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34B1 - 필름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름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34B1
KR920001234B1 KR1019830002364A KR830002364A KR920001234B1 KR 920001234 B1 KR920001234 B1 KR 920001234B1 KR 1019830002364 A KR1019830002364 A KR 1019830002364A KR 830002364 A KR830002364 A KR 830002364A KR 920001234 B1 KR920001234 B1 KR 92000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ethylene polymer
olefin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921A (ko
Inventor
헤르르 마루우스
Original Assignee
노르솔로 쏘시에떼 아노님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2745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12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르솔로 쏘시에떼 아노님,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노르솔로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4000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ag Frame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름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자유 라디칼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자유 라티칼 폴리에틸렌(고압공정에 의해 얻은)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저압공정에 의해 얻은)의 조성물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유럽 특허출원 제 0,006,110호는 응용지수 0.2~5dg/분인 자유 라디칼 폴리에틸렌 1∼20중량% 및 비중 0.912~0.940, 용융지수 0.1~5dg/분, 다분산성지수(Polydisper-sity index)(중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의 비 Mw/Mn에 의해 정의됨) 2.7~4.1 및 탄소원자 1000개 당 0.1~0.3 이중결합의 전체불포화도를 가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80∼99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압출된 5∼500㎛의 두께를 가진 필름을 기술하였다. 이들 조성물의 공중합체 형성부는 저압(10~70바아) 및 저온(30~115℃)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 형의 공중합체는 프랑스특허 제 1,604,98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완전히 균일한 구조를 갖는다.
유사하게, 프랑스특허 제 2,481,709호는(a) 비중 0.945 이하이고, 135℃에서의 고유점도 1.7~10dg/g인, 에틸렌과 탄소원자 3~12를 갖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 30~80중량% 및 (b) 비중 0.915~0.935이고 135℃에서의 고유점도 1.3dl/g 이하인 고압 폴리에틸렌 20~70중량%의 혼합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와같은 형태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대해서는 135℃의 고유점도 1.7dl/g 이상이 용융지수(ASTM 표준규정 D1238-73에 따름) 0.3dg/분 이하와 일치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국특허 제 3,176,052호는 (a) 비중이 0.91~0.94인 자유 라디칼 폴리에틸렌 5~75중량% 및 (b) 비중 0.92이상 및 용융지수 0.1∼10dg/분을 가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5~95중량%를 함유하는 균질혼합물을 기술하였다. 상기 문헌은, 유리 라디칼 폴리에틸렌 용융지수가 더 높을수록(실시예에 의하면 3~10dg/분), 그리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지수가 자유 라디칼 폴리에틸렌에 비해 더 낮을수록(실시예에 의하면 0.5~1.4dg/분) 상기 형태의 혼합물로 부터 얻은 압출된 필름은 혼합물의 각 성분에서 얻은 압출된 필름들과 비교해서 광택이 더욱 향상됨을 가르치고 있다.
자유 라디칼 폴리에틸렌에서 압출되며, 일반적으로 20㎛ 이상의 두께를 갖는 필름도 공지되어져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자유 라디칼 폴리에틸렌 2~25중량% 및 특히 불균질 구조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5~98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사실 이와 같은 형태의 조성물은 종래 기술의 제약 및 한정을 피함과 동시에 20㎛이하의 두께와 혼합물의 2개성분과 비교해 향상된 특성을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면 본 조성물중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다분산성 지수 2.7∼4.1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1000탄소원자당 0.1∼0.3 이중결합의 전체 불포화도를 가질 필요도 없다. 유사하게 본 조성물중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프랑스특허 제 2.481,709호에서 처럼 용융지수 0.3dg/분 이하(이와 같은 지수는 대부분의 공지된 공중합 방법에 의해 일반적으로 얻기 힘들다)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1주제는 비중 0.91∼0.94인 1종 이상의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 2~25중량%, 그리고 공중합체중 α-올레핀 단위의 평균비가 1∼8몰%이며 비중 0.905∼0.940이고 용융지수 0.4∼3dg/분인 에틸렌과 탄소원자 4이상을 함유하는 α-올레핀과의 1종 이상의 공중합체 75∼98%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공중합체중 α올레핀성분의 분포가 불균일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결정성 분획 및 무결정성 분획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고, 공중합체 α-올레핀 단위의 비율이 고려되는 분획에 따라 그들 평균비의 0.2배이상∼5배이하 사이에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공중합체이다.
