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774A -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774A
KR20150083774A KR1020140174922A KR20140174922A KR20150083774A KR 20150083774 A KR20150083774 A KR 20150083774A KR 1020140174922 A KR1020140174922 A KR 1020140174922A KR 20140174922 A KR20140174922 A KR 20140174922A KR 20150083774 A KR20150083774 A KR 2015008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shaft
feeding
clutch assembly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맨 추잉 첸
Original Assignee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6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with differential feed mo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급송 기구, 커플 기구, 차동 조정 기구 및 상부 급송 기구를 포함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를 제공한다. 하부 급송 기구는 하부 급송축이 제1 급송축, 및 상기 제1 급송축과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2 급송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집합적으로 형성된다. 제1 급송축은 제1 클러치 조립체에 접속되어 제1 클러치 조립체를 관통한다. 제2 급송축은 제2 클러치 조립체에 접속되어 제2 클러치 조립체를 관통한다. 부가적으로, 커플 기구는 하부 급송축과 평행한 커플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커플 샤프트는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와 상기 제2 클러치 조립체에 각각 접속된다. 차동 조정 기구는 상기 커플 샤프트와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 사이에 조립된다. 또한, 상부 급송 기구는 상부 급송축을 구비한다. 상부 급송축은 변속 조립체에 의해 제1 급송축에 접속되어, 상부 급송 기구와 하부 급송 기구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동 조정 기구는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에 의해 작동되는 제1 급송축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2 급송축에 대응하는 양의 차동 급송 또는 음의 차동 급송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DIFFERENTIAL FEE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대체로 상부 급송 기어와 하부 급송 기어 사이의 상대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은, 차동 조정 기구와 협동하는 동축 클러치 조립체의 디자인을 통해, 상부 급송 기어와 하부 급송 기어가 모두 상부 급송 기어와 하부 급송 기어 사이의 상대 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differential feed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통상의 재봉틀의 급송 공정은 2개의 부분: 하부 급송 절차 및 상부 급송 절차를 수반한다. 하부 급송 절차는 한 가닥의 실을 사용한 직물과 다른 재료를 함께 스티칭(stitching)하는 것과 관계되고, 스티칭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부 급송 절차는 한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직물과 다른 재료를 함께 스티칭하는 것과 관련되지만, 스티칭은 아래로부터 위로, 직물의 외부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하부 급송 절차 동안, 바늘과 직물은 동시에 움직이므로, 상부 급송 기어 및 하부 급송 기어는 동시에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멍과 재봉틀 바늘은 상부 직물과 하부 직물에 의해 편향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상부 급송 절차 동안, 바늘은 복귀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부 급송 기어 및 하부 급송 기어는 다른 급송 속도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직물의 급송 품질에 관련한 상부 직물의 급송 품질이 제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 관련하여, 상부 급송 기어 및 하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는, 재봉틀 바늘에 대한 거리 및 하부 급송 기어의 표준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재봉틀의 상부 급송 기구의 아암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차동 속도의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 및 하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가 동일하다면, 상부 급송 기어와 하부 급송 기어는 동시 회전 속도를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가 동시 회전 속도보다 빠르다면,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는 양(positive)의 차동 급송으로 지칭된다.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가 동시 회전 속도보다 느리다면,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는 음(negative)의 차동 급송으로 지칭된다.
그러나, 롤러 급송을 가지는 종래의 재봉틀의 급송 장치는 일방향 베어링의 원리를 이용한다. 즉, 차동 급송 장치들이 양의 급송 또는 음의 급송을 수행할 수 있더라도, 급송 기어들의 회전 속도는 툴들(tools)에 의해 조정되어야만 하고, 또한 급송 기어들의 회전 속도는 급송 동안 조정될 수 없다. 더욱이, 급송 기어들의 회전 속도는 시험 및 연습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차동 조정의 작동 위치가 재봉틀의 스티치(stitch) 길이의 작동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동 조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다.
