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51B1 -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 Google Patents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51B1
KR920000851B1 KR1019890020790A KR890020790A KR920000851B1 KR 920000851 B1 KR920000851 B1 KR 920000851B1 KR 1019890020790 A KR1019890020790 A KR 1019890020790A KR 890020790 A KR890020790 A KR 890020790A KR 920000851 B1 KR920000851 B1 KR 92000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sewing
driving
butto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023A (ko
Inventor
고오이찌 사꾸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세이사꾸쇼
스즈끼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세이사꾸쇼, 스즈끼 시게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9002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851B1/ko
Publication of KR91001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12Slides; Needl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제1도는 본 발명의 단추구멍 재봉틀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제2도는 본 재봉틀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재봉틀의 일부 정면도.
제4도는 본 재봉틀의 일부 파단한 배면도.
제5도는 본 재봉틀의 상면도.
제6a-b도는 본 재봉틀에 의하여 사뜬 단추구멍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7a도는 본 재봉틀의 주기구를 도시하는 개략사시도.
제7b도는 본 재봉틀의 주기구의 작동 블록도.
제8도는 본 재봉틀의 주기구를 그 저부로부터 본 저면도.
제8a도는 본 재봉틀의 비둘기 눈구멍식 사뜨기·일자식 사뜨기 절환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제9도는 본 재봉틀의 원동력 전달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10도는 본 재봉틀의 바늘대 부분의 설명도.
제10a-c도는 본 재봉틀의 바늘대 상하 동기구의 설명도.
제11도 및 제11a도는 루우퍼·스프레더 기구의 설명도.
제12도 및 제12a-b도는 본 재봉틀의 지대(支臺) 베드 받이대, 베드, 아암, 주캠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3도, 제13a-b도는 본 재봉틀의 동력절환 클러치 기구의 설명도.
제14도, 제14a-q도는 본 재봉틀의 모오드 절환기구의 설명도.
제15도, 제15a-b도는 본 재봉틀의 메스구동 기구의 설명도.
제16도, 제16a도는 천 클램프 기구의 설명도.
제17도, 제17a-b도는 천 클램프 기구의 설명도.
제18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바늘대 및 루우퍼, 스프레더의 선회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9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제19a-c도는 상기 클러치 구동장치의 작동설명도.
제20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제어캠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0a-c도는 상기 제어캠 기구에 사용되는 주캠의 설명도.
제21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1a도는 상기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의 평면도.
제21b도는 제21a도의 X-X선 단면도.
제22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바늘질땀 보내기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2a도는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의 부분사시도.
제22b도는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의 부분단면도.
제23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비둘기 눈구멍식 사뜨기·일자식 사뜨기 절환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4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바늘요동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4a도는 상기 바늘요동 기구의 부분설명도.
제24b도는 상기 바느요동 기구의 동작설명도.
제25도는 본 재봉틀의 바늘실(바늘에 꿴실)후리기 기구의 사시도.
제26도는 본 재봉틀에 있어서의 빨리보내기를 위한 빨리보내기 기구 및 땀 보내기를 위한 간헐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26a-c도는 상기 기구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베드 10 : 바느질땀 형성장치
10a : 바늘대 구동기구 11 : 바늘
20 : 바늘대 22 : 위축
27 : 입축(立軸) 30a : 바늘 요동기구
61 : 아래축 80 : 메스기구
100 : 클러치 수단 102 : 중간축
103 : 빨리보내기기구 103a : 빨리보내기 동력전달계
187 : 간헐브레이크 수단 210 : 모오드 절한 기구
300 : 제어캠 기구 301 : 주캠
330 :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 330b : 보진(步進)구동부
330c : 바느질땀 보내기의 동력전달계 330d : 바느질땀수 조절 기구
330e : 바느질땀수 증감부 370a : 선회기구
800 : 루우퍼·스프레더 기구 809 : 루우퍼
810 : 스프레더 850 : 바늘대 상하동기구
900 : 비둘기 눈구멍식 사뜨기 일자식 사뜨기
930 : 클러치 구동장치 974 :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
1000 : 천 클램프 기구
본 발명은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되고, 또 조작성이 양호하고, 완성된 단추구멍의 사뜨기 바느질이 아름답고 바느질이 고른 이러한 종류의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늘게 찢어진 슬릿 S(제6a도)의 일단에 확대된 비둘기 눈구멍 e가 위치하고 슬릿 s의 양측에는 그것에 직교되는 평행의 바느질땀 a,a′가 형성되고, 이 바느질땀은 방사형상의 바느질땀 b와 오프세트 바느질땀, c,c′에 의하여 연결되고, 비둘기 눈구멍 e는 이들의 바느질땀 c,c′,b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단추구멍 사뜨기가 관용되고 있다. 또, 비둘기 눈구멍 e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느질땀 a,a′는 바느질땀 b와 연결되어(제6h도) 이른바 일자식 단추구멍 사뜨기가 만들어진다.
이와같은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는 재봉틀은 극히 긴 발전역사를 가지고 있고, 하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형식의 것이 개발되고 또한 발표되고 있다.
a-1 일본특허 제25276호 명세서
2 일본특허 제26968호 명세서
3 일본특허 제36153호 명세서
b 일본특허 제94060호 명세서
c-1 일본특허 제118369호 명세서
2 일본특허 제118405호 명세서
3 일본특허 제123686호 명세서
4 일본특허 제135034호 명세서
5 일본특허공보 소화 30-1125호 명세서
d 일본특허공보 소화 25-536호 명세서
e 일본특허공보 소화 28-3541호 명세서
f 일본특허공보 소화 26-730호 명세서
g-1 일본특허공보 소화 26-730호 명세서
2 일본특허공보 소화 26-4886호 명세서
3 일본특허공보 소화 27-2893호 명세서
4 일본특허공보 소화 30-1126호 명세서
5 일본특허공보 소화 30-5834호 명세서
이들의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은 일반적으로 1/2-1/4 HP의 모우터를 사용하여 이것으로부터 한쪽의 벨트구동계에 의하여 메스작동 및 천 눌러보내기 기구에, 다른쪽 벨트구동계에 의하여 바느질땀 형성기구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극히 대형(약 100kg)을 이루고 있고, 쉽게 운반을 할 수 없었다. 대형이고 중량이 무거워서 대량의 소비에너지가 필요하고 에너지의 절약이라는 관점으로 좋지않다.
또, 이러한 종류의 재봉틀은 정밀기계로 구성은 되어 있으나 그 조작성이 떨어지고 또한 그 조정이 극히 고도의 기술적인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주로 봉제공장 등에서 설비비나 관리비를 담당하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었다. 이로인해 양복점이나 양장학원등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
또, 이른바 선메스(먼저 단추구멍을 절단하고 나서 바느질땀을 형성하는 일) 또는 후메스(바느질땀을 형성하고 나서 단추구멍을 절단하는 일)등의 봉합조건에 따라 각 조건에 적합한 재봉틀을 각각 설비해야 할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되고 운반이 편리하고 또한 조작성이 양호하고 완성된 단추구멍의 사뜨기가 아름답고 바느질땀이 고른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은 천을 천 클램프 수단과 함께 지지하는 베드를 포함하는 재봉틀 본체와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대를 위한 상하동기구 및 바늘요동 기구를 가진 바늘대 구동기구, 루우퍼 및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루우퍼·스프레더기구 및 상기 바늘대, 루우퍼·스프레더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에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는 바느질땀 형성장치와 상기 상하동기구를 구동하는 위축과 상기 루우퍼·스프레더기구를 구동하는 아래축과 상기 천에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메스기구와 상기 베드를 위한 빨리보내기 기구 및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가지는 제어캠 기구와 상기 위축에 연동해서 상기 바늘요동 기구, 상기 아래축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구동하는 입축을 가지고 모우터로 구동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이 모우터의 토오크를 빨리 보낼시에는 중간축에 전달하여 상기 삘리보내기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베드를 빨리보내고,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상기 위축, 입축, 아래축의 하나에 전달해서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바느질땀 형성장치에 의하여 바느질땀 형성을 하는 클러치 수단을 설치하므로써 상기 모우터를 이 재봉틀 본체에 직접 장착하여 운반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이 재봉틀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에 의한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상기 제어캠기구를 각 바느질땀 보내기 때마다 제동 해제하고, 상기 상하동기구에 의하여 상기 바늘이 상기 천에 서로 걸려있는 동안은 제동을 가하는 간헐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 본 재봉틀은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에 연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움직이는 종동부(從動部)와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의 접착이탈을 하는 절환기구를 가지는 모오드 절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에 연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움직이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의 접착이탈을 하고, 또 상기 제어캠 기구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접착이탈의 타이밍을 취급하는 절환기구를 가지는 모오드 절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캠기구는 원판상의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은 주캠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빨리 보내기 기구는 그 중간축으로부터 상기 캠의 외주를 구동하는 동력전달계를 가지고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으로부터 보진(步進)구동부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보진으로 동력전달계를 가진다.
상기 보진구동부는 단추구멍을 둘러싼 바느질땀의 수를 전체에 걸쳐서 변경시킬 수 있는 바느질땀수 조절기구에, 그 바느질땀에 일부에 있어서 바느질땀수를 증감할 수 있는 바느질땀수 증감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캠은 상기 바느질땀수 증감부를 제어하는 바느질땀수 증감용 외주캠을 가진다. 이 바느질땀 형성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땀수를 각각 증감시키는 이 바느질땀수 증감부와 상기 베드를 가로로 요동시켜서 비둘기 눈구멍식 사뜨기로 가로로 요동시키지 않고 일자식 구멍 사뜨기 절환하는 비둘기 눈구멍식 사뜨기·일자식 구멍사뜨기 절환기구와는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연동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바느질땀수 증감량을 조정하는 조정부가 있다.
상기 주캠은 이 바느질땀 형성 및 빨리보내기의 1사이클 종료시에는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에 연동된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움직이는 종동부와의 접촉이탈을 하는 모오드 절환기구를 제어하고 또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동력전달계를 차단하는 정지캠을 가진다.
상기 주캠은 상기 정지캠에 의하여 상기 베드의 정지위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에 걸쳐서 상기 베드의 보내기에 정체시키는 동경캠부분을 가진다.
상기 주캠의 상기 정지캠에 접접이 가능하고 상기 모오드 절환기구 및 상기 빨리보내기의 동력전달계에 연결된 레버를 가지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정지캠에 걸려서 이 모오드 절환 및 이 빨리보내기의 동력전달이 차단된 후에 이 주캠의 회동에 따라 이 레버를 이 정지캠으로부터 이탈하는 복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빨리보내기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간내에 상기 제어캠기구로부터 축적된 편의(扁儀 : 한쪽으로 편재됨)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빨리보내기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절환시에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의 단추구멍 길이 검출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 수단을 1피치 바느질땀 보내기 이내에 구동하는 클러치 구동장치에 구비한다.
또, 원동축과 바늘대를 구동하는 위축을 접착 이탈시키는 클러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늘대를 정위치 정지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원동축상에 접동가능으로 결합된 절환시프터와 상기 시프터에 자유로이 걸리는 걸림부, 상기 위축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진퇴유자(遊子)를 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도피시키는 해방캠과 상기 진퇴유자를 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정지캠과 상기 걸림부 및 해방캠을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소정범위에서만 회동을 허용하는 회전제한부와 상기 정지부 및 해방캠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원동축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된 한방향 클러치를 구비하는 바늘대 정위치 정지장치가 설치된다.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모우터의 토오크를 빨리보내기시에는 중간축에 전달하고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베드를 빨리보내기 하고 또 그 전이나 후에 메스를 구동시켜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상기 위축, 입축, 아래축의 하나에 전달해서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바느질땀 형성장치에 의하여 바느질땀 형성을 실시하는 클러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모우터로부터의 원동축상에 접동자재로 결합된 절환 시프터와 상기 절환 시프트에 걸림자재로 구성되는 빨리보내기 걸림부와 상기 빨리보내기 걸림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중간축을 구동하는 빨리보내기 구동부와 상기 시프터에 걸림자재의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와 상기 위축, 입축, 아래축의 하나를 구동하는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진퇴유자를 경방향 바깥쪽으로 도망시키는 해방캠과 상기 진퇴유자를 경방향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정지캠과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 및 해방캠을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에서만 회동을 허용하는 회전제한부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 및 해방캠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원동축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 사이에 설치된 한방향 클러치와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의 단추구멍 길이 검출에 따라 상기 시프터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에 이탈되는 시점을 주어서 상기 위축에 의하여 구동하는 바늘대의 정위치정지를 하는 타이밍장치와 상기 정지캠에 설치된 상기 바느대 정지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와 상기 모우터 및 상기 원동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시프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타이밍장치는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에 설치된 제어캠과 상기 제어캠에 걸림 가능한 클러치 제어아암, 상기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의 단추구멍 길이 검출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러치 제어판과 상기 클러치 제어아암 및 상기 클러치 제어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은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에 연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작동시키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를 접속, 절단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종동부에 대한 상대위치를 변경하여 선택할 수 있고 그 각 위치에 대응해서 상기 메스기구 및 (또는)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각 작동 및 그 작동순서의 작동 모오드를 택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모오드 절환 유니트를 가지고, 상기 유니트의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모오드를 따라 상기 클러치와 상기 메스기구 및 (또는)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를 각각 작동시키는 모오드 절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재봉틀은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과 연동된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작동하는 종동부와 상기 종동부에 결합된 클러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에 소정범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치된 메스작동 회전판과 상기 케이싱 및 메스작동회전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으로부터 작동아암을 개재하여 상기 클러치 케이싱을 상기 종동부에 접속 및 절단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접속의 상태로 편위하는 스프링과,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을 작동하는 메스작동 레버와 모오드 절환캠과 상기 모오드 절환캠에 걸리는 돌출핀과 메스작동 레버를 작동하는 돌기와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을 상기 돌기가 상기 메스작동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상태로 편위하는 스프링과 상기 모오드 절환캠에 의하여 진퇴하는 선메스캠과 상기 모오드 절환캠이 상기 종동부에 대한 상대위치를 선택하는 모오드 절환 손잡이와 상기 제어캠기구와 상기 메스작동 레버를 연결하는 후메스작동아암을 가진다.
상기 구동부 및 클러치는 각각 래치트 및 톱니멈춤쇠로 구성되고 상기 톱니멈춤쇠는 상기 클러치 케이싱에 지도리로 장치된다.
상기 모오드 절환캠은 선메스 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의 돌출핀을 스타아트레버작동 아암에 당점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 상기 선메스캠을 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전진시키고 후메스 작동아암을 상기 메스작동레버로부터 이탈시키는 형상을 가지고, 후메스 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스타아트레버 작동아암을 상기 메스작동회전판의 돌출핀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타아트레버 작동아암을 상기 후메스작동 아암에 당접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을 상기 메스작동레버에 걸어맞춤 기능으로 하고 상기 선메스캠을 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키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모오드 절환캠은 메스만 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메스작동회전판의 돌출핀을 상기 스타아트레버 작동아암에 당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상기 선메스캠을 경방향 안쪽으로 후퇴시켜서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을 상기 메스작동 레버로부터 이탈시키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모오드 절환캠은 메스가 없는 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메스작동회전판의 돌출핀으로부터 스타아트레버 작동아암을 이탈시키는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을 상기 메스작동레버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선메스캡을 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키는 형상을 하고 있다.
본 재봉틀은 1형태에 있어서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에 연동된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작동하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를 접속·절단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종동부에 대하여 상이한 상대위치를 가지고 그 위치에 대응해서 상기 메스기구 및(또는)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각작동 및 작동순서의 각종 모오드의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모오드 절환 유니트를 상기 각종 모오드에 따라서 교환가능으로 복수개 가지고, 교환된 상기 유니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모오드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와 상기 메스기구 및(또는)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를 각각 작동시키는 모오드 절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스기구는 메스축과 상기 메스축에 고정된 메스캠과 상기 메스캠에 걸어맞춤되는 캠플로워에 의하여 추동(樞動 : 지도리로 움직이다)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지도리로 장치되어 카운트메스 및 메스의 한쪽을 착탈이 자유로이 장착하는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메스 및 메스의 다른쪽을 상기 카운터메스 및 메스의 한쪽에 교합이 가능하고 착탈이 자재하게 장치하고 상기 레버 및 상기 아암 사이에 개재된 압력 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메스캠은 상기 아암에 장치된 카운터메스 및 메스의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극히 접근하는 부분과 짐진적으로 접근하는 부분과 천을 절단하고 또 상기 카운터메스 및 메스의 양자가 접촉하는 부분과 느슨하게 이반되는 부분과 급히 이반되는 부분으로 곡면을 연속해서 형성한 디스크램이다.
상기 바늘대를 위한 상하동기구는 위축에 설치된 클랭크와 상기 클랭크에 지도리 장치된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를 상기 바늘대로 연결하는 구상계수(球狀繼手)를 구비한다.
상기 루우퍼·스프레더 기구는 상기 아래축과 고정된 루우퍼캠과 스프레더캠과 상기 루우퍼캠 및 스프레더캠에 각각 걸어맞춤되는 루우퍼캠 플로워 및 스프레더캠 플로워와 상기 루우퍼 및 스프레더를 상기 루우퍼캠 플로워 및 스프레더캠 플로워에 각각 선회자재로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재봉틀은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축에 한쪽방향 클러치를 개재하여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절환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게 제어캠기구에 전달하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미끄럼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아래축에 고정된 브레이크캠에 접접하여 상기 구동부에 상기 제동부를 압압하는 캠플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캠 기구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빨리보내기시에 상기 절환클러치를 상기 구동부에 접속하여 상기 중간축, 한쪽방향 클러치, 구동부, 절환클러치, 종동부, 제어캠기구에 이르는 빨리보내기 전달계를 구성하는 동시에 바느질땀 형성시에 상기 절환클러치를 상기 구동부에 접속해서 상기 바늘이 상기 천에 걸려 있는 동안은 상기 아래축, 브레이크캠, 캠플로워, 제어부, 구동부, 절환클러치, 종동부, 제어캠기구에 이르는 간헐브레이크계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캠기구는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주캠에 의하여 제어되는 캠플로워를 가지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로부터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베드를 가로로 요동시키는 종동레버와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수동레버를 가지는 비둘기 눈구멍 사뜨기·일자식 사뜨기 절환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으로부터 보진구동부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구동하는 동력전달계를 가지고 상기 보진구동부는 단추구멍을 둘러싸는 바느질땀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수동레버에 연동하여 바느질땀수를 증감할 수 있는 바느질땀수 증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캠기구는 원판상의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입축은 상기 주캠의 중심을 지나 연장되고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에 고착된 보내기캠과 미끄럼 접촉하게 장착된 접동자를 추지점으로 하여 상기 보내기캠에 의하여 요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에 지도리 장치되어서 한방향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캠을 보진구동하는 종동레버와 상기 접동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조절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어캠기구는 원판상의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입축은 상기 주캠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에 고착된 보내기캠과 활동이 자유로이 장치된 접종자를 추지점으로 하여 상기 보내기캠에 의하여 요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에 지도리장치되어서 한방향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보진구동하는 종동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접동자는 단추구멍을 둘러싸는 바느질땀의 일부로 사용되는 상기 주캠의 바느질땀수 외주캠에 접촉하는 캡플로워에 결합된다.
