 홈에 가장 깊이 끼워져 들어갔을 때, 즉, 서로 인접하는 측판의 각 대향하는 모서리부가 서로 근접하게 되었을 때, 상기 결합본체가 상기 결합구멍안으로 끼워맞춰져 걸려지게 되고, 이로써, 서로 인접하는 측판끼리가 상호결합되며, 이들 측판들은 바닥판에 대하여 직교방향(윗쪽)으로 굽혀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결합본체를 두께방향으로 눌러 굽히게 되면 이 걸림본체가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이탈되고,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측판끼리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측판의 굴곡부에 윗쪽으로부터 작용하는 부하에 대하여, 그의 굴곡부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측판에는 그의 두께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방향 리브들이 형성된다. 이 세로방향 리브의 하단부를 상기 바닥판과 측판과의 연결부 보다도 아랫쪽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세로방향 리브의 하단면을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거의 동일 레벨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세로방향 리브의 상기 하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의 끝단 가장자리부에 상기 하단부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삽입 및 후퇴되며 끼워맞추어지는 요홈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자에 따라, 상기 측판을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직교 방향(윗쪽)으로 굽히면 세로방향 리브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상기 요홈부로부터 이탈하여 세로방향리브의 하단면이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판에 가해지는 위로부터의 하중은, 상기 세로방향 리브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판을 바닥판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세로방향 리브의 하단부는 바닥판과 측판과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해서 바닥판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다음에는 상기 바닥판의 요홈부에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측판이 바닥판과 똑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열려지게 된다.
본 고안의 상자는, 측판의 굽힘부에 옆쪽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상기 굽힘부를 강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지시판이 결합되는 하나의 측판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측판의 대향하는 모서리 쪽으로 돌출하는 후크형상의 결합수단이 설치된다. 이 결합수단을 인접하는 다른쪽의 측판에 그의 회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어맞춘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지지판을 가이드 홈에 끼워맞춘 상태로 각 판을 바닥판에 대하여 직교방향(윗쪽)으로 굽히면, 지지판이 가이드홈에 가장깊게 끼워설치될때, 즉 서로 인접하는 측판의 각 대향하는 모서리부가 서로 근접했을 때, 결합본체가 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된다. 동시에 하나의 측판에 설치한 결합수단이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측판에 그의 회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걸어 맞추어지게 된다.
이에따라, 서로 인접하는 측판은 바닥판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유지되며, 지지판의 측판과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수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유지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결합본체를 두께방향으로 눌러 굽히게 되면, 이 결합본체는 결합구멍으로부터 이탈되고, 그리고 결합수단은 다른쪽 측판으로부터 이탈하며,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측판들 끼리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나아가서, 층층으로 쌓여진 절첩식 상자의 훼손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자의 네귀퉁이 윗쪽부분에 돌기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상자의 아랫쪽 네귀퉁이 부분에는 요홈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자를 층층으로 쌓아 올렸을때에 상기 돌기부분과 요홈부가 서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전개상태의 평면도를, 제 2 도 ∼ 제 6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내지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제 7 도는 조립한 상태의 상자에 대한 사시도를, 제 8 도는 제 7 도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절첩식상자(1)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탄성을 갖는 경질 플라스틱자재로써 성형되고, 장방형상의 바닥판(2)과, 그의 각 가장자리부 즉, 단변(2a)과 장변(2b)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각각 장방형상의 측판(3)(3), (4)(4)을 포함한다. 단변(2a)쪽의 측판, (3), (3) 및 장변(2b)쪽의 측판(4), (4)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따라서, 그의 좌측의 것과 상부의 것을 대표로 해서 설명한다.
각 측판(3, 4)의 바닥판(2)과의 결합 가장자리부(3b), (4b)는, 제 3 도, 제 6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도록 하여 곡강성(bending rigidity)을 저하시키고, 이에 의해 각 측판(3), (4)이 바닥판(2)에 대해 직교(상방)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스럽게 굽혀질 수 있게 된다.
