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307Y1 -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07Y1
KR920000307Y1 KR2019910015732U KR910015732U KR920000307Y1 KR 920000307 Y1 KR920000307 Y1 KR 920000307Y1 KR 2019910015732 U KR2019910015732 U KR 2019910015732U KR 910015732 U KR910015732 U KR 910015732U KR 920000307 Y1 KR920000307 Y1 KR 920000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gnetic
contactors
contacto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하루 가사하라
구니유끼 고가와
다까도 히로다
Original Assignee
후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오 다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10502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03934A/ko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오 다게시 filed Critical 후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15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사용한 가역전자접촉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를 이면에서 볼때 하반부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연결자의 사시도.
제4도내지 제6도는 전자접촉기에 대한 연결자의 삽입작업을 설명하는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본 고안의 접촉기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가역전자 접촉기의 개략정면도.
제12도는 높이가 서로다른 두개의 전자접촉기를 가진 본 발명의 가역전자 접촉기의 하반부를 이면으로 부터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연결자의 사시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한 가역전자접촉기의 정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측면도.
본 고안은 전동기의 가역제어회로에 삽입되는 두대의 전자 접촉기에 동시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어느 한쪽의 전자접촉기만이 동작하도록 되어있는 가열전자접촉기에 있어서 두개의 전자접촉기를 서로 연결하기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두대의 전자접촉기에 동시에 입력신호가 인가되었을 경우에도 두대의 전자접촉기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계적 연동장치(mechanical inter lock unit)를 갖춘 종래의 가역전자접촉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서 부호1 및 2는 각각 전자접촉기를 나타낸다. 이 전자접촉기(1) (2)는 이들 사이에 기계적 연동장치(3)를 갖춘 연결자(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기계적 연동장치(3)는 두개의 전자접촉기(1) (2)에 동시에 입력신호가 인가되었을 경우에도 이들 두 전자접촉기가 동시 동작하지 않도록 장치되었다. 이러한 기계적 연동장치는 일본 실용신안 공보 제11311호(고안의 명칭“전자접촉기의 기계적 쇄정(locking)장치”)에 공지되어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가역전자접촉기의 하반부를 저면쪽에서 본 사시도로서, 전자 접촉기(1)(2)는 한개의 U자형 지지레일(spporting rall)(도시하지 않았음)상에 장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자접촉기(1)(2)의 저부에는 각각 레일걸이돌기(rail hanging portion)(1a)(2a) 및 슬라이더(1a)(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b)(2b)들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54-10455호(전기 기구를 레일상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도면에서 상하로 미끄러질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자접촉기(1)(2)를 상기 U자형 지지레일상에 부착하는 방법은 레일걸이돌기(1a)(2a)를 U자형 지지레일의 한쪽단부에 걸고, 그 다음 슬라이더(1b)(2b)를 상기 지지레일의 다른쪽 단부에 대고 압착시키므로서 슬라이더 (1b)(2b)가 도면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b)(2b)의 선단이 지지레일을 넘어서면 슬라이더(1b)(2b)가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고, 그 결과 지지레일은 레일걸이 돌기(1a)(2a)와 슬라이더(1b)(2b)사이에 끼워 부쳐진다. 상기 지지레일은 요부(1c)(2c)에 결합하여 부착되게 되어있다.
전자접촉기(1)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결합홈(1f)들이 형성되어있고, 또한 전자접촉기(2)의 양쪽 측면에도 각각 결합홈(2f)들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전자접촉기 (1)(2)의 결합홈(1f)(2f)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두개씩의 결합돌기부 (4a)를 가진 연결자(4)(제3도)를 전자접촉기(1)(2)사이에 끼워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동장치(3)가 전자접촉기(1)(2)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자 (4)는 전자접촉기(1)(2)의 저면으로 부터 삽입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연결방법은 전자접촉기(1)(2)사이에 연동장치(3)를 끼우기 위한 특별한 힘이 전자접촉기(1)(2)사이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전자접촉기(1)(2)와 연동장치(3)의 결합부분이 전자접촉기의 동작중에 진동에 의하여 마모되거나, 또는 이 전자접촉기(1)(92)가 동시에 동작할때 힘이 연동장치(3)에 작용하여 제1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전자접촉기(1)(2)가 서로 바깥쪽으로 이탈운동을 하므로서 연동장치(3)와 전자접촉기(1)(2)사이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며 따라서 그 연동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두개의 전자접촉기(1)(2)의 높이가 서로 상이할때 이들 전자접촉기 (1)(2)의 상부면을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면(15)과 일치하도록 맞추어 고정시키고 연결자(4)를 이들 전자접촉기(1)(2)사이에 압입한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접촉자(1)(2)사이에 높이 차이가 생겨서 레일결합홈(1c) 및 (2c)의 높이가 서로 고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높이차에 대한 문제에 대해 대책으로서 전자접촉기(1)(2)를 뒤집어서 이들사이에 연결자(4)를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임시로 고정시킨 다음에 전자접촉기 (1)(2)를 다시 뒤집어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자(4)를 작업면(15)에 접촉시킨다. 