종래의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에서 차동 급송을 수행하는 전술한 문제점의 견지에서, 재봉틀이 빌트인 차동 급송 조정 장치에서 차동 급송을 수행하기 위한 더 나은 설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차동 급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하부 급송축의 동일한 축 상에 있는 2개의 양방향성 클러치 조립체들을 설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정 기구가 차동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차동 효과의 존재는 재봉틀의 구조적 요소들의 총개수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재봉틀의 전체 구조가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차동 효과를 갖는 재봉틀의 존재는 재봉틀의 무게 중심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재봉 주기 동안 상부 급송 기어와 하부 급송 기어 사이의 차동 급송량을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재봉틀의 차동 효과는 재봉 동작의 정지없이 작업자가 상부 급송 기어와 하부 급송 기어 사이의 차동 급송량을 직접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로 하부 급송 기구, 커플 기구(couple mechanism), 차동 조정 기구 뿐만 아니라 상부 급송 기구에 의해 구성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급송 기구로서, 하부 급송축이 제1 급송축과, 상기 제1 급송축과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2 급송축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급송축은 제1 클러치 조립체에 접속되어 이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급송축은 제2 클러치 조립체에 접속되어 이를 관통하고; 커플 기구는 상기 하부 급송축과 평행한 커플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 샤프트는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와 상기 제2 클러치 조립체에 각각 접속되며; 차동 조정 기구는 상기 커플 샤프트와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 사이에서 조립되고, 상부 급송 기구는 상부 급송축을 포함하고; 상부 급송축은 변속 조립체에 의해 제1 급송축에 접속되어, 상부 급송 기구와 하부 급송 기구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차동 조정 기구는 제1 클러치 조립체에 의해 작동되는 제1 급송축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급송축에 대응하는 양의 차동 급송 또는 음의 차동 급송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동 조정 기구는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차동 아암을 포함하고; 차동 아암의 일단의 피봇은 커플 샤프트 상에 배치되며; 차동 조정 기구는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채널의 내부는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며; 슬라이드 블록은 커넥팅 로드에 의해 제1 클러치 조립체와 조정 기구에 각각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조정 기구는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 출력 아암, 조정 핸들, 국부화 디스크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의 일단은 슬라이드 블록에 접속되고;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는 출력 아암이 조립되며, 출력 아암의 피봇은 변속 레버에 접속되고, 변속 레버와 조정 핸들은 서로 상호 접속된다. 국부화 디스크는 조정 핸들의 일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트랙을 포함하며; 고정 부재와 조정 핸들은 각각 국부화 디스크의 서로 다른 2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트랙과 조정 핸들에 의해 서로 볼트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정 핸들, 국부화 디스크 및 고정 부재는 모두 재봉틀의 외부에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정 핸들은 재봉틀의 재봉틀 본체에 노출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조정 핸들은 재봉틀의 조정 바늘의 작업 배치에 인접한다. 부가적으로, 변속 조립체는 동시에 작동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벨트 그룹, 체인 그룹 또는 기어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차별화 기술 특징은 제2 급송축과, 제2 급송축에 대해 동일 축 상에 있는 제1 급송축 상의 2개의 양방향성 클러치 조립체의 각각의 배치 선정이다. 더욱이, 조정 기구에 의한 차동 아암의 구동은 급송 절차 동안 회전 각도 상에서 바늘에 관한 제1 클러치 조립체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재봉틀의 작업자가 재봉하는 동안 정지할 필요없이 하부 급송 기어에 관하여 상부 급송 기어의 회전 속도를 직접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것은 결과적으로 차동 효과를 생성한다.
