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83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83B1
KR920001383B1 KR1019830000201A KR830000201A KR920001383B1 KR 920001383 B1 KR920001383 B1 KR 920001383B1 KR 1019830000201 A KR1019830000201 A KR 1019830000201A KR 830000201 A KR830000201 A KR 830000201A KR 920001383 B1 KR920001383 B1 KR 920001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pper lid
container body
pack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206A (ko
Inventor
히로시 나까자와
마꼬또 구지
Original Assignee
도호시이트프레임가부시끼가이샤
이마이 구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시이트프레임가부시끼가이샤, 이마이 구니히꼬 filed Critical 도호시이트프레임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65D45/3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lever-operated
    • B65D45/345Lever-operated contractible or expansible band, the lever moving in the plane of the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폐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용기의 외부도.
제2도는 그 뚜껑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소켓과 계기의 외부도.
제4도는 뚜껑의 측면도.
제5도는 결속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본체와 뚜껑이 조립된 상태의 용기의 부분 단면도.
제7도는 본체의 측면도.
제8도는 패킹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용기내에 내용물을 보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
제10도는 반경방향의 주름을 갖는 뚜껑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체 2 : 위뚜껑
3 : 밸브 4 : 결속부재(뚜껑 고정 밴드)
5, 6 : 패킹 7 : 소켓
8 : 압력계기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승된 또는 감소된 압력하에 저장하기 위한 대형 용기는 알려져 있지 않고 단지 통조림 같이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소형용기가 알려져 있을 뿐이다. 열수 있는 위뚜껑을 갖는 용기는 대개 충분한 내압성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밀폐된 작은 구멍을 갖는 특정용도의 용기는 내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런 용기는 아주 작은 구멍을 가지므로 그 내용물이 액체 또는 분말이 아닌 한 내용물을 넣거나 빼는 것이 상당히 불편하다. 또한 이런 용기에서 용기를 열기 위해서는 밀폐부를 뜯어내야 한다.
식품산업 분야에서 식품분배 채널의 변경과 대형 수송 차량의 도입과 관련하여 수년전부터 대형 용기의 수요가 지적되어 왔어도 만족스러운 대형 용기는 아직 사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의 식품분배 용기중에는 10리터 정도의 용량을 갖는 소위 증류식품 용기가 있으며, 그것은 식품처리 및 식품수송에 사용되어 내용물이 처리된 직후 용기가 밀폐되기 때문에 증기 응축으로 발생하는 압력감소에 의한 변형에 대항하기 위해 저부가 주름 형상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런 용기는 뚜껑을 뜯어내어 열어야하므로 반복해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뚜껑이 끼움식인 개량된 용기도 알려져 있지만 그런 용기도 내용물을 넣고 빼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더우기 증류식품 용기는 그 안에 일정한 감소된 압력을 유지하지 않으며 식품의 처리후 지정된 기간내에 소비될 것이 권장되므로 그런 용기는 감소된 내압의 주기적인 검사 기능을 갖지 않는다.
이와같이 압력방출 및 압력 검사용 밸브가 구비되고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기 저장용 용기는 종래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이 없으며 저장 기간중 밀폐되고 압력 상태의 검사가 용이한, 감소 또는 상승된 압력하에 저장하기 위한 신규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승 또는 감소된 압력하의 저장은 치환 가스 또는 진공하의 저장뿐 아니라 예를들어 산소 흡수기에 의한 무산소 상태하의 식품 저장과 증류처리 또는 비등과 같은 열 처리하의 식품저장 또는 냉동 상태하의 식품 저장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 위 뚜껑 및 본체와 뚜껑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이 그 중앙을 향해 오목하여 그 중앙에 압력방출, 충전 및 압력 측정을 위한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의 상단부가 위 뚜껑의 상부 림을 포함하는 면을 초과하지 않게 위치하는, 열수 있는 위 뚜껑을 갖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 본체(1)의 옆벽 상에는 수효와 분포가 본체를 구성하는 재료와 두께에 따른 기계적 강도 계산에 의해 결정되는 주변웨지 또는 보강 주름을 구비한다.
