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542B1 -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542B1
KR920000542B1 KR1019870015356A KR870015356A KR920000542B1 KR 920000542 B1 KR920000542 B1 KR 920000542B1 KR 1019870015356 A KR1019870015356 A KR 1019870015356A KR 870015356 A KR870015356 A KR 870015356A KR 920000542 B1 KR920000542 B1 KR 92000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low
section
attachment member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429A (ko
Inventor
요사꾸 나까무라
준 다까기
시게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미쯔이 도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도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쯔이 도아쯔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제1도는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도는 그 걸어고정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3도는 그 T자 단면지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2 : 걸어고정구
2a : 두부 2b,2c : 측면부
2d,2e : 저부 2f : 걸어결합홈
2g,2h : 걸어고정부 3 : T자 단면지지부재
3a : 중공팽출 걸어고정부 3b,3c : 수직부
3d,3e : 수평면부 3f,3g : 되접힘부
4,5 : 패널 6 : 기둥
7,8 : 못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패널등을 부착할때에 사용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등을 이용하여 가로로 긴모양의 외벽을 형성할 때에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가 사용되는 것이나, 종래 공지의 건축용 판재부착부재를 사용해서 패널을 결합하면 못 또는 목나사의 두부가 상기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노출하거나 또는 패널에 박은 못등의 부분, 또는 패널을 서로 이은 부분으로부터 빗물이 스며들어 벽의 이면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에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의 개량을 시도했으나 패널표면에 고정구가 노출되지 않고, 방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아름다운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는 아직 개발된 것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관점에서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의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결점을 모두 해소하여 부착작업이 용이하고, 패널표면에 고정구가 노출되는 일이 없고, 방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 아름다운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기의 목적은, 서로 걸어 결합이 가능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1쌍의 장척(長尺 : 긴)의 중앙 다리(脚)의 단부에 단면이 대략 마름모꼴을 이루는 중공팽출 걸어고정부를 구비하는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지지부재와, 저면 중앙부를 제외하고는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는 단면을 가지며 저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팽출 걸어고정부가 삽입되어 걸어고정되는 걸어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걸어결합흠 내에 상기 지지부재의 팽출 걸어고정부가 삽입 걸어고정될때는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지지된 판재의 가장자리를 걸어고정하여 피복할 수 있는 걸어고정부재로 구성되는 판상부재 부착용 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결점이 모두 해소되고, 패널을 부착했을 때에 상기 패널표면에서 못등이 노출되는 일이 없고, 방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 아름다운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마름모꼴이라 할 때는 기하학적으로 엄밀히 정의된 것만이 아니고, 도시한 바와같이 서양연(鳶)형상의 것과 네 귀가 둥근 것 등을 포함하고, 사다리꼴 이라함은 도시한 형상이나 기타 그것과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각도의 표시는 각부를 형성하는 두 평면이 이루는 내각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도는 그 걸어고정구의 구성을 도시는 설명도, 제3도는 그 T자 단면지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중,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이고, (2)는 걸어고정구, (3)은 T자 단면지지부재, (4) 및 (5)는 패널, (6)은 기둥, (7) 및 (8)은 못이다.
상기와 같이 건축용 판재부착부재(1)는 기둥(6)에 못(7),(8)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패널(4),(5)을 지지하는 T자 단면지지부재(3)와 상기 T자 단면지지부재(3)에 결합되고, 패널(4),(5)의 가장자리로 걸어고정, 피복하는 걸어고정구(2)로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어고정구(2)는 소정의 길이로, 또한 소정의 폭을 가지는 1장의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저면 중앙부를 제외하면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며, 저면 중앙에는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가 삽입, 걸어고정되는 걸어결합홈(2f)이 형성된다. 가장 적합한 것으로는 폭 76mm인 소정의 길이의 금속부재를 그 중심에서 좌우로 11.5mm의 부분을 각각 아래쪽으로 약 114도 정도로 절곡하여 상기 절곡부로부터 9mm의 부분을 각각 안쪽으로 절곡하고, 두부(2a)의 평행으로, 또 그 길이가 11.5mm의 저부(2d) 및 (2e)를 형성하고, 다시 양단부를 각각 안쪽으로 44도로 절곡해서 걸어고정부(2g) 및 (2h)를 형성하므로써 저면부의 중앙의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膨出) 걸어고정부(3a)가 끼워지는 개구 7mm의 걸어결합홈(2f)이 형성된다.