부가적으로, 2개의 클러치 조립체들이 재봉틀의 재봉틀 베드의 배치에 모두 배치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재봉틀의 구조적 요소의 총 개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재봉틀의 전체 구조가 단순화된다. 차동 효과를 갖는 재봉틀의 존재는 재봉틀의 무게 중심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조정 핸들, 국부화 디스크 및 고정 부재는 재봉틀의 외부에 모두 노출된다. 또한, 전술된 구성요소들은 조정가능한 바늘의 작동 위치에 가깝고, 그 결과 사용의 편리성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대해 만들어진 예들과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 내부에 설치된 다른 기구와 함께 차동 급송 장치를 예시하는 3차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을 위한 차동 급송 장치를 도시하는 3차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급송 기구, 커플 기구, 차동 조정 기구, 변속 조립체 및 상부 급송 기구를 도시하는 3차원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대응하는 하부 급송 기구를 도시하는 3차원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대응하는 커플 기구를 도시하는 3차원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대응하는 차동 조정 기구를 도시하는 3차원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급송 기구와 커플 기구에 관한 차동 조정 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급송 기어의 급송량과 비교하여 차동 핸들에 의한 조정에 이어지는 상부 급송 기어의 증가된 급송량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급송 기어의 급송량과 비교되여 차동 핸들에 의한 조정에 이어지는 상부 급송 기어의 감소된 급송량을 도시하는 개략도.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을 제공하도록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통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도록 기여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봉틀(10)은 주로 재봉틀 헤드(11), 재봉틀 베드(12) 및 재봉틀 본체(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급송 기구(20)는 재봉틀 헤드(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급송 기구(20)는 상부 급송 기어를 구동시켜서,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하부 급송 기구(30)와 커플 기구(40)는 재봉틀 베드(1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급송 기구(30)는 하부 급송 기어(31)를 구동시켜서,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하부 급송 기구(30)는 커플 기구(4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재봉틀 본체(13)는 변속 조립체(50)와 차동 조정 기구(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변속 조립체(50)의 일단은 상부 급송 기구(20)에 접속될 수 있고; 변속 조립체(50)의 타단은 하부 급송 기구(3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된 배열은 상부 급송 기구(20)와 하부 급송 기구(3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차동 조정 기구(60)는 커플 기구(40)와 하부 급송 기구(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부 급송 기어(21) 및 하부 급송 기어(31)가 대응하는 속도 변경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차동 효과를 창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급송 기구(30), 커플 기구(40), 차동 조정 기구(60), 변속 조립체(50) 및 상부 급송 기구(20)의 3차원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 급송 기구(20)는 상부 급송축(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급송축(22)의 일단은 상부 변속 부재(23)를 경유하여 상부 급송 기어(21)에 결합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부 급송축(22)의 타단은 변속 조립체(50)가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변속 조립체(50)는 상부 급송축(22)이 조립될 수 있는 벨트 롤러(51)를 포함한다. 벨트 롤러(51)는 제1 벨트(52)가 조립될 수 있다. 제2 벨트(54)는 제1 벨트(52) 상에 조립될 수 있는 중간 롤러(53)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끝으로, 제2 벨트(54)와 벨트 롤러(55)는 하부 급송 기구(30)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벨트 그룹으로 형성되는 전술된 변속 조립체(50)는 단지 편리한 예로서만 기능하며, 변속 조립체(50)의 구조에 대한 추가의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 조립체(50)는 체인 그룹 또는 기어 그룹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동시 작동을 갖는 효과가 체인 그룹 또는 기어 세트로 만들어질 수 있는 변속 조립체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 급송 기구(30)는 주로 제1 급송축(32)과, 제1 급송축(32)과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2 급송축(33)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급송축(34)은 제1 급송축(32)과 제2 급송축(33)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급송축(32)은 제1 클러치 조립체(35)에 접속되어 이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제1 급송축(32)은 또한 벨트 롤러(55)와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급송축(33)은 제2 클러치 조립체(36)에 접속되어 이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제2 급송축(33)은 하부 변속 부재(37)에 의해 하부 급송 기어(31)에 결합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클러치 조립체(35)와 제2 클러치 조립체(36)는 양방향성일 수 있으며, 가압된 상태에서 주로 스윙 디바이스(351)(361과 등가물인), 2개의 클러치 그룹(352)(362과 등가물인), 뿐만 아니라 2개의 커넥팅 로드(352)들(363과 등가물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클러치 조립체(35)와 제2 클러치 조립체(36)가 정확하게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하여, 단지 이것들 사이의 차이는 그 접속 관계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어떠한 추가적 후속 디자인은 단지 제2 클러치 조립체(36)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러치 조립체(36)의 스윙 디바이스(361)는 캠(361a), 스윙 아암(361b), 푸시 링(361c) 및 휠(361d)을 포함한다. 