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9631A - 콜레스테롤조절 조성물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조절 조성물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9631A
KR910019631A KR1019910007125A KR910007125A KR910019631A KR 910019631 A KR910019631 A KR 910019631A KR 1019910007125 A KR1019910007125 A KR 1019910007125A KR 910007125 A KR910007125 A KR 910007125A KR 910019631 A KR910019631 A KR 91001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group
composition
methacrylamid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알브라이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윌리암 이 램버르트 3세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681,032 external-priority patent/US5300288A/en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이 램버르트 3세, 롬 앤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윌리암 이 램버르트 3세
Publication of KR91001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6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 A61K31/78Polymers containing oxygen of acryl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60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95Polymer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meth]acrylate, polyacrylamid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lcohol or polystyrene sulfonic acid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콜레스테롤조절 조성물 및 그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45)

  1. 하기 구조단위를 갖고, 최빈값이 약 80000 daltons 혹은 그 이상인 분자크기분포를 가지며, 0-0.5%교차결합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며 특성이 없는 중합체 조성물.
    단, 상기식에서 A는 옥시알킬기-(CHR4)b-0-,티오알킬기-(CHR5)c-S혹은 아미노알킬기-(CHR6)d-NR7- 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상기 알킬은 아미드화 질소에 부착되어 있다.
    a는 0-10 사이의 정수;b,c및 d는 독립적으로 1-10사이의 정수;R1은 수소 혹은 C1-C8탄화수소기, R2및R7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기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이며, R4,R및R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가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 이며, R4R및R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가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 이며, R3혹은이다.(단, 여기서 e는 1-6인 정수이며, R6,R8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가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크기가 약 50000daltion 혹은 그 이하인 중합체를 약5중량%이하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만 중량부담, 중합체가 제조되는 단량체를 약1000혹은 그 이하 중량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만 중량부담 중합체가 제조되는 단량체를 약 100혹은 그 이하 중량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빈값은 약 250000daltion 이며, 또한 상기 조성물은 중합체 100만 중량부달 중합체가 제조되는 단량체를 약 100중량부 이하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로이드 분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1항에 있어서, 펜덴트기는 담즙산(bile acid)음이온과 이온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자리 및 담즙산의 히드록실기와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자리를 갖고, 또한 상기 담즙산 음이온은 담즙산과 글리신 및 타우린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짝산(conjugate acids)의 음이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공중합체이며, 중합체 뼈대의 반복단위중 최소 30%가 펜덴트기(A)a-R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공중합체이며, 중합체 뼈대의 반복단위중 최소 50%가 펜덴트기(A)a-R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기타 저급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저급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각각 선택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공단량체(comonomers)유니트를 부가적으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1항에 있어서, R3는 염산, 황산, 인산, 술팜산(sulfamic acid), 아세트산, 시트르산, 락트산(lact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말론산, 벤젠술폰산, p-룰루엔술폰산, 시크로헥실숲팜산 및 퀸산(quin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결합음이온을 갖는 4차 암모늄기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1항에 있어서, “a”가0-5;R1은 수소 혹은 저급알킬이고, R2는 소소 혹은 저급알킬이며, R3의 질소원자와 “A”의 산소 혹은 질소 헤테로원자 혹은 아미드기의 질소원자 사이의 연결기는 탄소원자 1-8인 직선형 사슬 알킬렌기이며, R3는 저급 알킬기 치환된 3차아민 혹은 저급 알킬기 치환된 4차 암모늄기이며; “a”가 0이 아닌 경우, “A”는 옥시알킬이고, “b”는 1-5이거나, 혹은 “A”가 아미노 알킬 그리고 “d”는 1-5, R4혹은 R6는 수소이며, 또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이거나 콜로이드 분산물이며, 상기 중합체는 0-.05%교차결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13항에 있어서, “a”가 0혹은 1:R1은 수소 혹은 메틸이며, R2는 수소 혹은 메틸, R3의 질소원자와 “A”의 질소원자 혹은 아미드기의 질소원자 사이의 연결기는 탄소원자수 3-5인 직선형 사슬알킬렌기이며, 또는 R3는 2개의 메틸기 치환된 3차아민기이며; “a”가 1이면 “A”는 아미노알킬이고 “d”는 1-5이며 R6는 수소이며;또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이고 상기 중합체는 최소약 250000의 분자량 최빈값을 갖고 0-0.05%교차결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하는 조성물.폴리(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메틸아크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메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에틸아크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폴리(메탈아미노프로필아크클아미드);폴리(메탈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미노부틸아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부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부틸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부틸메타크릴아미드); 폴리(메틸아미노부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부틸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미노펜틸아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펜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펜틸아크리라미드);폴리(아미노펜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펜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펜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CO-(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CO-(메타크릴아미드));폴리(1-아미노-3,6-디아자헵틸아크릴아미드);및 폴리(1-아미노-3,6-디아자헵틸메타크릴아미드).