유럽특허출원 제 0,070,220호에 기술된 특수구조의 이들 공중합체는 그들의 결정성 분획이 118∼130℃에서 용융피크를 가지며 전체공중합체의 20∼50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들은, 그들의 전체 불포화도가 탄소원자 1000개당 0.25∼0.50 이중결합, 바람직하기는 탄소원자 1000개당 0.32∼0.45 이중결합인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나머지에서 용어 “공중합체”란 에틸렌에 하나의 α-올레핀을 함유하는 2원 중합체, 또는 에틸렌에 2개의 α-올레핀을 함유하는 3원 중합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이들 공중합체는 평균분자량 15,000∼60,000 및/또는 2원 중합체에 대한 다분산성 지수 3∼9 또는 3원 중합체에 대한 다분산성 지수는 4~12인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정의에서는 종래 중합체 기술에서와 같이 평균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 Mn으로, 다분산성지수는 중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 비인 Mw/Mn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균질 공중합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α-올레핀의 예는 1-부텐, 1-헥센, 4-메틸 1-펜텐 및 1-옥텐이다. 만일 2개의 α-올레핀이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3원 중합체의 경우)에 존재한다면, 그들의 전체 평균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1∼8몰%이며, 그들 각각의 평균 비율의 비는 바람직하기는 0.25∼4이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르며, 에틸렌을 평균 95몰%를 함유하는 에틸렌/1-부텐/1-헥센 3원 공중합체는 1-부텐을 평균 1∼4몰% 및 1-헥센을 평균 4∼1몰% 만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란 고압(일반적으로 1,000∼4,000바아) 및 고온(140∼350℃)에서 자유 라디칼 개시제(예 : 산소,퍼옥사이드, 또는 퍼에스테르)의 존재하에 에틸렌, 및 필요시에 에틸렌에 공중합성인 1종 이상의 단량체, 예를들면 1산화탄소, 에틸렌 불포화카르복실산, 상기 산과 1∼8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중합 반응으로 수득되는 생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자유 라디칼 중합체중 하나는 에틸렌 단일 중합체이고 다른 하나는 탄소원자 1∼8개인 알킬기를 가진 1종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25중량%를 함유하는 에틸렌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용융지수 0.2∼4dg/분인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부분을 구성하는 2가지 형태의 중합체는 혼합이 매우 용이하여 균질 혼합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중합체 혼합방법중 어느것에 의해서도, 특히 주위 온도에서 고체상태로 과립의 혼합, 및 열작용하에 용융상태에서 혼합에 의해, 어려움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주제는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는 5∼200㎛의 두께를 가진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혼합물의 각각의 중합체에서 만든 필름들과 비교해서 향상된 특성을 갖는다. 이들 필름은 특히 내충격성, 용접부의 고온강도, 광학헤이즈(optical haze), 인장특성(최종 인장강도 및 파괴 연신율) 및 인열강도(tear strength)가 뛰어나다. 그러나 상기한 미국특허 제3,176,052호에서 시사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광학적 광택은 혼합물의 각 중합체에서 얻은 필름들의 그것보다 우수하기 보다는 열등하다. 이와같은 상황은, 다행스럽게도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불균질 구조인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의 광택은 미국특허 제 3,176,052호에서 기술된 공중합체의 그것보다 훨씬 우수하기 때문에 불리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평다이(flat die)를 통한 취입압출(blow extrusion) 또는 압출이라는 주지의 기술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목적으로 주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제한코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4]
하기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을 취입 압출에 의하여 필름으로 전환한다 :
(A) 용융지수(ASTM 표준규정 D 1238-73에 따름) 0.8dg/분, 밀도(프랑스 표준규정 T 51-063에 따름) 0.919g/cm3, 수평균 분자량(겔투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됨) 43,000, 다분산성지수 Mw/Mn 3.6, 전체불포화도가 탄소원자 1000개당 0.39 이중결합, 그리고 결정성분획의 융점(시차열분석법에 의함) 122℃인 에틸렌/1-부텐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에서 1-부텐분포의 불균질성(공중합체 분획시험에 의해 결정됨)은 고려된 분획에 따라 1부텐 단위의 비율이 평균비율의 0.5배 내지 2.2배로 표시되는 상기 공중합체. 이 공중합체는 유럽특허출원공고 제 0,070,220호의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다.