종동 로터리 셔틀의 하부축(38)이 캠(361a)을 관통할 수 있으며, 캠(361a)의 표면은 원호형 가이드 채널 변경부들을 가진다. 이어서, 스윙 아암(361b)은 스윙축의 방향에서 푸시 링(361c)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급송축(33)은 푸시 링(361c)을 관통할 수 있다. 휠(361d)은 스윙 아암(361b)의 일단에 접속될 수 있고, 캠(361a)의 가이드 채널 내부 상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윙 아암(361b)의 타단은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은 지지축(361e)이 관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클러치 그룹(362)들은 제2 급송축(3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클러치 그룹(362)들은 각각 스윙 디바이스(361)의 푸시 링(361c)의 2개의 측부 상에 기댄다. 클러치 그룹(362)들은 외부 리테이너 링(362a), 로터(363b), 다수의 탄성 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다수의 롤러(362c)들, 다수의 국부화 클로(362d)들, 커버(362e) 뿐만 아니라 외부 리테이너 링(362a) 상에 고정될 수 있는 커넥팅 로드 핀(362f)을 포함한다. 로터(362b)는 제2 급송축(33)에 고정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로터(362b)는 외부 리테이너 링(362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함몰부(362g)들은 탄성 부재 뿐만 아니라 롤러(362c)의 설치를 위하여 로터(362b)의 외주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함몰부(362g)의 각각의 내부는 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가지며, 다수의 핀의 각각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있을 수 있는 2개의 국부화 클로(362d)들을 지지하고 관통할 수 있다. 외주변 링(362a)의 벽과 로터(362b)의 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롤러(362c)는 국부화 클로(362d)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롤러(362c)는 탄성 부재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커버(362e)는 외부 리테이너 링(362a)과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리테이너 링(362a)은 각각의 국부화 클로(362)가 관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구(362h)를 가진다. 또한, 외부 리테이너 링(362a)과 푸시 링(361c)은 서로에 대해 기댄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캠(361a)은 하부축(38)에 따라서 회전하고, 축방향 움직임을 만들도록 푸시 링(361c)을 구동하기 위해 스윙 아암(361b)의 스윙 동작을 구동한다. 푸시 링(361c)이 2개의 클러치 그룹(362)들 중 하나에 근접할 수 있을 때, 외부 리테이너 링(362a)과 푸시 링(361c)의 로터(362b)는 모두 해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푸시 링(361c)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다른 클러치 그룹(362)은 클램핑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커넥팅 로드(363)들의 일단은 커플 기구(40)에 공동으로 접속되고, 2개의 커넥팅 로드(363)들의 타단은 상호 지지할 수 있으며, 각각 2개의 클러치 그룹(362)들의 커넥팅 로드 핀(362f)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간헐적 회전이 2개의 클러치 그룹(362)들을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또한 제2 급송축(33)이 동일 방향으로 간헐적 회전 운동을 갖고 하부 급송 기어(31)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또한 갖는다.
부가적으로,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클러치 조립체(35)의 2개의 커넥팅 로드(353)들의 일단은 각각 커플 기구(40)와 차동 조정 기구(60)에 접속될 수 있고, 유사하게, 2개의 커넥팅 로드(353)들의 타단은 2개의 클러치 그룹(352)들의 커넥팅 로드 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2개의 클러치 그룹(352)을 구동하는 간헐적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또한 제1 급송축(32)이 동일 방향의 간헐적 회전 운동을 갖고 상부 급송 기어(21)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플 기구(40)는 하부 급송축(34)에 평행할 수 있는 커플 샤프트(41)를 가진다. 더욱이, 커플 샤프트(41)는 반복된 스윙 동작을 수행한다. 커플 샤프트(41)에 의해 발휘되는 스윙의 양은 바늘 조정 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커플 샤프트 기구(41)는 제1 스윙 아암(42)과 제2 스윙 아암(43)을 가진다. 제1 스윙 아암(42)과 제1 클러치 조립체(35)는 서로 접속될 수 있고, 제2 스윙 아암(43)과 제2 클러치 조립체(36)는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조립체(35)의 커넥팅 로드(353)들 중 하나는 제1 스윙 아암(42)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클러치 조립체(35)의 커넥팅 로드(353)들 중 다른 것은 차동 조정 기구(60)와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클러치 조립체(36)의 2개의 커넥팅 로드(363)들은 동시에 제2 스윙 아암(43)의 2개의 측부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동 조정 기구(60)는 차동 아암(61)을 포함할 수 있다. 차동 아암(61)의 일단은 커플 샤프트(41)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채널(611)은 차동 아암(61)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한다. 