각 측판(3), (4)은 각 대향 모서리(3a), (4a)부분으로 서로 분할되고, 단변(2a)쪽의 측판(3)의 대향모서리(3a)에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부채형상의 지지판(5)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 지지판(5)은 측판(3)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고 측판(3)의 성형시에 동시 성형되며,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판(3)의 대향모서리(3a)와 지지판(5)의 기부 끝단 가장자리(5a)와의 결합부는 그의 두께가 얇게되도록 하여 곡강성을 저하시키고, 이에 의하여 측판(3)에 대하여 직교(안쪽) 방향 및 측판(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굽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5)은 그의 외주연(5c)을 바닥판(2)의 각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측판(3), (4)의 높이 방향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치수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로 되게하고, 그의 개방각도를 거의 90°로 한다. 그리고, 그의 개방끝단 가장자리(5b)는, 펼쳤을 때 장변(2b)쪽의 측판(4)의 대향 모서리(4a)에 접근되게하고, 또한, 개방 끝단가장자리(5b)의 외주부에는, 끼워맞춤 걸림부(5d)를 바깥쪽으로 향하게 돌출형성하고, 이것을 후술하는 바와같이, 측판(4)에 형성한 가이드홈(6)(제 3 도)에 항상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장변(2b)쪽의 측판(4)의 대향 모서리(4a)부분에는 지지판(5)의 외주부가 미끄럼운동 가능하도록 되어 끼워맞추어지는 가이드홈(6)을 형성한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판(4)에 그의 대향 모서리(4a)부분의 외주부로부터 결합 가장자리부(4b)에 향하여 후크형상으로 뻗어나간 보강용의 두께부(4c) (제 3 도)를 형성하고, 이 보강용 두께부(4c)에 상기 지점(P)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홈(6)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6)의 반경 및 그의 폭은, 상기 지지판(5)의 반경 및 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한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판(5)의 끼워맞춤 걸림부(5d)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도 가이드홈(6)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정도로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지지판(5)의 중심부에 원형의 결합구멍(7)을 관통형성하고, 측판(4)에는 그의 가이드홈(6)의 안쪽부에 반원형상의 결합본체(8)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본체(8)는, 제 5 도에서와 같이, 측판(4)의 대향 모서리(4a)부분쪽, 즉, 기부(8a)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측판(4)에 일체적으로 또한 굽힘가능하게 결합하고, 반면에, 개방끝단(8b)은 원호형상의 슬리트를 통하여 측판(4)으로부터 분리되어 진다. 또한 기부(8a)로부터 개방끝단(8b)으로 향하여 점차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하고, 개방끝단(8b)의 두께방향 바깥 끝단을 측판(4)의 외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구멍(7)과 결합본체(8)와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측판(4)의 대향 모서리(4a) 부분에 대하여 선대칭을 이루고, 또한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45°의 각도로써 등거리 간격을 가지며 형성하고, 또한, 결합본체(8)의 개방끝단(8b)의 반경은, 결합구멍(7)의 반경보다도 약간 작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 깊이 끼워져 들어갔을 때에, 제 8 도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구멍(7)이 결합본체(8)의 위로 합치되면서 결합본체(8)가 끼워맞춰지게 된다.
상기 각 측판(3), (4)에는 국부적으로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한 보강용의 세로방향 리브(9) 및 가로방향 리브(10)를 일체로 형성한다.
가로방향 리브(10)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각 측판(3), (4)의 외측 가장 자리부(3c), (4d)를 따라서 뻗어나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세로방향 리브(9)는 측판(3), (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그의 외측 가장자리부(3c), (4d)로부터 결합가장자리부(3b) (4b)로 향하여 뻗어나가도록 형성되며, 그의 하단부(9a)는, 제 1 도, 제 4 도 및 제 6 도에서와 같이 각 측판(3), (4)의 결합 가장자리부(3b), (4b)로부터 바닥판(2)쪽을 향하여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단부(9a)에 면접하는 바닥판(2)의 가장자리부 하면에는, 이 하단부(9a)가 끼워맞추어져 이동하게되는 요홈부(2c)가 형성된다.