(B)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얻어지며, 밀도 0.921g/cm3및 용융지수 1.1dg/분인 에틸렌 단일중합체.
전환조건은 하기와 같다.
조성물의 온도 : 200℃
압출 스크루우의 회전속도 : 80rpm
팽창비(swelling ratio) : 3.0
표 I은 조성물중 공중합체(A)의 중량비 이외에 50미크론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측정한 하기 특성의 결과를 보여 준다 :
- 모두 ASTM 표준규정 D 882-67에 따라 결정된 종방향의 최종장력 UTSL(kg/cm3으로 표시) 및 횡방향의 파괴연신율, EBT(%로 표시) 및
- TAPPI 표준규정 T 638 SU 72에 따라 결정된 용접부의 고온강도, HSW(g/mm로 표시), 같은 표는 각 조성물에 대해서 파괴됨 없이 2시간 동안 필름관의 연속제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장 작은 두께이며, ㎛로 표시된 공업연신률(industrial stretchability)(IS)의 한계를 보여준다.
[표 I]
Figure kpo00001
쉽게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4는 비교예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의 인장특성 및 용접부의 고온강도의 값은 함유되는 순수 중합체 각각의 특성치의 산술평균보다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값을 갖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공업연신률은 함유되는 순수중합체 각각의 공업연신률의 산술평균보다 유리하게, 그리고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적다.
[실시예 5∼7]
다음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취입압출에 의하여 필름으로 전환한다 :
(A) 상기예에서 사용된 불균질 공중합체 및
(B)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얻어지며, 밀도 0.923g/cm3및 용융지수 0.3dg/분인 에틸렌 단일중합체.
전환조건은 조성물의 온도(205℃)를 제외하고는 전과 같다. 표 II는 조성물중 공중합체(A)의 중량비 및 공업연신률 IS 외에도 50미크론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의 상기와 같이 측정된 특성 및 광학헤이즈 H(%) (ASTM 표준규정 D 1003에 따름) 및 광학적 광택 G(%) (ASTM 표준규정 D2457에 따름)를 보여준다.
[표 II]
Figure kpo00002
비교용으로, 순수 공중합체(A)로 부터 같은 조건하에서 얻은 같은 두께의 필름은 헤이즈 H가 10.5% 및 광학적 광택 G가 99%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10]
다음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취입압출에 의하여 필름으로 전환한다.
(A)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불균질 공중합체 및
(B)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얻어지며 밀도 0.924g/cm3및 용융지수 2dg/분인 에틸렌 단일 중합체. 전환온도는 조성물의 온도(17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예와 같다. 표 III은 조성물 중 공중합체(A)의 중량비 및 공업 연신률 IS 이외에도 50미크론 두께의 필름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의 상기와 같이 측정된 특성 및 ASTM 표준규정 D 1709-67에 따라 결정된 내충격성 IR(g/μ)을 보여준다.