가이드 채널(611)의 내부는 글라이드에 관련될 수 있는 슬라이드 블록(62)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슬라이드 블록(62)은 각각 제1 클러치 조립체(35)의 커넥팅 로드(353)들 뿐만 아니라, 커넥팅 로드에 의해 조정 기구(63)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정 기구(63)는 수직으로 구성된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64)의 하단부는 재봉틀(10)의 재봉틀 베드(1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블록(62)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64)의 상단부는 위를 향하여 재봉틀 본체(13)로 연장하고, 출력 아암(65)이 조립될 수 있다. 출력 아암(65)의 피봇은 재봉틀 본체(13)의 외부 상에서 연장될 수 있는 변속 레버(66)에 접속될 수 있다. 끝으로, 변속 레버(66)의 피봇은 조정 핸들(67)의 전체가 재봉틀의 재봉틀 본체(13) 상에 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조정 핸들(67)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그 스윙 요구에 따라서 사용자가 즉시 차동량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 핸들(67)의 노출 배치는 조정 바늘의 작업 배치에 근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기구(63)는 국부화 디스크(68)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69)를 추가로 포함하며, 조정 핸들(67)의 국부화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국부화 디스크(68)는 조정 핸들(67)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트랙(681)을 포함한다. 더욱이, 고정 부재(69)와 조정 핸들(67)은 각각 국부화 디스크(68)의 2개의 다른 측부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슬라이드 트랙(681)을 관통하는 고정 부재(69)는 조정 핸들(67)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즉, 한편으로, 조정 핸들(67)은 고정 부재(69)에 의해 조여질 수 있어서, 조정 핸들(67)의 배치는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조정 핸들(67)은 고정 부재(69)에 의해 느슨해질 수 있어서, 스윙 변위는 국부화 디스크(68)의 슬라이드 트랙(681)에 관하여 조정 핸들(6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핸들(67)이 위를 향하여 스윙될 수 있을 때, 변속 레버(66)는 출력 아암(65)이 아래를 향해 스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시에 선회될 수 있다. 이어서,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64)는 동시 하향 변위를 발생시키도록 슬라이드 블록(62)이 차동 아암(61)의 가이드 채널(611)과 커넥팅 로드(353)들을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차동 아암(62)의 출력 절차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클러치 조립체(35)의 회전 각도는 상부 급송 절차 동안 증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부 급송 기어(21)의 급송량이 하부 급송 기어(31)의 급송량보다 클 수 있어서, 양의 차동 급송 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조정 핸들(67)이 아래를 향해 스윙될 때, 변속 레버(66)는 출력 아암(65)이 위를 향해 스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동시에 선회될 수 있다. 이어서,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64)는 동시 상향 변위를 발생시키도록 슬라이드 블록(62)이 차동 아암(61)의 가이드 채널(611)과 커넥팅 로드(353)들을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차동 아암(61)의 출력 절차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클러치 조립체(35)의 회전 각도는 상부 급송 절차 동안 감소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부 급송 기어(21)의 급송량이 하부 급송 기어(31)의 급송량보다 적을 수 있어서, 음의 차동 급송 효과가 유발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도록 의도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다.

Claims (5)

  1.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에 있어서,
    제1 급송축, 및 상기 제1 급송축과 동일한 축 상에 있는 제2 급송축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되는 하부 급송축을 구비하는 하부 급송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급송축은 제1 클러치 조립체에 접속되어 제1 클러치 조립체를 관통하고, 상기 제2 급송축은 제2 클러치 조립체에 접속되어 제2 클러치 조립체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 급송축과 평행한 커플 샤프트를 구비하는 커플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 샤프트는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와 상기 제2 클러치 조립체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커플 샤프트와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 사이에 조립되는 차동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부 급송축을 구비하는 상부 급송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급송축은 변속 조립체에 의해 제1 급송축에 접속되어, 상부 급송 기구와 하부 급송 기구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차동 조정 기구는 상기 제1 클러치 조립체에 의해 작동되는 제1 급송축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2 급송축에 대응하는 양의 차동 급송 또는 음의 차동 급송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조정 기구는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차동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차동 아암의 일단은 커플 샤프트 상에 피봇팅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의 내부는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커넥팅 로드에 의해 제1 클러치 조립체 및 조정 기구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조정 기구는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접속되고, 상기 슬라이드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는 출력 아암이 조립되고;