상기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부(9a)의 하단면(19b)은, 각 측판(3), (4)을 세워 올릴때에, 제 4 도 및 제 6 도에서 가장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바닥판(2)의 하면 (2d)과 같은 레벨로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손잡이 구멍(11)이 형성된다.
제 9 도 및 제 11 도에서와 같이, 측판(3)을 바닥판(2)에 대하여 윗쪽으로 굽혔을 때에, 측판(3)의 결합 가장자리부(3b), (4d)가 바닥판(2)의 하면(장변)(2b), 즉, 지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예컨데 다수의 상자를 쌓아올리는 등으로 하여 측판(3)에 위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지면, 두께가 얇은 결합 가장자리부(3b), (4b)에 부하가 발생하고, 따라서, 이 부분이 손상될 수 있게되는 결점이 생긴다.
이러한 결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 4 도, 제 6 도, 제 10 도, 제 12 도에서와 같이,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부(9a)에 면접하는 바닥판(2)의 가장자리부 하면에 요홈부(2c)를 형성시킨다. 이 요홈부(2c)는 제 4 도, 제 6 도에서와 같이, 각 측판(3), (4)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부(9a)가 끼워 맞춰지도록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우기 상기 요홈부(2c)는, 바닥판(2)의 가장자리를 상, 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하여, 각 측판(3), (4)이 바닥판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일으켜 세워지면, 제 10 도 및 제 12 도에서와 같이,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면(9b)이 바닥판(2)의 장변(하변)(2b)으로 부터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의 상태로부터 각 측판(3), (4)을 각 결합가장자리부(3b), (4b)를 중심으로 해서 윗쪽으로 굽혀지게한다. 이 굽힘각도가 커지게 됨에 따라, 지지판(5)이 가드홈(6) 내에 깊이 끼워져 들어가게 되고, 각 측판(3), (4)이 바닥판(2)에 대하여 직교방향(윗쪽)으로 세워지는 시점에서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깊은 위치로 끼워져 들어가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측판(3), (4)의 각 대향모서리(3a), (4a)부분이 서로 근접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5)이 가이드홈(6)내에 끼워져 들어감에 따라서 그의 개방끝단 가장자리(5b)가 결합본체(8)를 안쪽 방향으로 눌러 굽혀지도록 하는 동시에, 결합구멍(7)이 결합본체(8)에 접근하게 된다.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 깊은 위치까지 끼워넣어지면, 결합구멍(7)이 결합본체(8)의 윗쪽에서 합치되고, 제 8 도에서와 같이 결합본체(8)가 탄성복귀하여 결합구멍(7)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에따라, 제 7 도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측판(3), (4)이 바닥판(2)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지지되고, 이로써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A)가 형성된다. 상자(A)내에는 부품등이 수용될 수 있게된다.
