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98B1 - 부착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부착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98B1
KR920000898B1 KR1019840008096A KR840008096A KR920000898B1 KR 920000898 B1 KR920000898 B1 KR 920000898B1 KR 1019840008096 A KR1019840008096 A KR 1019840008096A KR 840008096 A KR840008096 A KR 840008096A KR 920000898 B1 KR920000898 B1 KR 92000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washing
enzyme
tai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797A (ko
Inventor
구니하루 나까이
다까이찌 오오야
신사브로 나까
다께시 쓰하다
Original Assignee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노 모또히로
코스모기껜 가부시끼가이샤
신사브로 나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노 모또히로, 코스모기껜 가부시끼가이샤, 신사브로 나까 filed Critical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착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
본 발명은 기구류에 부착한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기로는 수산용구 등의 기구류에 부착한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태양식망, 해태발, 해태스폰지, 어패류 양식망 등의 수산 양식, 포획 및 가공 용구에 부착한 조류를 세정 제거할 때, 프로테아제, 팩티나제, 셀루라제, 세포벽 분해 효소 및 리파제로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소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해태양식망, 해태발, 해태스폰지, 어패류 양식망, 어선등에는 사용중에 조류가 부착하여 그 기능이 상실되므로 여러 가지의 세정 제거방법이 실행되고 있다. 예를들면, 해태(porphyra 속)의 양식에 사용되는 해태망에는 해태를 채집한 뒤에도 그 해태와 기타의 오염의 피해가 있는 규조류가 부착하여 있으므로, 다음 회의 해태 포자의 접종에 지장을 주므로, 여러 가지의 세정방법이 실행되고 있다. 예를들면, 해태망을 7~10일간 흙속에 매몰하는 일, 봄으로부터 여름에 걸쳐서 해수의 온도가 상승할 무렵에 약 1개월정도 해태망을 해수중에 침강시키는 일, 또는 해태망을 비닐봉지에 넣어서 밀봉하는 등을 하며 미생물에 의한 부패, 분해를 시키고 또한 세탁기로 세정하는 세정방법이 실행되고 있다. 이들 방법은 시간이 너무 걸리는 점, 부패시키므로 악취가 발생하는 점, 세정 효과가 불량한 점 등의 결점이 있다.
다음에, 해태망으로부터 채집된 해태는 해태발에 얇게 깐후 해태의 수분을 없애서 건조된다. 해태의 수분을 없애는 방법으로서, 전자동 해태 제조기로서는 해태스폰지에 수분을 흡취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해태 스폰지는 화장용 분첩에 사용되고 있는 세목의 것이므로 단기간의 사용중에 규조류가 부착하여 탄성률의 저하와 눈이 막히므로 해태의 탈수 효과가 저하한다. 해태 스폰지를 세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수세와 계면활성제, 산화제등의 약제를 사용하는 세정이 실행되고 있으나, 눈막힘을 완전히 회복하기에는 불충분하며, 또한 약제에 의한 스폰지의 열화, 약제를 제거하기 위한 수세가 번거로운 등의 결점이 있다. 또 건조한 해태를 박리한 뒤의 해태발에는 건 해태가 반점상으로 부착한다. 이 부착한 건 해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는 해태발을 장시간 물에 침지한 후, 브러시로 닦거나 아니면 고압의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는 세정방법이 실행되었었다. 이들 방법의 결점은 해태발의 편사가 절단되기 쉽고, 발의 수명을 짧게하는 점, 발의 뒷면이나 발의 사이까지는 충분히 세정되지 못하는 점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어패류 양식망, 어패류 포획 용구 등 수성 매질과 접촉하는 수산용구류에는 조류가 부착하므로 그 세정방법이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산용구 등의 기구류에 부착한 조류의 세정 제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간편하고 효과가 확실한 조류가 부착한 기구류의 세정 방법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뜻밖에도 효소에 의한 세정이 극히 유효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효소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팩티나제, 셀루라제, 세포벽 분해 효소 및 리파제로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가 사용된다. 