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149B1 -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 Google Patents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149B1
KR100669149B1 KR1020060103040A KR20060103040A KR100669149B1 KR 100669149 B1 KR100669149 B1 KR 100669149B1 KR 1020060103040 A KR1020060103040 A KR 1020060103040A KR 20060103040 A KR20060103040 A KR 20060103040A KR 100669149 B1 KR100669149 B1 KR 10066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storage
receiving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관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Priority to KR102006010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을 걸어줄 수 있으며, 물건을 얹어놓을 수 있고, 물건이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명이 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형성되며, 벽체(1000)에 일부 매립되되 바닥면(1600)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레일 부재 사이로 판형 부재가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레일부(200), 상기 수직 레일부(200)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이동판부(11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또 다른 판형 부재로 상기 이동판부(110)와 겹쳐졌을 때 상기 이동판부(110)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수납판으로 사용되는 수납판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간이 수납부(100), 상기 이동판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 현관문(1100)의 초인종(1800) 부근에 형성되며, 현관의 천정 조명등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500)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상기 수납판부(120)가 펼쳐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상기 간이 수납부(100)위에 위치하는 조명 부재인 수납부 조명부가 켜지도록 형성되는 제어 부(7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Description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Entrance hall wall with receiving part}
도 1은 본 발명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의 구성요소인 수직 레일부(200)와 간이 수납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의 구성요소인 수직 레일부(200)와 간이 수납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간이 수납부 110 : 이동판부
111 : 이동판부 몸체부 112 : 이동판 고정 손잡이
115 : 수납판부 접촉면부 118 : 수납판부 돌기부 수용부
120 : 수납판부 121 : 수납판부 몸체부
122 : 손잡이 삽입홈 125 : 수납판부 노출면부
126 : 손잡이부 127 : 이동판부 접촉면부
151 : 갈고리부 152 : 갈고리 삽입홈
158 : 수납판부 돌기부 200 : 수직 레일부
202 : 이동판 고정홈 500 : 감지부
700 : 제어부 1000 : 벽체
1100 : 현관문 1600 : 바닥면
1800 : 초인종
본 발명은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형성되며, 벽체(1000)에 일부 매립되되 바닥면(1600)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레일 부재 사이로 판형 부재가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레일부(200), 상기 수직 레일부(200)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이동판부(11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또 다른 판형 부재로 상기 이동판부(110)와 겹쳐졌을 때 상기 이동판부(110)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수납판으로 사용되는 수납판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간이 수납부(100), 상기 이동판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 현관문(1100)의 초인종(1800) 부근에 형성되며, 현관의 천정 조명등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500)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상기 수납판부(120)가 펼쳐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상기 간이 수납 부(100)위에 위치하는 조명 부재인 수납부 조명부가 켜지도록 형성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을 걸어줄 수 있으며, 물건을 얹어놓을 수 있고, 물건이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명이 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현관 홀은 건물 내 공간이긴 하지만, 자신의 주거세대 내부의 공간은 아니어서, 거주자의 입장에서는 통과하는 공간 부위이다.
그런데 많은 물건을 운반하게 될 경우, 특히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물건을 운반할 경우, 불편할 경우가 많다.
만약,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을 걸어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물건을 얹어놓을 수 있는 수납 부위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공동주택의 현관 천정등은 타이머에 의해 작동하므로 곧 소등되어 버린다. 거주자가 물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조명이 있어야 물건의 취급이 편하다. 그런데 거주자가 계속해서 움직이면서 상기 현관 천정등이 계속 작동되도록 하기는 힘들다.
만약, 물건이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명이 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을 걸어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물건을 얹어놓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건이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명이 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레일부(200), 간이 수납부(100), 감지부(500),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의 사시도이다.