상기 베드상에 배설되어 상기 바느질땀 형성이 시작될때와 끝날때를 규제하는 제어캠을 가지고 위치조절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범위를 조정하는 조정기와 상기 캠에 걸어맞춤이 가능하고 상기 빨리보내기 및 바느질땀 형성을 절환하는 클러치기구를 작동하는 캠플로워를 가지고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선회기구는 상기 제어캠기구를 구성하는 주캠으로부터 제어되는 캠플로워에 의하여 지도리 동작되는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상기 바늘대 및 루우퍼·스프레더를 각각 동기선회시키는 평행 4절 링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캠플로워는 선형(煽形)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선회축에 연결된다.
본 재봉틀은 상기 빨리보내기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각 기간으로 상기 제어캠기구에 의하여 상기 빨리보내기로부터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방향으로, 또한 그 반대방향으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탄발력을 각각 축적하는 두방향 편위 스프링 수단과 상기 축적된 어느 한방향의 탄발력을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의 단추구멍 길이 검출에 따라 해방해서 상기 클러치수단을 구도하여 상기 빨리보내기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한방향으로 절환하는 릴리이즈 수단을 가지는 클러치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구동장치와 상기 클러치 수단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클러치 수단을 긴급 절환하기 위한 수동 클러치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바늘 요동기구는 상기 입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아암을 가지는 벨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에 의하여 요동되고 상기 바늘대에 가로 요동운동을 주는 동시에 상기 선회기구에 의하여 이 바늘대에 선회운동을 부여하는 레버와 상기 크랭크 및 상기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전자(前者)로부터 후자에 대한 가로 요동운동을 전달하고, 후자로부터 전자에 대한 선회운동은 전달하지 않는 커플링을 구비한다.
상기 벨크랭크의 이 아암에는 상기 레버에 대한 요동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해서 상기 바늘의 바늘진동폭을 조절하는 바느진동폭 조절기가 설치된다.
상기 벨크랭크에는 상기 재봉틀본체에 대한 추지점(樞支点)을 변경할 수 있도록하여 상기 바늘의 바늘상하 위치에 조절하는 바늘상하 위치조절기를 구비한다.
상기 천클램프 수단은 상기 베드위에 가로방향으로 접동자재로 설치되고 또한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안쪽을 향하여 탄발되는 압지판과 상기 압지판에 지도리 장치되어 이 압지판과 함께 상기 천을 클램프하는 압지각(脚) 및 압지쇠로 구성되고, 상기 압지판의 후단의 적어도 양측부를 상기 베드에 대하여 상기 가로방향으로 접동의 자유로이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연결부와 상기 압지판의 상기 가로방향의 확개량을 상기의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절하는 조절기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기는 상기 확개량의 조절시에 이 조절기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탄발하는 탄발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천클램프 수단은 상기 베드상에 설치된 좌우한쌍의 압지판과 상기 압지판에 지도리 장치되고 이 압지판과 함께 상기 천을 클램프하는 각각 한쌍의 압지각 및 압지쇠와 일단이 상기 베드에 지도리 장치되고 다른단이 상기 한쌍의 압지각에 각각 연결되고 또한 스프링 수단의 탄발력에 반발하여 클램프 상태를 유지하는 수동레버에 의하여 조작되는 탄성압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수동레버는 탄성바아를 개재하여 상기 압지프레임의 이 지도리 장치부에 연결된다.
상기 수동레버에 의하여 이 비클램프상태 또는 이 클램프상태가 유지되었을 때 상기 수동레버에 연동해서 상기 모우터의 스위치를 각각 개폐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루우퍼·스프레더 기구는 상기 선회기구에 의하여 선회하는 이 루우퍼·스프레더 회전대를 가지고 상기 회전대상의 중심 이외에 설치된 선회실 안내의 상기 회전대를 제외하는 소정장소에 설치된 고정실 안내와의 사이에 상기 루우퍼·스프레더 회전대의 선회시에 양실안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해지는 실길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의 실길수단은 양실안내 사이에 가설된 복수줄의 링크 및 이 링크의 마디에 설치된 실안내로 구성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재봉틀은 제1도-제7a도의 도시와 같이 지대(支臺)(1)와 이것에 고정된 베드받이대(2)이 받이대위에 접동이 자유로이 장치된 베드(3)와 받이대와의 사이에 베드를 접동이 자유로이 사이에 끼고 받이대 위에 장치된 아암(4)을 포함한다. 지대(1) 및 아암(4)는 재봉틀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지대(1)는 뒤쪽에 있어서 지대(1)에서 돌출되는 핀(9)에 이탈방지를 목적으로 고착된 푸시(8a)가 베이스커버(8)에 지도리 장치되고 한편 전방에 있어서 그 저부(1a)가 베이스커버(8)의 돌기지지부(도시생량)상에 당접하므로써 지도리 동작이 가능하도록 베이스커버에 장착된다. 지대(1)에는 개략적으로 말해서 슬릿 s 및 비둘기 눈구멍 e의 주위에 바느질땀을 사뜨는 바느질땀 형성장치(10)과 이들의 슬릿 및 비둘기 눈구멍을 커트하는 메스기구(80)를 포함한다. 재봉틀은 이들의 장치 및 기구에 소정의 동력을 전달하고, 또는 제어하여 그 동작의 안전을 도모하는 각종기구가 설치된다.
이들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우선 바느질땀 형성장치(10)는 재봉틀의 아암(4) 및 지대(1)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 장치(10)는 바느질바늘(11)를 지지하는 바늘대(20)를 상하동하고, 회전시키고, 또 가로로 요동시키는 바늘대 구동기구(10a) 및 이것과 서로 합하여 동작하는 루우퍼·스프레더기구(800) 및 바늘대와 루우퍼·스프레더부를 180°선회시키는 180°선회기구(370a)에 의하여 구성된다.
아암(4)에는 위축(22)이 축받이(22a)와 축받이(85a)에 의하여 축으로 계승하고 있다.
아암(4)에 장치된 유니버어설 축받이(21a)(제2도, 제10도)에는 바늘(11)을 지지하는 바늘대(20)가 요동이 자유로이 축으로 계승된다. 바늘대(20)는 탄성의 플레이트(21b)에 중앙공에 끼워져서 너트(21c)(21d)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 플레이트(21b)는 링칼라(21e)와 호울더(21f)에 의하여 그 외주단연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바늘대(20)는 가로요동과 선회 또는 상하운동이 자유로이 지지된다.
바늘대 구동기구(10a) 중 바늘대의 상하동기구(850)(제10a-c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축(22)에는 축받이(850a)를 개재하여 바늘대 크랭크(815)가 설치된다. 크랭크(851)은 핀(853)을 개재하여 자재 연결링크(852)의 일단에 지도리 장치된다. 링크(852)의 타단(852b)의 구상공부(852a)는 바늘대(20)의 고정나사(856)으로 고정되고 구상계수(855)에 고정나사(850b)에 의하여 연결된다.
지금, 위측(22)이 회전하면 크랭크(851)이 회동하고 연결링크(852)는 원호(857)로 표시하는 궤적을 그리고 그 타단(852b)는 그것에 따라 요동하구 구상계수(855)에 의하여 바늘대(22)를 상하동시킨다.
다음에 바늘대 구동기구(10a) 중 바늘대(20)를 가로 요동시키는 바늘요동기구(30a)(제7a도, 제24도, 제24a-b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축(22)에 연동하여 바늘요동기구(30a)를 구동하는 입축(27)이 설치된다. 즉 위축(22)에 고착된 우산기어(26)는 입축(27)에 고착된 우산기어(28)와 맞물리고 입축(27)에 고정된 3각캠(29)(제24도)을 회동시키고 3캠은 쌍갈래(30)에 걸어맞춤된다. 쌍갈래는 아암(4)에 장치된 쌍갈래(31)에 축으로 지지된다. 바늘요동 조절로드(32)의 한쪽은 쌍갈래에 핀(33)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되고 타단은 핀(34)에 의하여 피보트구멍(35a)으로 지도리 지지된 벨크랭크(35)의 아암(36)의 장공(37)에 지도리 장치된다. 핀(34)은 바닐낙하 조절손잡이(38)의 편심공(39)에 끼워맞춤되고, 손잡이는 아암(4)에 회동이 자유로이 고정된다. 이 고정수단은 비스(40)에 의하여 손잡이의 원호홈(41)을 개재하여 아암(4)에 나사 고정하여 구성된다. 장공(37)과 상기 타단은 칼라(37a)을 개재하여 고정나사(37b)에 의하여 너트(37c) 와셔(37d)에 의하여 바늘요동 로드(44)의 일단에 연결된다. 타단은 바늘요동 상하 슬리이브(45)의 상단에 핀(46)에 의하여 지도리로 장치된다. 스플릿링(47)은 슬라이브(45)의 아래쪽의 원주홈(48)에 요동 가능으로 끼워져 있다.
이 스플릿링(47)을 끼운 슬리이브(45)는 바늘대 회전대(49)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장치된다. 이 회전대(49)는 아암(4)에 고정된 받이판(50)(제18도)이 받이홈(51a)에 끼워 맞춤되므로써 회전이 자유로이 아암(4)에 고정된다. 회전대(49)에는 바을요동레버(50c)가 그 피보트구멍(50a)에 의하여 핀(51)을 개재하여 지도리 장치된다. 상기의 스플릿링(47)은 핀(52)에 의하여 레버(50c)의 구멍(50b)에 지도리 장치된다. 바늘대 아래메탈(21g)의 구멍(21h)은 핀(53)에 의하여 레버(50c)에 축 지지된다. (54)는 바늘대(20)의 키이홈(55a)(제10도)에 돌기(54a)가 끼워맞춤되어서 회전대(49)의 회전과 바늘대를 회전시키는 키이이다. 물론 키이(54)는 아래메탈(21g)에 나사(54b)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다.
또, (55)는 로드(44), 슬리이브(45)의 회전정지를 하는 부재이다. (56)은 회전대에 장치된 캠이다(제18도).
이와같이 입축(27)에 의하여 벨크랭크(35)의 아암(36)이 지도리로 움직이면 레버(50c)는 크랭크에 의하여 요동되고 바늘대(20)에 가로요동 운동을 주는(상세히는 제24b도를 참조하고 후에 설명한다) 동시에 상기 선회기구에 의하여 이 바늘대에 선회운동(상세히 후기한다)을 부여한다. 이 경우에 크랭크 및 레버의 사이에 개재된 스플릿링(47) 및 슬리이브(45)는 전자(前者)로부터 후자에의 가로요동운동은 전달하고, 후자로부터의 전자에 대한 선회운동을 전달하지 않는 커플링으로서 기능하다. 벨크랭크(35)의 아암(36)에 설치된 장공(37)은 레버(50c)에의 요동량을 가변하여 바늘(11)이 바늘요동폭 S1(제6a도)를 조절하는 바늘요동폭 조절기로서 기능한다.
또, 벨크랭크(35)에 설치된 조절손잡이(38)의 편심공(39)은 재봉틀 본체에 대한 지도리 지지점을 가변으로 하여 바늘(11)이 바늘낙하위치, 따라서 슬릿 s의 폭 S0(제6a도)를 조절하는 바늘낙하위치조절기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바느질땀 형성장치(10)중 루우퍼·스프레더 기구(800)(제11도, 제11a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축(27)의 하단에 지지되는 우산형기어(60)는 메탈(616c)에 지도리 지지된 아래축(61)의 중간점에 있어서의 우산형기어(62)에 맞물리고 있다. 아래축(61)은 루우퍼 타이밍계수(61a)가 개재되고 그 일단에는 일체로된 루우퍼 3각캠(63)이 스프레더 편심캠(64)이 고정된다(제2도, 제11도). 루우퍼 3각캠(63)은 캠플로워(65)의 캠받이홈(65a)에, 스프레더 편심캠(64)는 캠플로워(65)의 안내(65a)에 끼워맞춤되는 캠플로워(66)의 캠받이홈(66a)에, 각각 걸어맞춤된다. 캠플로워(65)의 장착판(67)에 설치된 루우퍼필릿(68′)은 루우퍼 연결로드(68)이 링홈(69)에 선회가 자유로이 연결된다. 또 (67a)는 장착판(67)의 이탈방지 부재이다. 캠플로워(68)의 스프레더 스릴릿(69)은 판(67)의 개구(70)로부터 놀아나서 스프레더 연결로드(71)의 링홈(72)에 선회가 자유로이 연결된다.
스프레더 연결로드(71)의 상단에는 스프레더 가이드 블록(804)(제11a도)이 장치된다. 이 블록에서는 아래실 후리기(805)가 고정되고 또 링크(도시생략)에 개재하여 스프레더 캠판(도시생략)에 연결된다.
루우퍼 연결로드(68)의 상단에는 루우퍼 가이드 블록(806)이 장치된다. 이 블록은 링크(807)을 개재하여 루우퍼 스프레더 요동대(808)에 연결된다. 이 대에 루우퍼(809), 스프레더(810), 스프레더 스토퍼(811)가 장치된다. 또 대(808)에는 스프레더 작동판(810a)이 배설된다.
루우퍼.스프레더 기구(800)는 선회기구(370a)에 의하여 선회되는 이 루우퍼.스프레더 회전대(801)를 가지고 있다. 선회실 안내(814)가 회전대상의 중심 이외에 설치되고 있다. 회전대(801)를 제외하는 소정장소, 즉 지대(1)에 고정된 실안내대(818)에는 고정실 안내(812)가 형성된다. 선회실 안내(814)의 고정실 안내(812)와의 사이에는 루우퍼.스프레더 회전대(801)의 선회시에 양실안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해지는 실길수단이 설치된다. 이 실질수단으로 링크(819)의 일단은 실안내대(818)에 지도리 장치되고 링크(820)의 일단은 회전대(801)에 지도리 장치되어 실안내(814)를 형성하고 있다. 양링크의 타단은 상호 지도리 장치되어 실안내(813)를 형성한다. 루우퍼실(817)은 실세우기(도시생략)로부터 인출되어 실안내대(818)의 고정실안내(812), 실길수단이 중앙링크 결합부의 실안내(813), 링크타단에 있어서의 회전대상의 선회실안내(814), 회전대(801)에 장치된 루우퍼실 조절기(815), 스프레더 가이드블록(804)에 장치된 아래실 후리기(805), 회전대(801)에 장치된 실취하기 스프링(816), 회전대(801)의 상방축 계승부(801b)에 수직으로 뚫어 설치된 실안내(801a), 스프레더 스토퍼(811), 루우퍼(809), 회전대(801)의 최상부에 설치된 바늘판(821)을 지나서 실멈춤(1021g)(제16a도)에 멈추어진다. 또 심(芯) 실(도시생략)은 바늘판(821)에 설치된 실공(821a)으로부터 인출되어서 상기 실멈춤(1021g)에 동일하게 멈추어진다.
다음에 바느질땀 형성장치(10) 중 바늘대(20) 및 루우퍼(809), 스프레더(810)를 180선회시키는 선회기구(370a)(제2도, 제7a도, 제18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캠기구(300)를 구성하는 주캠(301)의 내측홈 캠(323)에는 캠플로워(368)(제18도, 제2도)가 끼워맞춤되어 주캠(301)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 캠플로워(358)는 지대(1)의 원호상의 장공(1e)(제12도)을 지나서 연장되는 핀(362)에 회동이 자유로이 축지지된다. 핀은 볼트부분이 너트(361)에 의하여 선형기어(359)의 한축의 장착공(360)에 고정된다. 선형기어(359)는 그 지지공(359a)에 편심축(363)을 끼워 맞춤하여 지대(1)의 구멍(1d)(제12도, 제8도)에 설치된 고정나사(364)에 의하여 지대(1)에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캠플로워(358)에 의하여 선형기어(359)를 개재하여 지도리 동작되는 바늘대, 루우퍼스프레더 선회축(370)(제18도, 제2도)은 아암(4)에 설치된 상부메탈(371) 및 지대(1)에 설치된 하부메탈(372)에 의하여 축으로 지지된다. 축(370)에 평기어(373)가 고정나사(373a)에 의하여 고정부(370b)에 있어서 고정된다. 평기어(373)는 성형기어(359)의 기어부(360a)와 마주 물려있다. 편심축(363)을 회전 조절하므로써 양기어의 마주물림의 백래쉬는 제거할 수 있다. 선회축(37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평행링크 아암(374a)(374b)이 고정나사(374m)에 의하여 각각 고정된다.
아암(374a)의 피보트구멍(374c-d)과 바늘대회전대(49)의 피보트구멍(49a-b)에는 선회축(370)으로부터 바늘대를 선회시키는 평행 4절링크(275a-b)가 각각 핀(376a-b) 및 (377a-d)등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된다.
한편 평행링크아암(374b)의 피보트구멍(374e-f)과 루우퍼.스프레더 기구(800)에 있어서의 회전대(801)에 고정되는 평행링크아암(374a)의 피보트구멍(374h-i)에는 선회축(370)으로부터 루우퍼.스프레더를, 바늘대 회전대(49)와 함께 동기 회전시키는 평행 4절 링크(374j-k)가 단형성나사(378)에 의하여 각각 지도리 장치된다. 아암(374g)은 루우퍼.스프레더 기구(800)의 루우퍼 회전대(801)에 설치된 하방축(802)에 비스(803a)에 의하여 고정된다(제18도, 제2도).
다음에 바늘실 후리기 기구(830)(제7a도, 제25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축(22)(제2도)에는 편심캠(836)이 고정된다. 핀(840)에 의하여 아암(4)에 축으로 지지된 바늘실 후리기(841)의 브렌치(841a)는 편심캠(836)에 끼워맞춤되고 상축(22)이 회동에 따라서 후리기(841)를 요동시킨다.
바늘실(846)은 실안내(844)로부터 바늘실조절기(843)를 지나 재차 실안내(844)로, 또 실안내(845), 바늘실후리기(841), 재차실안내(845)를 경유하여 바늘봉(20)(제5도, 제10도)의 중심공(20a)으로부터 실압지(押止)(20b)를 지나 바늘(11)의 바늘실구멍(20d)으로 간다.
다음에 천에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메스기구(80)(제1도-제2도, 제7a도, 제15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스기구는 메스(5)와 이것에 맞물리기 가능한 카운터메스(5a)로 구성된다. 메스(5) 또는 (5-1)의 형상은 제6a도 또는 제6b도의 도시와 같이 비둘기 눈구멍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에 따라 교환된다. 매스(5)는 받침대(2)에 고정된 매스착대(5c)에 비스(5-2)에 의하여 착탈이 자재로 장치된다.
카운터매스(5a)를 장착하는 메스아암(6)은 핀(7)에 의하여 받침대(2)에 지도리 장치된다.
아암(6)은 스프링(81)에 의하여 카운터메스(5a)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으로 반발된다. 카운터매스(5a)는 그 홈(5a′)에 죔나사(82)의 돌편(83)이 당접되고 죔나사(82)는 핀(84)에 의하여 아암의 장착부에 지도리로 지지되고 비스(86)를 회동하므로써 아암(6)에 고정되다. 아암(6)의 타단의 구멍(87)은 레버(88)의 구멍(89)과 핀(90)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된다. 레버(88)와 아암(6)과의 사이에은 압력조정수단이 개재된다. 이 수단은 레버(88)의 일단에 볼트(91)에 나사로 장치되고 그 선단은 아암의 압력작용 받이자리(92)에 착좌하여 구성되고 있으나 볼트(91) 대신에 받이자리(92)에 착좌하는 부분을 편심캠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레버(88)의 타단에는 나이들베어링을 사용한 캠플로워(93)가 칼라(94)를 개재하여 핀(95)에 의하여 축으로 지지된다. 캠플로워(93)는 메스캠축(96)(제14도)에 고정된 매스켐(97)에 걸어맞춤되어 레버(88)를 지도리 동작한다. 또 상기예에서는 카운터메스(5a)를 아암(6)에 고정하고 매스(5)를 메스장치대(5c)에 고정했으나 이것을 반대로 고정해도 된다.