[표 III]
Figure kpo00003
비교용으로, 순수 공중합체(A)는 내충격성 3.0g/μ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1~14]
다음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취입압출에 의하여 필름으로 전환한다 :
(A) 용융지수(0.9dg/분) 및 그의 밀도(0.930g/cm3)를 제외하고는 상기예에서와 같은 에틸렌/1-부텐공중합체 및
(B) 아크릴레이트 17.5중량%를 함유하며, 용융지수 1.7dg/분 및 밀도 0.925g/cm3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전환조건은 하기와 같다.
- 조성물의 온도 : 250℃
- 압출 스크루우의 회전속도 : 60rpm
- 팽창비 : 3.0
표 IV는 조성물 중 공중합체(A)의 중량비 이외에도 종방향의 최종장력, UTSL, 횡방향의 파괴연신율, EBT, 및 ASTM 표준규정 D 1922-67에 따라 결정된 종방향의 인열강도 TSL 및 횡방향의 인열강도 TST(g으로 표시)를 나타낸다.
[표 IV]
Figure kpo00004

Claims (12)

  1. 상기 비중 0.91∼0.94인 1종 이상의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 2∼25중량%, 그리고 공중합체내 α-올레핀 단위의 평균비율이 1∼8몰%이며, 비중 0.905~0.940 및 용융지수 0.4~3dg/분인 에틸렌과 탄소원자 4이상을 함유하는 α-올레핀과의 1종 이상의 공중합체 75~98%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공중합체 내의 α-올레핀 단위의 분포가 불균질이며, 상기 공중합체는 결정성 분획 및 무결정성 분획을 함유하고, 공중합체내 α-올레핀 단위의 비율이 고려되는 분획에 따라 그들 평균 비율의 0.2배 이상~5배 이하 사이에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는 용융지수가 0.2∼4dg/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3. 제1항 및 2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결정성 분획이 118°-130℃ 사이에 단일 용융피키를 가지며, 전체 공중합체의 20∼50중량%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15,000~16,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하나의 α-올레핀을 함유하며, 그의 다분산성 지수는 3~9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2개의 α-올레핀을 함유하며 이들의 각각의 평균 비율이 0.25~4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다분산성 지수가 4~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α-올레핀이 1-부텐, 1-헥센, 4-메틸, 1-펜텐 및 1-옥텐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과 일산화탄소,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상기산 및 탄소원자 1∼8개인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및 비닐 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 중합체는 탄소원자 1∼8개인 알킬기를 가진 1종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25중량%까지 함유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11.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전체 불포화도는 탄소원자 1000개당 0.25∼0.50 이중 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12. 상기 비중 0.91∼0.94인 1종 이상의 자유 라디칼 에틸렌 중합체 2∼25중량%, 그리고 공중합체내 α-올레핀 단위의 평균 비율이 1∼8몰%이며, 비중 0.905∼0.940 및 용융지수 0.4∼3dg/분인 에틸렌과 탄소원자 4이상을 함유하는 α-올레핀과의 1종 이상의 공중합체 75∼98%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공중합체 내의 α-올레핀 단위의 분포가 불균질이며, 상기 공중합체는 결정성 분획 및 무결정성 분획을 함유하고, 공중합체내 α-올레핀 단위의 비율이 고려되는 분획에 따라 그들 평균 비율의 0.2배 이상~5배 이하사이에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로 부터 수득되는 두께 5∼200㎛인 필름.
