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436B1 -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436B1
KR920001436B1 KR1019890002765A KR890002765A KR920001436B1 KR 920001436 B1 KR920001436 B1 KR 920001436B1 KR 1019890002765 A KR1019890002765 A KR 1019890002765A KR 890002765 A KR890002765 A KR 890002765A KR 920001436 B1 KR920001436 B1 KR 92000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udible
control means
lamp
pan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046A (ko
Inventor
이종현
이윤주
김영부
이미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9000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436B1/ko
Publication of KR90001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제1도는 경보 구동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운용 및 보수 센터로의 경보 정보 전송에 관한 구조도.
제3도는 경보 판넬 제어장치의 내부 블럭도.
제4도는 경보음 발생부의 내부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절차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지보수 프로세서(Maintenance Processor)
20 : 원격정보 판넬장치(Remote Alarm Panel Unit)
30,40 : 경보판넬 제어장치(Alarm Panel Control Unit)
본 발명의 경보 구동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 사용되는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경보를 긴급경보, 주요경보, 일반경보로 구분하여 각 등급에 따른 경보 램프 및 경보음의 구동으로 시스템의 경보 상태를 운용자에게 알려주고 운용 및 보스센터(Operation & Maintenance Center, 이하 ′O & M센터′라함)로도 전송하기 위한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생한 경보를 검출하여 등급에 따라 경보 정보를 발생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각 등급의 경보정보를 수신 분석하여 이를 가시, 가청 형태로 변환시키는 제1경보 판넬 제어수단,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과 제1경보 판넬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보판넬 제어수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가시, 가청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된 경보 정보를 수신하여 실제 경보를 구동하는 원격 판넬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으로 부터 경보 정보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송신하고 모드 데이터를 판독하게 한후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후, 수동 경보 입력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가 ′ON′ 상태이면 경보 시험을 수행하고 ′OFF′상태이면 램프 구동 비트를 읽어 들여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램프 구동 비트가 동작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단계의 시작점으로 리턴하고 동작상태이면 램프 구동비트를 소거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저장된 경보 정보를 판독한후 긴급, 주요, 일반경보로 분류된 정보의 종류 따라 긴급, 주요,일반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수행후 가청 경보 비트를 읽어 들여 동작여부를 판단하고 가청 경보 비트의 상태에 따라 긴급, 주요, 일반경보를 분류된 가청 경보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5단계에 의해 수행되도록 경보구동 방법을 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인 경보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10)은 유지보수 프로세서(Maintenance Processor, 이하 ′MP′라함)를, (20)은 원격 경보 판넬 장치(Remote Alarm Panel Unit, 이하, ′RAPU′라함)를, (30)과 (40)은 경보 판넬 제어장치(Alarm Panel Control Unit, 이하 ′APCU′라함)를 각각 나타낸다.
MP(10)는 등급에 따른 경보 정보를 APCU(30,40)에 전송하며, APCU(30,40)는 이중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상호 이중화 제어(Duplication Control)를 행하면서 MP(10)로 부터 수신한 경보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가시, 가청회 형태로 변환한 후 자체 앞판넬(Pront Panel) 및 RAPU(20)를 구동하고 O & K 센터로 해당 시스템의 경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APU(20)는 상기 APCU(30,40)로부터 가시, 가청 형태의 경보 정보를 받아 실제 경보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PCU(30,40)는 TD-버스(Telephony Device Bus)를 통하여 MP(10)로 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며, 그 정보에는 각 등급의 경보 램프를 구동할 수 있는 경보 ON/OFF 상태와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각 등급의 경보음 ON/OFF 상태가 포함되어 있어 APCU(30,40)이 이 경보 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램프를 구동하고 최 상위 경보의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경보 램프는 0.5초 ′ON′ 0.5초 ′OFF′의 주기로 동작하며, 경보음은 긴급 정보의 경우 연속음이, 주요 경보의 경우는 3초 ′ON′ 1초 ′OFF′ 일반 경보는 1초 ′ON′ 1초 ′OFF′의 주기로 발생된다. 또한 O & M 센터를 위한 RS-232C 포트(Port)를 가지고, 해당 시스템에서 발생한 경보 정보를 O & M 센터로 전송하며, APCU(30,40)는 이중화 운용을 위한 제어신호를 가진다.