효소는 순수하게 정제된것이어도 좋고, 또한 미정제된 조효소이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효소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공지의 계면활성제, 세정제등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세정되는 기구류로서는 조류가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농림수산업과 공업에서 사용되는 기구류로서, 바람직하게는 담수성, 기수성 또는 해수성의 수산 양식, 포획 또는 가공에 사용되는 해태 양식망, 해태발, 해태 스폰지, 어망, 어패류 양식망, 어선 등, 가장 바람직하게는 해태 양식망, 해태발, 해태 스폰지와 어패류 양식망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세정 제거되는 기구류에 부착하는 조류로서는 녹조강(Chlorophyceae)에 속하는 모노스트로마(Monostroma) 속, 울바(Ulva)속, 엔테로모르파(Enteromorpha)속, 울로트릭스(Ulothrix)속, 클라도포라(Cladophora)속 등, 홍조강(Phodophyceae)에 속하는 포르피라(Porphyra)속, 겔리듐( Gelidium)속, 글로이오펠티스(Gloiopeltis)속, 그라실라리아(Gracilaria)속, 폴리시포니아(Polysiphonia)속, 세라뮴(Ceramium)속 등, 규조강(Bacillariophyceae)에 속하는 디아토마(Diatoma)속, 시네드라(Synedra)속, 리크모포라(Licmophora)속, 멜로시라(Melosira)속, 나비쿨라(Navicula)속, 아쉬난테스(Achnanthes)속 등, 갈조강(Phaeophyceae)에 속하는 엑토카르푸스(Ectocarpus)속, 라미나리아(Laminaria)속, 사코르히자(Saccorhiza)속, 데스마레스티아(Desmarestia)속, 남조강(Cyanophyceae)에 속하는 필로데르마(Phylloderma)속 등, 와편모조강(Dinophyceae)에 속하는 김노디늄(Gymnodinium)속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류가 부착한 기구류를 세정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실행함이 바람직하다. 물 등의 수성용매에 효소를 0.0001~30%(W/V,이하 동일함), 바람직하게로는 0.001~0.5%의 농도에 용해한 수용액에 기구류를 침지하고, 0~60℃, 바람직하게로는 20~40℃에 있어서, 1~24시간, 바람직하게로는 5~10시간 세정한다. 효소의 수용액에는 세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세정제 등의 약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세정중에는 효소의 수용액을 순환 또는 교반함이 바람직하다. 그후, 기구류를 꺼내어 간단히 수세하면 부착해 있던 조류는 용이하게 제거된다. 또는 상기 농도와 온도의 효소의 수용액을 기구류에 분무하여 상기 시간 방치한후, 수세한 방법을 실행하여도 된다.
[실시예 1]
해태의 제조에 사용되고 건 해태가 부착해 있는 해태발(약 27×29cm의 장방형)을 준비하고, 이를 제1표에 나타낸 각 효소, 즉 프로테아제(상품명 : 프로테아제 「아마노」A, 일본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팩티나제(상품명 : 팩티나제 G「아마노」일본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셀루라제(상품명 : 셀루라제 「아마노」T, 일본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아미라제제(상품명 : 비오자임 C, 일본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세포벽 분해 효소제(상품명 : 자이모리에이스, 일본 기린 맥주사 제품), 헥산 분해 효소제(상품명 : 리보뉴클레아제 P, 일본국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또는 리파제제(상품명 리파제 「아마모」A, 일본 아마노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의 각 농도의 수용액 500ml에, 10℃ 또는 30℃에 있어 각 시간 침지하였다. 그후 해태발을 꺼내어서 간단히 수돗물로 세정하였다. 세정효과는 해태의 제조에 사용되기 전의 해태발의 중량과 효소에 의한 세정 전 후의 해태발의 중량을 측정하여 세정에 의하여제거된 해태의 중량의 세정 전 부착해 있던 해태의 중량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여 이로써 나타냈다. 결과는 제1표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로테아제제에 의한 세정 효과가 가장 높고 다음이 셀루라제제, 리파제제, 팩티나제제와 세포벽 분해 효소제에 효과가 나타났다.
[제1표]
Figure kpo00001
[실시예 2]
해태 제조에 사용되고, 규조류가 부착한 해태 스폰지(크기 약 23×25×2cm의 입방체)를 실시예 1에 기재한 것과 같은 프로테아제제, 팩티나제제 또는 셀루라제제의 0.05% 수용액 1ℓ 에 침지하고, 약 30℃에서 5시간 방치하였다. 다음에 해태 스폰지를 꺼내어 수돗물을 흘린 결과, 부착 규조류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또한 해태 스폰지의 탄성률을 측정(세정 후의 해태 스폰지에 10kg의 분동을 놓고 5분간 방치 후, 분동을 내리고 5초 사이에 원위치에 되돌아가는 비율로 표시)한 결과, 프로테아제제로 세정한 해태 스폰지는 100%되돌아오고, 팩티나제제는 85%, 셀루라제제는 80%이었다. 이에 대하여 대조(상기 효소 대신에 물을 사용)는 70%이었다.
[실시예 3]
해태를 채집한 후의 해태 양식망(폭 1.2m, 길이 18m)을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프로테아제제, 팩티나제제 또는 셀루라제제의 0.05% 수용액 50ℓ에 침지하고, 온도 30~40℃ 또는 약 10℃에 있어, 도중에 때때로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10시간 방치하였다. 다음에 망을 꺼내어 수돗물로 부착물을 세정한 후, 세정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동 표중(-)는 부착물이 거의 없음을 나타내며, (+), (++), (+++)의 순으로 많아짐을 나타낸다]. 프로테아제제로 세정한 망은 편목까지 완전히 세정되어 있었다. 또한 이 세정한 망을 해태의 양식에 사용한 결과, 해태의 생육에는 전혀 지장이 없었다.