제 1도에서는 공동주택의 현관 홀(1200)에 수직 레일부(200), 간이 수납부(100), 감지부(500), 제어부(7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형성되며, 벽체(1000)에 일부 매립되되 바닥면(1600)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레일 부재 사이로 판형 부재가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레일부(200), 상기 수직 레일부(200)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이동판부(11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또 다른 판형 부재로 상기 이동판부(110)와 겹쳐졌을 때 상기 이동판부(110)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수납판으로 사용되는 수납판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간이 수납부(100), 상기 이동판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 현관문(1100)의 초인종(1800) 부근에 형성되며, 현관의 천정 조명등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500)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상기 수납판부(120)가 펼쳐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상기 간이 수납부(100)위에 위치하는 조명 부재인 수납부 조명부가 켜지도록 형성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제 2도는 본 발명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의 구성요소인 수직 레일부(200)와 간이 수납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의 구성요소인 수직 레일부(200)와 간이 수납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수직 레일부(200)는 상기 수직 레일부(200)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판부(110)와 접촉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 부위로 형성되는 이동판 고정홈(20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이 수납부(100)의 상기 이동판부(110)는 상기 이동판부(110)의 몸체로 형성되는 이동판부 몸체부(111)의 표면 중에 상기 수납판부(120)와 접촉하는 표면인 수납판부 접촉면부(115)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판부(120)가 겹쳐지는 부위의 외부의 윗부분으로 상기 수납판부(120)가 닿지 않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를 수직 이동시키거나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려 할 때 사용되는 손잡이 부재인 이동판 고정 손잡이(112), 상기 수납판부 접촉면부(115)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판부(120)가 겹쳐지는 부위 내의 상부에 형성되며,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판부(120)의 돌출부위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판부(120)를 상기 이동판부(11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납판부 돌기부 수용부(11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 고정 손잡이(112)를 작동시키면 상기 이동판부(110)가 상기 수직 레일부(200)에 고정되는데, 이는 기차나 지하철의 유리창, 즉 상하로 움직이며 일정 높이에 고정되는 창의 작동 장치와 같다.
상기 간이 수납부(100)의 상기 수납판부(120)는 상기 수납판부(120)의 몸체로 형성되는 수납판부 몸체부(121)의 표면 중에 상기 이동판부(110)와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 측으로 접혀져 있을 때 외부에 노 출되는 표면인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에 형성되되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부재인 손잡이부(126), 상기 손잡이부(126)가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로 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 내에 보관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26)의 형상을 따라 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홈(122),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에 형성되되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자가 손에 들고 있는 물건을 임시로 걸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 부재인 갈고리부(151), 상기 갈고리부(151)가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로 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 내에 보관되도록 상기 갈고리부(151)의 형상을 따라 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갈고리 삽입홈(152), 수납판부 몸체부(121)의 표면 중에 상기 이동판부(110)와 접촉하는 표면인 이동판부 접촉면부(127)의 상부에 형성되며, 돌출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부(110)에 오목한 홈 부위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판부(120)를 상기 이동판부(11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납판부 돌기부(158)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6)는 사용되지 않을 때는 상기 손잡이 삽입홈(122) 내부에 보관되며, 상기 갈고리부(151)는 사용되지 않을 때는 갈고리 삽입홈(152)에 보관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공동주택의 현관 홀(1200)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은 상기 갈고리부(151)에 걸어줄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 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을 걸어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공동주택의 현관 홀(1200)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물건을 상기 수납판부(120) 위에 얹어놓을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물건을 얹어놓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수납판부 접촉면부(115)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감지부(500)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상기 수납판부(120)가 펼쳐져서 물건이 상기 수납판부(120) 위에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상기 간이 수납부(100)위에 위치하는 조명 부재인 수납부 조명부가 켜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물건이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명이 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가벼운 물건을 걸어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공동주택의 현관 홀에서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 물건을 얹어놓을 수 있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물건이 얹혀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명이 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많은 물건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형성되며, 벽체(1000)에 일부 매립되되 바닥면(1600)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레일 부재 사이로 판형 부재가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레일부(200);
    상기 수직 레일부(200)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이동판부(11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또 다른 판형 부재로 상기 이동판부(110)와 겹쳐졌을 때 상기 이동판부(110)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수납판으로 사용되는 수납판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간이 수납부(100);
    상기 이동판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로 부터 펼쳐져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