RAPU(20)는 단순히 램프, 스피커, 부저(buzzer) 및 제어 스위치로만 구성된 기구물이다. 여기서 램프, 스피커는 APCU(30,40)로 부터 받은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부저는 110V 용인데 APCU(30,40)의 전원이 다운(down)되었을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며, MP(10) 및 APCU(30,40) 기능의 다운 상태를 알려주는 별도의 램프가 있다. 그리고 제어 스위치는 경보 리셋 스위치와 가청 경보 스위치가 있는데, 경보 리셋 스위치는 현재 구동중인 가청 경보음을 일시 소멸시키고 경보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면 다시 가청 경보음을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이고 가청 경보 스위치는 경보 상태의 변화에 관계없이 가청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차단하게 하는 스위치이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각 정보 구동장치에서의 O & M 센터로의 경보의 전송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50)은 센터로 부터 집중 보전을 받는 각 경보 구동장치의 이중화된 APCU군을, (50a)는 각 경보구동장치의 이중화된 APCU(제1도의 30,40)를 (60)은 O & M 센터내의 각 경보구동장치의 수만큼 설치된 APCU를, (60a)는 슬레이브 APCU군을, (60b)는 마스터 APCU를, (70)은 RAPU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경보 구동장치는 O & M 센터로 부터 집중 보전을 받는 구조로 연결된다. 즉, O & M 센터내에는 각 경보 구동장치의 이중화된 APCU(50a; 제1도의 30,40)의 수만큼, 단일구조의 APCU(제1도의 30 또는 40)를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구성하고, 마스터 APCU(60b)에는 각 경보구동 장치내의 RAPU(20)와 동일한 RAPU(70)를 연결시키며, 상기 마스터 APCU(6b)와 슬레이브 APCU군(60a)은 오픈 콜렉터(open collector) 방식으로 경보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한 O & M 센터내의 이들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은 APCU(60)는 각 경보 구동장치의 APCU군(50)과 각각 RS-232C 통신방식으로 경보 정보를 수신하여 O & M 센터내의 RAPU(70)를 구동한다.
제3도는 APCU(제1도의 30 또는 4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31)은 메모리부, (32)는 TD-버스 인터페이스부, (33)은 스위치 스캔 회로부, (34)는 제어부, (35)는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36)는 클럭발생부, (37)는 우선인터럽트 제어부, (38)은 어드레스 디코딩부, (39)는 주변 인터페이스부, (41)은 램프 구동부, (42)는 가청 경보 발생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CU(제1도의 30 또는 40)는 RS-422 송신 및 수신용 드라이버와 직렬/병령 및 병렬/직렬 변환을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MP(제1도의 10)와 경보 정보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하는 TD-버스 인터페이스부(32)와, 상기 TD-버스 인터페이스(3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8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그 주변회로로 구성된 제어부(34)와, 상기 제어부(34)에 연결되어 제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32K 롬(ROM) 및 데어터를 리드(RD) 혹은 라이트(WR)할수 있는 8K램(RAM)으로 구성된 메모리부(31)와, 상기 제어부(34)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4)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각 기능부를 필요에 따라 인에이블시켜 주는 어드레스 디코딩부(38)와, 상기 TD-버스 인터페이스부(32)와 상기 어드레스 디코딩부(38)에 연결되고 앞 판넬과 RAPU(제1도의 20)에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 상태를 감시하는 버퍼로 구성된 스위치 스캔회로부(33)와, 상기 제어부(34)와 상기 어드레스 디코딩부(38)에 연결되어 O & M 센터로 경보 정보를 송신하며, RS-232C 드라이버로 구성된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와, 상기 제어부(34)와 상기 어드레스 디코딩부(38)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4)의 제어를 받아 이중화 제어, 램프 및 가청 경보 구동 데이터를 전송하며 병령 입출력(parallel I/O)회로로 구성되며 주변 인터페이스부(39)와, 상기 주변인터페이스부(39)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부(39)에서 전송된 구동데이터에 따라 경보램프를 구동하는 드라이버(Driver)로 구성된 램프 구동부(41)와,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부(39)에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39)에서 전송된 가청 경보 구동 데이터에 따라 RAPU(제1도의 20)의 스피커를 구동하며 가청 신호음 발생회로 및 증폭회로로 구성된 가청 경보 발생부(42)와, 상기 제어부(34)와 상기 TD-버스 인터페이스부(32)와 상기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와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부(39)와 상기 어드레스 디코딩부(38)에 연결되어 상기 TD-버스 인터페이스부(32), 상기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 및 주변 인터페이스부(39)에서 들어오는 인터럽트의 우선순위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부(34)로 통보하는 우선 인터럽트 제어부(37), 및 상기 제어부(34)와 상기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와 상기 가청 경보 발생부(42)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부(34,35,42)의 동작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도록 발진기와 카운터로 구성된 클럭 발생부(36)로 구성된다.