한편 T자 단면지지부재(3)도 동일하게 소정의 길이로, 또한 소정의 폭을 가지는 1장의 금속을 굽혀서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다리 단부에 단면이 마름모형을 이루는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를 구비하고,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가장 적합한 것은 폭이 114mm인 소정의 길이의 금속부재를 그 중심으로 절곡하여 선단각도를 74도로 형성하고, 상기 중심에서 7.5mm의 부분을 97도로“∧”모양으로 절곡하고, 다시 그“∧”형의 절곡선으로부터 5.5mm떨어진 곳을 134도로“
Figure kpo00001
”모양으로 절곡하여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이고, 또 대각선의 길이가 9mm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를 형성하고, 다음에 16.5mm의 길이의 수직부(3b) 및 (3c)를 형성한다. 이로인해 선단의 각도가 74도이고 기부의 각도가 92도인 역(逆)서양연 모양의 팽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수직부(3b) 및 (3c)의 종단부를 각각 밖으로 향해서 직각으로 절곡하여, 폭 22mm의 수평면부(3d) 및 (3e)를 형성하고, 마지막에 상기 수평면부(3d) 및 (3e)의 각각의 단부를“ ”형상으로 되접어서 5mm 길이의 뒤접힘부(3f) 및 (3g)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걸어고정구(2)의 걸어결합홈(2f)을 개구 7mm로 형성하고, 또 한편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의 가로방향 돌출폭이 9mm가 되도록 형성하므로써 양자의 폭의 차가 2mm가 되고, 이로인해서 상기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에 걸어고정구(2)의 걸어결합홈(2f)을 끼우므로써 양자가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단면이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가로방향의 폭과 걸어고정구의 걸어결합홈의 가로방향의 폭의 차는 사용하는 기재의 재질이나 두께에도 관계되나, 대략 1.7mm 내지 3.0mm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고, 1.7mm 이하로 하면 끼워맞춤이 잘 안되고 걸어고정구(2)가 벗겨지기 쉬우며, 또 3.0mm 이상이 되면 너무 빡빡해서 끼워맞춤이 안되고 다같이 패널(4) 및 (5)의 가장자리를 확실히 피복할 수가 없다.
또, 걸어고정구(2)의 걸어결합홈(2f)의 부분에서는 금속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44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절곡되며 상기 걸어결합홈(2f)에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부(3a)를 끼우므로써 걸어고정구(2)의 걸어고정부(2g) 및 (2h)와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가 면접촉 결합되고, 패널(4) 및 (5)가 완전히 밀착고정된다. 또 상기 걸어결합홈(2f)의 개구 각도는 60도∼120도의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92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와 걸어고정구(2)의 걸어결합홈(2f)이 완전 결합되는 동시에 패널(4) 및 (5)가 밀착 고정되므로 빗물등이 잠입하여 벽이면에 스며드는 일이 없고,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방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T자 단면지지부재(3)의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의 형상은 대각선의 길이 9mm, 단면 마름모형의 선단 각도가 74도가 되도록 형성하므로써 걸어고정구(2)와의 끼워맞춤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중공팽출 걸어고정부(3a)의 상부 각도가 지나치게 예각(銳角)으로 형성되면 끼워맞춤 저항이 감소하여 스프링 효과가 지나치게 작아지고, 반대로 지나치게 둔각(鈍角)을 이루면 끼워맞춤 저항이 지나치게 증대하여 끼워맞춤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각도는 60도 내지 120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 기부각도도 60∼120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또 걸어고정구의 걸어맞춤홈의 개구의 각도와 동일하고, 이것에 의하여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완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할때는 종래의 건축용 판재부착부재의 결점이 전부 해소되고 패널을 부착했을때 상기 패널의 표면에 못 등이 나오는 일이 없고, 방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 아름다운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를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걸어고정구 및 T자 단면지지부재의 형상 및 각부의 치수 등은 사용하는 패널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변경해도 되고,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재한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변경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2)