위 뚜껑(2)은 용기 본체의 최상부에서 변부와 결합하는 림부를 구비하며, 용기 내압을 견디기 위해 중심을 향해 오목하고, 또한 그 오목한 표면도 기계적 강도에 따라 필요한 수효의 동심 또는 반경 방향 리브를 구비한다. 뚜껑(2)의 중심에는 보통 폐쇄되어 있는 밸브(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밸브(3)는 용기내의 소정 압력을 견딜 수 있고 내압을 감소, 상승 또는 검사할때 개방된다. 밸브의 상단부는 뚜껑(2)의 상부 림을 포함하는 면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용기가 수직으로 적치될 수 있게 한다. 밸브의 구조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제2 및 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플러그와 소켓의 조합으로 구성된 형식이 바람직하며, 소켓(7)이 설치 또는 분리될때 플러그가 개방 또는 폐쇄되므로 각각 압력 계기(8)와 조합하여 내압을 측정하고 압력을 방출하기 위한 2개의 소켓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된 이와같은 밸브는 일본 도오꾜의 닛또고오끼 주식회사 제품인 커플러 SP-V형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의 내부 자동 밸브 기구는 10-3mmHg와 같이 낮은 진공도를 견딜 수 있는 초밀폐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런 구성에서, 보올록(ball lock) 시스템과 같이 플러그에 포함된 압력 유지 수단은 소켓이 거기에 부착되면 가스를 방출한다.
뚜껑 고정 밴드(4)를 갖는 결속부재와 밀폐하기 위한 패킹(5, 6)은 밀폐를 위해서 중요한 부재이지만 제1 및 2도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서 상기 고정 밴드는 뚜껑의 주변을 따라서 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클리퍼 클램프로 대체되기도 한다.
제4도는 뚜껑의 측면을 도시하며, 제5도는 뚜껑 고정 밴드(4)의 일예를 도시한다. 제6도는 각각 패킹(5, 6)을 구비한 용기 본체(1)와 뚜껑(2)이 서로 끼워진 상태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와 뚜껑은 밀폐를 위해서 뚜껑 고정 밴드(4)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제7도는 용기 본체(1)의 외부 측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8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밀폐의 안정성은 패킹(5 및 6)에 대해 2개층의 가요성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개량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용기는 -350mmHg이상의 높은 계기 흡입 압력을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으며 -400mmHg의 파괴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9도는 제8도의 거리 A가 5mm로 제조된 패킹으로 행한 억압실험(depression test)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다. 패킹은 스티렌-부타디엔 합성고무로 구성된다. 제 9 도의 파단선은 동일한 재료의 공지된 단일 패킹을 갖는 종래의 드럼통으로 얻는 결과를 표시한다. 이 도표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종래의 용기가 10일(240시간) 경과후 70mmHg로 감소된 내압을 유지하는데 대하여, 본 발명의 용기는 33일(792시간)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350mmHg의 내압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패킹은 각각 용기 본체(1)와 위 뚜껑에 부착되며 상호 접촉하여 밀폐를 하는 2개 이상의 패킹(5, 6)으로 구성된다. 패킹과 금속 대상물 사이의 단순화 접촉에 의해 만족스러운 밀폐를 얻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하더라도, 이 문제는 예를들어 접착성 재료로 그 사이에 견고한 접착을 형성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밴드(4)를 조임으로써, 패킹은 밀접하게 되어 종래에 기대하지 못하던 밀폐 효과를 나타낸다. 금속체가 패킹에 만족스럽게 접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금속체와 패킹 사이에 다른 패킹을 삽입할 수도 있다.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상기 패킹은 실험결과 만족스러운 결과는 제공하지만 용기 본체상의 패킹이 위 뚜껑상의 패킹보다 딱딱하게 제조되면 더욱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채용된 패킹은 임의의 가요성, 탄성 기밀 재료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다공질 고무의 경우는 구멍이 밀폐된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용기 본체상의 합성고무로 구성된 패킹과 위 뚜껑상의 다공질 합성고무로 구성된 패킹의 조합에 의해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질 합성고무 시이트에 대해 단일 폐쇄 구멍을 포함하는 소위 중공 패킹을 위 뚜껑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좋은 결과를 얻어질 수 있다.
앞의 설명에서 패킹은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나누어지지만, 또한 2개 이상의 재료의 각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2개 부품 사이의 접촉을 개선하기 위해 제3 및 제4 패킹을 삽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크기는 소위 양동이와 같은 작은 용기로부터 드럼통과 같은 큰 용기까지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저장중 내용물의 열화를 유발하지 않는한 상기 용기의 재료는 어떤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과 반복 사용을 고려하여 식품에 대해서는 스텐레스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는 내압성이 특출하게 개량되었으므로 식품 보존에 일반화되고 무산소 분위기 내의 저장에 특히 적당하다. 일예로서, 적당량의 산소 흡수제를 보유하는 케이스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위 뚜껑(2) 밑에 장착되며, 상기 뚜껑은 용기에 식품이 충전된 후 밴드로 고정된다. 용기는 보통 수직하게 적치되어 저장되며, 고기, 곡물, 생선 등의 저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중 소켓(7)상에 설치된 압력계기(8)로 내압을 측정함으로써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확인한다.