MP(제1도의 10)에서 전송되는 경보 정보는 TD-버스제어부(32)에서 수신되며, 제어부(34)의 제어를 받아 메모리부(31)에 저장된다. 저장된 경보 신호에 따라 제어부(34)는 구동해야 할 경보 등급을 결정하고 구동 데이터를 주변 인터페이스부(39) 및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로 출력하며 주변 인터페이스부(39)는 램프구동부(41)와 가청 경보 발생부(42)로 이를 전송, 최종적으로 RAPU(제1도의 20)와 내장된 램프 및 스피커를 구동하게 된다.
APCU(제1도의 30,40)의 자체 앞판넬은 각 등급에 따른 정보 램프 스위치, 경보 구동가능의 수동시험을 위한 경보 시험 램프 스위치, 현재 구동중인 경보음을 중지시키는 경보 리셋트 램프 스위치 및 APCU(제1도의 30,40) 자체 경보용 램프가 있으며 램프 스위치의 스위치 부분은 스위치 스캔 회로부(33)로 입력된다. 즉, 경보 시험스위치를 ′ON′시키면 각 등급별 경보 램프 스위치의 상태와 함께 스위치 스캔 회로부(33)로 입력되어 제어부(34)로 전달된다. 제어부(34)에서는 각 등급별 경보 램프 스위치중 ′OFF′상태인 모든 램프와 그중의 최상위 경보의 경보음을 구동할 수 있는 경보 정보를 주면 인터페이스부(39)로 출력, 램프 구동부(41)와 가청 경보 발생부(42)에 의해 구동하게 된다.
경보 시험중에 각 등급별 경보 램프 스위치의 상태를 변화시키면 그 상태도 역시 동일한 과정을 거쳐 램프 점멸 상태와 구동 가청 경보음이 변화시키게 되며 경보 시험 스위치를 ′OFF′시키면 원래의 시스템 경보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경보 리셋트 스위치는 현재 구동중인 가청 경보음을 일시 중지시키게 되며 새로운 경보 정보가 MP(제1도의 10)로 부터 전송되어 지면 제어부(34)에 의해 크리어되게 된다. 그리고 현재 동작 상태인 APCU(제1도의 30,40)의 수동 절체 스위치를 누르면 정보 시험 스위치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어부(34)에 의해 인식되어 제어부(34)는 대기 상태로 전환되며 주변 인터페이스부(39)가 대기 상태인 APCU(제1도의 30,40)로 절체 요구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절체 요구를 받은 APCU(제1도의 30,40)는 인터페이스부(39)에 입력된 절체 요구 신호가 제어부(34)로 전달되어 동작상태로 절체되게 된다. APCU(제1도의 30,40)의 자체 경보 램프는 APCU(제1도의 30,40)가 다운되었을때 그 상태를 주변 인터페이스부(39)에서 감지하여 구동시킨다.
