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421Y1 - 레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421Y1
KR920000421Y1 KR2019880007267U KR880007267U KR920000421Y1 KR 920000421 Y1 KR920000421 Y1 KR 920000421Y1 KR 2019880007267 U KR2019880007267 U KR 2019880007267U KR 880007267 U KR880007267 U KR 880007267U KR 920000421 Y1 KR920000421 Y1 KR 920000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ep
sleeper
rail
pa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053U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421Y1/ko
Publication of KR890023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48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8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plastic or elastic deformation of fasten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일 체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부합되는 레일 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레일 체결장치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 체결장치 40 : 절연패드
3 : 철침목 43 : 양측패드단부
20 : U형판 51 : 침목공
22,23 : 좌, 우측판 52 : 안전홈
24 : 삽입공 53 : 레일푸트
30 : 스프링크립
본 고안은 레일 체결장치 특히, 레일을 철침목에 고정시키는 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레일을 철침목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철침목표면에 체결장치를 용접부착 탄성 체결하는 수단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과 해체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장기간 사용시 볼트가 녹이 슬어 해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철침목 표면에 체결장치를 용접부착 탄성체결하는 경우에는 용접으로 부착시키므로 침목제작이 까다롭고 돌출부위로 인하여 침목운반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레일을 철침목에 고정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으로서, 철침목 표면을 인장연신하여 탄성체결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는데, 이 수단또한 연잔연신부위가 크고 두께가 얇아지므로 차량의 반복하중이 이부분에 집중되어 이부분이 뒤틀리거나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수단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소정위치에 삽입공이 형성된 U형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탄성체결되는 스프링크립 및 고정홈이 형성된 절연패드를 포함하여 복수의 부분에서 탄성에 의한 체결력이 동시에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레일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시 스프링크립의 U형크립부는 철침목의 안전홈에 삽입되고, 하크립부의 저면은 절연패드의 양측패드단부의 외부면과 접촉되므로, 스프링크립의 복수의 부분 즉, 철침목의 안전홈과 이에 삽입되는 U형 크립부 사이의 접촉부, U형판의 삽입공과 스프링크립의 상, 하크립부와의 접촉부, 및 절연패드의 패드단부와 스프링크립의 하크리부와의 접촉부에서 탄성에 의한 체결력이 동시에 발생되어 강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부합되는 레일 체결장치(1)는 크게, U형판 (20)과 스프링크립(30) 및 절연패드(40)의 결합구조로 되어진다. 상기 U형판 (20)은 저부판(21)과 이 저부판(21)에 대해 일체로 서로 맞서 위치되는 좌,우측판 (2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판(22)(23)에는 서로 마주보고 일렬배열되는 삽입공 (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형판(20)의 저부판(21)은, 체결된 상태에서 보면, 통상의 철침목(3)의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좌,우측판(22)(23)은 상기 철침목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침목공 (51)을 상부로 관통 확장하게 된다.
통상, 레일(2)과 철침목(3) 사이에는 절연패드가 사용되는데,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부합되는 절연패드(40)의 구조는, 체결시, 레일(2)의 저면과 접촉되는 상부면을 갖는 하페드부(41), 이와 일체로 상부방향으로 확장하고, 상기 U형판 (20)의 좌,우측판(22)(23)과 맞물려 절연패드(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고정홈(44)을 갖는 양측패드부(42) 및 상기 양측패드부(42)와 일체로 되고 서로 마주보면서 굽어져 내부면은 상기 레일푸트(53)의 상부면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양측 패드단부(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U형판(20)의 좌,우측판(22)(23)에 각각 체결되는 상기 스프링크립 (30)은, 체결시 철침목(3)에 형성된 안전홈(52)에 끼워지는 U형 크립부(31), 상기 U형 크립부(31)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면이 상기 양측패드단부(43)의 외부면과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하크립부(32), 및 곡선크립부(33)에 의해서 상기 하크립(32)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크립부(34)를 