KR1019830002364A 1982-06-03 1983-05-28 필름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KR920001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209633 1982-06-03
FR82-09633 1982-06-03
FR8209633A FR2528054B1 (fr) 1982-06-03 1982-06-03 Compositions de copolymeres ethylene/a-olefine et de polyethylene radicalaire et leur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e fil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921A KR840004921A (ko) 1984-10-31
KR920001234B1 true KR920001234B1 (ko) 1992-02-08

Family

ID=927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364A KR920001234B1 (ko) 1982-06-03 1983-05-28 필름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623581A (ko)
EP (1) EP0102854B1 (ko)
JP (1) JPS591551A (ko)
KR (1) KR920001234B1 (ko)
AT (1) ATE22458T1 (ko)
AU (1) AU567097B2 (ko)
BR (1) BR8302913A (ko)
CA (1) CA1211593A (ko)
CS (1) CS239939B2 (ko)
DE (1) DE3366416D1 (ko)
ES (1) ES8504882A1 (ko)
FI (1) FI76823C (ko)
FR (1) FR2528054B1 (ko)
HU (1) HU196618B (ko)
IN (1) IN161028B (ko)
NO (1) NO161225C (ko)
PT (1) PT767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481A (en) * 1985-06-17 1991-10-22 Viskase Corporation Biaxially stretched, heat shrinkable VLDPE film
US5256351A (en) * 1985-06-17 1993-10-26 Viskase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biaxially stretched, heat shrinkable VLDPE films
CA1340037C (en) * 1985-06-17 1998-09-08 Stanley Lustig Puncture resistant, heat-shrinkable films containing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copolymer
WO1987002933A1 (en) * 1985-11-07 1987-05-21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Transparent high-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4709808A (en) * 1986-04-25 1987-12-01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and articles prepared from same
US4714741A (en) * 1986-04-25 1987-12-22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EP0299750B1 (en) * 1987-07-13 1994-09-28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Linear polyethylen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229458A (en) * 1987-08-19 1993-07-20 Ppg Industries, Inc. Powder coating of particulate thermoset resin and olefin-maleic anhydride copolymer
US4882229A (en) * 1988-04-29 1989-11-21 Shell Oil Company Blends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butylene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US5032463A (en) * 1988-07-18 1991-07-16 Viskase Corporation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from blends
EP0377121A3 (en) * 1988-12-03 1992-03-25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Medical bag
CA2003882C (en) * 1988-12-19 1997-01-07 Edwin Rogers Smith Heat shrinkable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terpolymer film
CA2020649C (en) * 1989-07-20 2002-06-25 Richard Kenneth Roberts Tough monolayer shrink film for products containing moisture
US5112696A (en) * 1989-07-20 1992-05-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monolayer shrink film for products containing moisture
CA2032272C (en) * 1989-12-18 2000-08-29 John Douglas Snyder Improved heat shrinkable polyolefin film
US5582923A (en) * 1991-10-15 1996-12-10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sion compositions having high drawdown and substantially reduced neck-in
US5378764A (en) * 1992-10-08 1995-01-03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ethylene blends
WO1999006482A1 (fr) 1997-08-01 1999-02-11 Elf Atochem S.A. Composition comprenant plastomere metallocene de densite inferieure a 0.900 et copolymere ethylene/(meth)acrylate d'alkyle
US6827807B2 (en) * 2002-04-09 2004-12-07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structures having a layer formed from a blend of a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and an ethylene-alkyl acrylate interpolymer
US7147930B2 (en) 2003-12-16 2006-12-12 Curwood, Inc. Heat-shrinkable packaging films with improved sealing properties and articles made thereof
TWI561563B (en) * 2012-02-15 2016-12-11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Encapsulating sheet for solar cell, solar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solar cell
CA2837591A1 (en) 2013-12-19 2015-06-19 Nova Chemicals Corporation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extrusion coating