메스캠(97)은 제15도의 도시와 같이 소경의 체류부 A와 급격히 대경을 이루는 증경(增經)부(B)와 급격히 소경을 이루는 축경(縮徑)부(H)와 점진적으로 경을 증경하여 매스가 천과 서로 걸려 천을 절단하기 위한 광각부(廣角部)(E)를 가진다. 증경부(B)와 광각부(E)의 사이 및 축경부(H)와 광각부(E) 사이에는 전위부(C) 및 이행부(D) 전위부(G) 및 이행부(F)가 각각 연속적으로 개재된다.
이와 같이하여 하아트형의 캠이 도면과 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부분 A-H를 가지는 캠(97)의 회전각에 따라 메스아암(6)의 스트로오크(St)는 제15b도와 같이 표시된다.
다음에 동력교환 클러치기구(100)(제2도, 제4도, 제7a도, 제13도, 제13a-b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클러치는 모우터(M)(제1도)로부터 벨트(B)를 개재하여 플라이휘일(flywheel)로서의 풀리(101)에 전달된 토오크를 빨리보내기시에는 중간축(102)에 전달하여 빨리보내기기구(103)를 개재하여 베드(3)를 빨리 보내고 또한 그 앞 또는 후에 메스기구(80)의 카운터메스(5a)를 구동시키고,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적어도 위축(22), 입축(27), 아래축(61)의 하나에 전달하여 바느질땀 형성장치(10)에 의하여 바늘질땀 형성을 하는데 있어서 토오크의 전달전환을 하는 것이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모우터의 토오크를 위축(22)에 전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나, 입축(27), 아래축(61)의 하나에 전달하는 전동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풀리(101)는 풀리축(101b)에 볼트(101e)(제2도, 제9도)에 의하여 고정되고, 위축(22)위의 축받이(101c)에 의하여 회동자재로 지지계승된다. 풀리축(101b)은 메탈(101d)을 개재하여 축받이부(107)에 축으로 지지되고, 또 키이(104a)에 의하여 입력기어(103)에 결합된다.
스플라인(106)을 가지는 클러치 원동축(105)의 한쪽(105a)은 아암(4)의 축받이부(107)(제9도)의 구멍(108)에 베어링(109)을 개재하여 지지계승되고, 또 한편(105b)는 아암(4)에 고정된 바늘대 정지 클러치대(110)에 베어링(111)을 개재하여 지지 계승된다(제13도, 제13a도).
축(105a)에는 키이(112)에 의하여 클러치 중간평 기어장치대(113)가 키로 고정된다. 장치대(113)는 엘라스토머 0-링(114), 칼라(115)를 개재하여 비스(116)에 의하여 클러치 중간평기어(11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엘라스토머 0-링을 설치하므로써 모우터 및 원동축(105)에는 후기의 절환시프트(123)의 절환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완충장치가 개재된다. 절환시프터(123)에 걸림이 자유로운 빨리보내기 돌편결림부(118)에는 메탈(119a)이 비스(120)에 의하여 고정되고 기어(117)와 스플라인(106)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빨리보내기 걸림부(118)는 스러스트 베어링(121)과 웨이브와셔(122)에 의하여 스플라인(106)의 한쪽면(106a)에 압압되고 있다. 또 빨리보내기 걸림부(118)이 절환 돌출편링시프터(123)에 당접하는 축에는 그 돌출편(123b)에 마주물리는 돌출편(도시생략)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하여 모우터 M로부터 풀리(101), 기어(104), 기어(117)를 개재하여 원통축(105)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원동축(105)의 스플라인(106)에는 절환돌출편 링시프터(123)의 내경 스플라인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로 결합된다. 링시프터(123) 양측에는 돌출편(123b)이 형성된다.
빨리보내기 걸림부(118)는 중간축(102)을 구동하는 빨리보내기 구동부로서의 빨리보내기 평기어(119)(제20도)에 결합하고, 빨리보내기 수평축(101i)을 구동한다. 즉 이 수평축(101i)은 나사(171a)에 의하여 웜스크류(171)(제4도)에 고정된다. 이 스크류(171)는 윔휘일(172)(제4도, 제14도)과 마주물리고 있다. 휘일(172)는 구동래치트(173)에 나사(173a)에 의하여 고정된다(제14도).
또, 수평축(101i)은 한쌍의 메탈(100j)에 의하여 아암(4)에 지지계승되고, 또 스러스트 베어링(100k)에 의하여 웜수단(171)(172)에 의한 스러스트에 대처하고 있다.
한편, 수평축(101i)의 일단에는 빨리보내기 웜스크류(174)(제20도)가 나사(174a)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스크류는 빨리보내기 중간축(102)의 상단에 고정된 빨리보내기 웜휘일(175)에 마주물리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빨리보내기 구동부가 구성된다.
축(105h)에는 후기하는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로서의 바늘대 평기어(127)가 제22도에 도시하는 한쪽방항 클러치(305)와 동일한 클러치(125)를 개재하여 압입된다. 즉 원동축(105)과 바늘질땀 보내기 구동부와의 사이에는 한쪽방향 클러치가 설치된다.
기어(124)에는 원호상 긴홈(126)이 뚫어 설치되고, 또 그외주에 측면제어캠(127)이 돌출된다. 동일하게 축(105h)에는 시프터(123)에 걸림이 자유로이 설치되는 바늘대 돌출편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128)가 축으로 지지된다.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128)의 기어(124)에 가까운 축에는 긴홈(126)에 대응되거나 그 보다도 짧은 돌기(도시생략)가 설치된다. 이들의 돌기는 긴홈(126)에 헐겁게 끼워져서 해방캠(129)에 비스(130)에 의하여 장치된다. 또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128)이 고정구멍(132)과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의 기어(124)의 나사구멍(134)에 나사고정된 비스(133)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31)이 설치되어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128)를 화살표(135)방향으로 스프링 힘을 밀어내고 있으나, 긴홈(126)에 헐겁게 끼워진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의 돌기가 그 긴홈단에 당접하여 정지(靜止)한다.
기어(124)에는 위축(22)에 고정된 바늘대 중간평기어(136)(제9도, 제13도)가 서로 마주물리고 있다.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128)는 기어(124)에 결합되어 이것과 마주물리는 거어(136)와 같이 위축(22)를 구동하는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를 구성한다. 또, 바늘대 중간기어(136)와 기어(124)는 이빨수비가 1:2를 이루고 있다. 죽 원동축(105)와 위축(22)이 회전비는 1:2를 이루고 있다.
또, 바느대 정지 클러치대(110)의 정지캠(137)(제13도, 제13a-b도) 외주는 정점(138)에 있어서 진퇴유자(遊子)(139)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오목부(凹部)(140)를 가지고, 이 오목부는 다음의 정점으로 느슨한 곡선부(141)를 이루고 연속된다. 이 오목부(140)의 곡률(曲率)반경은 진퇴유자(139)의 반경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에 서로 걸리는 해방캠(129)의 내주에는 진퇴유자(139)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도망시키는 오목부(142)가 상기의 오목부의 대응해서 형성된다. 기어(124)의 해방캠(129)에 가까운 축에는 진퇴유자(139)를 억지하는 원호상돌기(143)가 형성된다. 상기의 긴홈(126) 및 이것에 헐겁게 끼워지는 돌기는 상기의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 및 해방캠(129)을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에서만 회동을 허용하는 회전제한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클러치대(110) 즉 정지캠(137)은 그 보스(110a)가 아암(4)(제9도)의 구멍(4a)에 끼워 맞추고 또 아암(4)에 설치한 엘라스토머 0-링(144)이 부착된 바늘요동 로드(32)가 구멍(110b)에 서로 끼워짐으로써 아암(4)에 고정된다. 또 클러치대(110)는 핀(137b)과의 사이에 스프링(137a)이 설치되고 바늘대 정지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아암(4)의 구멍(146)(제9도)에 고정나사(14a)에 의하여 고정된 지축(147)에는 시프터(123)이 링홈(123a)에 서로 끼워지는 브랜치 시프터 액튜에이터(148)가 축 지지된다. 시프터 액튜에이터(148)의 보스(149)에는 후기의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의 단추구멍 길이 검출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러치제어판(150), 상기 제어캠(127)에 서로 걸리기 가능한 클러치 제어아암(151)이 순서적으로 축지지되고, 이것을 C형축 멈춤링(152)이 링홈(153)에 압입하여 이탈방지를 하고 있다. 브렌치스프터 액튜에이터(148)와 고정나사(153)에 의하여 지축(147)의 끝에 고정되는 스프링받이(154)의 사이에는 스프링(155)이 장치되고 이 시프터 액튜에이터를 바늘대 돌기편 바느질땀 보내기 걸림부(128)쪽을 향해서 스프링힘으로 밀어내고 있다. 제어판(150)의 핀(156)과 제어아암(151)의 까치발(158)과의 사이에는 스프링(157)이 설치된다(제4도, 제13도).
제어판(150)의 선단에는 클러치 절환로드(159)가 E형 멈춤링(160)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어판(150)에는 이것이 로드(169)에 의하여 도면으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제어아암(151)의 까치발(158)에 당접하여 이것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당접부(161)가 설치된다. 또 제어아암(151)의 선단부에는 기어(124)의 측면제어캠(127)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면(127a)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면(127b)에 각각 서로 미끄러져 닿은 당접면(162)과 브런치 시프트 액튜에이터(148)에 서로걸리는 당접면(164)이 설치된다.
이들의 기계적 요소는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이 단추구멍 길이검출에 따라 시프터(123)가 바느질 보내기 걸림부(128)로부터 이탈하는 시점을 부여하는 위측(22)에 의하여 구동하는 바늘대(20)의 정위치 정지를 하는 타이밍 장치를 구성한다. 그 작용은 후기한다.
또, 핸들(101a)은 위축(22)에 고정되고, 가령 바늘대(20)가 정지위치에서 상사점(上死点 : tor dead center)에 없을때에 이 위축을 풀리(101)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클러치 기구(100)를 복귀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클러치기구(100)를 위한 클러치 구동장치(930)(제7도, 제19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러치 구동장치(930)는 상기 빨리 보내기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간내에서 제어캠기구(300)에서 축적된 편위구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빨리보내기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절환시에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의 단추구멍 길이 검출에 따라 상기 클러치기구(100)를 1피치 바느질땀 보내기 이내에 구동하는 것이다. 이하 이것을 상세히 설명한다.
바늘대.루우퍼 선회기구(370a)에 있어서의 핀(362)의 링상홈(362a)(제18도)에는 지대(1)에 단이 형성된 나사(932)(제8도, 제19도)에 의하여 지도리 지지된 레버(931)의 일단에 있는 브렌치(931a)가 서로 끼워지고, 타단은 로드(933)의 일단의 스냅링(933a)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된다.
지축(934)은 그 일단이 지대(1)의 축계승부(972)(제8도), 타단이 지대(1)에 고정나사(958)에 의하여 고정된 메탈(939)에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 계승된다. 지축(934)에는 일단축에 아암(935)이 고정나사(935a)에 의하여 고정된다. 아암(935)의 일부(935b)와 지대에 고정된 핀(945a)에는 스프링(945)이 설치되어 아암의 한쪽의 스토퍼(946)를 지대에 입설한 핀(946a)(제4도)에 당접해서 그 이상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다.
아암(935)과 메탈(939)과의 사이에는 제1, 제2, 제3의 아암(936)(937)(938)순으로 지축(934)에 회동이 자유로이 서로 끼워져 있다. 아암(936)의 일부(936a)와 아암(937)의 일부(937a)와의 사이에는 스프링(941)이 설치되고, 아암(936)의 브래캣(948)의 저부는 아암(935)의 좌착부(942)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고 한편 아암의 돌기(949)가 아암(936)의 돌기(943)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다.
아암(936)의 또 하나의 부분(936b)에는 호울더(961)가 스냅 스프링(960)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호울더에는 로드(159)(제19도, 제13도)의 하단이 고착된다. 스프링(951)이 아암(937)의 허브(937b)에 감기고 그 자유단(951a)(951b)은 아암(937)(938)의 바깥쪽 돌기(950), 안쪽돌기(952)를 제19a도에 도시하는 자유상태로부터 제19b도에 도시하는 압축상태로하여 중간에 끼워서 설치하고 있다(제19c도).
이 스프링(951)은 후기와 같이 상기 빨리보내기와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각 기간으로 상기 제어캠기구(300)에 의하여 빨리보내기에서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방향으로, 또 그 반대방향으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스프링으로 밀어내는 힘을 각각 축적하는 쌍방편위 스프링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아암(938)의 일부(953)에는 호울더(954)가 스냅 스프링(956)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호울더에는 상기 로드(933)의 타단이 고정나사(955)에 의하여 고정된다.
절환스토퍼(966)의 아암(967)은 아암(937)의 당접부(971)에 걸려있다. 스토퍼(966)의 일부(966a)와 지대(1)에 나사맞춤되는 핀(970)과의 사이에는 스프링(969)이 설치되어 스토퍼(966)를 제19도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편위된다. 운동제한 블록(962)의 돌기(963)와 너트(965), 메스나사(964a)에 나사맞춤되는 비스(964)와의 사이에는 아암(937)의 당접부(971)가 삽입되고 그 운동을 소정범위로 제한한다. 이들의 기계적 요소는 상기 축적된 어느한쪽 방향의 스프링으로 밀어내는 힘을 단추구멍 길이조절기구(974)의 단추구멍 길이검출에 따라 해방하여 상기 클러치 기구(100)를 구동하여 상기 빨리보내기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의 한반향으로 절환하는 릴리이즈 수단을 구성한다. 또 지축(934)의 타단축에는 레버(940)가 고정나사(957)에 의하여 고정되고 클러치 구동장치(930)의 클러치기구(100)와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레버는 클러치기구(100)를 긴급 절환하기 위한 수동클러치 구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캠기구(300)는 원판상의 주캠(301)(제20도)을 포함하고 이 주캠이 지대(1)(제2도, 제4도, 제12도)의 캠받이(1b)에 장치되고 받이대(2)에 의하여 커버된다. 주캠(301)은 그 회전축공(302a)이 지축(302)에 서로 끼워져서 양자는 고정나사(307) 및 녹핀(308)에 의하여 고정된다. 축(302)은 받이대(2)에 설치된 축받이(303)와 지대(1)의 구멍(1c)(제12도)에 설치된 축받이(304)에 의하여 축으로 지지된다.
캠(301)의 외주에는 빨리보내기용 평기어(30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기어는 상기의 중간축(102)에 서로 끼워진 평기어(182)(제20도, 제26도)에 서로 마주 몰려있다.
캠(301)의 상면에는 베드(3)를 보내기 위한 홈캠(310)이 형성된다. 베드(3)에는 로울러핀(311)이 와셔(312), 고정나사(313)에 의하여 베트(3)의 후단부에 있는 보내기 장치구멍(314)에 고정된다. 로울러핀(311)에는 로울러(315) 및 캠플로워(316)가 설치된다.
로울러(315)는 받이대(2)의 직선가이드(317)(제12도)에 서로 끼워져 있고 베트(3)의 보내기 운동시의 가로요동을 방지하여 직선운동을 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캠플로워(316)는 캠(301)의 홈캠(310)에 서로 끼워져서 후기의 베드보내기를 하는 것이다. 캠홈(310)(제20a도)은 후기의 정지캠(325)에 의한 베드(3)의 정지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점위 예를들면 도시와 같이 베드(3)의 보내기를 정체시키는 등경(等徑) 캠부분(스톱위치(310a))과 그 경방향 반대측에 있어 점 K로부터 점 L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등속변위조온(비둘기 눈구멍부분이 보내기)(310c)과 이것과의 개재하는 등속변위조온(슬릿 및 오프셋부의 보내기)(310b)으로 형성된다.
캠(310)의 하면(제20b도)에는 그 외주의 원주상 결치부분(320)에 형성되어 경방향 안쪽으로 오목한 후기의 보진구동부(330b)에 있어서의 바느질땀수 증감부(330e)를 제어하는 바느질땀 수증감용 외주캠(322)과 바늘대 및 루우퍼를 선회시키기 위한 내측의 홈캠(323) 및 베트(3)를 가로 요동시키는 비둘기 눈구멍형 단추구멍의 오프셋을 형성하는 바깥쪽의 홈캠(324)이 설치된다.
또 주캠(301)의 결치부분(320)에는 캠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한 정지 캠(325)(제4도, 제20b-c도)이 형성된다. 이 캠(325)의 깊이는 홈캠(324)의 깊이보다 얕아 형성된다. 이 정지캠(325)은 바느질땀 형성 및 빨리 보내기의 1사이클 종료시에 빨리보내기 기구(103)의 중간축(102)에 연동된 구동부와 메스가구(80)를 작동하는 종동부와의 접리를 하는 모오드 절환기기(210)(상세히는 후기한다)를 제어하고 또한 빨리보내기 기구(103)이 동력전달계(103a)를 차단하는 것이다.
홈캠(323)은 H점에는 E점으로 결쳐서 연장되는 소등경(小等徑)부분 (323a)은 F점에서 G점으로 연장하는 대등경 부분(323b)과 이들이 사이에 개재하는 회전용 변위부분(323c)으로 구성된다. 또 한편 홈캠(324)은 D좀에서 A점에 걸쳐서 연장되는 대체로 느슨한 S자형의 변위부분(324a)과 이것에 이어지는 동경부분(324b)으로 형성된다. 또 제20a도의 0°,90°,180°,270°의 각도는 제20a도에 도시하는 그것에 대응해서 동기가 취해지고 있다.
상기 입축(27)은 주캠(301)의 중심 0을 통하여 연장된다. 다음에 베드(3)이 빨리보내기 기구(103) 및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330) 및 바느질땀 보내기시의 간헐 브레이크기구(187)(제7a도, 제20도, 제22도, 제22a도, 제26도, 제26a-c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한 재봉틀은 상기 중간축(102)에 한쪽방향 클러치(186)를 개재하여 설치된 구동부(185)와 상기 구동부(185)를 절환 클러치(184)를 개재하여 상기 제어캠기구(300)에 전달하는 종동부(182)와 상기 구동부에 찰과(擦過 : 스쳐지나감)가능한 제동부(193)와 상기 아래축(61)에 고정된 브레이크캠(202)과 상기 브레이크켐(202)에 접접(摺接 : 스쳐접촉함)하여 상기 구동부(185)에 상기 제동부(193)를 압압하는 캠플로워(200)를 구비한다.
후기하는 모오드 절환기구(210)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빨리 보내기시에는 상기 절환클러치(184)를 상기 구동부(185)에 접속하여 상기 중간축(102), 한쪽방향 클러치(186), 구동부(185), 절환클러치(184), 종동부(182), 제어캠기구(300)로 이르는 빨리보내기 전달계(103a)가 구성된다. 또 바느질땀 형성시에는 상기 절환클러치(184)를 상기 구동부(185)에 접속하여 바늘(11)이 천에 서로 걸려있는 동안에는 아래축(61), 브레이크캠(202), 캠플로워(200), 제동부(193), 구동부(185), 절환클러치(184), 종동부(182), 제어캠기구(300)에 이르는 간헐브레이크계(기구)(187)가 구성된다.
