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401Y1 -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401Y1
KR920000401Y1 KR2019880016073U KR880016073U KR920000401Y1 KR 920000401 Y1 KR920000401 Y1 KR 920000401Y1 KR 2019880016073 U KR2019880016073 U KR 2019880016073U KR 880016073 U KR880016073 U KR 880016073U KR 920000401 Y1 KR920000401 Y1 KR 920000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fixed
copi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52U (ko
Inventor
김동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401Y1/ko
Publication of KR900007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착부 2 : 반송부(般送部)
3 : 히팅롤러 5 : 압착롤러
6 : 압력판 7 : 지축
8 : 지지축 9 : 반송축
10 : 반송롤러 12 : 지지판
13 : 캠편 14, 141 : 캠부
15 : 연결구 16 : 회동축
17 : 회동롤러 18 : 밸트
19 : 회동손잡이 20 : 걸림축
본 고안은 복사기의 반송부 또는 정착부에서의 이들을 한번의 조작으로서 작동시키고 이로써 잼을 간편하게 제거시킬수 있도록 한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에 있어서의 잼 발생은 정착부와 반송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잼을 신속히 제거해야만 원활한 복사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복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의 잼 제거를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었으나, 이는 반송부와 정착부에 각각의 분리장치 즉, 복사기 본체에서의 상체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별개로 구성하고 있었고 잼 제거시에는 상기2개소의 분리장치를 각각 조작하여 잼을 제거하여야 하므로서 잼제거를 위한 2단계의 조작작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의 설치및 조립작업이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복사기의 작동여부와 관계없이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착롤러에 항시 압력이 가해지고 있어서 이들의 부품에 무리가 가게되며 기계적 피로가 가중되어 복사기의 전체적 수명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분리장치로서 반송부와 장착부를 조작시키고 장착부의 압력을 복사기의 작동시에만 가하도록 하여 기계적 피로를 덜어줄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착부(1)와 반송부(2)를 가진 통상의 복사기에 있어서, 정착부(1)에는 구동기어(4)를 가진 히팅롤러(3)와 압착롤러(5)를 구비하고 히팅롤러(3)가 양단에는 압력판 (6)을 설치하여 히팅롤러(3)가 승강가능하도록 하며 양측 압력판(6)의 일방은 지축 (7)에 고정시키고 이들의 끝단에는 지지축(8)을 고정시킨다. 지축(7)에는 반송롤러 (10)와 반송기어(11)를 가진 반송축(9)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8)에는 한쌍의 지자판(12)을 고정시키면 지지판(12)의 일단은 캠부(14)(141)를 가진 캠편(13)에 연결구(15)로써 고정시키고 캠편(13)의 상면에는 회동축(16)을 고정시키며 회동축(16)에는 회동롤러(17)를 설치하여 상기 반송롤러(10)와의 사이에 밸트(18)를 연결 설치시키며 회동축(16)의 일단에 회동손잡이(19)를 설치한다.
20은 상기 캠편(13)의 캠부(14)(141)가 걸리는 걸림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캠편(13)의 캠부(14)가 걸림축 (20)에 걸린 상태에서 복사작업을 진행하면 급지 카세트에서의 복사용지가 드럼을 거쳐 복사되면서 반송부(2)로 이송되며 반송부(2)에 용지가 이송되면 지축(7)상의 반송기어(11)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반송축(9)에 설치된 반송롤러(10)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회동롤러(17)사이의 밸트(18)가 이동되면서 복사용지를 다시 정착부(1)로 이송시키게 된다.
정착부(1)로 이송된 복사용지는 구동기어(4)에 의해 회전하는 히팅롤러(3)와 압착롤러(5)사이에서 정착이 완료되고 복사가 끝나개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도중 반송부(2)또는 정착부(1)에서 용지가 걸려 잼이 발생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회동축(16)의 일단에 설치된 회동손잡이(19)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회동손잡이(19)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에따라 회동축(16)이 회전하게 되고 회동축(16)에 고정된 캠편(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캠편(13)의 캠부(14)가 걸림축(20)에서 이탈되고 캠부(141)가 걸림축(20)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캠편(13)이 제3도와 같이 하강하게 되므로 이에 연결구(15)로 유설된 지지판(12)의 일단이 하강하게 되며 이에따라 지축(7)을 중심으로 압력판(6)이 회동하여 히팅롤러(3)를 상승시켜 압착롤러(5)와 이격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되므로서 반송부(2)나 정착부(1)에서의 잼을 간편하게 제거시킬수 있으며 복사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이와같은 상태로 두게되면 정착부(1)에서의 압력이 제거되어 기계적 피로를 최소로 줄일수 있다.