앞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용기는 감소된 압력하의 용기로서 설명하였지만, 물론 상승된 압력하의 저장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저장을 위한 사용에 있어서, 반복 사용시 세척을 돕기위해 저부의 모서리와 측면의 주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8)

  1. 용기 본체(1), 위 뚜껑(2), 본체와 위 뚜껑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 및 본체와 뚜껑상에 각각 설치된 밀폐를 위한 패킹(5, 6)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 뚜껑이 그 중앙을 향해 오목하며 그 중앙에 압력방출, 충전 및 압력 측정을 위한 밸브(3)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의 상단부가 위 뚜껑의 상부림을 포함하는 면을 초과하지 않게 위치하고, 상기 패킹(5, 6)이 용기 본체(1)의 수직부분 또는 주름 부분과 위 뚜껑(2)의 현수부분 사이의 간격에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나누어진 가요성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2개 이상의 부품은 각기 용기 본체(1)와 위 뚜껑(2)에 접착되는, 열수 있는 위 뚜껑을 갖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가 내압을 측정하거나 그 밸브를 열기 위해 분리할 수 있는 소켓과 위 뚜껑의 상면상에 설치된 플러그로 구성되는 밀폐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가 위 뚜껑의 주변을 고정하는 밴드(4)를 갖는 밀폐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가 위 뚜껑의 주변을 고정하는 밴드(4)를 갖는 밀폐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 뚜껑과 용기 본체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밀폐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 뚜껑과 용기 본체가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밀폐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1)와 위 뚜껑(2)에 접착된 패킹(5, 6)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지 않고 용기 본체에 접착된 패킹이 뚜껑에 접착된 것보다 딱딱한 밀폐용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5, 6)이 용기 본체(1)의 수직부분 또는 주름 부분과 위 뚜껑(2)의 현수부분 사이의 간격에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나누어진 가요성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2개 이상의 부품은 각각 용기 본체(1)와 위 뚜껑(2)에 접착되는 밀폐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1)와 위 뚜껑(2)에 접착된 패킹(5, 6)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지 않고 용기 본체에 접착된 패킹이 위 뚜껑에 접착된 것보다 딱딱한 밀폐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5, 6)이 용기 본체(1)의 수직부분 또는 주름 부분과 위 뚜껑(2)의 현수 부분 사이의 간격에 적어도 2개의 부품으로 나누어진 가요성 부재로서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2개 부품은 각각 용기 본체(1)와 위 뚜껑(2)에 접착되는 밀폐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1)와 위 뚜껑(2)에 접착된 패킹(5, 6)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지 않고 용기 본체에 접착된 패킹이 위 뚜껑에 접착된 것보다 딱딱한 밀폐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무산소 상태하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용기.
KR1019830000201A 1982-08-18 1983-01-20 밀폐용기 KR920001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24012 1982-08-18
JP1982124012U JPS5928064U (ja) 1982-08-18 1982-08-18 密閉容器
JP57-124012 1982-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206A KR840003206A (ko) 1984-08-20
KR920001383B1 true KR920001383B1 (ko) 1992-02-13

Family

ID=1487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201A KR920001383B1 (ko) 1982-08-18 1983-01-20 밀폐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42951A (ko)
JP (1) JPS5928064U (ko)
KR (1) KR920001383B1 (ko)
AU (1) AU550689B2 (ko)
CA (1) CA1187044A (ko)
DE (1) DE3301335A1 (ko)
DK (1) DK160979C (ko)
GB (1) GB2125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9479B2 (en) * 1985-12-19 1989-10-12 Containers Limited Tamperproof closure
FR2616755B1 (fr) * 1987-06-19 1989-12-22 Applic Plasti Ste Bourguig Emballage comprenant un corps comportant au moins une ouverture et un couvercle fixable sur l'ouverture par une grenouillere
FR2665681A1 (fr) * 1990-08-08 1992-02-14 Aqua Biotique Containers Procede de conservation d'animaux aquatiques a l'etat vivant et emballage destine a la mise en óoeuvre du procede.