JP2019094509A (ja) * 2019-03-15 2019-06-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6052A (en) * 1960-08-08 1965-03-30 Du Pont Blends of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CA849081A (en) 1967-03-02 1970-08-11 Du Pont Of Canada Limited PRODUCTION OF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S OF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3682767A (en) * 1970-10-02 1972-08-08 Du Pont Ethylene copolymer blend for liquid packaging film
DE2254440B2 (de) * 1972-11-07 1975-10-09 Basf Ag, 6700 Ludwigshafen Herstellung von Schrumpffolien
JPS5286440A (en) * 1976-01-12 1977-07-18 Mitsui Toatsu Chem Inc Self-adhesive film for packaging
JPS5331751A (en) * 1976-09-03 1978-03-25 Jujo Paper Co Ltd Packaging film
JPS53125452A (en) * 1977-04-09 1978-11-01 Mitsui Petrochem Ind Ltd Polyolefin composition
US4243619A (en) * 1978-03-31 1981-01-06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film from low density ethylene hydrocarbon copolymer
US4425268A (en) * 1980-02-02 1984-01-10 Bemis Company, Inc.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stretch wrap film
JPS56152853A (en) * 1980-04-30 1981-11-26 Nippon Oil Co Ltd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R2488268B1 (fr) * 1980-06-25 1985-12-06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de polyethylene radicalaire et de copolymeres ethylene-propylene et films obtenus a partir desdites compositions
JPS5734145A (en) * 1980-08-07 1982-02-24 Mitsui Petrochem Ind Ltd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composition
US4339507A (en) * 1980-11-26 1982-07-13 Union Carbide Corporation Linear low density ethylene hydrocarbon copolymer containing composition for extrusion coating
FR2509315A1 (fr) 1981-07-10 1983-01-14 Charbonnages Ste Chimique Copolymeres heterogenes de l'ethylene pour la fabrication de films
FR2528055B1 (fr) * 1982-06-03 1986-01-24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de polyethylene radicalaire et de copolymeres ethylene/a-olefine et leur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e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31972L (no) 1983-12-05
ES522881A0 (es) 1985-05-01
FR2528054A1 (fr) 1983-12-09
CS239939B2 (en) 1986-01-16
FI76823B (fi) 1988-08-31
EP0102854A1 (fr) 1984-03-14
DE3366416D1 (en) 1986-10-30
AU567097B2 (en) 1987-11-12
HU196618B (en) 1988-12-28
PT76798B (fr) 1985-12-16
NO161225C (no) 1989-07-26
NO161225B (no) 1989-04-10
KR840004921A (ko) 1984-10-31
FI76823C (fi) 1988-12-12
IN161028B (ko) 1987-09-19
EP0102854B1 (fr) 1986-09-24
CA1211593A (fr) 1986-09-16
PT76798A (fr) 1983-07-01
FR2528054B1 (fr) 1986-05-16
FI832012A0 (fi) 1983-06-03
ES8504882A1 (es) 1985-05-01
JPH0136496B2 (ko) 1989-08-01
JPS591551A (ja) 1984-01-06
US4623581A (en) 1986-11-18
AU1534483A (en) 1983-12-08
BR8302913A (pt) 1984-02-07
ATE22458T1 (de) 1986-10-15
FI832012L (fi) 198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34B1 (ko) 필름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KR920001235B1 (ko) 필름 제조용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US5380803A (en) Polyethylene blends
EP0696303B1 (en) Blends of graft-modified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polymers and other thermoplastic polymers
US20050228133A1 (en) Polyolefin-based adhesive resins
KR19990035751A (ko) 케이블 외장 조성물
JPS60226538A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
KR910005563B1 (ko) 올레핀중합체의 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중합 혼합물
US6294609B1 (en) Composition based on a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and its use
US3684778A (en) Polymers of ethylene, sulfur dioxide and ethylenic monomers
US6696524B2 (en) Low Tg ethylene-based polymer, cycloolefin polymer blends
US4746704A (en) Chemically modified polyolefin
JPH0377823B2 (ko)
JPS6412301B2 (ko)
US3435098A (en) Resin composition of a vinyl chloride polymer blended with an ethylene-vinyl chloride copolymer
US6509090B1 (en) Composition comprising metallocene plastomer and ethylene/alkyl (meth) acrylate polymer with their secant moduli ratio greater than 1
KR100188186B1 (ko) 열봉합성,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CA2160794C (en) Blends of graft-modified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polymers and other thermoplastic polymers
JPH078934B2 (ja) 塩化ビニリデンインターポリマーとオレフィンポリマーとのブレ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