이 경우, 결합구멍(7)과 결합본체(8)는 양자의 끝단면에 작용하는 압력, 즉 결합본체(8)의 굽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지지판(5)이 측판(3)의 대향모서리(3a) 부분의 거의 길이(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지기 때문에, 이로써 서로 인접하는 측판(3)과 측판(4)의 결합강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하여, 상자내에 담겨진 수용물등에 의한 바깥쪽으로의 부하에 의해 각 측판(3), (4)이 쓸데없이 확장되어 열려져 절첩상태가 풀어지게 되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조립시에는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부(9a)가 바닥판(2)의 하면(2d)과 동일 레벨로 되기 때문에 상, 하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는 주로 상기 세로방향 리브(9)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상자(A)를 평편한 상태로 확장(전개)할 때에는, 결합본체(8)를 바깥쪽으로부터 눌러 이것이 제 8 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안쪽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굽혀지도록 한다. 결합본체(9)가 그 다음에, 지지판(5)의 결합구멍(7)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써 지지판(5)은 가이드홈(6)을 따라 미끄럼운동을 통해 이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각 측판(3), (4)을 바닥판(2)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도에서와 같이, 상자 전체가 평판형상으로 되며, 이로써, 수송 혹은 보관시의 공간이 축소되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측판(3), (4)과 바닥판을 동일한 재질의 자재를 사용하며 별개의 주형을 통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한쪽측판의 결합부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반면에, 다른쪽의 측판의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부와 회전결합 방식으로 걸어 맞추어지는 결합축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축에 밀어넣어져서 걸어맞춰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구멍(7)과 결합되는 결합본체(8)의 접촉부면에 금속판, 또는 세라믹과 같은 것의 맞대는 판을 고착시켜 상기 접촉부면의 내마모성을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구멍(7)을 측판(4)에 형성시키고, 결합본체(8)를 지지판(5)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결합본체(8)는 그의 기부(8a)를 지지판(5)의 개방끝단 가장자리(5b)쪽에 위치시키고 그의 개방 끝단(8b)을 지지판(5)쪽에 배치시키도록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립시에, 서로 인접하는 각 측판(3), (4)의 대향모서리(3a), (4a)부분의 결합이, 두께가 얇도록 형성시킨 지지판(5)의 결합부가 되는 대향모서리(3a) 부분에 의하여, 성취되는바, 따라서 중량물을 상자내에 수용했을 때에는 바깥쪽으로의 하중에 따른 부하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가 되는 대향 모서리(3a)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후술되는 바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 1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절첩식 상자의 전개 상태의 일부평면도이고, 제 14 도는 제 13 도의 XIV-XI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 15 도는 상자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 16 도는 조립된 상태의 상자에 대한 사시도이며, 제 1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13 도 내지 제 16 도에 있어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부분은 제 1 도에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냈으며, 따라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판(5)의 결합부가 되는 대향 모서리(3a)부분의 외측부에 원호상의 슬리트에 의하여, 상기 대향모서리(3a) 부분쪽이 개방되어지는, 반원판 형상의 결합돌기(110)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110)는, 그의 기부(110a)쪽 두께가 얇도록 형성하여, 두께 방향으로 굽힘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지지판(5)에 결합 설치되고, 기부(110a)로부터 개방끝단(110b)쪽으로 향하여 점차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하고 개방끝단(110b)의 두께방향의 최외 바깥쪽 끝단을 제 14 도에서와 같이 지지판(5)의 외면으로부터 두께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다.
또한, 다른쪽의 측판(4)의 가이드홈(6)을 형성하는 가이드홈의 두께부(4c)에는, 제 15 도에서와 같이,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 깊이 끼워져 들어갔을 때에, 결합돌기(110)가 수용되어 끼워지는 원형의 결합구멍(7)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한쪽의 측판(3)에는, 지지판(5)이 결합되는 대향모서리(3a)부분의 바깥쪽 끝단부에 결합수단(112)을 위치시켜 일체로 돌출형성한다.
상기 돌출결합수단(112)은, 그의 선단부(112a)를 후크모양으로 굴곡시켜서, 제 16 도에서와 같이,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깊이 끼워져 들어갔을때에 다른쪽의 측판(4)의 대향 모서리부분이 선단부(112a)에 끼워지도록 한다.