제4도는 APCU(제1도의 30,40)의 가청 경보 발생부(42)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42a)는 클럭 카운터를, (42b)를 롬(ROM)을, (42c)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화기를, (42d)는 저역 필터를, (42e)는 전력 증폭기를, (42f)는 가청 경보 출력단을, (42g)는 400Hz(tone) 발생회로를 각각 나타낸다.
가청 경보 발생부(42)는 3개의 입력(경보펄스, 가청 경보 점검 신호, 8032Hz의 클럭)과 2개의 출력(가청 경보 센서신호, 가청신호)을 가진다. 그리고 가청 경보음은 8KHz로 표본화(sampling)되어서 롬(42b)에 저장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1초만에 스캐닝(Scanning)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클럭 카운터(42a)는 경보 펄스 신호에 의해서 인에이블(enable)되며 4-바이너리(binary) 카운터 4개로 8032Hz의 클럭을 계수(count)하여 롬(42b)의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롬(42b)내의 표본화된 가청 경보음을 액세스(access)한다.
롬(42b)은 표본화된 가청 경보음을 저장하고 있는데, 클럭 카운터(42a)의 출력을 받아 저장하고 있는 표본화된 가청 경보음 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2c)로 보낸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2c)는 이 표본화된 디지탈 신호를 펄스 진폭 변조(PAM)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저역 필터(42d)는 2개의 필터, 즉, 4KHz 및 3.3KHz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42c)의 출력을 받아 전력증폭기(42e)로 전달한다.
전력증폭기(42e)는 저역필터(42d)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신호로 구동하기 위한 전압, 전류증폭을 하고 가청 경보 출력단(42f)을 거쳐 RAPU(제1도의 20)의 스피커로 출력시킨다. 시스템 상에서 경보가 발생하면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에서 경보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가청 경보 발생부(제3도의 42)에서 1초 동안만 가청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에서 경보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재 트리거(trigger)함으로써 해당 경보의 주기에 맞는 단속 주기를 가진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가청 경보 센서 신호는 가청 경보음의 출력되는 동안만 가청 경보 출력단(42f)에 의하여 작동되어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에서 가청 경보음의 출력 여부를 감시(monitor)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가청 경보 출력단(42f)에 하드웨어적인 장애가 발생하여 경보음이 출력되지 않으면 가청 경보 센서 신호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에서 가청 경보 점검 신호를 보내 400Hz 톤 발생회로(42g)로 부터 400Hz 톤을 발생시켜 가청 경보 발생부(제3도의 32)의 이상을 운용자에게 알린다.
제5도는 본 발명인 경보 구동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메모리부(제3도의 31)에 실장되는 훰웨어(firmware)이다.
도면에서(50)은 인터럽트 루틴으로 MP(제1도의 10)가 데이터를 송신할때 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MP(제1도의 10)로부터 TD-버스 인터페이스부(제1도의 32)로 경보 정보가 송신되면 TD-버스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2)는 데이터 전송을 표시하는 TS 신호를 감지, 우선 인터럽트 제어부(제3도의 37)로 인터럽트 신호를 송신하고 이는 제어부(제3도의 34)로 전달하게된다. 경보 정보의 수신을 감지한 제어부(제3도의 34)는 TD-버스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2)에 수신된 모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수신된 경보 정보를 메모리부(제3도의 31)에 저장한다.
(51) 내지 (67)은 가시 및 가청 경보 구동을 위한 메인 루틴이다.