한편, 잼 제거후 복사기를 재 가동시키고자 할때는 상기 회동손잡이(19)를 다시 복귀시키면, 캠편(13)이 복귀되어 캠부(14)가 걸림축(20)에 걸리게되고 지지판(12)이 복귀되어 히팅롤러(3)와 압력판(6)이 복귀되어 원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복사작업을 하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캠편에 지지판과 히팅롤러의 압력판을 연결시키고 이들 회동 손잡이로서 간편하게 동작시키므로서 정착부(1)와 반송부(2)를 동시에 작동시킬수 있고 잼 제거작업이 간편하게 되며, 장착부의 압력은 복사기 사용시에만 부여하여 기계적 피로를 줄일수 있고 각 부품의 수명을 보다 장구하게 할수 있으며 구조 또한 간단한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정착부(1)와 반송부(2)를 가진 통상의 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1)에는 히팅롤러(3)와 압착롤러(5)를 구비하고 히팅롤러(3)의 양단에는 압력판(6)를 설치하며 이의 선단에는 지축(7)과 지지축(8)을 고정시키고, 지축(7)에는 반송롤러(10)와 반송축(9)을 설치하며 상기 지지축(8)에는 한쌍의 지지판(12)을 고정시키고, 이의선단은 캠부(14)(141)를 가진 캠편(13)에 연결구(15)로써 연결고정하며, 캠편(13)의 상단에는 회동롤러(17)를 갖는 회동축(16)을 설치하여 회동롤러(17)와 상기 반송롤러 (10)간에는 밸트(18)를 연결하고, 상기 캠편(13)의 전방에는 걸림축(20)을 설치하여 캠부(14)(141)가 걸리도록하며, 상기 회동축(16)의 일단에는 회동손잡이(19)를 고정설치토록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한 복사기의 잼제거장치.
KR2019880016073U 1988-09-30 1988-09-30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KR920000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073U KR920000401Y1 (ko) 1988-09-30 1988-09-30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073U KR920000401Y1 (ko) 1988-09-30 1988-09-30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52U KR900007152U (ko) 1990-04-03
KR920000401Y1 true KR920000401Y1 (ko) 1992-01-15

Family

ID=1927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073U KR920000401Y1 (ko) 1988-09-30 1988-09-30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4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52U (ko)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401Y1 (ko) 복사기의 잼 제거장치
JPS6236944B2 (ko)
KR880006095A (ko) 시트 절단-전송 시스템
US61792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aper in printer
JP2629230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
JPS63312516A (ja) カップリング装置
EP1024412A3 (en)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529492Y2 (ko)
JPH0318714B2 (ko)
JPS63171738A (ja) シ−ト分離給送装置
KR940005471Y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유지장치
KR890001266Y1 (ko) 전자 사진복사기의 종이 제거장치
JPS6095581A (ja) クリ−ニング装置
KR100464089B1 (ko) 인쇄기기의 용지 이송장치
KR930006964B1 (ko) 복사기의 정착잼(jam) 제거장치
KR100230792B1 (ko) 급지장치
JP3373686B2 (ja) 転写ベル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503759B2 (ja) 基板ストッパ機構
JPS6012108Y2 (ja) 剥離装置
KR900007726Y1 (ko) 소형 팩시밀리의 종이 이송장치
JPS5863635A (ja) 自動給紙装置
KR840002120Y1 (ko) 전자복사기의 청소장치
JPH1149421A (ja) 用紙搬送装置
JPS6283781A (ja) クリ−ニング装置
JPS58197138A (ja) 電子写真複写機の排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