    상기 출력 아암의 피봇은 변속 레버에 접속되며;
    상기 변속 레버와 조정 핸들은 서로 상호 접속되어, 전체 조정 핸들이 재봉틀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조정 기구는 국부화 디스크 및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국부화 디스크는 조정 핸들의 일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 및 조정 핸들은 각각 국부화 디스크의 서로 다른 2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트랙 및 조정 핸들에 의해 상호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변속 조립체는 동시발생의 기전을 형성하기 위하여 벨트 그룹, 체인 그릅 또는 기어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KR1020140174922A 2014-01-10 2014-12-08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KR20150083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00906 2014-01-10
TW103100906A TWI506173B (zh) 2014-01-10 2014-01-10 Sewing machine differential feed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774A true KR20150083774A (ko) 2015-07-20

Family

ID=5202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22A KR20150083774A (ko) 2014-01-10 2014-12-08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94247A1 (ko)
JP (1) JP2015131102A (ko)
KR (1) KR20150083774A (ko)
BR (1) BR102014031601A2 (ko)
TW (1) TWI506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0503A (ja) * 2015-10-07 2017-04-13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6087264A (zh) * 2016-07-25 2016-11-09 王忠军 缝纫机差动调节机构及其上袖机和差动调节方法
TWI611063B (zh) * 2016-09-30 2018-01-11 啟翔股份有限公司 柱型縫紉機的切線裝置
CN106978678A (zh) * 2017-05-17 2017-07-25 宁波艾克斯曼缝纫机有限公司 平缝机上下同步送料机构
CN109402876A (zh) * 2018-11-23 2019-03-01 浙江乐江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差动调节机构
TWI775018B (zh) * 2019-09-24 2022-08-21 啟翔股份有限公司 差動送料拉幫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7006A (en) * 1919-09-23 Differential feeding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JPS62281992A (ja) * 1986-05-30 1987-12-07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ロ−ラ送り機構
JPS63139593A (ja) * 1986-11-29 1988-06-11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ワ−ク送り装置
JP3647490B2 (ja) * 1994-12-28 2005-05-1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差動送り調節装置
JP3677626B2 (ja) * 2001-10-06 2005-08-03 ハムス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差動機構
TW200809036A (en) * 2006-08-10 2008-02-16 Kaulin Mfg Co Ltd Transmission structure of feed dog of cylinder bed sewing machine
CN201236268Y (zh) * 2008-07-25 2009-05-13 中国标准缝纫机公司上海惠工缝纫机三厂 电机直驱式下差动缝纫机
TW201009152A (en) * 2008-08-29 2010-03-01 Chee Siang Ind Co Ltd Control mechanism of differential material-feeding for sewing machine
TWM368662U (en) * 2009-06-06 2009-11-11 Chee Siang Ind Co Ltd Differential fee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3153594U (ja) * 2009-06-30 2009-09-10 啓翔股▲ふん▼有限公司 ミシンの差動布送り装置
CN201952612U (zh) * 2010-12-10 2011-08-31 精机机械厂股份有限公司 下送布齿进给调整机构
TWM477469U (zh) * 2014-01-10 2014-05-01 Chee Siang Ind Co Ltd 縫紉機差動送料裝置
CN203700722U (zh) * 2014-01-14 2014-07-09 启翔股份有限公司 缝纫机差动送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4247A1 (en) 2015-07-15
TW201527617A (zh) 2015-07-16
BR102014031601A2 (pt) 2015-10-06
JP2015131102A (ja) 2015-07-23
TWI506173B (zh) 201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3774A (ko) 재봉틀의 차동 급송 장치
KR101448678B1 (ko) 단추 재봉실의 뿌리감기 장치
JP5859248B2 (ja) 二本針ミシン
CN203700722U (zh) 缝纫机差动送料装置
CN104775237B (zh) 缝纫机差动送料装置
JPWO2019244342A1 (ja) 2本針本縫ミシン
CN106012335A (zh) 一种缝纫机的针杆组件结构及其控制方法
US2707446A (en) Machine for sewing ornamental design in fabric base
JP5957227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KR920000851B1 (ko)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
KR200478819Y1 (ko) 안창 재봉기
US4344307A (en) Thread control means in a textile machine
JP2010246841A (ja) ミシン
TWM627245U (zh) 圓筒機導紗盤傳動機構
TWM477469U (zh) 縫紉機差動送料裝置
CN205874686U (zh) 一种缝纫机的针杆组件结构
KR101426812B1 (ko) 단추달이 재봉기
US2633092A (en) Sewing machine
CN216473787U (zh) 圆筒机导纱盘传动机构
JP2006075221A (ja) ミシン
US3495558A (en) Arrangement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feed material on sewing machines
TWI802112B (zh) 圓筒機導紗盤傳動機構
CN105463679B (zh) 无上齿轮悬臂式双面大圆机
US1952772A (en) Sewing machine
US358124A (en) Machine for sewing and quilting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