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77B1 -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77B1
KR920000277B1 KR1019880004136A KR880004136A KR920000277B1 KR 920000277 B1 KR920000277 B1 KR 920000277B1 KR 1019880004136 A KR1019880004136 A KR 1019880004136A KR 880004136 A KR880004136 A KR 880004136A KR 920000277 B1 KR920000277 B1 KR 92000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ate
light
dimm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435A (ko
Inventor
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88000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277B1/ko
Publication of KR89001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제1도는 각 변배에 따라 광량 조정장치가 없는 경우의 상면 조도분포도.
제2도의 변배에 따른 원고 상고 X렌즈에 대한 입사각을 나타낸 도면.
제3a도는 원고면 조도분포의 간략도 (b)는 변배에 상면 조도분포의 간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이론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써, (a)는 광학계의 간략도 (b)는 조광판이 없는 경우의 상면 조도분포도(축소시) (c)는 조광판을 설치한 경우의 상면 조도분포도(축소시) (d)는 조광판이 없는 겨우의 상면 조도분포도(확대시) (e)는 조광판을 설치한 경우의 상면 조도분포도(확대시).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렌즈와 조광판 및 조정판의 상호 작용도.
제7도는 종래 변배 복사기의 대표적인 광학계의 간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2 : 원고면
3 : 드럼면 4 : 원고면 조도분표
5 : 축소시 드럼면 조도분포 6 : 등배시 드럼면 조도분포
7 : 확대시 드럼면 조도분포 8 : 조광판
9 : 조정판 10 : 축
11 : 출사동에서의 광속 11′ : 조정판 위치에서의 광속
12 : 인장스프링 13 : 렌즈 브라케트
본 발명은 확애에서 축소에 걸쳐 변배가 가능한 변배 복사기에 있어서, 변배시에 발생되는 슬리트 길이방향 감광체상의 조도불균일을 균일하게 조정 가능토록한 원고 적재기준이 중앙인 슬리트 노광식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사기의 다기능화 요청에 따라 확대에서 축소에 걸쳐 변배가 가능한 복사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연속 변배에 대응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와같은 장치를 갖춘 대표적인 슬리트 노광방식 변배 복사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복사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변배시의 복사과정을 제7도에 의거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복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콘택트 그라스위에 원고가 적재된 상태에서 복사 시작 신호를 온(ON)시키면, 복사기내의 조면램프에 의해 원고의 황방향으로 가늘고 긴 빛(슬리트)이 원고에 조사되며, 원고에 조사된 빛은 원고의 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제1미러, 제2미러, 제3미러, 곁상렌즈, 제4미러를 통하여 감광체인 드럼위의 일정위치에 곁상(노광)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이 원고의 선단으로부터 끝단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되, 원고에서 렌즈까지의 물체거리 및 렌즈에서 감광체까지의 상거리를 불변하게 보존하기 위하여 조명램프와 제1미러를 일체로 제1캐리지에 고정하고, 제2미러와 제3미러를 제2캐리지에 고정하며, 주사방향으로 긴 가이더를 따라 제1캐리지를 일정속도 V로, 제2캐리지를 그 반의 속도로 동기하여 같은 방향으로 주행시키므로서, 슬리트 노광주사가 이루어 진다. 따라서, 이 노광광학계의 의해 변배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캐리지를 실선으로 표시한 기준위치에 두고 제2미러와 제3미러 및 렌즈를 서로 연관시켜 주사방향으로 변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확대 또는 축소 변배시에는 원고에서부터 감광체까지의 상거리가 연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2미러와 제3미러가 있는 제2캐리지를 필요길이 만큼 도면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확대 변배시에는 원고로부터 렌즈가지의 거리가 가까운 위치, 즉, 도면에서의 좌측으로 변위시키며 축소변배시에는 도면에서의 우측으로 변위시키게 된다. 