DK165586B (da) * 1990-09-03 1992-12-21 Baltic Metalvarefab Lukkeanordning til beholder
DE19822459A1 (de) * 1998-05-19 1999-12-02 Johann Landmann Müllbehälter
WO2002068288A1 (en) 2001-02-23 2002-09-06 Tilia International, Inc. Lid with a pump/bellows device
CN1553875A (zh) * 2001-02-23 2004-12-08 蒂里亚国际公司 可再用的真空盖
US6789690B2 (en) 2002-04-19 2004-09-14 Tilia International, Inc. Hose direct canister lid
US7048136B2 (en) * 2002-11-05 2006-05-23 Tilia International, Inc.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US20050061370A1 (en) * 2003-08-16 2005-03-24 Landen Higer Vacuum packaging appliance spice rack
US20060000733A1 (en) * 2004-07-02 2006-01-05 Albritton Charles W Rigid container with vacuum channel walls
FR2873537B1 (fr) * 2004-07-30 2006-10-20 Jean Marc Brun Nouvel appat pour la peche, et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conditionnement d'un tel appat
US20100255062A1 (en) * 2007-06-01 2010-10-07 Amulet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polymers and methods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US20150245730A1 (en) * 2014-03-01 2015-09-03 Bennett Scott Mills Apparatus for converting an empty food can into a pressure cooker, a container for steam pressure, or a boi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853C (ko) *
GB320073A (en) * 1928-07-03 1929-10-03 Arnett Richardson Dunt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ling devices for the covers of transformer tanks and other vessels
GB486183A (en) * 1937-10-02 1938-05-31 Ernst Grapengeter Vacuum sheet metal can or like container
GB569897A (en) * 1943-10-19 1945-06-13 Robert Stanley Howart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eet metal drums and like containers
GB1108263A (en) * 1963-10-18 1968-04-03 E P S Res & Dev Ltd Thermoplastic and like vacuum sealable containers
GB1525227A (en) * 1975-07-25 1978-09-20 Laser Eng Ltd Closure assemblies for containers
DE7935222U1 (de) * 1979-12-14 1980-03-20 Mauser Werke Gmbh Deckelfass
DE3108442A1 (de) * 1981-03-06 1982-12-30 Mauser-Werke GmbH, 5040 Brühl Kunststoff-fass
US4344546A (en) * 1981-03-31 1982-08-17 Natico, Inc. Reusable tight head drum by conversion to open head drum
DE3202661C2 (de) * 1982-01-28 1993-10-14 Mauser Werke Gmbh Deckelfa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25381B (en) 1986-07-09
DE3301335A1 (de) 1984-02-23
GB2125381A (en) 1984-03-07
DK160979B (da) 1991-05-13
JPS5928064U (ja) 1984-02-21
AU1051183A (en) 1984-02-23
US4442951A (en) 1984-04-17
CA1187044A (en) 1985-05-14
AU550689B2 (en) 1986-03-27
DE3301335C2 (ko) 1988-06-09
DK18783A (da) 1984-02-19
DK18783D0 (da) 1983-01-18
KR840003206A (ko) 1984-08-20
GB8301625D0 (en) 1983-02-23
DK160979C (da) 199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383B1 (ko) 밀폐용기
US4122964A (en) Reusable closures for hermetically sealing containers
US4430084A (en) Method for pre-use storage of a medical receptacle
US2718980A (en) Container seal
US3443735A (en) End construction for shipping containers
US5261551A (en) Paint or similar can with overcap having a central opening
CA2154738C (en) Pressure vessels
US4881658A (en) Sealed container
US3815777A (en) Reusable plastic closure with ring seal
US3087823A (en) Package
SE8600183D0 (sv) Behallare, speciellt for egg
GB2044226A (en) Compartmented trays
US2582541A (en) Shock resistant container
FI66737B (fi) Med lock och mellanvaegg foersedd ask
GB2074974A (en) Container Sealing Device
US2458360A (en) Closure device
KR101712639B1 (ko) 1회 용기 밀폐구조
GB2306429A (en) Anti skinning insert for paint cans and the like
JPS6090143A (ja) 貯蔵容器用密閉装置
KR0164651B1 (ko) 김치 진공포장용기 뚜껑
US5590802A (en) Salvage drum with protected clamping
KR900003982Y1 (ko) 음식물 보관통
JPS5942348Y2 (ja) 食品用小型密封式容器
KR20010062516A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JPH02326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