제 13 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진 바와같이, 지지판(5)의 대향모서리(3a) 부분에 결합수단(112)과 똑같은 결합수단(112')을 1개 혹은 다수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7 도에서와 같이 가이드홈(6")을 지지판(5)의 윗쪽까지 연장시켜서, 이 가이드홈(6')의 상부내에 결합수단(112)의 선단부(112a)를 수용시켜 맞추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3 도에서, 각 측판(3), (4)을 각 결합 가장자리부(3b), (4b) 윗쪽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굽힘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지지판(5)이 가이드홈(6)안으로 깊이 끼워져 들어가고, 각 측판(3), (4)이 바닥판(2)에 대하여 직교방향(윗쪽)으로 일으켜 세워진 시점에서,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깊이 끼워져 들어가고, 이에따라, 서로 인접하는 측판(3), (4)의 각 대향모서리 부분이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지판(5)이 가이드홈(6)내에 끼워져 들어감에 따라, 결합돌기(110)가 가이드홈의 두께부(4c)에 의하여 안쪽으로 압압되어(forced) 굽혀져 변형되고, 지지판(5)이 가이드홈(6)에 가장깊이 끼워져 들어가서 결합돌기(110)가 결합구멍(7)에 합치하게 되면, 결합돌기(110)는 탄성적으로 복귀해서 결합구멍(7)안으로 끼워맞춰지게 된다.
동시에, 결합수단(112)에 의해 한쪽의 측판(3)이 그의 회동방향과 직교하는 바깥쪽 방향으로부터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측판(3), (4)이 지지판(5)이 결합되는 대향 모서리(3a) 부분 및 결합수단(112)에 의하여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써, 제 16 도에서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조립된 상자(A)가 형성된다. 조립상자(A)내에는 부품등을 담아 수용할 수가 있게된다.
이 경우, 지지판(5)은 주로 한쪽의 측판(4)이 개방되어 열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결합수단(112)은 주로 다른쪽의 측판(3)의 열려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되어, 서로 인접하는 측판(3), (4)의 결합 강도가 높아진다.
다음에, 상기 조립된 상태의 상자(A)를 평편한 상태로 확장(전개)하려고 할 때에는, 결합돌기(110)를 바깥쪽 방향으로부터 안쪽으로 압압하여 결합구멍(7)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이 상태에서, 각 측판(3), (4)을 바닥판(2)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면, 제 13 도에서와 같이, 상자 전체가 풀어져 평판형상으로 되고, 따라서, 수송 혹은 보관시의 공간이 축소하게 되어 편리하게 된다.
본 고안은, 각 측판(3), (4)과 바닥판(2)을 같은 재질의 자재로써 별개의 주형을 통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한쪽의 결합부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다른쪽 결합부에 이 후크부가 회동결합 방식으로 걸어맞추어지게 되는 결합축을 형성하여,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축에 밀어넣어져서 걸어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절첩식상자(A)를 층층으로 몇단씩 쌓아올렸을 때에, 적층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무너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대하여, 제 18 도 및 제 19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자(A)의 측판(3), (4)의 네귀퉁이의 윗쪽 가장자리(3g), (4g)에 돌기부(301), (401)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네귀퉁이의 아래쪽 가장자리(3h), (4h)에 요홈부(302), (402)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하여, 윗쪽의 상자(A)의 요홈부(302), (402)를 아랫쪽의 상자(A)의 돌기부분(301), (401)에 각각 끼워 맞춘다.
이와같이 하면, 상, 하의 상자의 네귀퉁이는 완전히 꼭끼어 맞춰지고, 옆쪽방향으로 부터의 외부힘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상자들이 망가지게 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요홈부(402)의 외측벽은 제거되어져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다단식으로 쌓아올린 상태의 상자들 중에서 필요한 하나의 상자만을 개방시키려고 할 때에는, 해당 상자의 결합돌기(110)를 누르면서, 해당 상자로부터 위쪽의 다단식으로 쌓아올린 상자를 들어내어 빼냄으로서, 해당 상자의 측벽이 개방된다. 따라서, 해당상자가 개방되고, 이와같이 해서 해당 상자에 내용물을 자유로이 출입시킬 수가 있게된다.
