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42Y1 - 도트인자헤드 - Google Patents

도트인자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42Y1
KR920000242Y1 KR2019870008528U KR870008528U KR920000242Y1 KR 920000242 Y1 KR920000242 Y1 KR 920000242Y1 KR 2019870008528 U KR2019870008528 U KR 2019870008528U KR 870008528 U KR870008528 U KR 870008528U KR 920000242 Y1 KR920000242 Y1 KR 920000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leaf spring
rear end
prin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190U (ko
Inventor
히로시 기꾸찌
히데아끼 이시미즈
미노루 데지마
미쓰루 기시모토
Original Assignee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도 나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도 나미오 filed Critical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8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7Actuators for print wires
    • B41J2/28Actuators for print wires of spring charge type, i.e. with mechanical power under electro-magnet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35Print head assemblies

Landscapes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토인자헤드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관한 도트인자헤드를 표시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도트인자헤드의 상세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스프링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
제5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아마추어의 선단변위를 표시한 그래프.
제6도는 제1종래예를 표시한 구성도.
제7도는 제2종래예의 요부를 표시한 구성도.
제8도는 제1종래예의 아마추어 선단변위를 표시한 그래프.
제9도는 제2종래예의 아마추어 선단변위를 표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영구자석
3 : 대판 4 : 스페이서
5 : 가이드 6 : 크램프
7 : 판스프링 8 : 요크
9 : 코어 11 : 전자석
13 : 인자와이어 14 : 아마추어
16 : 스톱퍼 A : 해방상태
B : 접촉상태 C : 흡인상태
D : 스톱퍼없는 흡인상태 M : 아마추어 후단
O : 일차진동의 부동점
이 고안은 프린터에 있어서 아마추어의 선단에 고착된 인자와이어를 구동하여 인자하는 도트인자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도트인자헤드로서는 여러 종류의 것이 실시화되어 왔지만 예를들면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한 것들이 있다.
제6도는 제1의 종래예의 도트인자헤드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1은 베이스이고 이 베이스(1)의 후단에 영구자석(2), 대판 (3), 스페이서(4)가 순차로 적층되어 스페이서(4)와 가이드(5)와의 사이에 크램프(6)에 의하여 판스프링(7) 및 요크(8)가 편측탄지 상태로 협지 되었다.
이 판스프링(7)의 가요부에 전기요크(8)와 인접하여 아마추어(12)가 착설되어 전자석(11)의 코어(9)에 대항하고 이 아마추어(12)선단에 인자와이어(13)가 착설되며 가이드(5)에 의하여 플래튼(Platen)측에 안내되어 있다.
영구자석(2)의 자속이 대판(3), 스페이서(4), 요크(8) 아마추어(12), 코어(9) 및 베이스(1)를 통하여 제차 영구자석(2)에 반려되는 자기뢰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회로에 의하여 아마추어(12)는 판스프링(7)과 함께 코어(9)에 흡인되어 편의 상태에 있다.
이 편의 상태에 있어서, 전자석(11)을 여자하여 자기회로와 반대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면 아마추어(12)를 흡인하는 힘이 감소하고 그때문에 판스프링(7)은 해방되며 아마추어(13)의 선단에 착설한 인자와이어(13)가 가이드(5)에서 돌출하고 도시가 없는 잉크리본과 인자매체를 플래튼에 압착하여 인자를 하게 된다.
제7도는 실개소 60-3042호 공보에 기재된 제2종래예의 도트인자헤드의 요부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제2종래예는 상기 제1종래예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아마추어(12)의 후단이 제1종래예의 그것보다도 길게 연재하고 실선으로 표시한 흡인상태와 쇄선으로 표시한 해방상태간에 있어 일차진동의 부동점(0)을 인자와이어(13)에 인자시의 충격력이 가해졌을때의 아마추어(12)의 순간회전 중심에 일치시킨 점에서 상이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제1종래예의 도트인자헤드에서는 아마추어의 선단의 변위파형의 제8도의 그래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인자직후 고차진동의 발생에 의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고 접촉시간 및 반려시간이 같이 길고 더우기 인자력으로의 변환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제2종래예의 도트인자헤드에서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차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반면 반려속도가 증대하여 제흡인 후에는 리바운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 있다.