  16.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반복 단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의 호모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반복 단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의 호모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1항에 있어서, “a” 0-10인 정수이며;“b”,“c”및 “d”는 독립적으로 0-10인 정수이며:R3는 3차 아미노기이며; 연결기는 탄소원자수 1-6인 알킬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1항에 있어서, “a”는 0-10인 정수이고;“b”,“c”및 “d”는 독립적으로0-10인 정수이며;R3는 4차 암모늄기이며; 연결기는 탄소원자수 1-6인 알킬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치료적으로 유효량의 청구범위 1항 조성물을 포함한 숙주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23. 치료적으로 유효량의 청구범위 1항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매개체(carrier)를 포함한 약제 조성물.
  24. 활성성분으로서, (1)최소약 250000dalton의 분자량 최빈값을 갖고 (2)분자량 50000이하를 갖는 호모중합체가 5중량%이하이며(3)중합체 100만부당 미반응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단량체가 약 1000부이하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호모 중합체를 포함하는, 숙주의 혈청콜레스테롤 감소를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조성물.
  25. 활성성분으로써 (1)최소약 250000dalton의 분자량 최빈값을 갖고 (2)분자량 50000이하인 호모 중합체가 5중량%이하이며(3)중합체 100만부당 미반응된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단량체가 약 1000부이하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호모 중합체를 포함하는, 숙주의 혈청콜레스테롤 감소를 위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조성물.
  26. (a)숙주의 간내에서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방해하는 물질; 및(b)하기구조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는 최빈값이 최소약80000dalton인 분자크기 분포를 갖고 0-약0.5%교차결합을 가지며, 독성이 없는 숙주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를 위한 조성물.
    단, 상기식에서 A는 옥시알킬기-(CHR4)b-0-, 티오알킬기-(CHR5)C-S혹은 아미노알킬기-(CHR6)d-NR7-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상기 알킬은 아미드화 질소에 부착되어 있다.
    a는 0-10사이의 정수;b,c및 d는 독립적으로 1-10사이의 정수;R은 수소 혹은 C1-C8탄화수소기,R2및 R7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기 혹은 헤테로원자-함유탄화수소기이며, R4,R5및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가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 이며, R3혹은이다.(단, 여기서 e는 1-6인 정수이며, R8,R9및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가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이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HMG보조효소 A환원효소를 방해함으로써 생합성을 방해하는데 효과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로바스타틴(lo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및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로바스타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하기 구조단위를 갖고, 최빈값이 최소약 80000dalton인 분자크기 분포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독성이 없으며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조성물을 효과적인 량 만큼 숙주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숙주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 방법.