포함하여 “ㄱ”형공(35)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크립부(34)의 우단부와 U형크립부(31)의 상단부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므로 상기 “ㄱ”형공(35)은 상기 소정 간격만큼의 틈을 갖는 불완전한 “ㄱ”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간격 및 형상은 스프링크립(3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홈(52)은 스프링크립(30)의 이탈을 방지하고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수단으로서 여러형태로 대체할 수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결작업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조립에 있어서, 우선 제2도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침목(3)의 침목공 (51)을 통하여 U형판(20)의 좌, 우측판(21)(22)이 상부로 관통확장되도록 한 다음, 레일(2) 저부에 절연패드(40)를 깔고 스프링크립(30)을 삽입공(24)에 삽입하고 제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햄머등을 사용하여 상기 스프링크립(30)을 강제로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스프링크립(30)이 소정위치에 도달되면 그 하크립부(32)가 경사진 절연패드(40)의 양측패드단부(42)의 외부면을 압축하면서 끼워지게 되고 스프링크립 (30)의 U형 크립부(31)가 상기 철침목(3)의 안전홈(52)에 삽입되면 스프링크립(30)을 U형판(20)의 좌측판(22)에 삽입하는 체결작업은 완료된다. 상기 체결과정은 우측판에 대하여 동일하게 행하여지면, 해체작업은 그 역순으로 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부합되는 레일 체결장치는 스프링크립이 다수의 부분에서 탄성에 의한 체결력을 동시에 발생하므로 종래의 수단에 있어서, 한곳에 의한 탄성력보다 강하고 안정되게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U형판이 레일측면으로 부터 근접된 곳에 위치하고 체결력의 중심점이 레일저부와 가깝고 높은곳에 위치해 있으므로 강력한 체결력을 발생하게 되며 특히, 철침목제작이 간편하고 체결장치와 침목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운반이 편리하고, 레일저부를 통해 묶는 체결방식으로 북진(creeping)에 강하며 침목표면의 안전홈에 스프링크립의 U형 크립부가 삽입되므로 스프링크립의 이탈을 방지하고, U형판에 의하여 횡압이 방지되는 등의 이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침목공(51)과 안전홈(52)이 소정위치에 형성된 철침목(3), 양측패드단부(43)를 포함하며 레일푸트(53)를 에워싸는 절연패드(50) 좌우측판(22)(23)에 삽입공 (24)이 형성된 U형판(20) 및 내부에 불완전한 “ㄱ”형공을 갖는 스프링크립(30)을 포함하여, 상기 U형판(20)의 좌, 우측판(22)(23)이 상기 침목공(51)에 삽입되고 스프링크립(30)이 상기 삽입공(24)에 각각 끼워져 상기 삽입공(24), 안전홈(52) 및 양측패드단부(43)와 접촉부를 형성하므로서 다수의 부분에서 탄성에 의한 체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장치.
KR2019880007267U 1988-05-16 1988-05-16 레일 체결장치 KR920000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267U KR920000421Y1 (ko) 1988-05-16 1988-05-16 레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267U KR920000421Y1 (ko) 1988-05-16 1988-05-16 레일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053U KR890023053U (ko) 1989-12-02
KR920000421Y1 true KR920000421Y1 (ko) 1992-01-15

Family

ID=1927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267U KR920000421Y1 (ko) 1988-05-16 1988-05-16 레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4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053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7199B1 (en) Railway rail fastening clip
US4798029A (en) Hold-down clamp
KR910001180A (ko) 탄성클램프를 이용한 레일고정부재
US4705215A (en) Arrangement for securing railway rails onto sleepers
JPH0723601B2 (ja) レール締付構造
GB2152120A (en) Rail fastening assembly
KR920000421Y1 (ko) 레일 체결장치
JPH0739921Y2 (ja) 軌道の座屈防止装置
CA1235104A (en) Rail fastening means
US4511081A (en) Rail anchoring clip and associated sleeper
US4312478A (en) Elastic rail fastening device
US4339077A (en) Rail mounting system
US4819870A (en) Rail fastening assembly
US5016816A (en) Resilient rail fastener
JPS63212691A (ja) レール固定装置組立体
US4310120A (en) Elastic rail fastening device
GB2142068A (en) System for securing a railway rail to a railway sleeper
JPH08209601A (ja) レールの高さ調整固定装置
JP2651869B2 (ja) レール止めクリップ
KR830001191Y1 (ko) 철도레일 고정 스프링 크립의 괘착구
US4088267A (en) Elastically yieldable rail fastener and rail fixing device including said fastener
JPH0732971Y2 (ja) 止め金具
US1550926A (en) Tie and rail fastener
KR970005460B1 (ko) 클램핑 장치
SU1325112A1 (ru)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