먼저 스위치 스캔 회로(제3도의 33)의 수동 경보시험 스위치 입력상태를 확인하여(51) 스위치가 ′ON′상태이면 수동 경보 시험을 수행하고(52), ′OFF′ 상태이면 램프 구동시간의 도달을 표시하는 램프 구동 비트를 메모리부(제3도의 31)로 부터 읽어 들여 동작 여부를 판단한 후(53), 램프 구동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다시 시작점으로 리턴하고 램프 구동시간이 되었으면 램프 구동 비트를 소거하여(54) 제어부(제3도의 34)내의 타이머에 의하여 다시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55) 내지 (60)은 긴급 경보 램프의 구동을 위한 처리루틴으로, 메모리부(제3도의 31)에 저장된 경보 정보에서 긴급 경보의 존재유무를 파악하여(55) 긴급경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모리부(제3도의 31)의 램프구동을 위한 긴급 정보 버퍼를 소거하고(56) 주요 경보 처리루틴으로 천이한다. 그런데, 긴급경보가 존재하면 긴급경보에 대한 경보가 현재 처리중에 있는지 파악하여(57) 처리중이 아니면 새 긴급 경보램프의 동작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제3도의 31)에 저장한 후(58) 주요 경보 처리루틴으로 천이한다. 그러나 긴급 경보에 대한 처리가 진행중에 있으면 긴급경보용 램프의 ′ON′상태를 파악하게 되며(59) 램프가 ′ON′상태에 있지 않으면 램프를 ′ON′하기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부(제3도의 31)에 저장한 후(60) 주요경보 처리루틴으로 천이한다. 그러나 긴급 경보용 램프가 ′OFF′상태이면 램프를 ′OFF′하기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부(제3도의 31)에 저장한다(61).
(90)은 주요 경보 램프 구동의 처리 루틴이고, (100)은 일반 경보 램프 구동의 처리루틴으로서, 처리 절차의 내용은 상기 긴급 경보 램프의 구동 처리루틴(55 내지 6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세세한 설명은 상기 긴급 경보 램프의 구동 처리루틴 설명으로 갈음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긴급, 주요 및 일반 경보 램프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정리되면 각 램프 구동을 위해 저장한 데이터를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로 출력하며(64)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는 이를 램프 구동부(제3도의 41)에 전송하여 저장된 각 등급의 램프가 구동되게 된다.
(65) 내지 (67)은 가청 경보음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상기 (53)에서의 처리와동일하게 가청 경보 구동 시간의 도달을 표시하는 가청 경보 비트를 메모리부(제3도의 31)로부터 읽어 들여 동작여부를 판단한 후(65), 가청 경보 구동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다시 시작점으로 돌아가고 가청 경보 구동 시간이 되었으면 가청 경보 비트를 소거하여(66) 제어부(제3도의 34)내의 타이머에 의하여 다시 시간을 카운트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제3도의 34)에서 가청음 구동을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로 출력하며 주변 인터페이스부(제3도의 39)는 이를 가청 경보 발생부(제3도의 42)에 전송하여 가청 경보가 발생하게 한다(67).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적용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가시 및 가청 경보를 구동함으로써 운용자에게 쉽게 시스템 상의 경보 발생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APCU(제1도의 30,40)의 자체 앞판넬 상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본 경보장치의 가시 및 가청 경보 구동을 쉽게 시험해 볼 수 있다.
셋째, 롬(제5도의 42b)에 저장된 표본화 데이터(sampling data)를 이용하여 가청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쉽게 경보음을 변화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생한 경보를 검출하여 등급에 따라 경보 정보를 발생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10),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10)에 연결되어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10)으로 부터 출력된 각 등급의 경보 정보를 수신 분석하여 이를 가시, 가청 형태로 변환시키는 제1경보 판넬 제어수단(30),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10)과 제1경보 판넬 제어수단(3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보판넬 제어수단(3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40), 및 상기 제1 및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30,40)에 연결되어 가시, 가청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된 경보 정보를 수신하여 실제 경보를 구동하는 원격 판넬 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보 판넬 제어수단(30)과 상기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40)간에는 이중화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10)과 상기 제1 및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30,40) 간에는 TD-버스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보 판넬 제어수단(30,40)은 상기 원격 경보 판넬 수단(20)과의 접촉을 위해 램프 구동부(41)와 가청 경보 발생부(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청 경보 발생부(42)는 경보 정보 신호를 표본화하는 수단, 상기 표본화하는 수단에 연결된 롬(ROM), 상기 롬(ROM)에 연결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에 연결된 저역필터, 상기 저역 필터에 연결된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연결된 가청 경보 출력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구동 장치.