이 문제점을 대처하기 위하여 흡인상태에 있어 흡인력을 증대시켜서 리바운드를 저감시키면 인자까지의 시간이 증대하고 그 결과 드리이브시간도 증대하고 인자효율이 나뻐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고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리바운드를 대폭으로 감소시키고 인자효율을 향상시키며 더욱 안정된 고속인자를 실현한 도트인자헤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구성은 도트인자헤드에 있어서, 아마추어 후단을 판스프링에 의한 일차진동의 부동점 보다도 판스프링의 지지부측에 연재하고 이 아마추어 후단의 이동을 흡인동작도중에 구속하는 스톱퍼 설치를 요지로 한다.
상기 구성의 도트인자헤드에 의하면 아마추어는 그 후단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일차진동의 부동점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고, 아마추어 후단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아마추어 후단을 증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러므로 관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는 변화하고 아마추어 후단의 자유로운 상태보다도 구속된 상태의 측이 크게된다. 판스프링의 탄발력은 흡인력 커브에 따르도록 변화하지만 횹인상태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흡인력으로도 종래보다도 큰 탄발력이 생긴다.
그결과 인자직후부터 재흡인간의 흡인동작중에서 아마추어 후단이 스톱퍼에 당접하면 그후는 스프링 정수가 커지고 더우기 아마추어의 회전중심도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반려 속도가 저하된다.
흡인시에는 코어 접촉부와 아마추어 후단과의 2개소에서 접촉하는 것과 상응하여 리바운드의 발생이 억제된다.
인자시에는 아마추어 후단이 플리로 되어 있으므로 아마추어의 회전중심을 인자시의 아마추어의 순간회전중심에 일치시킬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제거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도트인자헤드의 홉인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M은 아마추어 후단이고 이 아마추어후단(M)이 제3도에 표시한 일차진동의 부동점(0)보다도 후방에 연재하고 흡인동작중에 아마추어후단(M)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요크(8)의 끝부분에 시임(15)를 개재하여 스톱퍼(16)가 설치되어 있다.
기타부분은 종래예와 동일하다.
제2도는 제1도의 아마추어 스톱퍼의 상세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스페이서(4), 판스프링(7), 아마추어(14), 요크(8), 시임(Shim)(15)및 스톱퍼(16)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스페이서(4)는 판스프링(7)과 전자석의 로어와의 사이에 캡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스페이서(4)의 상면에 판스프링(7)이 판측탄지 상태로 점용접되어 있다.
판스프링(7)은 아마추어(14)를 탄력에 의하여 흡인상태에서 해방하는 것이고 판스프링(7)의 상면에 요크(8) 및 아마추어(14)가 점용접 되어있다.
아마추어(14)는 자기회로의 일부를 형성하여 코어로의 흡인력을 생기게 하는 것이고 이 아마추어(14)의 선단에 인자와이어(13)가 고착되어 있다.
요크(8)는 아마추어(14)를 헐겁게 끼우는 잘린부분(8a)이 있고, 이 잘린부분 (8a)의 내벽면에서 아마추어(14)에 자속이 통하도록 한 것이다·.
시임(15)은 해방상태인때 아마추어후단(M)과 스톱퍼(16)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스톱퍼(16)는 흡인동작 도중에 아마추어후단 (M)의 이동을 구속하고 아마추어후단(M)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아마추어 (14)를 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아마추어후단(M)의 위치나, 시임(15)의 두께는 판스프링(7)의 탄력이 제4도에 표시한 흡인커브에 연하여 변화하도록 설정된다.