그다음 전자접촉기(1,2)를 내리눌러서 각각의 전자접촉기의 저면(1d)(2d)을 작업면(15)과 접촉 되도록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1)(2)의 요부인 레일결합홈(1c)(2c)의 높이가 서로 고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7도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레일결합홈(1c)(2c)들이 연결자(4)에 의하여 페쇄되거나 봉쇄된다. 이러한 봉쇄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전자접촉(1)(2)들 사이에 연결자(4)를 밀어넣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전자접촉기 (1)(2)를 거꾸로 놓고 연결자(4)를 삽입하면 전자접촉기(1,2)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4도에 도시한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첫째목적은 전자접촉기들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이들 사이에 연동장치를 끼우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므로서 연동장치의 결합부분의 마모, 연도기능의 저하등과 같은 장애를 방지할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연결자의 압입작업을 용이하게 하므로서 가역전자접촉기가 쉽게 조립될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전자접촉기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수 있으며, 여기에서 그 대향표면 결합돌기부를 가진 연결자를 전자접촉기의 저면측으로 부터 그 양측면에 결합홈을 가진 전자접촉기들 사이로 삽입함으로써 두개의 전자접촉기들은 그들 사이에 끼어있는 연동장치와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접촉기 각각의 측면에 접한 위치에서 연결자의 폭은 그 선단에서 보다 그 후단에서 더 크게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결자에 있어서 이 연결자의 폭이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더 크기 때문에 연결자가 삽입될때 쐐기 작용으로 인하여 전자접촉기들 사이의 간격이 하부보다 상부가 좁아져서 연결자에 대하여 샌드위치 작용력(Sandwi ching)이 작용하게 된다.
연결자는 그 저면에 앞뒤로 다리를 부착하여 이들 다리 사이의 간격을 접자접촉기가 착설되는 지지레일의 폭보다 작지않게 하고, 다리의 길이(높이)는 각각의 전자접촉기에 접촉하는 레일의 저면으로 부터의 높이차보자 짧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작업면 위에 올려놓은 연결자에다가 전자접촉기를 압입결합 시키더라도 연결자의 저면에 돌출된 다리의 작용때문에 연결자의 저면에 레일 수용공간이 확보된다.
본 고앙의 기타 추가적인 목적과 장점들을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명시한 수단과 그 결합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8도 내지 제11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내지 제7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8도는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연결자(5)는 선단(제8도에서 하단부)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점차로 폭이 변화하여 선단의 폭(A)이 후단폭(B)보다 좁게되어있다. 상기 연결자(5)를 전자접촉기(1)(2)사이로 선단의 좁은폭(A)쪽으로 부터 삽입하고 연결자(5)의 대향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부 (5a)들을 전자접촉기의 결함홈(1f)및 (2f)과 결합시키므로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접촉기(1)(2)를 연결자(5)에 의하여 서로 연결한다. 이때(즉, 전자접촉기 (1)(2)들이 서로 연결될때), 연결자(5)의 측면부(5b)가 전자접촉기(1)(2)의 각각의 측면에 접면되는바 연결자(5)의 후단부로 갈수록 이들 사이의 접촉압력이 커진다.
이와같이 연결자(5)가 전자접촉기(1)(2)의 측면에 접면되는 부분의 폭을 선단보다 후단쪽을 크게하므로서 전자접촉기(1)(2)의 간격이 상부가 좁아져서 제9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연동장치(3)에 샌드위치 작용력이 작용하게 된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연결자(6)의 양측면에 각각 한쌍의 결합돌기부(6a)들을 형성시키고, 그 후단부에 결합돌기부(6a)의 양쪽 바깥쪽에 부분적으로 쐐기모양의 돌기(6b)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선단폭(A)보다는 후단폭(B)이 더 크다. 따라서 연결자(6)를 전자접촉기(1,2)들 사이로 삽입할때 후단부의 돌기(6b)가 연결자(6)의 후단측면에서 전자접촉기(1)(2)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레일쪽은 제외하고 연결자(7)의 후단 양측에 점차로 폭이 커지는 확장부(7b)가 형성되며, 이 연결자(7)의 후단폭(B)은 선단폭(A)보다 크다. 결합돌기부(7a)(7c)들은 각각 결합홈(1f)및 (2f)와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전자접촉기(1)(2)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결합력이 증가된다.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두개의 전자접촉기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도 내지 제7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2도 및 제13도에 있어서 양측면에 결합돌기부(16a)를 가진 연결자(16)의 저면 전후부에 각각 길이가 동일한 다리(1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다리(16)의 길이(높이)(a)는 제12도의 레일삽입홈(1c,2c)의 단차(c)보다는 약간크고, 다리(16 b)사이의 간격(b)는 각 레일삽입홈(1c)와 (1c) 및 (2c)와 (2c)사이의 간격(D), 즉 레일(도시되지않음)의 폭(D)보다는 약간 크게 만들어진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자(16)를 다리(16b)의 단면(16c)을 전자접촉기(1)(2)의 저면(1d,1d)사이에 끼워 전자접촉기(1)(2)들 사이에 삽입하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일삽입홈(1c)(2c)사이에 레일수용공간(17)이 확보된다.