이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중간축(102)는 그 상부에 있어서 아암(4)의 구멍(17b)(제12도)의 상부메탈(177)에 의하여 하부에 있어서 베드받이대(2)의 구멍(178)에 하부메탈(179)에 의하여 각각 지지 계승된다. 또(180)은 펠트제의 기름막이다(제20도). 중간축(102)의 하단에는 베드받이대(2)에 장치된 스러스트 축받이(181)가 서로 끼워져 있다. 그 축받이(181)에 접하여 빨리보내기 평기어 종동부(182)가 축(102)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서로 끼워져있다. 기어종동부(182)는 스플라인(183)이 일체로 형성된다.
스플라인(183)에는 종동미는 절환클러치(184)(제26도)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이 미늘 절환클러치(184)는 구동미늘 클러치 구동부(185)와 서로 맞물리기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미늘클러치 구동부(185)의 내경에은 제22도에 도시하는 한쪽방향 클러치(305)와 동일한 한쪽방향 클러치(186)가 밀어넣어져서 축(102)이 회전할때는 클러치(186)가 동시에 회전하고, 축(102)이 회전정지하면 클러치(185)는 공전한다.
주캠(301)의 정지캠(325)에 스쳐접촉이 가능하고 후기하는 모오드 절환기구(210) 및 상기 빨리보내기의 동력 전달계(103a)에 절환로드(234)를 개재하여 연결된 레버(235)가 설치된다(제26도, 제26c도). 레버에는 이 레버가 정지캠(325)에 걸려서 이 모오드절환 및 이 빨리보내기 동력전달의 차단후에는 이 주캠(301)의 회동에 따라 이 레버를 주캠(301)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제한나사로 구성되는 복구수단(235e)이 당접가능으로 구성된다. 즉 로드(234)는 장착브래킷(235d)을 개재하여 레버(235)에 연결된다. 레버(235)의 일단부(235b)는 정지캠(325)(제20b도)에 걸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절환 브렌치(236)는 전환 브렌치 링크(237)와 함께 핀(236a)에 의하여 지대(1)에 지도리 지지되고, 그 브렌치부(236b)에는 핀(236c)을 개재하여 종동미늘전환 클러치(184)의 링크홈(184a)에 끼워진다. 레버(235)의 타단(235c) 및 브렌치링크(237)의 요동단(237d)은 핀(237a)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되고 핀(237b)에는 지대(1)에 설치된 핀(237d)과의 사이에 장치된 스프링(237c)에 의하여 화살표(237e)의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으로 밀리고 있다.
또, 동력전달계(103a)에는 간헐 브레이크기구(187)가 같이 설치된다. 이 간헐브레이크기구(187)는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기구(330)에 의한 바느질땀 보내기마다 제동해제하고 상기 상하동기구(850)에 의하여 상기 바늘(11)이 상기 천에 서로 걸려있는 동안은 제동을 가하게 된다. 이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클러치 구동부(185)의 하면의 링위의 오목부에는 브레이크 리이닝재(187a)(제4도)가 접착된다. 또, 축(102)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88)이 끼워지고 이들은 E형상이 멈춤링(189)에 의하여 탈락 방지하고 있다.
지대(1)에는 핀(190)(제4도, 제26도)에 의하여 레버(191)의 일단이 지도리 장치된다. 리이닝재(187a)에 스쳐접촉되는 링슈우(192)가 설치되고 이 슈우(192)는 장치대로서의 제동부(193)의 스포트페이싱(spot facing)(196)에 일단이 장치된 확압(洸壓)스프링의 힘으로 밀리고 있다. 또 슈우(192)는 제동부(193)의 스포트페이싱(197)에 두부가 들어가는 고정나사(195)에 의하여 고정된다.
레버(191)의 타단에는 브레이크(제동)조절너트(198)를 개재하여 브레이크조절나사(199)가 설치되고 이 나사는 제동부(193)의 하부에 당접이 가능으로 구성된다. 또 레버(191)의 타단에는 캠플로워(200)가 장착나사(201)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로이 축지지된다. 한편 아래축(61)(제2도, 제11도, 제26도)에는 캠플로워(200)에 서로 걸리는 브레이크캠(202)이 고정나사(203)에 의하여 고정된다. 브레이크캠(202)은 제26b도에 도시하는 형상을 하고, 대체적으로 180°의 밀어올림부(204)와 이것에 경방향의 반대로 설치된 짧은 밀어올림부(205)가 포함된다. 또 레버(191)에는 회전 방지핀(206)이 고정나사(207)(제4도, 제26도)에 의하여 고정된다. 핀(206)은 제동부(193)의 브렌치 형상으로 돌출한 홈(208)에 삽입되고 있다.
별도의 방법으로 브레이크수단(187)은 제4도, 제26도에 도시한 슈우(192), 스프링(194), 고정나사(195)를 사용하지 않고 제26a도의 도시와 같이 제동부(193)를 브레이크 라이닝재(187a)에 당접이 가능하도록 확대경부(193a)와 축(102)에 에워싸는 축경부(193b)와 이 축경부를 에워싸는 커버부(193c)로 구성되고 커버부(193c)와 장치대(193)의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193d)과의 사이에 확압 벨빌와셔(194a)를 재개하도록 해도된다.
바느질땀 보내기기구(330)는 제어캠기구(300)에 포함하는 원판상이 주캠(301)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입축(27)으로부터 보진 구동부(330b)를 개재하여 주캠(301)을 보진하는 동력전달계(330c)를 가진다. 이 보진구동부(330b)는 입축(27)에 고정된 보내기캠(330a)과 활동(滑動)이 자유로이 장치된 접동자(摺動子)(354)를 지도리 지점으로 하여 상기 보내기캠에 의하여 요동되는 구동레버(332)와 상기 구동레버에 지도리장치되어 한쪽방향 클러치(305)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보진구동하는 종동레버(334)와 상기 접동자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조절기(349)로 구성된다.
이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입축(27)에는 보내기캠(3각 캠)(330a)(제2도, 제22도, 제22a-b도)이 고정나사(331)에 의하여 고정된다. 보내기캠(330a)에는 구동레버(332)의 일단의 a브렌치(333)가 서로 끼워진다. 구동레버(332)의 타단은 종동레버(334)의 요동력점(334a)이 핀(335), 너트(336)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로이 지도리 장치된다. 종동레버(334)의 구멍(334b)에는 한쪽방향 클러치(305)(제22도, 제22a-b도)가 밀어 넣어지고 축(302)이 이 한쪽방향 클러치에 세트되고 고정링(337)에 의하여 낙하 방지된다. 또(338)은 입축(27)을 축으로 지지하는 메탈이고(제2도, 제20도) 상기와 같이 축(320)에 고정된다. 지대(1)에는 가이드(339)가 가이드판(340)을 개재하여 고정나사(341)에 의하여 고정된다. 가이드판(339)와 가이드판(3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이드(342)에는 바느질땀 성김 조절대(343)가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로이 장치된다. 대(343)의 네모꼴 끼움쇠홈(343c)에는 네모꼴 끼움쇠(344)가 서로 끼워지고 뚜껑(345)의 긴구멍(346)에는 네모꼴 끼움쇠(344)의 네모꼴 끼움쇠핀(347)이 헐거이 끼워져있다. 뚜껑(345)은 나사(348)에 의하여 대의 돌조부(343d)에 고정된다. 나사조절기(349)는 뚜껑(345)의 U홈(350)을 지나서 네모꼴 끼움쇠(344)의 메스나사(351)에 나사 고정된다. 나사조절기(349)는 고리모양의 홈(349a)이 뚜껑(345)의 U홈(350)에 서로 끼워지고, 나사가 회전해도 그 진퇴가 방지된다. 또, 나사(349)의 모진부분(349b)에 뚜껑(345)에 비스(353)에 의하여 고정된 판 스프링(352)이 당접되어 진동에 의한 이완을 방지하고 있다. 네모꼴 끼움쇠핀(347)은 네모꼴 끼움쇠 접동자(354)에 서로 끼워지고 이 네모꼴 끼움쇠 접동자(354)는 구동레버(332)에 설치된 가이드(332a)에 의하여 형성된 홈(332b)에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로이 장착된다. 스프링(355)의 일단은 뚜껑(345)의 장치부(345a)에, 타단은 지대(1)에 각각 장착된다(제22도, 제8도).
바느질땀의 땀수감소 캠플로워(356)가 핀(357), 고정나사(358)에 의하여 대(343)에 축으로 지지되고 네모꼴 끼움쇠(344)를 개재하여 접동자(354)에 결합된다. 이 캠플로워는 상기의 스프링(355)에 의하여 단추구멍을 둘러싸는 바느질땀의 일부에 사용되는 캠(301)의 결치부분(320)의 바느질땀수 증감용 외주캠(322)(제20b-c도)에 스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보진구동부(330b)는 단추구멍을 둘러싸는 바느질땀의 수를 전체에 걸쳐서 변경이 가능한 바느질땀 수조절기구(330d)를 나사조절기(349), 네모꼴 끼움쇠(344), 접동자(354), 구동레버(332), 홈(332b)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 바느질 땀수 조절기구(330d)는 그 바느질땀의 일부, 예를들면 비둘기 눈구멍형 단추구멍 e(제6a도)에 있어서 바느질땀를 증감할 수 있는 바느질땀수 증감부(330e)를 주캠(301)의 결치부분(320)의 바느질땀수 증감용 외주캠(322), 캠플로워(356), 가이드(339), 대(343)에 의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제23도, 제7a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구는 베드(3)을 가로 요동시켜서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의 사뜨기로(제6a도), E 가로요동을 하지않고 일자형 단추구멍 사뜨기로 절환하는 것이다.
개략적으로 말해서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는 제어캠기구(300)에는 포함되는 주캠(301)에 의하여 제어되는 캠플로워(901)를 가지는 구동레버(903)와 구동레버(903)로부터 클러치(911)를 개재하여 베드(3)를 가로방향으로 요동하는 종동레버(922)와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수동레버(909a)를 가진다. 수동레버(909a)는 상기의 바느질땀 보내기기구(330)의 보진구동부(330b)에 있어서의 바느질땀수 증감부(330e)에 연동된다.
즉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는 그 수동레버(900a)에 의하여 바느질땀 증감부(330e)와의 연결수단인 로드(914), 스포터(917)를 개재하여 연동하고 있다. 이 연결수단에는 바느질땀 증감량을 조정하는 조정부(914c)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캠(301)의 홈캠(324)(제20b도)에는 캠플로워(901)(제23도, 제8a도)가 서로 끼워져 있다. 캠플로워(901)는 지대(1)의 긴 구멍(1f)(제12도)을 지나서 연장되는 핀(902)에 지도리 장치된다.
핀은 구동레버(903)의 일단에 있는 장치구멍(904)에 너트(905)에 의하여 나사 장치된다. 지대(1)에는 메탈(906a)을 개재하여 지축(906)에 축으로 지지된다. 지축(906)에는 구동레버(903)의 타단구멍(903a)과 수동레버(909a)를 가지는 레버링(909)가 회동이 자유로이 서로 끼워져 있다. 또 지축(906)에는 절환아암(907)과 아암칼라(906c)에 고정나사(908)(906)에 의하여 각각 고정된다.
레버링(909)의 주변상의 구멍(909)는 핀(919d)을 개재하여 토글링크(916c)에 연결되고, 링크(916c)는 스프링(915)을 감아서 아암뚜껑(910)의 구멍(910b)에 헐거이 끼워져 있다. 뚜껑(910)은 비스(910a)에 의하여 아암(907)의 하부에 장착된다. 한편 절환링크(913)의 일단(913a)은 단형성이 된 비스(913a)에 의하여 레버링(909)의 주변상의 또 하나의 구멍(909c)에 지도리 지지되고 링크(913)의 타단(913b)은 단형성된 비스(913e)에 의하여 뚜껑(910)의 긴구멍(910c)을 관통하여 절환슬라이더 클러치(911)에 나사고정된다. 슬라이더 클러치(11)는 아암(907)의 클러치홈(907a)과 뚜껑(910)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구성된다. 이 슬라이더 클러치는 지대(1)에 고정된 스토퍼(912)의 홈(921a) 및 구동레버(903)의 장착구멍(904)의 근방에 있는 연결클러치홈(903b)에, 이 슬라이더 클러치의 미끄러져 움직이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또 링크(913)의 일부(913c)에는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330)의 보진구동부(330b)에 있어서의 바느질땀 수증감부(330e)와의 연결수단인 로드(914)의 일단이 스냅스프링(914a)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된다. 로드(914)는 호울더(915)의 고정나사(920)에 )의하여 고정된다. 호울더(915)는 아암(916)의 일부(916a)에 스냅링(921)에 의하여 걸어 고정된다.
상기의 연결수단에는 바느질땀 증감량을 조정하는 조정부(914c)를 가지고 있다. 즉 아암(916)은 편심 지지계승부(914d)를 서로 끼워서 단형성 나사(918)에 의하여 지지대(1)에 지도리 장치된다. (914e)는 편심 지지계승부(914d)의 선형(扇形) 구멍(914f)과 함께 편심 지지계승부(914d)의 편심량을 조절하고, 이것으로써 바느질땀 증감량을 조정하는 고정나사이다. 아암(916)의 다른 일부(916b)에는 상기의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바느질땀 증감 스토퍼(917)가 고정나사(919)에 의하여 고정된다. 스토퍼(917)의 자유단(917a)(제8도,제23도)은 (917b)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프링(355)에 의하여 방향(343a)으로 당겨진 바느질땀 보내기기구(330)의 보진구동부(330b)에 있어서의 바느질땀 증감부(330e)의 대(343)(제22도)의 후단(343b)에 걸어 고정하여 그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917c)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단(343b)으로부터 벗어나서 그 운동을 방향(343a)으로 허용시킨다. 지축(906)의 상부에는 아암(922)이 밀어 넣어지고 이 아암은 녹핀(922a)이 지축(906)의 구멍(924)에 밀어 넣어져서 지축에 고정된다. 아암(922)의 일부(922b)에는 네모꼴 끼움쇠(925)가 스냅링(926)에 의하여 지지 계승된다(제8a도,제23도). 이 네모꼴 끼움쇠(925)는 베드(3)의 뒷면에 형성된 2개의 돌기(3b)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이드홈(3c)(제8도)에 끼워진다.
다음에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제1도, 제7a도, 제21a-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구는 단추구멍의 길이(제6a-b도)를 소망의 치수로 조절하는 것이다. 요약해서 말하면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는 베드(3) 위에 배설되어 바느질땀 형성의 개시시 몇 종료시를 규제하는 제어캠(981)을 가지고 위치조절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자(980)와 이 범위를 조정하는 나사에 의하여 구성된 좌우 바느질땀 조정기(986)와 캠에 서로 걸어 고정이 가능하고 빨리 보내기 및 바느질땀 형성을 절환하는 클러치기구(100)를 작동하는 캠플로워(978)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것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클러치기구(100)를 구동하는 클러치 구동장치(930)에 있어서의 스토퍼(966)는 비스(968)에 의하여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에 있어서의 축(973)에 고정나사(968)에 의하여 고정된다. 축(973)은 구멍(1d)을 지나서 지대(1) 및 구멍(2d)을 지나서 받이대(2)에 의하여 지지계승된 메탈(975)에 의하여 축으로 지지된다. 메탈(975)는 고정나사(975a)에 의하여 지대에 고정된다. 베드(3)의 안내홈(3e)에는 지침(손잡이(990)을 고정나사(990a)에 이하여 고정된 장치대(982)가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장착된다. 또 대(982)의 2개의 돌기(982a-b)에 의하여 형성된 홈(983)에는 바느질땀 형성의 개시시 및 종료시를 규제하는 제어캠(981)을 돌출설치한 네모꼴 끼움쇠 이동자(980)가 헐거이 끼워져 있다. 이동자(980)는 홈(983)에 있어서의 조절기(986)에 의하여 조정된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 조정기(986)가 돌기(982c)에 나사 맞춤되므로써 상기 홈(983)내에 있어서의 상기 범위를 변경하고, 따라서 이동자(98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조절너트(985)는 조정기(986)에 나사고정되어 그 이완을 방지하는 것이다. 지표(988a)를 새긴 단추구멍 길이 지표플레이트(988)가 베드(3)상면에 고정나사(988b)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베드(홈3e)에 각두(角頭)가 끼워맞춤된 나사(987)가 장착재(982)의 일단에 있는 긴구멍(984) 및 지표플레이트(988)의 구멍(988c)을 통해서 연장되는 손잡이(989)에 나사 고정된다. 장착재(982), 네모꼴 끼움쇠 이동자(980), 나사(987)는 고정나사(983b)에 의하여 베드(3)의 뒷면에 장착된 뚜겅(983a)에 의하여 지지된다. 네모꼴 끼움쇠 이동자(980)의 제어캠(981)은 레버(976)의 요동단에 단형성나사(979)에 의하여 지도리 지지된 캠플로워(978)에 서로 걸어 맞춤이 가능하고 빨리보내기 및 바느질땀 형성을 절환하는 클러치기구(10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레버(976)의 지점은 상기의 축(973)에 녹핀(977)에 이하여 고착된다. 축(973)은 상기의 스프링(969)의 스프링의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제21도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편의(便倚)되고 있고, 따라서 캠플로워(978)는 보통의 상태에 있어서의 뚜껑(983a)의 측연(側緣)(983c)에 걸려 있다.
다음에 모오드절환기구(210)(제2도, 제4도, 제7a도, 제14도, 제14a-q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구는 이른바 선메스(먼저 천에 단추구멍을 전단한 후에 바느질땀을 형성하는 일), 후매스(천에 먼저 바느질땀을 형성한 후 단추구멍을 절단하는 일), 매스로 천에 단추구멍을 절단하는 일, 또는 천에 바느질땀을 형성하는 일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타이밍을 맞추어서 매스기구(8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킨다.
기본적으로 말해서 모오드절환기구(210)는 빨리보내기 기구(103)의 중간축(102)에, 워엄휘일(175), 스크류우(174), 수평축(101i), 스크류우(171)를 개재하여 연동된 구봉부, 즉 서로 맞물리는 워엄휘일(172) 및 구동래치트(173)과 메스기구(80)를 동작시키는 종동부 즉 매스캠축(96)과의 접지를 담당한다.
또, 모오드절환기구(210)는 제어캠기구(300)의 정지캠(325)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접리의 타이밍을 취하는 절환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절환기구는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분에 설치되어 양자를 접속 또는 절단하는 클러치수단, 즉 클러치 케이싱(211), 메스작동회전판(212), 클러치(219), 작동아암(220)과 상기 종동부에 대한 상대위치를 변경이 가능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그 각 위치에 대응해서 상기 메스기구(80) 및 (또는) 상기 빨리보내기기구(103)의 각 작동 및 그 작동순서의 각종 모오드를 택일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모오드 절환유니트, 즉 모오드 절환캠(216), 모오드 절환손잡이(217)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유니트가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모오드에 따라 상기 클러치수단과 상기 메스기구(80) 및 (또는) 상기 빨리보내기기구(103)를 각각 작동시키는 모오드 절환수단, 즉 메스 작동회전판(212), 보내기 작동레버(222), 메스동작레버(223)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모오드 절환기구(210)는 그 1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빨리보내기기구(103)의 중간축(102)에 연동된 구동부(172),(173)와 상기 메스기구(80)를 작동시키는 종동부(96)와 상기 종동부에 결합된 클러치 케이싱(211)과 상기 케이싱 위에 소정 범위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치된 메스작동 회전판(212)과 상기 케이싱 및 메스작동 회전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28)과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으로부터 작동아암(220)을 개재하여 상기 클러치 케이싱을 상기 종동부에 접속 및 절단하는 클러치(219)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접속의 상태를 편위하는 스프링(227)과,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을 작동하는 메스작동 레버(223)와 모으도 절환캠(216)과, 상기 모오드 절환캠에 걸어 맞춤되는 돌출핀(215b)과 메스작동레버를 작동하는 돌기(215d)와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을 상기 돌기가 상기 메스작동레버로부터 이반되는 상태로 편위하는 스프링(230)과 상기 모오드 절환캠에 의하여 진퇴하는 선메스캠(214)과 상기 모오드 절환캠의 상기 종동부에 대한 상대위치를 선택하는 모오드 절환손잡이(217)와 상기 제어캠기구(300)에 상기 메스작동레버를 연결하는 후 메스 작동아암(222)(224)을 가진다.