제4도의 인자시 스트로크 범위내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스톱퍼(16)에 아마추어후단(M)의 장면이 맞닿지 않도록 스톱퍼(16)에 닿는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아마추어후단(M)의 상면과 스톱퍼(16)의 접촉부에는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윤활체가 도포되며 또는 얇은 필름이 첨부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도트인자헤드의 동작을 제3도 내지 제5도를 함께 사용하고 설명한다.
제3도는 각 상태의 아마추어의 위치를 표시하고 A는 해방상태, B는 아마추어후단(M)이 스톱퍼(16)에 접촉하는 접촉상태, C는 흡인상태, D는 비교를 위하여 스톱퍼 (16)가 없는 경우의 흡인상태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해방상태(A)에서 접촉상태(B)사이에서는 일차 진동의 부동점(0)에 회전중심이 있고 접촉상태(B)에서 흡인상태(C)사이에서는 아마추어후단(M)에 회전중심이 있다.
그때문에 판스프링(7)은 해방상태(A)에서 접촉상태(B)사이의 스프링 정수 보다도 접촉상태(B)에서 흡인상태(C)사이의 스프링 정수의 측이 크게 된다.
그 결과 제4도의 스프링 특성의 그래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7)의 탄력은 흡인커브에 연하도록 변화 하므로 흡인 스트로크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흡인력에서도 놓은 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흡인 스트로크에 있어서 접촉상태(B)에서 흡인상태(C)사이에서는 스프링 정수의 증대와 아마추어(14)의 회전 반경의 증대에 의하여 반리속도가 감소한다.
그때문에 제5도의 아마추어의 선단변위를 표시하는 그래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반려속도가 감소하고 코어 접촉부에 있어서 리바운드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인자스트로크에서는 판스프링(7)에 의한 회전중심은 인자시의 아마추어(14)의 순간회전 중심에 일치한다.
그때문에 인자후에 고차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접촉시간 및 반려시간이 함께 짧게 된다.
더욱 이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개변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요크의 두께를 아마추어의 높이보다도 시임의 두께만큼 두껍께하여 시임을 불필요하게 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가이드를 금속이나 세라믹등의 경질재료로 형성하여 가이드의 내벽면을 스톱퍼면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톱퍼를 생략할 수도 있다.
다시 스톱퍼를 자성재료로 형성하여 자기회로의 일부로 하므로서 흡인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도트인자헤드에 있어서 아마추어후단을 판스프링에 의한 일차 진동의 부동점보다도 판스프링의 지지측에 연재하고 이 아마추어후단의 이동을 흡인 동작도중에 구속하는 스톱퍼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같은 흡인력이라도 흡인상태에서의 판스프링의 탄력이 증가하고 증가분만큼 지지력이 감소하므로서 전자석의 여자 개시에서 스프링 개방까지의 시간과 스프링 개방에서 인자까지의 시간을 짧게하여 인자 속도를 증대 시키고 더우기 전사석의 여자시간을 짧게하여 공급에너지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2. 흡인동작 도중에서 아마추어 후단이 스톱퍼에 닿고 스프링 정수가 증대하므로서 운동에너지가 흡수되며 회전 중심 회전의 관성코멘트의 증대에 의하여 코어에 충돌하는 아마추어의 반려속도가 감소하고 다시 종래의 1점에 대하여 2점에서 접촉하여 운동에너지가 흡수되므로 리바운드의 발생을 억제하고 반복 동작을 안정화 시킬수가 있다.