이러한 렌즈의 변위에 있어서, 원고 적재기준이 중앙인 복사기의 경우는 변배시 주사방향으로만 렌즈를 변위시키면 된다. 예를들면, 복사배율에 해당하는 소정의 위치로 렌즈는 모터에 연결된 와이어로 변위시키고, 제2,3미러는 캠, 와이어, 풀리를 사용하여 변위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하여 등배 및 변배복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과정에 있어 원고의 상이 렌즈를 통과하여 감광체에 이르게 되므로서, 감광체에서의 조도가 매우 중요하게 된다. 즉, 원고를 슬리트 방향으로 균일한 조도로 조사한 경우에는 원고상의 화상이 렌즈에 입사하는 각도에 따라 감광체상의 조도는 이른바, 코사인 4승칙에 의해 변화되어, 슬리트 양단 부근은 광축 부근보다도 조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감광체상의 조도불균일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리트의 폭을 양단이 중앙보다 크게 하건, 혹은 슬리트 폭을 일정하게 두고 램프의 조도분포를 변화시켜 보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초기에 고정되므로 등배시에는 유용하지만, 변배시에는 원고면과 랜즈, 렌즈와 감광체간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어 초기 보정되어진 조도분포가 또 다시 변화하게 된다. 즉, 제2도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상의 화상고 X점에서 나온 광선이 렌즈의 중앙을 통과하는 광속의 입사각을 살펴보면, 변배시의 입사각(θm(X))과 등배시 같은 상고점에서 나온 광선의 렌즈에 대한 입사각(θmb(X))과는 다르다. 변배시 감광체상의 각 상고위치 조도분균일은 코사인 4승칙(COS4θ칙)에 의해 다음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세로축을 조도로 하고, 가로축을 상고에 있어 중앙으로 부터의 거리로 하여, 상고 0(슬리트이 중앙위치)를 조도 100%로 하고 각각의 변배율에 대하여 감광체상 각 상고에 있는 조도불균일의 예를 제1도의 그래프에 의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확대시, 즉, 배율 1.41의 경우 상고 150㎜ 점에서의 조도 감소는 7%이며, 축소시, 즉, 배율 0.5의 경우 상고 75㎜점에서의 조도 증가는 20%에 달하고 있어, 화상에 있어 확대시에는 양단이 어두워지고, 축소시에는 양단이 너무 밝아지는 조도불균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도불균일을 면상에서의 조도분포로서 살펴보면, 제3도와 같다. 즉, 초기에 고정된 조도보정방법에 의해 원고면 조도분포를(a)와 같이 보정하면 드럼면의 조도분포는 (b)의 6과 같이 조도가 균일하게 되어진다. 그러나, 변배사의 경우는 원고면 조도분포는 (a)와 동일하지만, 드럼면의 조도분포는 (b)에서, 축소시에는 5와같이, 확대시에는 7과 같이 되어진다. 이러한 조도불균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두매의 조광판으로 각각 양측으로 광속을 차단시켜 보정하는 방법의 장치가 고안되어 있으나, 이와같은 방식의 장치는 광속이 양측에서 차단되어 들어오므로 상고(像高)가 높은 광속이 많이 차단되기 때문에 축소비율이 클때에는 상면 양단의 조도가 많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변배시의 조도변화에 있어 확대시에는 양단부에서 근소하게 감소하는데 비해 축소시에는 양단부의 조도불균일이 중앙부보다 상당히 크게 발생한 변배복사기의 조조불균일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고 적재기준이 중앙인 슬리트 노광식의 변배복사기 조도불균일보정장치에 있어서, 복사배율에 따라 이동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지지하고 함께 이동하며 축이 형성된 렌즈 브라케트, 상기 축에 고정되어 회동하며 상기 렌즈를 통과하는 광량을 차단하는 2매의 조광판, 상기 조광판(8)의 하측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렌지의 이동에 다라 상기 조광판을 변위시켜 광량 차단량을 조정하는 조정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며, 도면에서 1은 렌즈, 13은 렌즈 브라케트, 10은 축, 8은 조광판, 9는 조정판을 나타낸다. 복사배율에 따라 이동하는 렌즈(1)를 지지하며 함께 이동하는 렌즈 브라케트(13)에 축(10)을 형성하고, 상기 축(10)에 2매의 조광판(8)을 회동 가능토록 고정하되, 상기 조광판(8)이 슬리트 길이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조광판(8)의 하측으로 조정판(9)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조광판(8) 각각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광판(8)은 상기 렌즈(1)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조정판(9)은 상기 렌즈(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조광판(8)을 변위시킨다. 