상기 구동부 및 클러치수단은 각각 래치트 및 미늘로 구성되고, 상기 미늘은 상기 클러치 케이싱에 지도리 장치된다.
상기 모오드 절환캠은 선메스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의 돌출핀을 스타아트레버 작동아암(226)에 당접이 가능으로 구성하고, 또 상기 선메스캠을 경방향 바깥쪽으로 전진시키고 후메스 작동아암(224)을 상기 메스작동레버(223)에서 이탈시키는 형상을 가지고, 후메스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스타아트레버 작동 아암을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의 돌출핀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타아트 레버작동아암을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224)에 당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224)을 상기 메스동작레버에 걸어 맞춤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메스킴을 경방향 안쪽으로 후퇴시키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모오드 절환캠은 메스로 천에 단추구멍을 절단하는 동작에 있어서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의 돌출핀을 상기 스타아트 레버작동아암(226)에 당접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 상기 선메스킴을 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키고,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224)을 상기 메스작동레버로부터 이탈시키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모오드 절환캠을 천에 바느질땀을 형성하는 모오드에 있어서 상기 메스작동 회전판의 돌출핀으로부터 스타아트레버 작동아암(226)을 이탈시키고 상기 후메스 작동아암(224)을 상기 메스작동레버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선메스킴을 경방향 안쪽으로 후퇴시키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진 모오드 절환기구(210)에 대하여 이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종동부로서의 매스캠축(96)은 아암(4)에 장치된 메탈(96a), 보슈(96b)에 의하여 축지지된다.
클러치수단에 있어서의 미늘클러치 케이싱(211)의 뒷면(제4도, 제14도로 보아서 좌측) 고리모양부에는 미늘클러치(219)가 핀(219c)에 의하여 구멍(211a)에 있어서 지도리 지지되고, 핀은 나사(219d)에 의하여 고정된다. 미늘클러치(219)의 일단과 구멍(211b)에 고정된 핀(227a)과의 사이에는 스프링(227)이 설치되어 구동부로서의 구동래치트(173)에 미늘부(219a)가 마주 물린다(제2도). 구동부로서의 래치트(173), 워엄휘일(172)은 스크류우(171)을 개재하여 빨리보내기기구(103)의 중간축(102)에 연동하고 있다. 모오드절환수단에 있어서의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원주상의 일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212a)이 입설되고 핀이 케이싱(211)의 원호상의 긴구멍(211c)에, 회전판의 구멍(212b)이 케이싱의 보스(211d)에 헐거이 끼워진 후, 핀(212a)과 케이싱(211)의 구멍(211e)에 심어진 핀(228a)과의 사이에는 스프링(228)이 설치되고 회전판(212)을 도면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으로 스프링의 힘으로 밀어내고 있다. 케이싱(211)은 키이(96b-1), 고정나사(96c)(제4도)에 의하여 종동부로서의 메스캠축(916)에 고정된다.
절환캠판 케이싱(213)(제14f도)가 나사(213a)에 의하여 케이싱(211)에 나사고정된다. 케이싱(213)의 안내홈(213b)에는 선메스캠(214)(제14e도)이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서로 끼워져 있다. 선메스캠(214)은 캠부(214a), 축(96)에 헐거이 끼워지는 긴구멍(214b)을 가지고 캠부(214a)는 선메스캠(214)이 케이싱(213)의 홈(213b)을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므로써 케이싱(213)의 창(213c)으로부터 진퇴한다.
선메스구동 회전판(215)(제14d도)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215a)가 심어져서 케이싱(213)의 원호상의 긴구멍(213d)에 헐거이 끼워져서 스프링(230)의 힘으로 시계방향으로 밀어내고 있다. 판(215)에는 핀(215b)이 돌출된다.
모오드절환 유니트에 있어서의 모오드 절환캠(216)은 선메스캠(214)의 표면(제14도에서 보아서 우측)에 설치된 킴호(214c)에 서로 끼워져서 편심캠(216a)(제14a-c도)과 선메스구동 회전판(215)의 중심구멍(215c)이 헐거이 서로 끼워지는 보스(216d)와 원주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심어진 돌출판(215b)에 당접하는 일없이 자유로이 회동하기 위한 고리모양 공급부(216e)와 완전한 외주(216c)와 그 일부를 절결한 단부(216b)와 모오드 절환손잡이(217)의 홈(217a)에 마주물리는 미늘(216f)을 가지고 있다.
축(96)에 고정된 미늘클러치 케이싱(211)에 계속하여 상기의 기계적요소가 축(96)에 차례로 끼워맞춤된 후 모오도 절환캠 외단에 있어서 스냅링(96a-1)이 축(96)의 홈(96d)에 세트되어 축(96)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모오드 절환손잡이(217), 스프링(218b), 뚜껑(218)을 차례로 축(96)에 서로 끼우고, 나사(218a)에 의하여 뚜껑을 축에 나사고정한다. 또 축(96)은 손잡이(217)의 홈(217a)과 마주물리는 평각부(96e)를 가진다. 이때 모오드 절환캠(216)의 미늘(216f)과 모오도 절환손잡이(217)의 홈(217a)과의 마주물리기 길이 t1(제4도, 제14p도)에 비해서 손잡이(217)와 뚜껑(218)과의 최대 스페이스 t2는 짧고 이 스페이스에 비교하여 축(96)의 평각부(96e)와 손잡이(217)의 홈(217a)과의 마주물리기 길시 t3은 더욱 짧다. 클러치수단에 있어서의 미늘작동아암(220)이 핀(220a)에 의하여 아암(4)에 지도리로 지지된다. 아암(220)은 캠플로워(220c)와 미늘(220d)을 가지고, 앞의 것은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킴(212c)(제14g도)에 걸어 맞춤되고 후자는 리치트(173)에 맞물리는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b)에 걸어 맞춤된다. 또 이 미늘(220d)은 핀(229d)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29a)에 의하여 미늘(220d)이 미늘부(219b)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힘으로 밀리고 있다.
클러치 케이싱 스토퍼(221)와 모오드 절환수단으로으로서의 메스작동레버(223)는 메탈(233a)을 개재하여 나사(233b)에 의하여 아암(4)에 지도리 지지되고 스프링(229b), (229c)에 의하여 각각 케이싱(211), 회전판(212)의 주변에 당접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힘으로 밀리고 있다.
동일하게 모오드 절환수단으로 보내기 작동레버(222)(2부재(222a),(222b)를 단부에 있어서 나사(222d)에 의하여 연결하여 구성되나 이것을 일체화하여 구성해도 된다)는 핀(222c)에 의하여 아암에 지도리 지지되고 스프링(233)에 의하여 스프링 힘으로 밀려서 절환캠 케이싱(213)에 당접하는 방향으로 편위된다.
스토퍼(221)의 선단미늘(221a)은 미늘클러치 케이싱(211)의 외주에 설치된 단부(211f)에 당접하여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한다.
메스작동레버(223)는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단부(212d)(제14g도)에 당접하여 그 회전을 정지시키는 미늘부(223a)와, 선메스구동 회전판(215)의 경방향의 캠(215d)에 걸어 맞춤되는 캠플로워(223b)와 후메스 작동아암(224)의 가이드부(224a)가 들어가는 슬릿부(223c)와 아암(224)의 스텝부(224b)에 걸어 맞춤되는 당접부(223d)를 가진다.
아암(224)의 타단에는 레버(222)의 단이 형성된 핀(222g)에 지도리로 장치되는 동시에 핀(222g)에 감긴스프링(231)이 핀(222f)과 아암(224)에 걸려서 아암을 레버(223)로 향해서 지도리로 동작되도록 스프링 힘으로 밀고 있다. 또 아암(224)은 모오드 절환캠(216)의 단부(216b)를 포함하는 외주부(216c)에 스쳐 접촉하는 걸어 맞춤부(224c)와 스타아트 레버작동아암(226)에 의하여 아암을 처올리는 처올림부(224d)를 가진다. 또 레버(222)에 설치된 오작동 방지핀(222h)은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원주홈(212e)(제14g도)에 위치하고 있다. 레버(222)는 선메스(214)의 캠부(214a)에 걸어 맞춤되는 캠플로워(222i)를 가지고 있다. 홈(212e)의 일부에는 개구부(212f)가 설치된다. 레버(222)의 일단에는 절환로드(234)(제2도, 제14도, 제26도)의 일단이 장착되어 칼라(222k)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로드의 타단에 접속관계는 제26도, 제26c도에 대하여 이미 설명했다.
스타아트레버(225)는 핀(225a)에 의하여 아암(4)에 지도리 장치되고, 아암(4)에 설치된 핀(232c)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23b)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스프링힘으로 밀리고 있으나 스토퍼부(225b)가 아암의 당접(4e)(제2도)에 당접되어서 정지된다. 레버(225)와 작동아암(226)은 단나사(226a)에 의하여 모오드 절환캠(216)의 돌벽(216g)(제14a-c도)을 포함하는 외주부(216c)에 당접된다.
스타아트레버(225)의 스토퍼부(225b)는 미늘클러치 케이싱(211)의 오목부(221g)를 포함하는 외주부(211h)(제14h도)에 당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형태의 모오드 절환기구는 모오드 절환유니트 및 모오드 절환수단을 하나의 유니트에 유기적으로 구성한 것이나, 다른 변경예로서 각종 모오드의 각각에 대응하여 각 유니트를 구성하여 각 모오드에 따라 각각의 유니트를 교환해서 사용하도록 해도된다. 즉 이 경우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문에 설치된 양자를 접속, 또는 절단하는 클러치수단과 상기 종동부에 대하여 상이한 상대위치를 가지고 그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메스기구 및(또는) 상기 빨리보내기기구의 각 작동 및 구 작동순서에 각종 모오드의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모오드 절환유니트를 상기 각종 모오드에 따라 교환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를 가지고, 교환된 상기 유니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모오드에 따라 상기 클러치와 상기 메스기구 및(또는) 상기 빨리보내기기구를 각각 작동시키는 모오드 절환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에 천클램프기구(1000)(제1도, 제16도, 제16a도, 제17도, 제17a-b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구는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는 천을 클램프하는 동시에 이 천을 사뜰때에 단추구멍의 슬리트 s(제6a-b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선메스의 경우 단추구멍 형성후에 슬리트 s를 확대 개방하고, 또는 후메스의 경우에는 천에 확대 개방의 장력을 부여하는 적정한 봉합을 하기위한 것이다.
천 클램프기구(1000)는 요컨대 상기 베드(3)위에 가로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설치되고 또 스프링수단(1032)에 의하여 안쪽을 향해서 스프링 힘으로 밀리고 있는 압지판(1021)과 상기 입지판에 지도리 장치된 이 압지판과 함께 상기 천을 클램프하는 압지다리(1032) 및 압지쇠(1025)를 가지고 있다.
이 기구(1000)는 또 압지판(1021)의 후단이 적어도 양측부를 베드(3)에 대하여 상기 가로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서로 끼워지는 끼워맞춤연결부(1021c) 및 (1024-1d)와 상기 압지판의 상기 가로방향의 개방 확대량을 상기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절하는 조절기(1025-1,1026a-b) 및 (1021d)를 가진다.
또 상기 조절기는 개방확대량의 조절시에 이 조절기를 바깥방향으로 향해서 스프링 힘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1026c)을 가진다.
상기 천클램프기구(1000)는 일단이 상기 베드(3)에 지도리 장치되고 타단이 상기 한쌍의 압지다리(1023)에 각각 연결되고, 또 스프링수단(1016)의 스프링의 밀어내는 탄성에 의하여 지지되는 비클램프상태와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에 반발하여 클램프상태를 유지하는 수동레버(1009)에 의하여 조작되는 탄성억제프레임(1002)를 가진다. 상기 수동레버(1009)는 탄성비아(1008)를 개재하여 상기 탄성억제프레임(1002)의 이 지도리장착부에 연결된다.
수동레버(1009)에 의하여 이 비클램프상태 또는 이 클램프상태가 유지되었을 때 수동레버(1009)에 연동해서 모우터 M의 스위치를 각각 개폐하는 스위칭수단 SW가 설치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순서를 따라 설명한다.
기구(1000)는 한쌍의 천 압지세트(1020)(제16도, 제1도)를 가지고 있다. 1쌍의 천압지세트(1020)는 베드(3)(제124도)의 채널(3g)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3h)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각 세트는 서로 같은 구조이므로 한쪽의 세트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세트(1020)는 베트(3)위에 가로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설치된 압지판(1021)과 천압지받침판(1022)과 압지판(1021)에 지도리 장치되어 이 압지판과 함께 천을 클램프하는 천압지다리(1023) 및 압지쇠(1025)로 구성된다.
압지판(1021)에는 고정나사(1022a)에 의하여 천압지받침판(1022)이 고정된다. 멈춤쇠(1024)는 그 돌기부(1024a)가 압지판(1021)의 홈부(1021a)에 끼워맞춤되고, 긴구멍(1024b)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위치조절이 자유로이 나사(1024c)에 의하여 압지판에 나사고정된다. 멈춤쇠(1024)는 핀(1024d)에 의하여 천압지다리(1023)에 지도리 장치된다. 다리의 일단은 zu자 형상의 축(1023a)을 형성하여 압지판(1021)의 개공(1021b)에 대향해서 압지걸이쇠(1004)(제17도)에 연결되는 것으로 타단은 핀(1023b)에 의하여 천압지쇠(1025)를 지도리 지지된다. 천압지받침판(1022)과 압지쇠(1025)는 그 사이에 압지되는 천을 지지하기 쉽게 로울렛 가공으로 면이 거칠게 조성되고 양자의 단연은 바늘판(821)(제11a도)이 당접되지 않도록 도시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베드(3)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홈(3i)(제12도)에는 고정쇠(1025-1)가 각각 나사(1025-1a)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홈(1025-1b)에는 압지판 네모꼴쇠 조절기(1026)가 나사(1026a)에 의하여 긴구멍(1025-1c)을 개재하여 가로방향으로 위치조절이 자유로이 고정된다. 고정쇠(1025-1)의 오목부(1025-1d) 및 네모꼴쇠 조절기(1026)의 볼록부(1026b)는 압지판(1021)의 후단의 적어도 양측 볼록부(1021c) 및 오목부(1021d)가 각각 걸어 맞춤된다.
이와 같이하여 고정쇠(1025-1)의 오목부(1025-1d)와 압지판(1021)의 볼록부(1021c)에 의하여 압지판(1021)의 후단의 적어도 양측부는 베드(3)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연결부를 구성하고 압지판(1021)의 떠오르기를 방지한다. 한편 네모꼴쇠 조정기(1026)의 오목부(1026b)와 압지판(1021)의 오목부(1021d)에 의하여 나사(1026d)로 네모꼴쇠조절기(1026)의 가로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압지판(1021)에 의하여 단추구멍의 슬리트 s에 있어서의 가로방향의 확대개방량 S0,(제6a도)를 상기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절하는 것이다.
미끄럼판 로울러(1027)가 단이 형성된 나사(1027a)에 의하여 지도리 지지된다. 이 로울러(1027)는 베드(3)의 보내기에 따라 메스장착대(5c)(제15도)의 캠(5d)에 걸어맞춤되는 것이다.
평행이동기구(1028)(제16도)는 한쌍의 압지판(1021)을 가로방향으로 서로 접근 또는 이반하여 평행이동시키는 것으로, 3개의 링크(1029-1031)를 대칭적으로 배치시켜서 구성된다. 링크(1029-1030)는 단이 형성된 나사(1029a-1030a)에 의하여 베드(3)의 뒷면에 지도리 지지된다. 양링크의 단부는 연결핀(1029b)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 링크(1030)(1031)의 단부는 연결핀(1031a)에 의하여 연결된다. 링크(1031)이 타단에는 평행가이드핀(1031c)이 나사 고정되고 베드(3)의 긴구멍(1031d)(제12도)을 통하여 연장되어 압지판(1021)의 평행가이드 구멍(1021e)에 끼워맞춤된다. 한쌍의 링크(1021)는 그것에 고정된 고정나사(1021b)에 스프링(1031)이 설치되어서 압지판(1021)을 서로 안쪽으로 향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식으로 탄성 지지된다.
한편 한쌍의 평행가이드핀(1033)이 링크(1029)의 타단에 나사 고정되어 베드(3)의 긴구멍(3j)(제12도)으로 연장되고 세트(1020)의 압지판(1029)의 바깥쪽면(1021f)을 스프링(1032)의 스프링이 탄력으로 안쪽으로 밀어주고 있다.
베드(3)의 뒷측(제12b도)에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이 축받이(1001)가 고정나사(1001a)에 의하여 고정된다. (1001b)는 고정나사의 암나사를 표시한다. 대체적으로 U자형의 탄성압지 프레임(1002)의 일단, 즉 바닥끝쪽은 핀(1003)에 의하여 베드(3)에 지도리 지지된다. (1003a)는 핀의 고정나사를 표시한다. 프레임(1002)의 타단에 있어서의 요동가요(可撓) 아암(1002a)에는 압지걸음쇠(1004)가 고정나사(1004a)에 의하여 각각 고정되고 프레임(1002)의 타단은 이 걸음쇠를 개재하여 상기 한쌍의 압지다리(1023)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아암의 측단에는 압지높이 조절나사(1005)가 브래킷(1005a)에 나사고정되고 그 선단에 캡(1007)이 끼워져 있다. 또, (1006)은 나사(1005)를 고정하는 너트이다. 가요성 탄성바아(1008)의 일단이 고정나사(1008a)에 의하여 프레임(1002)의 뒷측(제1도, 제17도)에 고정된다.
압지압력조절핀(1011)이 바아(1008)의 요동단에 있어서의 원호상의 긴구멍(1008a)에 와셔(1012), 너트(1011-2)에 의하여 고정된다. 나사(1013), 너트(1014)는 핀(1011)이 긴구멍(1088a)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핀(1011)에는 링크(1010)의 일단이 지도리 장치된다. 링크의 타단은 핀(1010a)에 의하여 천압지수동레버(1009)의 요동부(1009a)에 지도리 장치되어 있다. 레버(1009)는 후기하는 스프링(1016)의 스프링 탄성에 의하여 천비클램프 상태를 지지하고 스프링(1016)의 스프링탄성에 반발하는 천클램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의 프레임(1002)은 레버(1009)에 의하여 조작된다. 이 경우 레버(1009)는 탄성바아(1008)을 개재하여 프레임(1002)의 이 지도리 장치부에 연결된다.