3. 판스프링에 의한 아마추어의 회전중심을 인자시의 타격에 의한 순간회전중심에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인자후에 고차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접촉시간이나 반려시간을 단축하고 더우기 인자력으로의 변환 효율을 양호하게 하고 안정된 고속인자를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영구자석(2)의 자속에 의하여 아마추어(14)를 흡인하여 판스프링(7)을 휘어놓고 영구자석의 자속을 전자석(11)으로 말소하여 아마추어(14)틀 해방하는 것에 의하여 아마추어(14)의 선단에 고착한 인자와이어(13)틀 구동하는 도트 인자헤드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후단(M)을 판스프링(7)에 의한 일차진동의 부동점(0)보다도 후방인 판스프링(7)의 지지부측에 연재하고, 이 아마추어후단(M)의 이동을 흡인동작 도중에 구속하고 아울러 상기 해방상태인 경우 시임(15)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하단(M)과의 소정간격이 형성되는 스톱퍼(1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인자헤드.
KR2019870008528U 1986-05-30 1987-05-29 도트인자헤드 KR9200002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81115 1986-05-30
JP1986081115U JPH051405Y2 (ko) 1986-05-30 198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190U KR870018190U (ko) 1987-12-22
KR920000242Y1 true KR920000242Y1 (ko) 1992-01-15

Family

ID=1373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528U KR920000242Y1 (ko) 1986-05-30 1987-05-29 도트인자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78292A (ko)
EP (1) EP0247621B1 (ko)
JP (1) JPH051405Y2 (ko)
KR (1) KR920000242Y1 (ko)
DE (1) DE3771576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149B1 (ko) * 2006-10-23 2007-01-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5659A (ja) * 1988-12-08 1990-06-14 Seikosha Co Ltd 印字ヘッド
US5975776A (en) * 1995-06-06 1999-11-02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Dot matrix print head with unitary armatur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038A (en) * 1977-06-23 1980-10-28 Helmut Falk Matrix print head assembly
GB2022515B (en) * 1978-05-12 1982-04-21 Suwa Seikosha Kk Head for a dot printer
US4225250A (en) * 1978-10-10 1980-09-30 Tally Corporation Segmented-ring magnet print head
JPS5938068A (ja) * 1982-08-27 1984-03-01 Hitachi Ltd 印字ヘッド
JPS59150755A (ja) * 1983-02-18 1984-08-29 Oki Electric Ind Co Ltd ドツトインパクト印字ヘツド
JPS6168255A (ja) * 1984-09-13 1986-04-08 Tokyo Electric Co Ltd ドツトプリンタヘツド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149B1 (ko) * 2006-10-23 2007-01-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05Y2 (ko) 1993-01-14
JPS62194046U (ko) 1987-12-10
EP0247621A3 (en) 1988-06-29
EP0247621A2 (en) 1987-12-02
DE3771576D1 (de) 1991-08-29
EP0247621B1 (en) 1991-07-24
KR870018190U (ko) 1987-12-22
US4778292A (en) 198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031B2 (en) Impact printhead
US4661002A (en) Dot matrix printer
KR920000242Y1 (ko) 도트인자헤드
JPH05220B2 (ko)
US5322379A (en) Impact dot print head and printer including same
US4484519A (en) Stylus driving apparatus for printers
JP2788867B2 (ja) 印字アクチュエータ
JPH0121802Y2 (ko)
JPS6364766A (ja) 印字ヘツド
JP4100017B2 (ja) 釈放式印字ヘッド
JPH06286169A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
JPH0436275Y2 (ko)
JP2567479Y2 (ja) ワイヤドット印字ヘッド
JPS58215363A (ja) 印字ヘツド
JPS60279Y2 (ja) クラツパ−型ドツトプリンタヘツド
JPS6211654A (ja) ワイヤドツトヘツド
JPH06115107A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
JPH0749148B2 (ja) ワイヤドツトヘツド
JPH0351588B2 (ko)
JPH026147A (ja) インパクトドット式印字ヘッド
JPH05318777A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
JPS6042063A (ja) ワイヤドツトヘツド
JPH05185613A (ja) ワイヤドットプリンタ
JPS6048347B2 (ja) 可動コイル型印字ヘツド
JPS58157653U (ja) ドツトラインプリンタ用リボン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