    단, 상기식에서 A는 옥시알킬기-(CHR4)b-0-,티오알킬기-(CHR5)C-S혹은 아미노알킬기-(CHR6)d-NR7-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상기 알킬은 아미드화 질소에 부착되어 있다.
    a는 0-10사이의 정수;b,c및d는 독립적으로 1-10사이의 정수;R1은 수소 혹은 C1-C8탄화수소기, R2및 R7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기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호수소기이며, R4,R5및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기 혹은 헤테로 원자-함유 탄화수소기 이며, R3혹은이다.(단, 여기서 e는 1-6인 정수이며, R8,R9및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탄화수소가 혹은 헤테로원자-함유 탄화수소기이다.)
  31. 30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하루에 체중 1kg당 약 2-125 밀리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30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하루에 체중 1kg당 약 35-50 밀리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3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음식섭취에 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33항에 있어서, 숙주가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섭취량이 하루에 조성물 약 0.2-10g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섭취량이 하루에 조성물 약 3-4g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3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숙주의 간에서 콜레스테를 생합성을 방해하는 물질을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37항에 있어서, 섭취량이 하루에 조성물 약 1-4.5g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37항에 있어서, 섭취량이 하루에 조성물 약 1.5-2g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3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HMG보조효소 A환원효소를 방해함으로써 생합성을 방해하는데 효과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40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로바스티틴,심바스타틴 및 프라바스타틴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4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로바스티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성분이 다음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폴리(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메틸아크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메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에틸아크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폴리(메탈아미노프로필아크클아미드);폴리(메탈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미노부틸아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부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부틸아크릴아미드);폴리(아미노부틸메타크릴아미드); 폴리(메틸아미노부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부틸메타크릴아미드); 폴리(아미노펜틸아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펜틸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펜틸아크리라미드);폴리(아미노펜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메틸아미노펜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펜틸메타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CO-(아크릴아미드));폴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CO-(메타크릴아미드));폴리(1-아미노-3,6-디아자헵틸아크릴아미드);및 폴리(1-아미노-3,6-디아자헵틸메타크릴아미드).
  44. 30항에 있어서, 상기조성물의 활성성분이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의 호모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활성성분이 디메틸아미노프로아크릴 아미드의 호모중합체를 호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10007125A 1990-05-02 1991-05-02 콜레스테롤조절 조성물 및 그 방법 KR910019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799990A 1990-05-02 1990-05-02
US517.999 1990-05-02
US07/681,032 US5300288A (en) 1991-04-05 1991-04-05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olesterol
US681.032 1991-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631A true KR910019631A (ko) 1991-12-19

Family

ID=2705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125A KR910019631A (ko) 1990-05-02 1991-05-02 콜레스테롤조절 조성물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459632A1 (ko)
JP (1) JPH04298508A (ko)
KR (1) KR910019631A (ko)
CN (1) CN1056056A (ko)
AU (1) AU7592991A (ko)
CA (1) CA2040996A1 (ko)
CS (1) CS126491A3 (ko)
FI (1) FI912109A (ko)
HU (1) HUT59944A (ko)
IE (1) IE911405A1 (ko)
IL (1) IL97973A0 (ko)
NO (1) NO911700L (ko)
NZ (1) NZ237993A (ko)
PL (1) PL290121A1 (ko)
PT (1) PT975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0670B1 (en) * 1990-07-26 1996-03-20 Monsanto Company Method for preparation of crosslinked polyamines