또(1010b)는 핀(1010a)을 고정하는 스냅링이다. 수동레버(1009)(제1도, 제17도)는 핀(1009a)에 의하여 배드(3)이 구멍(1009c)(제12b도)에 지도리 지지된다. 핀(1009a)은 고정나사(1009g)를 배드(3)의 암나사(1009d)에 나사가 끼워지므로써 고정된다. 바아(1008)의 요동단에 나사로 장착된 핀(1015)과 지대(3)의 암나사(1017a)(제12b도)에 나사로 설치된 스프링걸이(1017)에는 스프링(1016)이 장치되고, 가요아암(1002a), 바아(1008)를 베드쪽을 향해서 지도리 동작으로 편위하고 있으나 레버(1009)를 a쪽으로 눕힌 천비클램프 상태일때는 나사(1005)를 개재하여 캡(1007)이 베드(3)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요동을 저지한다. 한편 레버(1009)를 b쪽으로 눕힌 천클램프 상태의 경우는 레버이 핀(1009a), 링크(1010)이 핀(1010a), (1011)이 일직선을 약간 넘은 시점에서 레버(1009)의 스토퍼(1009b)가 링크(1010)의 한쪽면에 걸어고정하여 그 이상의 요동을 저저한다. 수동레버(1009)에 의하여 천비 클램프 상태 또는 천클램프 상태가 유지되었을 때 수동레버(1009)에 연동하여 모우터 M의 스위치를 각각 개폐하는 스위칭 수단 SW가 설치된다.
제17a도에 있어서, 레버(1009), 링크(1010), 핀(1011)을 포함하는 천클램프기구(1000)(제16-17도)에는 핀(1011)의 외주에 접하는 판캠(1009h)과의 마이크로스위치(1009k)가 부설된다. 마이크로스위치(1009k)의 액튜에이터(1009j)와 판캠(1009h)과의 사이에는 지대(1)에 스쳐접촉하여 받침대(2)에 설치된 홈에 따라 연장하는 바아(1009i)에 의하여 연결된다. 지금 레버(1009)를 천비클램프 상태(제17a도)로 지지했을 때에는 판캠(1009h)은 핀(1011)에 의하여 밀리고, 따라서 액튜에이터(1009j)는 바아(1009i)에 의하여 압압되어서 스위치(1009k)는 OFF상태에 있다.
한편 레버를 화살표 방향(제17b도)으로 눕힌 천클램프 상태에서는 핀(1011)은 캠판(1009h)으로부터 이탈되고 캠판(1009h)은 마이크로 스위치(1009k) 자체의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복귀하여 스위치를 ON하고 모우터 M는 회전 구동된다.
이 결과로, 메스교환, 정지상태에 있어서 천을 넣거나 꺼낼때 레버의 비클램프 조작에 따라 모우터도 작동적으로 OFF가 되므로, 가령 스타아트레버(255)를 압압해도 재봉틀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상 바람직하다. 또 재봉틀을 사용하지 않을때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이 된다.
다음에 재봉틀의 내부기구부품의 밀폐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a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베드(3)는 비둘기눈구멍식 단추구멍 형성시에 가로방향으로 요동되므로 베드(3)와 받침대(2)에는 극간(2m)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이 극간을 가리는 커버(2n)를 여기에 대고 이것을 커버가이드(2r)로 고정나사(2q)에 의하여 고정한다. 또 커버(2n)는 커버가이드(2r)의 안내홈(2p)내에서 상기 베드의 요동시 접동(摺動 : 스쳐움직임)한다. 이와같이 하여 천을 절단할때 천의 절단편이나 바늘부러진것 등이 내부기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바늘실(846)(제2도, 제10도, 제25도), 루우퍼실(817)(제11a도) 심실이 이미 설명한 실길을 따라 세트되고 재봉틀은 지금 정지상태에 있다고 생각한다. 즉 제어캠기구(300)(제20a,b도)에 있어서 캠플로워(316)는 홈캠(310)속에서 0°에 있고 베드(3)는 가장 후퇴한 위치에 있고, 캠플로워(901)는 홈캠(324)속에서 90°에 있고 베드(3)는 가로방향으로 요동이 안되는 상태, 다시 말하면 위측(22)의 축선방향과 병행을 이룬다. 캠플로워(358)는 홈캠(323) 중에서 180°에 있고, 바늘대(20)와 루우퍼(809)는 이 축선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하 모오드 절환기구(210)(제7b도, 제14도, 제14a-k도, 제14q도)의 모오드절환 손잡이(217)의 지표(217b)를 도면에서 보아서 위로 오도록 회동시키고 “선메스”모오드(제14k도, 제14도의 1)를 선택하여, 또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제23도)의 레버(909a)를 제1도, 제7a도와 같이 전방으로 시프트해서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사뜨기(제6a도)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고자 하는 피봉재물 즉 천을 클램프기구(1000)(제16도, 제26a도, 제17도)의 천압지받침판(1022)과 압지쇠(1025)와의 사이에 끼운 후 수동레버(1009)를 앞쪽(제17도 b방향)으로 스프링(1016)의 스프링 탄성에 반발하여 당기면 탄성바아(1008), 압지프레임(1002), 걸이쇠(1004)에 의하여 압지다리(1023)의 훅(1023a)을 강하시켜서 천은 압지쇠(1025)에 의하여 받침판(1022)에 강압되고, 레버(1009)는 레버의 핀(1009a), 링크(1010)의 핀(1010a)(1011)이 일직선으로 된곳을 지나서 스토퍼(1009b)가 링크(1010)의 한쪽면에 당접하여 록되어 클램프 상태를 유지한다(제17b도). 이 천을 죄는 클램프힘은 압지프레임(1002)과 탄성바아(1008)의 탄성 가요성에 의한다.
또 탄성바아(1008)의 기부(基部)는 압지프레임(1002)의 베드(3)에의 지도리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레버(1009)로부터 압지프레임(1002)의 양아암(1002a)을 개재하여 좌우의 압지쇠(1025)의 천클램프를 균등하게 할수가 있다. 이로 인해 단추구멍을 뚫은 후, 천을 펼때 좌우의 천이 균일하게 펴지므로 단추구멍 사뜨기의 사뜨기 완성 폭 S1이 일정하고 아름다운 사뜨기를 할 수 있다.
또, 레버(1009)를 앞으로 당겨서 천클램프 상태가 록되면 스위칭기구 SW(제17b도)에 있어서 핀(1011)은 캠판(1009h)으로부터 이탈되어 캠판(1009h)은 마이크로스위치(1009k)자체의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복귀하여 스위치가 ON이 되고, 모우터 M(제1도)가 회전하여 플라이휘일로서의 풀리(101) 입력기어(104)가 회전한다. 이 동력은 클러치기구(100)(제13도, 제13a도)에 있어서의 클러치 중간기어(117), 스플라인(106), 클러치축(105), 시프터(123) 빨리보내기 걸이고정부(118)를 개재하여 빨리보내기 평기어(119)에 의하여 가로축(101i)을 회전한다. 가로축(101i)은 빨리보내기 워엄스크류우(174), 빨리보내기 워엄휘일(175)에 의하여 동력이 방향 전환되어 빨리보내기기구(103)의 빨리보내기 중간축(102)을 구동한다. 중간축(102)은 한쪽방향 클러치(186)를 개재하여 구동부(185)(제26도)에 회전토오크를 부여한다.
한편 빨리보내기기구(103)의 중간축(102)에 스크류우(171)를 개재하여 연동되는 모오드절환기구(210)(제14도)의 구동부, 즉 워엄휘일(172) 및 래치트(173)도 회전시킨다.
선메스모오드에서 스타아트레버작동아암(226)은 모오드절환캠(216)(제14도, 제14a-c도)의 돌벽(216g)에는 당접되지 않고 허브부(216h)의 외주에 당접된다(제14k도). 선메스구동 회전판(215)의 핀(215b)은 아암(226)의 약간 위쪽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모오드절환기구(210)의 스타아트레버(225)를 밀어내리면 아암(226)의 핀(215b)을 스프링(230)에 반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회전판(215)은 그 경방향의 캠(215)이 메스작동레버(233)의 캠플로워(233b)에 걸어맞춤되어 이 레버(223)를 스프링(229c)에 반발하여 밀어내리고 그 미늘부(223a)는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단부(212d)로부터 벗어난다. 스프링(228)에 의하여 메스작동 회전판(21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캠(212c)에 얹혀있던 작동아암(220)의 캠 플로워(220c)가 벗어져서 미늘(220d)은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b)로부터 벗어진다.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a)는 스프링(227)에 의하여 메스기구(80)의 구동부로서의 래치트(173)에 파고든다. 이로인해 종동부로서의 메스캠축(96)은 회전한다. 따라서 메스캠(97)의 회전에 의하여 캠플로워(93)를 개재하여 레버(88)는 핀(90)를 지도리 지점으로 구동하고 압력조절수단으로서의 볼트(91), 받침자리(92)를 지나서 아암(6)의 스프링(81)의 탄력에 반발하여 회동하고 카운터메스(5a)는 메스(5)에 마주물려서 절단되어 비둘기눈구멍 단추구멍이 형성된다.
천을 절단하는 압력은 압력조절수단으로서의 볼트(91)를 회전하여 조정하면 된다. 또 압력조정수단은 레버(88)과 아암(6)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있으므로 압력조절이 용이하다. 또 메스와 카운터 메스 사이에 정상적이 아닌 두께의 천이나 이물(바늘, 핀등)이 들어갔을 때 제어캠의 작동이 정지하여 재봉틀 전체가 록상태가 되었을때 이 조절나사를 늦추므로써 극히 간단히 재봉틀의 록상태를 개방하여 복귀가 가능하다. 이 경우 제15a-b도의 도시와 같이 메스캠(97)은 체류부 A로부터 캠증경(增徑)부 B에 있어서 급격히 일어서서 전위부 C를 지나 시간 T1를 경과하여 이행부 D를 지나 광각부 E에 있어서 점진적으로 메스아암(6)의 스트로오크 St는 신장하고, 시간 T2에 있어서 천두께 t를 가지는 천에 서로 걸려서(시간 T3간)천을 절단한다. 시간 T4의 전반에서 메스아암(6)은 천두께 t를 넘어서 다시 스트로오크가 계속되고 이들의 탄성에 의하여 메스(5), 카운터 메스(5a)는 강하게 맞물린다. 이 경우 모우터회전과 메스축(96)의 회전비는 약 100:3이 되고, 또 메스캠(97)을 상기와 같이 형성했기 때문에 작은 동력으로도 메스에 의하여 천을 절단할 수 있고, 또 메스작도시에 발생하는 기계음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천을 절단한 후는 이행부 F, 전위부 G를 지나서 시간 T5에 있어서 축경부 H를 개재하여 체류부 A에 이른다.
이와같이 카운터메스(5a)가 천에 서로 걸릴때까지는 아암(6)을 대폭적으로 내리고, 한편 천에 서로 걸리면 점진적으로 내리도록 캠(97)의 전주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메스기구(80)의 아암(6)이 갑자기 상승하면 선메스캠(214)의 캠부(214a)는 케이싱(213)이 창(213c)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보내기 작동레버(222)의 캠플로워(222i)를 윗쪽으로 밀어올리므로 절환로드(234)(제2도, 제14도, 제26도)는 핀(222c)을 지도리 지점으로 하여 밀어 내려진다. 메스축(96)은 다시 회전하여 메스작동레버(223)의 미늘(223e)은 메스작동회전판(212)의 단부(212d)(제14g도)에 걸어고정된다. 그러나 클러치 수단으로서의 미늘클러치 케이싱(211)은 메스캠(97)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스프링(228)을 펴면서 회전한다. 클러치 케이싱 스토퍼(221)의 선단미늘(221a)은 미늘클러치 케이싱(211)의 단부(211f)(제14h도)에 끼워들어 그 역전방지를 하는 동시에 매스작동 회전판(212)의 캠(212c)은 미늘작동아암(220)의 캠플로워(220c)를 밀어올린다. 미늘(220d)는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b)에 서로 걸리고 미늘클러치(219)의 회전에 따라 미늘부(219a)는 구동래치트(173)에서 떨어져서 메스기구(80)의 동작은 정지한다.
이와같이 모오드 절환기구(210)에는 의하여 종동부로서의 매스캠축(96)을 동력계로부터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이것에 클러치를 조립배치 하므로써 메스구동의 모오드를 모오드절환 손잡이의 위치조작만으로 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절환로드(234)가 강하되면 빨리보내기 기구(103)(제26도, 제26a-c도)의 레버(235)이 일단부(235b)는 강화하여 제어캠기구(300)의 캠(325)에서벗어나서 스프링(237c)에 의하여 캠면(325a)에 스쳐 접촉한다. 동시에 절환브렌치 링크(237)(제26c도)는 좌측으로 전진하여 핀(236a)을 지도리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절환브렌치(236)의 브랜치부(236c)와 절환브랜치 링크(237)의 네모꼴쇠(237e)는 핀(236a)을 개재하여 절환브랜치(236)를 강하하고 동력전달계(103a)의 종동절환 클러치(184)는 내려가고, 회동하고 있는 중간축(102)에 한쪽방향 클러치(186)를 개재하여 설치된 구동부(185)와 맞물린다. 따라서 빨리 보내기기구(103)에 있어서, 클러치(184), 종동부(183)(182)가 회전하여 제어캠기구(300)의 주캠(301)에 설치된 빨리보내기 평기어(309)(제20도)가 회동되고 캠플로워(316)는 캠홈(310)의 등속변위조온(310b)에 들어가고 베드(3)는 등속으로 빨리 보내게 된다.
또, 캠플로워(358),(901)는 각각의 캠홈(323)(324)의 등경부분을 전진하므로 이 시점에서 후기의 비둘기눈구멍형 바느질땀 오프세트 하는 일 및 선회는 생기는 않는다.
천 클램프기구(1000)의 로울러(1027)가 캠(5d)에 서로 걸려서 스프링(1032)의 탄력에 반발해서 평행이동기구(1028)에 있어서의 평행가이드핀(1033), 링크(1029)-(1031), 평행가이드핀(1031c)에 의하여 압지판(1021)이 서로 좌우로 평행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절단된 단추구멍 부분을 벌어진 상태로 베드(3)는 더욱 전방으로 빨리 보내게 된다. 이 벌어진 양 S0(제6a도)는 네모꼴 쇠조절기(1026b)의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변경가능으로 하므로써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스프링(1026c)에 의하여 벌어진 양을 조절할때에 조절기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탄성반발하므로 압지판(1021)과 조절기(1026b)의 백러시의 발생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조절조작을 쉽게 한다.
이상에 설명한 모오드절환기구(210)에는 재봉틀의 조작상 여러가지의 안전조치가 강구되고 있다. 즉, 스타아트레버(225)를 아래로 내렸을때 작동아암(226)은 핀(215b)을 밀어올리고 캠(215d)은 메스작동레버(223)의 캠플로워(233b)에 서로 걸려서 이것을 밀어 내리고 메스작동회전판(212)의 단부(212d)는 레버(223)의 미늘(223a)에서 벗어지므로 스프링(228)에 의하여 회전판(212)은 회전하고 보내기 작동레버(222)의 오작동방지핀(222h)이 회전판(212)의 원주홈(212a)에 들어간다. 이로인해 레버(222)는 처올려지는 일이 없으므로 메스기구(80)가 작동중에 빨리보내지게 되는 위험성은 없다.
또, 스타아트시에 스타아트레버(225)의 스토퍼부(225b)가 케이싱(211)의 오목부(211g)에 들어가서 케이싱(211)이 회전하여 레버(2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되밀려 돌아온후 스토퍼부(225b)는 케이싱(211)의 외주부(211b)에 당접하여 레버(225)를 밀어내릴 수는 없다. 따라서 스타아트레버(225)를 밀어내릴 수는 없다. 따라서 스타아트레버(225)의 두번 압압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푸루프의 효과가 방지된다.
미리 단추구멍이 길이 X(제6a도)를 소망의 값으로 세트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단추구멍 길이 조절기구(974)(제7a도, 제21도, 제21a-c도)에 있어서 손잡이(989)를 늦추어서 지표 플레이트(988)의 지표(988a)의 소망의 값에 장치대(982)의 지침(990)을 맞추면 된다. 또 그 좌우의 바느질땀 조정기(986)를 조정하므로써 좌우의 바느질땀의 시간을 종단에 일치시킬 수 있다.
베드(3)가 전진하여 이동자(980)의 제어캠(981)이 캠플로워(978)에 당접하므로써 단추구멍길이 X를 검출하면 레버(976)가 회동되고 축(973)을 개재하여 클러치 구동장치(930)(제7a도, 제19도, 제19c도)이 스토퍼(966)도 회동하고 아암(937)의 당접부(971)에 얹혀있던 아암(967)(제19c도), (i)는 벗어진다(동도면(ii). 따라서 빨리보내기의 기간에 있어서 제어기구(300)에 이하여 선회기구(370a)(제2도, 제7a도, 제18도)를 경우하고 레버(931), 로드(933), 아암(938)을 개재하여 쌍방의 방향 편위스프링(951)에 축적된 스프링이 반성력을 아암(967)에 의하여 해방하고(릴리이즈)로드(159)를 내린다. 이와같이 하여 동력클러치 기구(100)(제2도, 제3도, 제7a도, 제13도, 제13a도)를 빨리보내기에서 바느질땀 보내기로 절환한다.
즉, 클러치기구(100)에 있어서의 클러치 제어판(150)이 스프링(157)에 반발하여 제13도에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당접부(161)가 제어아암(151)의 브래킷(158)에 당접하고 제어아암(151)을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바늘대를 구동하는 위축(22)에 대하여 원동축(105) 즉 기어(124)는 1/2로 감속되므로 당접면(162)이 제어캠(127)의 반회전으로 그 면(127a)에서 벗어나 스프링(155)에 의하여 브렌치시프터 액튜에이터(148)는 제13도에서 우측으로 전진된다. 이로인해 링절환시프트(123)가 우측으로 밀린다. 빨리보내기 걸어고정부(118)는 시프트(123)에서 벗어나 빨리보내기 중간(102)의 회전이 정지한다. 한편 시프터(123)는 바느질땀 보내기 걸어고정부(128)에 걸어고정되고 원동축(105)은 이 바느질땀 보내기 걸어고정부(128)와 서로 걸어 멈춤된다.
원동축 제13도에서 보아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바늘대 정지장치의 해방캠(129)의 오목부(142)는 정지캠(137)으로부터 진퇴유자(139)를 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도망시키고,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124), 따라서 기어(126)는 회전되고 위축(22)이 구동되고 우산형기어(26)(28)를 개재하여 입축(27)도 회동된다. 또 클러치기구(100)가 바늘질땀 보내기로 절환되면 이 기구의 브렌치시프터 액튜에이터(148)에 그 구멍(148a)에 있어서 결합된 로드(843a)를 개재하여 연동된 윗실 조정기(843)(제5도, 제7a도, 제13도)는 윗실에 장력을 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클러치기구(100)는 1피치 바느질땀 보내기 이내에 작동되어 정확히 빨리보내기에서 바느질땀 보내기로 절환되어 또한 절환시의 충격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클러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위축(22)에 의하여 클러치(851)가 회동하여 핀(853)을 개재하여 링크(852)가 원호(857)로 표시하는 궤도를 그려서(제10a-c도) 구상계수(855)에 접속된 링크의 타단(852b)은 그것에 따라 요동하여 바늘대(20)를 상하동한다.
이 경우에 위축에서 바늘대에의 전달계에는 절이 두 개소밖에 없으므로 밸러시를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구상의 휨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의 바늘대 구동이 가능하고 바늘대의 상하동 조정도 쉬워진다.
또, 바늘실 후리기 기구(830)(제7a도, 제25도)는 위축(22)으로부터 편심캠(836)을 개재하여 브랜치(841a)가 요동되어 도시와 같은 실길을 지나는 윗실(846)은 바늘실 후리기(841)에 의하여 후려진다.