    현관문(1100)의 초인종(1800) 부근에 형성되며, 현관의 천정 조명등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500)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상기 수납판부(120)가 펼쳐져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상기 간이 수납부(100)위에 위치하는 조명 부재인 수납부 조명부가 켜지도록 형성되는 제어부(7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레일부(200)는
    상기 수직 레일부(200)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판부(110)와 접촉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 부위로 형성되는 이동판 고정홈(202)을 포함하는 수직 레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수납부(100)의 상기 이동판부(110)는
    상기 이동판부(110)의 몸체로 형성되는 이동판부 몸체부(111)의 표면 중에 상기 수납판부(120)와 접촉하는 표면인 수납판부 접촉면부(115)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판부(120)가 겹쳐지는 부위의 외부의 윗부분으로 상기 수납판부(120)가 닿지 않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부(110)를 수직 이동시키거나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려 할 때 사용되는 손잡이 부재인 이동판 고정 손잡이(112);
    상기 수납판부 접촉면부(115)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판부(120)가 겹쳐지는 부위 내의 상부에 형성되며,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판부(120)의 돌출부위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판부(120)를 상기 이동판부(11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납판부 돌기부 수용부(118);
    를 포함하는 이동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수납부(100)의 상기 수납판부(120)는
    상기 수납판부(120)의 몸체로 형성되는 수납판부 몸체부(121)의 표면 중에 상기 이동판부(110)와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수납판부(120)가 상기 이동판부(110) 측으로 접혀져 있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인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에 형성되되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부재인 손잡이부(126);
    상기 손잡이부(126)가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로 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 내에 보관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26)의 형상을 따라 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홈(122);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에 형성되되 수납판부 노출면부(125)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자가 손에 들고 있는 물건을 임시로 걸어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 부재인 갈고리부(151);
    상기 갈고리부(151)가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로 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납판부 노출면부(125) 내에 보관되도록 상기 갈고리부(151)의 형상을 따라 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갈고리 삽입홈(152);
    수납판부 몸체부(121)의 표면 중에 상기 이동판부(110)와 접촉하는 표면인 이동판부 접촉면부(127)의 상부에 형성되며, 돌출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부(110)에 오목한 홈 부위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판부(120)를 상기 이동판부(11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납판부 돌기부(158);
    을 포함하는 수납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00)는
KR1020060103040A 2006-10-23 2006-10-23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KR10066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040A KR100669149B1 (ko) 2006-10-23 2006-10-23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040A KR100669149B1 (ko) 2006-10-23 2006-10-23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149B1 true KR100669149B1 (ko) 2007-01-16

Family

ID=3801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040A KR100669149B1 (ko) 2006-10-23 2006-10-23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27B1 (ko) * 2008-05-02 2008-11-0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유아 보호 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 현관 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42Y1 (ko) * 1986-05-30 1992-01-15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도트인자헤드
KR20020058567A (ko) * 2000-12-30 2002-07-12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592348B1 (ko) * 2005-12-12 2006-06-2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출입구 붙박이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42Y1 (ko) * 1986-05-30 1992-01-15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도트인자헤드
KR20020058567A (ko) * 2000-12-30 2002-07-12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592348B1 (ko) * 2005-12-12 2006-06-22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출입구 붙박이 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92-24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85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92348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27B1 (ko) * 2008-05-02 2008-11-0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유아 보호 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 현관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3181B2 (ja) ワードローブ装置
US7530175B2 (en) Twin level
US8253338B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directing light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US6079157A (en) Illuminated security barrier for passageways
KR100669149B1 (ko) 수납 부위를 가진 공동주택 현관 홀 벽체.
US20090031644A1 (en) Moving retail space system for buildings
JP200826589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混雑時運行制御装置
CN104067323B (zh) 探测器
KR101757284B1 (ko) 문고리 거치형 조명 장치
CN107304016B (zh) 电梯照明系统以及电梯装置
KR101680568B1 (ko) Led 직부형 조명등
JP3219019U (ja) 集合住宅の部屋構造
US20170172318A1 (en) Furniture system
KR20090005940A (ko) 신발장
NL1028021C2 (nl) Scheidingswand.
KR101569884B1 (ko) 풋 컨트롤 겸용 전동 모빌랙
JP3183701U (ja) 店舗用建物
JP2020026641A (ja) 出入り可能な省スペース型クローゼット
KR20200073782A (ko) 사람의 위치를 추적 및 이동하는 레일등
JPH0364789A (ja) 照明機能付き手摺による誘導システム
KR20220115232A (ko) 이동식 샤워 파티션
KR200347290Y1 (ko) 선반조명장치
JP6684041B2 (ja) 建物
JP5491701B2 (ja) 厨房システム
KR20030084149A (ko) 드레스룸 수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