  5. 유지 보수 프로세서 수단(10)과,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10)에 연결되고 메모리부(31)부, TD-버스 인터페이스부(32), 스위치 스캔 회로부(33), 제어부(34),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5), 클럭발생부(36), 우선인터럽트 제어부(37), 어드레스 디코딩부(38), 주변 인터페이스부(39), 램프 구동부(41), 가청 경보 발생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화된 경보 판넬 제어수단(30,40)과, 상기 경보 판넬 제어수단(30,40)에 연결되는 원격 판넬 수단(20)으로 구성된 경보 구동 장치에 적용되는 경보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프로세서 수단(10)으로 부터 경보 정보가 입력되면 우선 인터럽트 제어수단(37)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수단(34)로 하여금 모드 데이터를 판독하게 한 후 메모리수단(31)에 저장하는 제1단계(50), 상기 제1단계(50) 수행후, 상기 스위치 스캔수단(33)의 수동경보 입력상태를 확인하여 스위치가 ′ON′상태이면 경보 시험을 수행하고, ′OFF′ 상태이면 램프 구동 비트를 상기 메모리수단(31)으로 부터 읽어 들여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제2단계(51 내지 53),상기 제 2 단계(51 내지 53)수행후 램프 구동 비트가 동작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1단계(51 내지 53)의 시작점으로 리턴하고 동작상태이면 램프 구동비트를 소거하는 제3단계(53), 상기 제3단계(54) 수행후 상기 메모리 수단(31)에 저장된 경보 정보를 판독한 후 긴급, 주요, 일반경보로 분류된 정보의 종류 따라 긴급, 주요, 일반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4단계(55 내지 64), 상기 제4단계(55 내지 64)수행후 가청 경보 비트를 상기 메모리부(31)로 부터 읽어 들여 동작여부를 판단하고 가청 경보 비트의 상태에 따라 긴급, 주요, 일반경보로 분류된 가청 경보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5단계(65 내지 67)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구동 장치.
KR1019890002765A 1989-03-07 1989-03-07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KR92000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765A KR920001436B1 (ko) 1989-03-07 1989-03-07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765A KR920001436B1 (ko) 1989-03-07 1989-03-07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046A KR900015046A (ko) 1990-10-25
KR920001436B1 true KR920001436B1 (ko) 1992-02-13

Family

ID=1928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765A KR920001436B1 (ko) 1989-03-07 1989-03-07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4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046A (ko) 199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569A (en)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KR920001436B1 (ko) 경보 구동장치 및 방법
JP2002092753A (ja) 火災受信機
KR960012089B1 (ko) 페이징 수신기 동작 방법 및 디지탈화된 음성 수신기
KR930001162B1 (ko) Tdx-10 경보 구동 장치 제어방법
SU10436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ноготоче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3853041B2 (ja) 防災設備の異常検出装置
JPS5818645B2 (ja) 電源異常表示方式
KR950013135A (ko) 교환기에서의 이상경보장치
SU9914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0260831B1 (ko) 선박 자동화용 확장 경보장치
SU9247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точе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200207139Y1 (ko) 가옥의 다중 감시 경보장치
JPH0413759Y2 (ko)
KR960016357A (ko) 신호 중계 교환기에서 고장허용 구조를 갖는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124703Y2 (ko)
JPH0528015B2 (ko)
JPS63109599A (ja) 状態変化警報表示装置
KR920000211B1 (ko) 가전제품의 음성경보회로 및 방법
KR100268668B1 (ko) 집중과금처리시스템의과금추출랙경보장치및경보방법
JPH02281195A (ja) 原子炉保護システムの自動試験装置
JPH063517Y2 (ja) ガスもれ集中監視装置
JPS5824939A (ja) 音声出力装置
JPH03166692A (ja) セキュリティー監視システム
JPS60134697A (ja) 時分割遠隔制御装置のフエイルセイ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