입축(27)이 회전하면 3각탬(29)(제7a도, 제24도, 제24a-b도)을 개재하여 브렌치(30)가 수평으로 왕복운동하고 로드(32)를 개재하여 벨크랭크(35)가 핀(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된다. 이로인해 로드(44)는 상하동된다. 슬라이브(45) 및 스플릿링(47)도 상하로 구동되고, 구멍(50b)에 있어서 지도리 장치된 레버(50c)는 피보크구멍(50a)에 서로 끼워지는 핀(51)에 의하여 회전대(49)에 지도리 장치되므로 핀(53)에 의하여 레버(50c)에 지도리 장치돤 아래메탈(216)은 가로로 요동되고 따라서 바늘대(20)도 최종적으로 가로요동된다. 이 상태를 제24b도(I)(II)에 표시한다.
또, 상기의 바늘대 상하동에 의하여 바늘대(20)에 연결된 바늘(11)이 천으로부터 빠져나왔을 때 바늘요동이 실행되는 형식의 타이밍이 취해지고 있다.
벨크링크(35)의 아암(36)에 설치된 긴구멍(37)은 레버(50c)에의 요동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바늘대(20)의 바늘요동폭 S1(제6a도)을 조정하는 바늘요동폭 조절기로서 기능한다.
또, 조절손잡이(38)에 설치된 편심구멍(39)은 이 재봉틀을 회동하므로써 재봉틀 본체에 대한 벨크랭크(35)의 지도리 지점(35a)(34)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바늘대(20)의 바늘낙하위치, 따라서 슬리트 S의 폭 S0(제6a도)를 조절하는 바늘낙하위치 조절기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벨크랭크(35) 등의 구성기구는 재봉틀 본체의 아암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므로 외관디자인이 좋다. 또 조절손잡이(38)만을 외부로 노출하므로써 단추구멍 사뜨기의 바늘낙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어캠기구(300)에 있어서의 원판캠(301)의 중심으로 통하여 연장되는 입축(27)으로부터 우상형 기어(60)(61)를 개재하여 동력이 방향전환되어 아래축(61)이 전달된다(제11도, 제11a도). 아래축(61)에 설치된 루우퍼 3각 캠(63) 및 스프레더편심 캠(64)에 의하여 캠플로워(65) 및 (66)를 각각 독립하여 상하동시키고, 따라서 이것에 선회가 자유로이 연결되는 루우퍼 연결로드(68) 및 스프레더 연결로드(71)를 상하로 구동한다. 이들의 로드(68)(71), 가이드블록(806)(804), 요동대(808), 스프레더 작동판(840a)를 개재하여 루우퍼(809), 스프레더(810)가 구동되나 이들의 기구 및 작용은 공지의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바늘질땀 보내기는 동일하게 입축(27)에서 동력전달계(330c)(제22도, 제22a-b도)에 있어서의 보진구동부(330b)에 의하여 베드(3)를 보진 보내기하는 것이다. 즉 입축(27)에 설치된 보내기 3각 캠(330a)에 의하여 구동레버(332)가 스쳐 움직이기(354)를 지도리 지점으로 하여 요동되고, 종동레버(334)가 요동된다. 종동레버(334)는 한방향 클러치(305)를 개재하여 지축(302)에 보진회전운동을 부여한다.
이 지축(302)은 주캠(301)을 동심 지지하여 받들고 있으므로 입축(27)의 일회전에 따라 지축(32), 따라서 주캠(301)은 1피치 보진하고 캠홈(310)의 등속변위 조온(310b)(제20a도), 캠플로워(316)에 의하여 베드(3)는 1땀씩 보진된다.
또, 조절기구(330d)에 있어서의 네모꼴끼움쇠(344)를 나사 조절기(349)를 회동하여 위치를 변경시켜서 스쳐움직이기(354)의 위치를 변경시키므로써 바느질땀수, 즉 바느질땀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인해 주캠축(320)를 직접 보진구동하고 있으므로 전달계에서의 보내기 피치반(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조절기(349)는 나사식으로 구성되므로 바늘질땀 피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제어캠기구(300)의 주캠(301)이 바늘질땀 보내기의 회전으로 하고 있을때에는 주캠으로부터 평기어(309) 기어종동부(182), 절환클러치(184)를 개재하여 구동부(185)는 회전되고 있은 한쪽방향 클러치(185)에 의하여 중간축(1025)에의 회전은 차단된다(제26도, 제26a-b도).
한편, 아래축(61)에서 그것에 고정된 블레이크캠(202)의 밀어올리기부(204)(제26b도)에 의하여 캠플로워(200)(지대(1)에 핀(190)에 의하여 지도리 장치된 레버(191)에 설치된다)가 상하로 구동되고 제어부(193)를 구동부(185)에 설치된 브레이크라이닝재(187a)에 압압한다. 구동부(185)의 브레이크라이닝재(187a)는 제동부(193)를 스쳐지나고, 바늘(11)이 천에 서로 걸리기 때문에 주캠(301) 즉 베드(3)가 본래 정지하는 위치의 앞에서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브레이크캠(202)은 타이밍이 취해져 있다. 물론, 제동부(193)는 핀(206), 레버(191), 핀(190)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또, 상기의 베드(3)의 빨리보내기 시에는 아래축(61)은 회전하지 않고 캠플로워(200)는 캠(202)의 브레이크 해방부(제26b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하는 캠플로워의 위치)에 있다. 바느질땀 보내기에 들어가면 빨리보내기의 베드(3)의 관성이 있으므로 바늘(11)이 베드(3)의 운동중에 천에 떨어지면 바늘이 붙어지므로 바늘질땀 보내기가 실시되어 바늘이 천에 꽃히는 직전에 캠(202)의 밀어 올리기부(205)에 의하여 제동부(193)를 구동부(185) 브레이크 라이닝재(187a)에 압압하여 우선 주캠(310), 따라서 베드(3)의 브레이크를 건다.
종래의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은 주캠에 브레이크 밴드를 감음으로써 베드를 제동하고 작동중의 벡러시를 흡수했으나 본 발명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바늘이 천에 꽃혀있는 시간만 브레이크기구(187)에 의하여 주캠을 개재하여 베드(3)에 브레이크를 걸고,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브레이크를 개방하므로써 작동토오크를 가볍게 하고, 소형모우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지금 설명중의 바느질을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에 있어서 제어캠기구에 포함되는 주캠(301)에 의하여 제어되는 캠플로워(901)를 가지고 구동레버(903)와 베드(3)를 네모꼴 끼움쇠(925)를 개재하여 베드(3)를 가로 요동하고, 즉 오프세트시키는 종동레버(922)와는 클러치(911)가 클러치홈(903a)에 걸려 있으므로써 상호 연결된다(제7a도, 제23도).
캠플로워(901)가 캠홈(324)의 변위부분(324a)(제20b도에 있어서 A점)에 도달한 이후, 캠플로워(901)는 구동레버(901)를 개재하여 지축(906)를 지점으로하여 도면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간다. 이로인해 클러치(911)를 개재하여 종동레버(922)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네모꼴 끼움쇠(925) 및 베드가이드홈(3c)(제8도)에 의하여 베드(3)는 베드구멍(314), 즉 캠플로워(315)의 축(311)(제20도)을 축심으로 하여 앞에서 보아서 바늘대(20)에 대하여 좌로 오프세되기 시작한다. 이 오프세트는 캠플로워(901)가 캠홈(324)의 변위부분(324a)에 있어서 B점까지 계속된다. 그때 캠플로워(358)의 캠홈(323)의 등 소경부분(323a)의 종단인 E점이 위치하고 있다.
캠플로워(358)가 상기 위치를 지나서 대등경부분(323b)에 이르면 선형기어(359), 평기어(373)를 개재하여 선회축(370)이 지도리 동작이 시작된다(제7a도, 제18도). 이 선회축(370)은 평형 4절링크(375a-b), (374j-k)를 개재하여 바늘대 회전대(49) 및 루우퍼.스프레더 회전대(801)(제11a도)를 각각 선회시킨다.
한편, 상기 선회가 발생하기 전에 스프링(966)(제19도)에 의하여 클러치 구동장치(930)이 (967)는 재차 아암(937)의 당접부(971)의 하부에 복귀하고 있다(제19c도 (ii)의 (967)를 점선으로 표시). 상기 선회가 완전히 종료한 시점에서 동도면(iii)의 도시와 같이 양쪽방향 편위 스프링(951)에는 스프링의 탄발력이 축적된다. 이 탄발력은 후기하는 바느질땀 보내기에는 빨리보내기에의 절환시에 사용된다.
그런데, 캠플로워(901)가 주캠(301)의 홈캠(324)에 있어서 270°에 있을 때 캠플로워(358)는 홈캠(323)에 있어서 0°에 있고, 또한 캠플로워(316)는 180°에 있다. 이 시점에서 베드(3)는 요동되고 있지않고 바늘대와 정돈일치되고 또한 가장 전방으로 진행하고 있다. 캠플로워(901)는 캠홈(324)의 변위부분(324a)의 270°에 있고, 캠플로워(901)와 캠홈(324)의 변위부분(324a)에 의하여 이번에는 반대로 베드(3)는 앞에서 보아서 바늘대(20)에 대하여 우축옆으로 이동하도록 오프세트된다. 캠플로워(358)가 F점(제20b도)이 되었을 때 캠플로워(901)는 C점에 있고, 다시 캠플로워(901)가 D점이 되고 오프세트가 완료되고 베드(3)은 재차 중심으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의 레버(909)는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을 선택하도록 시프트되어 있으므로 절환링크(913)에 의하여 로드(914)는 제23도에서 보아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아암(916)을 개재하여 바늘질땀수 증감스토퍼(917)의 자유단(917a)은 (917b)쪽으로 시프트한다. 이로인해 자유단(917a)은 바느질땀 형성기구(330)의 바늘질땀 증감부(330e)(제22도)에 있어서의 조절대(343)의 후단부(343b)에 당접한다. 바느질땀수 감축캠 플로워(356)는 스프링(355)에 의하여 바느질땀수 증감용 외주캠(322)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제20b도).
이와같이 하여 선회시에 있어서의 구동레버(332)의 작용점(347)(제22도)은 변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종동레버(334)의 요동력점(334a)이 요동하는 각도, 즉 주캠(301)의 보진 즉 베드(3)의 바느질땀 보내기는 변화하지 않는다. 필요하면, 조정부(914c)(제23도)를 회동하므로써 선회시에 바늘땀수 증감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선회시에는 실길수단으로서의 링크(819)의 일단은 실안내대(818)의 고정실안내(812)에 지도리 장치되고 링크(820)의 일단은 링크(819)와 이동실안내(813)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대(801)에 지도리 장치되어 선회실안내(81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루우퍼.스프레더 회전대의 선회에 따라 양실안내간에 거리가 일정을 유지하므로 실의 장력이 일정해지고, 따라서 실조정상태가 좋고 아름답고 땀이 고른 사뜨기를 달성할 수 있다.
캠플로워(316)는 캠홈(310)을 따라서 진행하고, 베드(3)는 반대로 후퇴하면서 단추구멍의 스리트 S의 바느질땀 a의 사뜨기가 진행된다. 베드의 후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미리 정해진 단추구멍 길이 X의 사뜨기가 종료된 시점에서 이동자(980)는 제외도에서 보아서 좌로부터 우로 이동하고, 제어캠(981)은 단추구멍 검출로서 캠플로워(978)을 요동하여 클러치 구동장치(930)의 축(973)을 회동하고 절환스토퍼(966)의 아암(967)을 아암(937)의 당접부(971)에서 벗어나게 한다(제19c도 iv). 그러면 상기한 양쪽방향 편위스프링(951)에 의하여 바느질땀 보내기중에 있어서 축적된 스프링이 탄발력에 의하여 클러치 절환로드(159)는 들어올려지고 동력클러치기구(100)에 있어서의 클러치제어판(150)은 회동하고, 스프(링57)을 개재하여 클러치 제어아암(151)은 제13도에서 보아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클러치 제어아암(151)의 당접면(163)에 제어캠(127b)의 외주에 접하고 스프링(157)은 늘어난다. 클러치 제어아암(151)이 캠(127b)이 절결부에 왔을 때 스프링(157)에 의하여 들어 올려지고 클러치기구(100)가 계속 반회전한 후 제어캠(127)에 의하여 당접면(162)을 제13도에 보아서 좌측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절환시프터(123)가 바늘질땀 보내기 걸어고정부(128)에서 이반되어서 좌측방향으로 시프트된다. 바늘질땀 보내기 걸어고정부(128)는 스프링(131)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바늘대 정지장치에 있어서의 해방캠(129)(제13b도)의 오목부(142)에 의하여 정지캠(138)쪽으로 진퇴유자(139)를 압압하여 도망시킨다. 바느질땀 보내기 구동부(124)는 진퇴유자(139)가 정지캠(137)의 오목부(140)에 들어가므로써 정지된다.
이로인해 바늘질땀 보내기 구동부(124)는 언제나 일정위치에서 정지하고 따라서 바늘대(20)을 상사점(上死點)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정지시의 충격은 엘라스토머 0링(144)(제9도) 및 충격스프링(137a)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환시프터(123)가 제13도에서 좌측으로 시프트되면 액튜에이터(148), 로드(843a)를 개재하여 윗실조정기(843)는 윗실의 장력을 늦추는 동시에 빨리보내기 걸어고정부(118)가 접속되고, 빨리보내기기구(103)의 빨리보내기 평기어(119), 워엄휘일(175)에 의하여 중간축(102)은 회동된다. 이 중간축(102)은 한쪽 방향 클러치(186)를 개재하여 구동부(185)에 회동동력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184), 종동부(183),(182), 기어(309)에 의하여 캠기구(300)의 주캠(301)은 회동된다.
바늘대(20)가 상사점에 있으므로 브레이크기구(187)에 있어서의 캠플로워(200)는 해방위치에 있다. 빨리보내기(103)의 레버(235)의 일단부(235b)는 제어캠기구(300)에 있어서의 주캠(301)의 캠(325)에 들어가서 베드(3)는 정지된다. 캠플로워(316)는 주캠(301)에 있어서의 캠홈(310)의 등경캠부분(310a)에 있으므로 베드(3)는 이동하지 않는 위치에 있고, 따라서 바늘대(20)의 위치는 언제나 정위치에서 정지하므로 메스구멍 위치도 일정하다는 이점이 있다.
레버단부(235b)가 정지캠(325)에 들어가면 절환브렌치(236)는 상승하고, 절환클러치(184)도 상승하고, 종동부(182),(183)는 회전을 정지하므로 주캠(301)도 정지한다. 이때 캠플로워(316)는 0°에 있고, 베드(3)는 원위치에 정지하고 재봉틀이 정지상태로 복귀한다. 수동레버(1009)를 뒷쪽으로 되돌려서 천클램프 기구(1000)에서 천을 해방시키면 스위칭기구 SW에 의하여 모우터 M는 정지한다. 이상으로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사뜨기의 1사이클을 종료한다.
일자형 단추구멍(제6b도)을 사뜨기할때는 우선 메스장치대(5c)(제15도)위의 메스(5)를 떼어내고 메스(5-1)로 교환한다.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900)(제23도)의 레버(909a)를 제1도, 제7a도에 있어서 뒷쪽으로 시프트하여 일자형 단추구멍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절환랭크(913)는 회동하고, 클러치(911)는 구동레버(903)의 클러치홈(903a)에서 벗어나서 지대(1)에 고정된 스토퍼(912)의 홈(912a)에 끼워진다.
따라서 주캠(901)으로부터 캠플로워(901)가 요동되어도 아암(903)은 자유로이 요동을 할뿐이고, 네모꼴 끼움쇠(925)는 요동하지 않고 단추구멍에 있어서의 오프세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절환링크(913)의 회동에 따라 로드(914)에 제23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아암(916)을 개재하여 바느질 땀수 증감스토퍼(917)의 자유단(917a)은 (917c)의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이로인해 자유단(917a)은 바느질땀 보내기기구(330)의 바느질땀증감부(330e)(제22도)에 있어서의 조절대(343)의 후단부(343b)로부터 벗어난다. 바느질땀수 감축캠플로워(356)는 스프링(355)에 의하여 바느질땀 증감용 외주캠(322)에 들어간다(제20b도).
이와같이 하여 네모꼴 끼움쇠(344)는 스쳐 움직이기(354)는 정지상태에 있어서도 이들의 지도리 지점은 조절대(343)의 미끄러져 움직이기에 의하여 변위한다. 이로인해 캠플로워(356)가 외주캠(322)에 들어갈때는 구동레버(322)의 작용점은 제22도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작용점(366), 종동레버의 요동점(334a)의 요동 각도가 커지고, 한방향 클러치(305)를 개재하여 지축(302), 따라서 주캠(301)의 보진 즉 베드(3)의 바느질땀 피치가 커진다.
또, 이상의 바느질땀 감축, 즉 바느질땀 피치증대는 캠플로워(358)가 캠홈(323)의 E점으로부터 F점의 사이에서 캠플로워(356)는 외주캠(322)으로 들어가는 타이밍이 취해진다.
이와 같은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사뜨기, 일자형 단추구멍 사뜨기 절환기구(900)에 의하면 절환레버(909a)(제23도)의 일조작에 의하여 베드의 가로요동과 고정의 절환 및 바느질땀수 증감부의 절환이 연동할 수 있다. 즉 절환레버(909a)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베드의 가로요동을 고정하고, 동시에 바느질땀 피치를 증대하는 바느질땀수 증감부에도 연동해서 바느질땀 보내기에 있어서의 선회부(제6b도)의 바느질땀수의 변환을 원터치로 할 수 있다.
모오드절환 손잡이(217)를 앞으로 당기면 치수 t1, t2, t3와의 관계에서 손잡이(217)의 홈(217a)이 축(96)의 평각부(96e)로부터 벗어지나 뚜껑(218)의 보스에 닿아서 빠지지 않고, 또한 모오드절환캠(216)의 마늘(216f)과 손잡이(217)의 홈(217a)은 연결상태를 이루고 있다.
지표(217b)가 바로 아래에 오도록 손잡이(217)를 개재하여 모오드절환캠(216)을 회동한다. 선매스캠(214)의 캠부(214a)는 모오드절환캠(216)의 편심캠(216a)에 의하여 케이싱(213)의 창(213c)으로부터 들어 있다(제14도, 제14a-k도, 제14m도)
스타아트레버(225)를 압하하면, 스타아트레버작동 아암(226)은 모오드 절환캠(216)의 외주(216c)에 당접하는 동시에, 후메스작동아암(224)이 걸어맞춤부(224c)는 모오드절환캠(216)의 단부(216b)에 들어간다. 아암(224)의 가이드부(224a)는 메스작동레버(223)의 슬리트부(223c)에 들어가 있던것이 모오드절환캠(216)의 단부(216b)의 들어간 양만큼 축심으로 치우치고, 아암(224)의 스텝부(224b)는 메스작동레버(223)이 당접부(223d)에 얹힌다. 이것으로 후메스의 세트상태가 된다.
비둘기눈구멍 단추구멍 사뜨기, 일자형 단추구멍 사뜨기 절환기구(900)에 있어서의 레버(909a)의 선택 및 그 작용은 선메스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스타아트레버(225)를 누르면 아암(226)은 캠(216)의 외주(216c)에 얹히고, 선메스 구동회전판(215)의 핀(215b)은 캠(216)의 환상공극부(216c)에 가려져있으므로 아암(216)은 선메스 구동회전판(215)의 돌출핀(215b)를 누를 수 있다. 아암(224)은 축심으로 접근했으므로 스타아트 레버작동아암(226)은 아암(224)의 쳐올리기부(224b)를 쳐올릴 수 있다. 보내기 작동레버(222)의 한쪽의 부재(222a)는 내려가고, 절환로드(234)(제4도), 빨리보내기기구(103)(제26도)의 레버(235)도 강하한다. 레버(235)의 일단부(235b)는 제어캠기구(300)의 캠(325)에서 벗어나서 스프링(237c)에 의하여 캠면(325a)에 스쳐 접촉하여 지지된다.