따라서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접촉기(1)(2)들 사이에 연결자(16)를 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자(16)를 작업면(15)에 접촉시키고, 전자접촉기(1)(2)를 단지 작업면(15)을 향하여 손으로 눌러 주기만하므로서 레일수용곤간을 폐쇄시키지않고 높이가 다른 전자접촉기(1)(2)들로 이루어지는 가역전자접촉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연결자의 폭이 선단부보다 후단부에서 크기 때문에 연결자가 전자접촉기 사이로 삽입될때 연동장치에 대하여 샌드위치 작용력이 작용하므로서 연동장치의 결합부의 마모와 연동기능의 저하를 방지할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자의 저면 전후에 각각 다리를 형성시켜, 이 다리의 높이를 상기 전자접촉기의 저면으로 부터 레일접면부까지의 높이차보다 크게하고, 이들 다리 사이의 간격을 전자접촉기가 착설되는 지지레일의 폭보다 크게 하였기 때문에 위치변화를 야기시키지않고 가역전자접촉기를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실시예들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4)

  1. 각각 저면부와 대향측면 및 이 대향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f) (2f)을 가진 두개의 전자접촉기(1) (2)와 한개의 연동장치(3)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전자접촉기(1) (2)와 그들사이에 끼어지는 연동장치를 일체적으로 결합하기위해 상기 두개의 전자접촉기(1) (2)들 사이로 이들의 저면으로 부터 삽입되도록 대향측면에 형성된 대향돌기부(5a)와 전후단부를 가진 하나의 연결자(5) (6) (7)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 접촉기(1) (2)의 각각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연결자(5) (6) (7)의 폭이 그 선단부보다 후단부에서 더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6)의 후단부 근방의 측면에 확실하게 부착고정되도록 상기 연결자(6)의 후단부가 그 선단부보다 넓게 되어있는 쐐기모양의 돌기(6b) (6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7)의 후단부 양측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자(7)의 선단부의 폭(A)보다 넓은 폭(B)을 가진 큰 확장부(7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각각 저면 및 양측면과 그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고있는 두개의 전자접촉자(1) (2)와 하나의 연결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 (1)(2)들은 레일접면부를 가지고있고,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지지레일 상기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저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다리(16b) (16b)를 가지고 있고 이 다리(16b)들 사이의 간격은 최소한 지지레일의 폭(D)과 같으며, 상기 다리(16b)들의 길이(높이) (a)는 최소한 각 전자접촉기(1) (2)의 저면(1d) (2d)로 부터 레일접면부 까지의 높이차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연결자(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KR2019910015732U 1988-08-18 1991-09-26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KR920000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732U KR920000307Y1 (ko) 1988-08-18 1991-09-26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502A KR900003934A (ko) 1987-08-19 1988-08-18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KR2019910015732U KR920000307Y1 (ko) 1988-08-18 1991-09-26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502A Division KR900003934A (ko) 1987-08-19 1988-08-18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307Y1 true KR920000307Y1 (ko) 1992-01-15

Family

ID=2662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732U KR920000307Y1 (ko) 1988-08-18 1991-09-26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232A (en) Inertia locking connector
US6193550B1 (en) Coupling connector
US4878859A (en) Support assembly for an electrical terminal housing
US4954798A (en) Device for coupling reversible electromagnetic contactors to each other with an interlock unit
KR900015381A (ko) 전기 커넥터
JP3645449B2 (ja) 端子構造
JP2535258Y2 (ja) コネクタの係止構造
JP3912253B2 (ja) コネクタ
US6224411B1 (en) Electrical zero-force contact connector device
US7040910B2 (en) Plug type connector
US11437749B2 (en) Connector
KR920000307Y1 (ko) 전자접촉기의 연결장치
JP2597232Y2 (ja) コネクタの誤嵌合防止構造
JP2000188151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4101920B2 (ja) 二つの部材の連結具
JPH07203615A (ja) 箱型電装部品の取付構造
JPS60220515A (ja) 閉開器具のための接解子装置
US4976624A (en) IC socket
JP2000123916A (ja) 補機用コネクタ
EP0393597B1 (en) Contact device
JP3536381B2 (ja) 電磁接触器
JPH0353755B2 (ko)
JPH0633636Y2 (ja) 電磁接触器の連結装置
JP3861482B2 (ja) スイッチ
JPH0728667Y2 (ja) 電磁接触器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