상자의 네귀퉁이에서 측판(3), (4)의 선단부분(305) 또는 선단부분(405)를 완전히 끼워맞춰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20 도에서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측판(3), (4)의 결합부분을 이루는 대향모서리 부분에 결합돌기(304) 또는 결합돌기(404)를 설치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분(305)(405)위로, 상자 조립시에, 결합돌기(304)(404)를 얹히게 해서, 선단부분(305)(405)이 정지되어져 정규 결합부에 위치하도록 되며, 그 다음에는 결합돌기(304)(404)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눌러져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요성 자재의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타부품의 사용을 절감하게 했으므로, 생산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조립, 분해조작이 신속하게 행하여지고, 또한 조립시의 강성이 높아지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측판에 형성한 세로방향 리브의 하단부를 측판과 바닥판과의 결합부 보다도 아랫쪽으로 돌출시켜서, 세로방향 리브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바닥판의 끝단 가장자리부에, 상기 하단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끼워져 합치되는 요홈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 하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게 되는 동시에, 분해시에는 각 측판을 바닥판과 똑같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해서 수송 혹은 보관시의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가요성 재질의 자재로써 형성되는 장방형 바닥판(2)과; 역시 가요성 재질의 자재로써 형성되고, 각각 상기 바닥판(2)에 일체로 및 굽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4개의 장방형 측판(3) (3) (4) (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측판(3) (3) (4) (4)중 각각 인접하게 되는 두 개의 측판(3) (4)에는 이들 인접하는 상기 두 개의 측판(3)(4)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두 개의 측판을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 각각 인접하는 상기 측판(3) (4)중의 하나의 대향 모서리(3a) (4a)부분에 일체로 및 굽힘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는 4개의 지지판(5)과 ; 상기 지지판(5)중의 하나가 미끄럼 결합되는 방식으로 끼워 넣어지게 되고, 각각 상기 지지판(5)중의 하나와 대향하게 되는 인접한 상기 측판(3) (4)의 대향 모서리(3a) (4a) 부분에 배치되어 지며, 상기 측판(3) (4)의 대향 모서리(3a) (4a)부분의 벽부분내에서 상기 벽부분의 내측표면과 외측표면 사이에 형성되어지는 4개의 대응 가이드홈(6)과 ; 각각의 지지판(5) 및 상기 지지판(5)이 끼워 넣어지는 대응 가이드홈(6)과 결합되어지고, 상기 지지판(5)이나 측판(3) (4)의 대향 모서리(3a) (4a)부분에 대응 가이드홈(6)을 갖는 상기 측판(3) (4)의 상기 벽부분 중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지며, 각각 상기 표면쪽으로 굽힘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본체(8)와; 상기 지지판(5)이 그의 대응하는 가이드홈(6) 안으로 완전히 끼어 넣어지게 될 때 각각의 상기 결합본체(8)가 결합되어지고, 각각의 상기 지지판(5)이나 상기 대응 가이드홈(6)이 형성되는 상기 측판(3) (4)의 상기 벽부분의 다른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어지는 결합구명(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양쪽 측판(3) (3)에는 그의 대향 모서리(3a)부분에 각각 지지판(5)이 형성되어지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양쪽 측판(4) (4)에는 그의 대향모서리(4a)부분에 인접하여 각각 가이드홈(6)이 형성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의 각각에 상기 결합구멍(7)이 형성되어져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홈(6)이 형성되는 상기 측판(4)의 상기 벽부분의 각각에 상기 결합구멍(7)이 형성되어져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의 각각의 외주연(5c)은 원호형태를 이루고, 상기 가이드홈(6)도 상기 지지판(5)의 상기 외주연(5c)이 미끄럼 결합 방식으로 끼워넣어지도록 상응하는 원호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 (4)의 각각에는, 상기 측판(3) (4)의 외측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방향 리브(9)가 형성되어 제공되고, 상기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부(9a)는 상기 바닥판(2)과 상기 측판(3) (4)과의 사이의 결합 가장자리부(3b)(4b)이 아랫쪽으로 더 연장되어져 절첩식 상자가 조립되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세로방향 리브(9)의 하단면이 상기 바닥판(2)의 하면(2d)과 동일한 레벨로 배치되며, 상기 바닥판(2)의 가장자리부 하면에는 절첩식 상자가 조립되어지지 않고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세로방향 리브(9)의 상기 