이때, 상기 조광판(8)은 자중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나, 동작의 확실성을 위하여 상기 조정판(9)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조광판(8)에, 타측이 상기 렌즈 브라케트(13)에 연결 상기 렌즈(1)와 함께 이동하는 인장시프링(12)을 부가하여 강제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광판(8)은 렌즈 브라케트(13)의 축(10)에 한쪽이 고정되고, 렌즈(1)의 변위와 연동하면서 각 배율에 따라 조정판(9)의 높이변화에 의거하여 소전의 차광각(θ)을 갖고 위치하게 된다. 즉, 조광판(8)은 등배시 수평으로 약간의 광량을 차단하고, 축소시에는 조광판(8)은 등배시 수평으로 약간의 광량을 차단하고, 축소시에는 조광판(8)이 아래로 회적하여 축소배율이 작아짐에 따라 광량을 차단하는 량이 커지게 되며, 확대시에는 조광판 (8)이 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정판(9)은 제6도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렌즈(1)가 등배위치에 있을때에는 조정판(9)의 변곡점에 조광판(8)이 위치하게 되므로 확대 변배시에는 높이를 등배시보다 높게 변화시키고, 축소시에는 등배시보다 조정판(9)의 높이가 낮게 변화시키므로서 조광판(8)의 광량 차단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조정판(9)의 높이는 광속의 차단비율에 따른 계산에 의해 적정하게 결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제4도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도는 광학계의 각략도로써, 최대상점 P로 들어오는 광속이 렌즈동경(DO)의 양단점 A,B와 상면 최대 상고위치인 P점을 연결한 삼각형(실제는 원추형임)으로 들어온다고 생각하면 렌즈(1)에서 상면측으로 거리 B위치에 있어서 조광판(8)을 이 삼각형의 임의의 조광각(θ)만큼 들어온 경우 B위치에 있어서 동(瞳)을 투사하는 직경 C의 원면적에 대해서 조광판(8)에 의한 조광면적(빗금친 부분)의 비만큼 최대상고에 있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10′는 조광판(9)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고가 낮아짐에 따라 조광면적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한 1식으로 주어진 최대상고에 있는 광량의 상고 0위치에서의 광량 추가분과 조광판(8)에 의한 감광비율이 같아지도록 조광판(8)의 차단량을 설정한다면 조도불균일은 보정되게 된다. 최대상고에 있는 광량은 제1도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배율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랜즈(1)에서 일정한 거리 B의 위치에 있는 조광판(8)의 각 배율에 대한 조광각의 값을 구하고, 조광판(8)의 조광각(θ)이 각 배율에서 그 값이 되도록 변배에 따른 렌즈의 변위와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조정판(9)과 조광판(8)의 모양을 결정하면 된다. 여기서 제4도의 (b)(d)는 조광판이 없는 경우의 슬리트 방향 상면 조도분포이고, (c)(e)는 (a)도와 같이 양쪽 방향으로 조광판(8)을 설치한 경우에 보정된 상면 조도분포이다. 또, 이상의 원리에서 조광판(8)을 설정하는 위치는 각 상고에서 차단되는 광량을 검토하여 걱정하게 구해야 한다. 그 이유는 조광판(8)의 위치에 따라 각 상고에서의 차광 비율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광량 자동조정 장치가 갖고 있는 단점인 두 개의 차광판이 양쪽에서 슬리트 방향과 광축에 수직하게 광속을 차단시켜면서 광축쪽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상고가 큰 광속부터 차단시켜서 차단비율이 양단에 지나치게 치우쳐서 축소비율이 작을때는 양단의 조도가 중앙보다 떨어지게 되는 조도불균일 현상을 완전 해결시키고, 확대 변배시에는 광량 불균일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나비날개′모양을 한 조광판(8)이 양쪽에서 비스듬이 광속을 차단하면서 들어오게 되므로, 양단에서도 광속이 차단되지만 상고가 작은 부분도 각 상고에 따라 적정비율로 차단되어 조도가 다울 균일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정판(9)의 형상을 변경하여 변배에 따라 렌즈 브라케트(13)를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로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므로서 광학계 제작비용을 경감시킬수도 있으며, 한편, 조광판(8)이 조광선단이 수직이 아니라 수평에 가깝기 때문에 조광판(8)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플레어(flare)광의 양이 수직의 조광선단을 갖는 기기보다 훨씬 작게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결국, 변배에 따른 렌즈(1)의 이동에 의해 조광판(8)을 조정판(9)의 높이에 의해 슬라이드 시키므로서 