  1. (a) 중앙다리 단부에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를 구비하는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의 지지부재와, (b) 저변 중앙부를 제외하고는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며, 저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팽출 걸어고정부가 삽입되어 걸어고정되는 걸어결합홈이 형성되고, 그 걸어결합홈 내에 상기 지지부재의 팽출 걸어고정부가 삽입 걸어고정될때는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지지된 판재의 가장자리를 걸어고정하여 피복할 수 있는 걸어고정구가, 상호 걸어결합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1쌍의 장척(長尺)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고 다수 평행으로 배설되어 그들 사이에 소정 판재부재를 지지하는 판재부재부착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선단 각도가 60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선단각도가 74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기부의 각도가 60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기부의 각도가 92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가로방향의 폭과 걸어고정부재의 걸어 결합홈의 가로방향의 폭의 차가 1.7mm 내지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가로방향의 폭과 걸어고정부재의 걸어결합홈의 가로방향의 폭의 차가 약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고정구의 걸어결합홈의 개구의 각도가 60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고정구의 걸어결합홈의 개구각도가 92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중공팽출 걸어고정부의 기부각도와 걸어고정구의 걸어결합홈의 개구각도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자 형상 단면지지부재 및 걸어고정구가 다같이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자 형상 단면지지부재 및 걸어고정구가 다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KR1019870015356A 1987-03-09 1987-12-30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KR920000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33107U JPH0638980Y2 (ja) 1987-03-09 1987-03-09 建築用板材取付部材
JP33107 1987-03-09
JP62-33107 1987-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429A KR880011429A (ko) 1988-10-28
KR920000542B1 true KR920000542B1 (ko) 1992-01-16

Family

ID=3084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356A KR920000542B1 (ko) 1987-03-09 1987-12-30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38980Y2 (ko)
KR (1) KR9200005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837U (ja) * 1983-05-06 1984-11-20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目地カバ−係止体
JPS6080237U (ja) * 1983-11-08 1985-06-04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目地カバ−係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429A (ko) 1988-10-28
JPH0638980Y2 (ja) 1994-10-12
JPS63140429U (ko) 198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084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WO1999034069A1 (en) Space divider system
KR920000542B1 (ko) 건축용 판재부착부재
JP2710087B2 (ja) 横葺き外装面の施工方法
JPS62129453A (ja) 装飾パネル
KR0134744B1 (ko) 조립식 천정시설재
JP3465023B2 (ja) パネル取付構造
JPH0449318Y2 (ko)
JPH031555Y2 (ko)
JPH0341535Y2 (ko)
JP2005009107A (ja) 樋固定構造
JPH0322410Y2 (ko)
JPH0245374Y2 (ko)
JPS5932665Y2 (ja) 階段構造
JP2957320B2 (ja) 軒樋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H056334Y2 (ko)
AU2015201723B2 (en) Flashing assembly and flashing junction cover assembly
JPH0348324Y2 (ko)
JPH09302890A (ja) 大型タイルの施工方法及び施工構造
JPH07279352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H0428350Y2 (ko)
JP3311481B2 (ja) 額縁又は膳板の固定方法
JPS6037938Y2 (ja) 支承用枠材
JP3311477B2 (ja) 額縁又は膳板の固定方法
JPS5823910Y2 (ja) ドア↓−用小窓サツ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