[제2표]
Figure kpo00002
[실시예 4]
송어의 양식장에서 사용되고 조류가 부착한 양식망(폭 3m, 길이 20m)을 0.02% 프로테아제제와 0.05% 셀루라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100ℓ에 침지하고, 약 30℃에 있어서 도중에 수용액을 때때로 교반하면서 5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양식망을 꺼내어 수돗물로 세정한 결과, 부착 조류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본 발명 방법에 따라서 조류가 부착한 기구류를 효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세정한 결과, 종래의 물리적,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극히 용이하게, 또한 완전히 세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사용한 효소의 기구류에의 잔류도 수세에 의하여 용이하게 저하시킬 수가 있었다.

Claims (2)

  1. 조류가 부착된 수산용구를 프로테아제, 펙티나제, 셀루라제, 세포벽 분해 효소 및 리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효소를 0.0001~3.0% 농도 및 계면활성제를 0~30% 농도로 각각 용해시켜 수득한 세정액에 침적하고 온도 0~60℃에서 1~24시간 방치 또는 교반하면서 방치한 후 이 수산용구를 수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조류의 세정방법.
  2. 조류가 부착된 수산용구에 프로테아제, 펙티나제, 셀루라제, 세포벽 분해 효소 및 리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효소를 0.0001~3.0% 농도 및 계면활성제를 0~30% 농도로 각각 용해시켜 수득한 세정액을 분무하여 온도 0~60℃에서 1~24시간 방치한 후 이 수산용구를 수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조류의 세정방법.
KR1019840008096A 1984-07-26 1984-12-19 부착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 KR920000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6,232/84 1984-07-26
JP156.232/84 1984-07-26
JP59156232A JPS6134099A (ja) 1984-07-26 1984-07-26 付着藻類の洗浄除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797A KR860000797A (ko) 1986-02-20
KR920000898B1 true KR920000898B1 (ko) 1992-01-30

Family

ID=1562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096A KR920000898B1 (ko) 1984-07-26 1984-12-19 부착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34099A (ko)
KR (1) KR920000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749Y2 (ja) * 1991-04-25 1995-09-06 有限会社マツオエンジニアリング 無段変速用駆動ベルト
US6100080A (en) * 1996-12-18 2000-08-08 Novo Nordisk A/S Method for enzymatic treatment of biofilm
US20170081616A1 (en) * 2014-05-28 2017-03-23 Novozymes A/S Use of Polypeptide
ES2865486T3 (es) * 2016-12-22 2021-10-15 Aquafilslo D O O Un proceso para la obtención de cobre a partir de redes de pesca de desech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4560B2 (ko) 1992-10-15
JPS6134099A (ja) 1986-02-18
KR860000797A (ko) 198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nnister et al. Biofouling in marine aquaculture: a review of 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s
Hodson et al. Biofouling of fish-cage netting: the efficacy of a silicone coating and the effect of netting colour
Wahl et al. Non‐toxic protection against epibiosis
Ralston et al. Bioinspiration—the solution for biofouling control?
De Nys et al. The impact and control of biofouling in marine finfish aquaculture
Arens et al. Pressurized seawater as an antifouling treatment against the colonial tunicates Botrylloides violaceus and Botryllus schlosseri in mussel aquaculture
Caddy Progressive loss of byssus attachment with size in the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KR920000898B1 (ko) 부착 조류의 세정 제거방법
Teas et al. Saving oiled mangroves using a new non-dispersing shoreline cleaner
Nickell et al. Occurrence and activity of mobile macrofauna on a sublittoral reef: diel and seasonal variation
CN104276669B (zh) 一种用于泥鳅养殖水的微生物净水剂及其制备方法
Bakker et al. The use of food grade oil in the prevention of vase tunicate fouling on mussel aquaculture gear
JP5727953B2 (ja) アワビの養殖方法
Arakawa et al. Prevention and removal of fouling on cultured oysters: a handobook for growers
CA2365176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lice
Fish Digestion and the production of sulphuric acid by Mollusca
CN105636433A (zh) 利用低浓度过氧化氢水的鱼类外部寄生虫驱除方法
Sallam et al. Hyastenus hilgendorfi (De Man, 1887)(Brachyura, Pisidae): a heavily encrusted decorator crab inhabiting the Suez Canal
CN115136962A (zh) 高效清塘剂
Creese et al. Marine conservation in New Zealand
KR200241833Y1 (ko) 패류의 양식장치
JP2007060910A (ja) 海藻と二枚貝の混合養殖方法
CN108541693B (zh) 一种有效治理港湾内海月水母暴发的方法
JPH06227907A (ja) 水中有害生物付着阻止剤および付着阻止方法
JPH07184507A (ja) 貝類の養殖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養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