이로인해 레버(235)의 단부(235b)는 밀어올려지는 일이없고, 따라서 보내기작동레버(222)는 이 상태로 지지되고, 레버(222)의 오작동방지핀(222h)은 메스작동회전판(212)에 있어서의 창(212f)의 (212g)에 당접하는 위치에 있고, 가령 메스작동레버(223)가 벗어나도 메스작동회전판(212)은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a)는 구동부로서의 래칫(173)에 걸리지 않고 메스기구(80)가 작동되는 일은 없다.
또, 스타아트레버(225)를 두번 눌러도 상기 후메스의 세트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빨리보내기 단추구멍 땀 형성]
베드가 전진하여 빨리보내기 되고,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고 재차 베드가 후퇴하여 빨리보내기 되어서 바느질땀 형성을 하는 것은 상기의 선메스와 동일하다.
[메스작동]
레버(235)의 단부(236b)가 정지캠(325)에 들어가면 질환로드(234)가 밀어올려져서 클러치(184)에 의하여 후퇴 빨리보내기 정지하는 동시에 보내기 작동레버(222)가 하강하고 보내기 작동레버(222)이 오작동방지핀(222h)이 메스작동회전판(212)의 원주홈(212e)에 들어가 아암(224)의 스텝부(224b), 메스작동레버(223)의 당접부(223d)가 강하된다. 이로인해 미늘부(223a)는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단부(212s)로부터 벗어난다. 스프링(228)에 의하여 메스작동 회전판(212)도 회동하고, 캠(212c)에 얹혀있던 작동아암(220)의 캠플로위(220c)가 벗어져서 미늘(220d)은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b)로부터 벗어진다.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a)는 스프링(227)에 의하여 메스기구(80)의 구동부로서의 래칫(173)에 물려든다. 이로인해 종동부로서의 메스캠축(96)은 회전한다. 따라서 매스캠(97)의 회전에 의하여 모오드절환캠(216)이 돌아 아암(224)의 걸어맞춤부(224c)가 캠(216)의 단부(216b)를 포함하는 외주부(216c)에 얹히고, 아암(224)은 밖으로 밀려서 매스작동 레버(223)의 당접부(223d)와 아암(224)의 스텝부(224b)는 벗어지고 스프링(229c)에 의하여 메스작동레버(223)는 복귀한다. 메스캠(97)이 1회전하여 선매스와 동일하게 단추구멍을 뚫면 레버(223)의 미늘(223a)은 메스작동 회전판(212)의 단부(212d)에 당접하여 록한다. 이와 같이하여 메스는 처음의 상태로 복귀하여 메스기구(80)의 작동은 완료된다.
[천에 대한 바느질땀 형성]
지료(217b)가 우측으로 세트되도록 손잡이(217)를 돌린다.
선메스 구동회전판(215)의 핀(215b)는 후메스와 같이 모오드 절환캠(216)의 환상공극부(216e)에 가려져 있다. 단 후메스 작동아암(224)의 걸어맞춤부(224c)는 외주부(216c)에 당접된다.
스타아트레버(225)를 누르면 후메스와 동일하게 빨리보내기, 바느질땀 형성이 실시된다. 후퇴의 빨리보내기가 실시되고 레버(225)의 단부(235b)가 정지캠(325)에 들어가서 베드(3)가 정지하고 절환로드(234)가 상승하고 보내기 작동레버(222)가 하강하나 후메스작동 아암(224)의 스텝부(224b)는 메스작동레버(223)의 당접부(223d)를 밀어내릴수는 없다. 따라서 메스기구(80)가 작동하는 일은 없다.
만약 단추구멍 사뜨기에 있어서, 바느질땀이 단정하게 형성이 안되었을때는 우선 사뜨기기 된 천을 빼내서 실을 풀고 이 실을 푼 후의 바늘구멍 및 메스구멍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추구멍 패턴을 사용하여 천에 바느질땀을 형성하는 모오드로 재차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면 실패없는 단추구멍 형성을 소정장소에 실시할 수 있다.
[천에 단추구멍을 절단하는 일]
천에 단추구멍을 절단하는 일은 메스교환에 있어서의 메스의 상태를 조사하거나 천의 시험절단으로 사용된다. 또는 선메스 모오드에 있어서의 메스절단 보정에 사용된다.
우선, 지표(217b)가 좌측으로 오도록 손잡이(217)에 의하여 모오드절환캠(216)를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후메스작동아암(224)의 걸어맞춤부(224c)는 모오드절환캠(216)의 외주(216c)에 얹혀있다. 선메스캠(214)의 모오드절환캠(216)의 편심캠(216a)에 의하여 케이싱(213)의 창(231c)으로부터 들어가 있으므로 보내기 동작레버(222)는 위로 올라가지는 않는다. 스타아트작동 아암(226)은 모오드절환캠(216)의 단부(216b)에 들어가 있으므로 선메스 구동회전판(215b)을 쳐올리는 상태에 있다. 스타아트레버(225)를 압압하면 선메스와 동일하게 핀(215b)을 밀어올려서 선메스 구동회전판(215)이 회동하고 그 캠(215d)은 메스작동레버(223)이 캠플로워(223b)을 밀어내린다. 그 미늘부(223a)가 메스작동회전판(212)의 단부(212d)로부터 벗어나 스프링(228)에 의하여 메스작동 회전판(212)이 회동하고, 원래부터 캠(212c)에 얹혀 있던 작동아암(220)의 캠플로워(220c)가 벗어져서 미늘(220d)은 미늘클러치(219)의 미늘부(219b)로부터 이반하여 미늘부(219a)는 스프링(227)에 의하여 메스기기구(80)의 구동부로서의 래칫(173)에 파고 들어간다. 이로인해 종동부로서의 메스캠축(96), 따라서 메스탬(97)이 회동하고 메스 및 카운터메스에 의하여 단추구멍이 뚫린다. 모오드절환에 있어서의 안전성은 선메스의 그것과 동일하다.
[긴급 복귀]
이상의 제모오드중 베드(3)가 주행하는 모오드에 있어서 예를들면 바늘(11)이 부러지거나 바느질땀 형성의 중지나 피봉제품이 천의 세트미스등의 경우에는 급속히 스타아트위치 즉 정지상태로 복귀하는 긴급레버(940)(제19도)를 사용한다. 지금 이러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클러치 구동장치(930)에 있어서의 레버(940)를 압압하면 축(934)을 개개하여 아암(935)의 좌착부(942)는 아암(936)의 브래킷(948)을 들려올려서 절환로드(159)를 밀어올려서 빨리 보내기 상태로 시프트한다. 이 결과로 클러치기구(100)는 빨리 보내기로 절환되어 바늘대는 정위치에 정지하고 베드(3)는 즉시 빨리보내기로 되고 원래의 정지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도 명백한 것과 같이 모우터 토오크를 빨리 보내기시에는 중간축에 전달하여 빨리보내기 기구를 개재하여 베드를 빨리보내기하고 바느질땀 보내기시에는 위축, 입축, 아래축의 하나에 전달하여 바느질땀 보내기기구를 개재하여 바느질땀 형성장치에 의하여 바느질땀 형성을 실시하는 클러치수단을 형성하므로써 조작성이 양호하고 완성된 단추구멍의 사뜨기가 아름답고 바느질이 단정하고 소형하고 운반이 용이한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이 제공된다.

Claims (12)

  1. 천을 천클램프 수단과 함께 지지하는 베드를 포함하는 재봉틀 본체와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대로 위한 상하동기구 및 바늘요동기구를 가지는 바늘대 구동기구, 루우퍼 및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루우퍼.스프레더 기구 및 상기 바늘대, 루우퍼.스프레더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에 단추구멍 사뜨기를 실시하는 바느질땀 형성장치와, 상기 상하동 기구를 구동하는 위축과 상기 루우퍼.스프레더기구를 구동하는 아래축과 상기 천에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메스기구와, 상기 베드를 위한 빨리보내기 기구를 가지는 제어캠기구와, 상기 윗축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요동기구, 상기 아래축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구동하는 입축을 가지고 모우터로 구동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제어캠기구는 원판상의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입축은 상기 주캠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는 그 중간축으로부터 상기 주캠의 외주를 구동하는 동력전달계를 가지고,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에서 보진구동부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보진하는 동력전달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진구동부는 단추구멍을 에워싸는 바느질땀의 수를 전체에 걸쳐서 변경할 수 있는 바느질땀수 조절기구에 그 바느질땀의 일부에 있어서 바느질땀수를 증감할 수 있는 바느질땀가 증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캠은 상기 바느질땀수 증감부를 제어하는 바느질땀수 증감을 외주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4. 제2항에 있어서, 이 바느질땀 형성중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땀수를 각각 증감시키는 이 바느질땀수 증감부와 상기 베드를 가로로 요동시켜서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사뜨기에, 가로로 요동시키지 않고 일자형 단추구멍 사뜨기를 절환하는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일자형 단추구멍 절환기구를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바느질땀 증감량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캠은 상기 바느질땀 형성 및 빨리보내기의 1사이클 종료시에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중간축에 연동된 구동부와 상기 메스기구를 작동시시키는 종동부와 접촉이탈을 하는 모오드 절환기구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빨리보내기 기구의 동력전달계를 차단하는 정지캠을 가지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캠은 상기 정지캠에 의한 상기 베드의 정지위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에 걸쳐서 상기 베드의 보내기를 정체시키는 등 등경캠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캠의 상기 정지캠에 슬라이드 터치가 가능하고 상기 모오드 절환기구 및 상기 빨리 보내기의 동력전달계에 연결된 레버를 가지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정지캠에 걸어고정되고 이 모오드 절환 및 이 빨리보내기이 동력전달을 차단한 후에 이 주캠의 회동에 따라 이 레버를 이 정지캠으로부터 이탈하는 복구 수단을 구비한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9. 천을 천클램프 수단과 함께 지지하는 베드를 포함하는 재봉틀 본체와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대를 위한 상하동기구 및 바늘요동기구를 가지는 바늘대 구동기구, 루우퍼 및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루우퍼, 스프레더기구 및 상기 바늘대, 루우퍼.스프레더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에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는 바느질땀 형성장치와 상기 상하동기구를 구동하는 윗축과, 상기 루우퍼, 스프레더기구를 구동하는 아래축과 상기 천에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메스기구와, 상기 베드를 위한 빨리보내기 기구 및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가지는 제어캠 기구와, 상기 윗축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요동 기구, 상기 아래축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기구를 구동하는 입축을 가지고 모우터로 구동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있어서 상기 제어캠 기구는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주캠에 의하여 제동되는 캠플로워를 가지는 구동 레버와, 상기 구동 레버로 부터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베드를 가로 요동시키는 종동레버와,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수동레버를 가지는 비둘기눈구멍형 단추구멍 사뜨기, 일자형 단추구멍 사뜨기 절환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기구는 상기 입축으로부터 보진구동부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구동하는 동력전달계를 가지고, 상기 보진구동부는 단추구멍을 에워싸는 바느질땀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수동레버에 연동하여 바느질땀 수를 증감할 수 있는 바느질땀 증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11. 천을 천클램프 수단과 함께 지지하는 베드를 포함하는 재봉틀 본체와,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대를 위한 상하동기구 및 바늘 요동기루를 가지는 바늘대 구동기구, 루우퍼 및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루우퍼.스프레더기구 및 상기 바늘대, 루우퍼.스프레더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에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는 바느질땀 형성장치와, 상기 상하동기구를 구동하는 윗축과, 상기 루우퍼.스프레더기구를 구동하는 아래축과, 상기 천에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메스기구의 상기 베드를 위한 빨리보내기 기구 및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가지는 제어캠기구와, 상기 윗축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요동기구, 상기 아래축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구동하는 입축을 가지고 모우터로 구동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제어캠 기구는 원판상의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입축은 상기 주캠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고,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에 고착된 보내기 캠과,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장치된 슬라이더를 지도리 지점으로 하여 상기 보내기 캠에 의하여 요동되는 구동레버와 지도리 장치되어 한쪽방향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보진구동하는 종동레버와,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조절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12. 천을 천클램프 수단과 함께 지지하는 베드를 포함하는 재봉틀 본체와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대를 위한 상하동기구 및 바늘요동기구를 가지는 바늘대 구동기구, 루우퍼 및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루우퍼.스프레더기구 및 상기 바늘대, 루우퍼.스프레더를 선회시키는 선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천에 단추구멍 사뜨기를 하는 바느질땀 형성장치와 상기 상하동기구를 구동하는 윗축과 상기 루우퍼.스프레더 기구를 구동하는 아래축과 상기 천에 단추구멍을 형성하는 메스기구와, 상기 베드를 위한 빨리보내기 기구 및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가지는 제어캠 기구와, 상기 윗축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요동기구, 상기 아래축 및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를 구동하는 입축을 가지고 모우터로 구동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제어캠 기구는 원판상이 주캠을 포함하고 상기 입축은 상기 주캠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고, 상기 바느질땀 보내기 기구는 상기 입축에 고착된 보내기캠과 미끄러져 움직이기가 자유로이 장치된 슬라이더를 지도리 지점으로 하여 상기 보내기캠에 의하여 요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도레버에 지도리 장치되어 한쪽방향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주캠을 보진구동하는 종동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단추구멍을 에워싸는 바느질땀의 일부에 사용되는 상기 주캠의 바느질땀수 증감용 외주캠에 슬라이드터치하는 캠플로워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19890020790A 1984-09-14 1989-12-30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KR92000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790A KR920000851B1 (ko) 1984-09-14 1989-12-30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94346A JPH0738903B2 (ja) 1984-09-14 1984-09-14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194346 1984-09-14
KR1019850006732A KR920000819B1 (ko) 1984-09-14 1985-09-14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19890020790A KR920000851B1 (ko) 1984-09-14 1989-12-30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732A Division KR920000819B1 (ko) 1984-09-14 1985-09-14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23A KR910014023A (ko) 1991-07-31
KR920000851B1 true KR920000851B1 (ko) 1992-01-30

Family

ID=163230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732A KR920000819B1 (ko) 1984-09-14 1985-09-14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19890020790A KR920000851B1 (ko) 1984-09-14 1989-12-30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19890020789A KR920000850B1 (ko) 1984-09-14 1989-12-30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732A KR920000819B1 (ko) 1984-09-14 1985-09-14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789A KR920000850B1 (ko) 1984-09-14 1989-12-30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4727817A (ko)
JP (1) JPH0738903B2 (ko)
KR (3) KR920000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9778U (ko) * 1988-10-20 1990-05-01
JP2734769B2 (ja) * 1990-10-08 1998-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US5752455A (en) * 1996-09-24 1998-05-19 Amf Reece, Inc. Clutch mechanism for a buttonhole sewing machine
US5692447A (en) * 1996-09-24 1997-12-02 Amf Reece, Inc. Knife mechanism drive for a buttonhole sewing machine
DE19756269C2 (de) * 1997-12-18 2000-11-30 Schips Ag Naehautomation Tueba Knopfannähverfahren und Knopfloch-Spreizvorrichtung für Nähmaschinen
JP2002233676A (ja) * 2001-02-08 2002-08-20 Juki Corp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4799752B2 (ja) * 2001-04-13 2011-10-26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JP5957227B2 (ja) * 2012-01-10 2016-07-27 Juki株式会社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US20140090149A1 (en) * 2012-10-01 2014-04-03 Joseph Koorkin Andonian Washing socks
TWI508677B (zh) * 2013-08-16 2015-11-21 Chee Siang Ind Co Ltd Hammer hammer adjustment mechanism for keyhole cut buttonhole device
JP6581853B2 (ja) * 2015-09-07 2019-09-25 Juki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7577A (en) * 1928-11-29 1931-05-26 Buttonhole sewing machine
US1839854A (en) * 1929-10-19 1932-01-05 Singer Mfg Co Automatic operator for sewing machines
US1988460A (en) * 1931-03-25 1935-01-22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1941620A (en) * 1931-03-26 1934-01-02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1939271A (en) * 1931-04-25 1933-12-12 Singer Mfg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1991627A (en) * 1931-10-16 1935-02-19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DE634013C (ko) * 1934-01-26
US2086662A (en) * 1935-07-18 1937-07-13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uttonholes
FR793887A (fr) * 1935-07-18 1936-02-03 Int Button Hole Sewing Machine Boutonnière et procédé et machine pour la confectionner
US2149110A (en) * 1937-07-28 1939-02-28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JPS301125B1 (ko) * 1937-12-14 1955-02-21
US2174294A (en) * 1938-07-16 1939-09-26 Singer Mfg Co Buttonhole-cutter safety device for automatic buttonhole sewing machines
JPS26730B1 (ko) * 1939-12-27 1951-02-20
US2301797A (en) * 1940-09-21 1942-11-10 Singer Mfg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2340276A (en) * 1942-05-16 1944-01-25 Singer Mfg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2487389A (en) * 1947-11-14 1949-11-08 Singer Mfg Co Thread-trimm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S25536B1 (ko) * 1948-09-20 1950-02-24
JPS301126B1 (ko) * 1950-01-30 1955-02-21
JPS264886B1 (ko) * 1950-03-23 1951-08-30
JPS272893B1 (ko) * 1950-03-23 1952-07-30
JPS305834B1 (ko) * 1950-03-23 1955-08-20
JPS283541B1 (ko) * 1950-10-21 1953-07-24
GB759730A (en) * 1953-12-03 1956-10-24 Singer Mfg Co Method of and machine for producing a piped opening in a body material
NL300984A (ko) * 1962-12-07
JPS473876U (ko) * 1971-02-02 1972-09-07
JPS58195581A (ja) * 1982-05-10 1983-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の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67422A (en) 1991-11-26
JPH0738903B2 (ja) 1995-05-01
JPS6171091A (ja) 1986-04-11
KR860002609A (ko) 1986-04-28
US4727817A (en) 1988-03-01
KR910014022A (ko) 1991-07-31
KR920000850B1 (ko) 1992-01-30
KR920000819B1 (ko) 1992-01-30
KR910014023A (ko) 199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851B1 (ko)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US4343250A (en) Lock stitching and over-lock stitching sewing machine
KR20150083774A (ko)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TWI724131B (zh) 縫合裝置及包含該裝置之機器
US5009177A (en) Thread cutting unit having a rotatably driveable cutting knife and loop spreading plate for a sewing machine
US3285210A (en) Looper drive for chain stitch sewing machines
US4344307A (en) Thread control means in a textile machine
US6044780A (en) Eyelet-buttonhole sewing machine
US3221688A (en) Overlock sewing machine
CN109594234A (zh) 一种缝纫机的剪线装置
CA1043174A (en) Assembly for automatic bar tacking
US3428006A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which automatically forms barring and covering stitches
JPH05295648A (ja) 飾り付けミシン
US4903619A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US4341172A (en) Sewing machine conversion apparatus
JPS5817635B2 (ja) ミシン
KR20140003172U (ko) 재봉기
EP3775349B1 (en) Assemblies for textile manufacturing and related methods
US3083655A (en) Linking machines
US3083657A (en) Zigzag sewing machine with control device for producing composite enclosed-area stitch patterns
US1946514A (en) Trimming attachment
RU232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еттлевки
CN2527577Y (zh) 一种新型缝合机
US498216A (en) Sewing-machine
US2958301A (en) Mecktie centralizing stitc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