광범위한 연속 변배에 대해서 슬리트 길이방향의 조도불균일을 평탄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변배시에만 그 변배배율에 대응하는 량만큼을 광로중에서 차단하도록 변위시키므로서 등배시의 조도와 비교하여 변화량이 없거나, 근사치로 설정되도록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원고 적재기준이 중앙인 슬리트 노광식의 변배에 복사기 조도불균일 보정장치에 있어서, 복사 배율에 따라 이동하는 렌즈(1) ; 상기 렌즈(1)를 지지하고 함께 이동하며, 축(10)이 형성된 렌즈 브라케트(13) ; 상기축(10)에 고정되어 회동하며, 상기 렌즈(1)를 통과하는 광량을 차단하는 2매의 조정판(8) ; 상기 조광판(8)의 하측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렌즈(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광판(8)을 변위시켜 광량 차단량을 조정하는 조정판(9)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배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판(8)의 변위를 위하여, 상기 조정판(9)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조광판(8)에, 타측은 상기 렌즈 브라케트(13)에 연결되어 상기 렌즈(1)와 함께 이동하는 인장스프링(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배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KR1019880004136A 1988-04-12 1988-04-12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KR92000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136A KR920000277B1 (ko) 1988-04-12 1988-04-12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136A KR920000277B1 (ko) 1988-04-12 1988-04-12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35A KR890016435A (ko) 1989-11-29
KR920000277B1 true KR920000277B1 (ko) 1992-01-11

Family

ID=1927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136A KR920000277B1 (ko) 1988-04-12 1988-04-12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2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35A (ko) 198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9016A (en) Projection device
KR920000277B1 (ko) 변배 복사기의 조도불균일 보정장치
US4806989A (en) Optical correction device
US4171904A (en) Image forming device of copying apparatus of the variable duplicate size type
US4243312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US4490034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an unevenness in an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an original in a copying machine capable of variable magnification
US4740815A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irregularities of illumination for a copier
JPH0645953Y2 (ja) 画像露光装置
JP2687523B2 (ja) 露光装置の照度むら補正装置
JP2515625Y2 (ja) 画像露光装置
JP2524391Y2 (ja) 複写機の露光光学装置
US4978993A (en) Correction device for non-uniform illuminations in ratio-variable copy machine
JPH0743496B2 (ja) 画像露光装置
JP2638962B2 (ja) 画像露光装置
JPH05127263A (ja) 複写装置
JP2520618B2 (ja) 画像露光装置
JPH03127081A (ja) 変倍複写機の照度不均一補正装置
JPH0522224B2 (ko)
JPS6055327A (ja) 変倍複写機における照度ムラ補正装置
GB2082334A (en) Line-by-line photocopying
JPH02163772A (ja) 露光装置の照度むら補正装置
EP003318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illumination defects in an optical system
JPH0325427A (ja) 変倍複写機の照度不均一補正装置
JP2519908Y2 (ja) 走査装置
JPS6055326A (ja) 変倍複写機における照度ムラ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