하단부(9a)가 끼워져 결합되어지는 요홈부(2c)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 중의 하나가 결합되는 상기 측판(3)의 대향모서리(3a)부분에는 인접하는 측판(4)의 대향 모서리(4a)부분이 인접하는 상기 측판(3)의 굽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어 맞추어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후크모양의 돌출결합수단(112)이 형성되어 제공되고, 상기 후크모양의 돌출 결합수단(112)은 상기 인접한 측판(4)의 대향모서리(4a)부분쪽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측판(3) (4)의 네 귀퉁이의 윗쪽 가장자리(3g) (4g)에 형성되는 돌기부(301) (401)와, 그리고 상자와 상자가 적층되어질 때 윗쪽에 놓여지는 상자의 상기 돌기부(301) (401)가 끼워지게 되도록 상기 측판(3) (4)의 네귀퉁이의 아랫쪽 가장자리(3h) (4h)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요홈부(302) (402)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측판(3) (4)의 선단부분(305) (405)이 완전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3) (4)의 대향모서리 부분상에 결합돌기(304) (404)를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10. 하나의 바닥판과 4개의 측판을 구비하여 절첩식 상자를 형성하게 되는 브랭크(brank)로서, (A) 두 개의 선단부와 두 개의 측단부를 갖는 평편한 장방향 바닥 패널과 ; (B) 접힘선을 따라 각각 상기 바닥패널의 한쪽 측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대향모서리 부분을 가지며 형성되는 한쌍의 장방향 측단 패널과 ; (C) 접힘선을 따라 각각 상기 바닥 패널의 한쪽 선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대향 모서리 부분을 가지며 형성되는 한쌍의 장방형 선단 패널과 ; (D) 접힘선을 따라 상기 선단패널과 각각의 대향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접힘선을 따라 하나의 선형 가장자리부를 갖으며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다른 하나의 선형 가장자리부는 상기 측단 패널중의 하나의 대향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게 되고, 외연부가 원호형상을 이루게된 지지판과 ; (E) 인접하는 지지판이 미끄럼 결합방식으로 끼워져 수용되도록 내측 표면과 외측표면 사이의 벽부분에 원호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기 각 측단 패널의 각 모서리부분과 ; (F)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기 측단패널의 상기 벽부분과 상기 지지판 중의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형성되어 돌출하고, 상기 표면쪽을 향하여 굽힘 가능하도록 된 결합본체와 ; (G) 상기 지지판이 상기 가이드홈 안으로 완전하게 끼워 넣어졌을 때 상기 결합본체가 수용되어져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갖는 상기 측단패널의 상기 벽부분과 상기 지지판 중의 다른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랭크.
KR2019880011188U 1987-07-10 1988-07-09 절첩식 상자 KR9200016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40187A JPS6423941A (en) 1987-07-10 1987-07-10 Foldable box
JP87-173401 1987-07-10
JP87-111451 1987-07-21
JP1987111451U JPH0333634Y2 (ko) 1987-07-21 1987-07-21
JP3292788U JPH0520663Y2 (ko) 1988-03-11 1988-03-11
JP88-32927 1988-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651U KR890002651U (ko) 1989-04-06
KR920001608Y1 true KR920001608Y1 (ko) 1992-03-06

Family

ID=2728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188U KR920001608Y1 (ko) 1987-07-10 1988-07-09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78020A (ko)
KR (1) KR920001608Y1 (ko)
GB (1) GB22082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1112D0 (en) * 1992-05-26 1992-07-08 Stromberg Enterprises As Collapsible container
US5501354A (en) * 1992-05-26 1996-03-26 Stromberg; Per S. Collapsible container
US5282542A (en) * 1992-11-30 1994-02-01 Mo Yau Kee Load carrier
US5326018A (en) * 1993-07-30 1994-07-05 The Mead Corporation Container corner structure and container blank together with a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corner structure
US6142365A (en) * 1999-01-07 2000-11-07 Breitbach; William Foldable plastic box
US6328178B1 (en) * 2000-12-15 2001-12-11 L & F Plastics Co. Ltd. Collapsible container
MX2007000691A (es) * 2004-07-19 2007-05-08 Michael James Warwick Contenedor.
US20110120994A1 (en) * 2009-11-21 2011-05-26 Yiing Jii Enterprise Co., Ltd. Box assembly
FR3027289B1 (fr) * 2014-10-15 2016-12-09 Jean-Luc Loisel Flan destine a etre plie pour former une boite, et boite obtenue par le pliage d’un tel flan
KR20210100653A (ko) * 2018-11-26 2021-08-17 감마-우프라 에스에이 접이식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1468A (en) * 1921-02-24 1923-04-10 Goldee Mfg Co Inc Lunch box
IL23980A (en) * 1964-12-23 1969-11-12 Alba Imballaggi Spa Plastic boxes
DE1586624C3 (de) * 1967-04-19 1978-03-09 Wolfgang E. 4442 Bentheim Friedrich Zusammenklappbarer Transportkasten
US3446415A (en) * 1967-04-05 1969-05-27 United States Steel Corp Blanks for ready erection into box-like containers
US3521811A (en) * 1969-05-02 1970-07-28 Container Corp Stand-up box with locking structure
GB1279560A (en) * 1970-05-11 1972-06-28 Thermo Plastic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US3675808A (en) * 1970-06-26 1972-07-11 Delbert L Brink Knockdown foamed plastic shipping container
US3973692A (en) * 1973-08-23 1976-08-10 Nosco Plastics, Inc. Injection molded folding box
US3874546A (en) * 1973-10-11 1975-04-01 Pinckney Molded Plastic Inc Convertible container-pallet
US3900157A (en) * 1974-03-19 1975-08-19 Herman P Roth Tub file
US4170313A (en) * 1977-12-29 1979-10-09 Caves Robert B Box and blank for forming the box
US4304353A (en) * 1980-06-16 1981-12-08 Crown Zellerbach Corporation Container with latching structure
US4591065A (en) * 1984-09-25 1986-05-27 Foy Dennis M Foldable container assembly
CA1225941A (en) * 1985-01-22 1987-08-25 Larry R. Hughes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US4674647A (en) * 1985-06-21 1987-06-23 Xytec Plastics, Inc. Collapsible storage 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08225A (en) 1989-03-15
GB8816110D0 (en) 1988-08-10
GB2208225B (en) 1991-06-19
KR890002651U (ko) 1989-04-06
US4978020A (en) 199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2727C (en) Paper pallet
US7063223B2 (en) Folding container
US4717070A (en) Storage box with locking cover
KR920001608Y1 (ko) 절첩식 상자
US4974737A (en) Extension ring
JP4841585B2 (ja) 簡易組立式収納箱
US20230053376A1 (en) Clip for florming passive locks between container sleeves and bases
US4595137A (en) Reinforcing element for collapsible container
JP4156868B2 (ja) 上蓋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JP457624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3049530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箱
JP7561428B2 (ja) 折畳み容器
JPH0326121Y2 (ko)
JPH06321233A (ja) 折りたたみ可能な箱
JP3022616B2 (ja) 折畳み可能な通い箱
JP4139627B2 (ja) パレットボックス
JP2568452Y2 (ja) 積み重ね用段ボール箱
JPH0520664Y2 (ko)
JP455852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3213726B2 (ja)
JPH0624440A (ja) 折畳み可能な通い箱
JP391960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H0520663Y2 (ko)
JP4915977B2 (ja) 合成樹脂製容器用補助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