DE59209709D1 (de) * 1991-12-20 1999-07-15 Hoechst Ag Polyaspartamidderivate als Adsorptionsmittel für Gallensäuren, mit Gallensäuren beladene Polyaspartamid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Anwendung als Arzneimittel
EP0563731B1 (de) * 1992-03-28 1995-11-15 Hoechst Aktiengesellschaft Arzneimittel aus Polyhydroxymethylenderiva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556619A (en) * 1992-08-20 1996-09-17 The Du 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Crosslinked polymeric ammonium salts
US5451397A (en) * 1992-12-21 1995-09-19 Rohm And Haas Company Bile acid sequestrant
US5487888A (en) * 1993-05-20 1996-01-30 Geltex, Inc. Iron-binding polymers for oral administration
US5624963A (en) * 1993-06-02 1997-04-29 Geltex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removing bile salts from a patient and compositions therefor
US6129910A (en) * 1993-06-02 2000-10-10 Geltex Pharmaceuticals, Inc. Water-insoluble noncrosslinked bile acid sequestrants
US5900475A (en) * 1994-06-10 1999-05-04 Geltex Pharmaceuticals, Inc. Hydrophobic sequestrant for cholesterol depletion
US5618530A (en) * 1994-06-10 1997-04-08 Geltex Pharmaceuticals, Inc. Hydrophobic amine polymer sequestrant and method of cholesterol depletion
US5929184A (en) * 1993-06-02 1999-07-27 Geltex Pharmaceuticals, Inc. Hydrophilic nonamine-containing and amine-containing copolymers and their use as bile acid sequestrants
US5607669A (en) * 1994-06-10 1997-03-04 Geltex Pharmaceuticals, Inc. Amine polymer sequestrant and method of cholesterol depletion
US5703188A (en) * 1993-06-02 1997-12-30 Geltex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removing bile salts from a patient and compositions therefor
ZA95390B (en) * 1994-01-18 1996-07-18 Du Pont Crosslinked polymeric ammonium salts
US5414068A (en) * 1994-01-24 1995-05-09 Rohm And Haas Company Crosslinked anion exchange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rticles
IL110943A (en) * 1994-09-13 1997-02-18 Univ Ramot Compositions comprising an inhibitor of cholesterol synthesi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US6203785B1 (en) 1996-12-30 2001-03-20 Geltex Pharmaceuticals, Inc. Poly(diallylamine)-based bile acid sequestrants
DE19715504C2 (de) * 1997-04-14 2000-10-26 Max Planck Gesellschaft PMMA-Membranen mit Polyethylenglykol-gekoppelten Wirksubstanzen
US6423754B1 (en) 1997-06-18 2002-07-23 Geltex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with polyallylamine polymers
GB2329334A (en) * 1997-09-18 1999-03-24 Reckitt & Colmann Prod Ltd Cholesterol-lowering agents
US6726905B1 (en) 1997-11-05 2004-04-27 Genzyme Corporation Poly (diallylamines)-based phosphate binders
CO5251465A1 (es) 2000-01-26 2003-02-28 Pfizer Prod Inc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para tratar la osteoporosis y reducir el colesterol
FR2848452B1 (fr) * 2002-12-12 2007-04-06 Aventis Pharma Sa Application des inhibiteurs de recapture intestinale des acides biliaires pour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e la maladie d'alzheimer
WO2024040380A1 (zh) * 2022-08-22 2024-02-29 中美华世通生物医药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铵盐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作为胆汁酸螯合剂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8020A (en) * 1961-09-22 1967-03-07 Merck & Co In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binding bile acids in vivo including hypocholesteremics
GB1359932A (en) * 1972-03-21 1974-07-17 Lubrizol Corp N-3-aminoalkyl amides polymers thereof and method for their prepa ration
EP0038573B1 (de) * 1978-12-27 1985-09-04 Chemische Fabrik Stockhausen GmbH Polymerisate von alpha,beta-ungesättigten N-substituierten Carbonsäureamiden und ihre Verwendung als Sedimentations-, Flockungs-, Entwässerungs- und Retentionshilf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2109A (fi) 1991-11-03
NO911700D0 (no) 1991-04-30
IL97973A0 (en) 1992-06-21
CA2040996A1 (en) 1991-11-03
CS126491A3 (en) 1992-02-19
NO911700L (no) 1991-11-04
HUT59944A (en) 1992-07-28
PT97549A (pt) 1992-01-31
FI912109A0 (fi) 1991-04-30
NZ237993A (en) 1993-08-26
IE911405A1 (en) 1991-11-06
PL290121A1 (ko) 1992-01-27
HU911391D0 (en) 1991-10-28
AU7592991A (en) 1991-11-07
JPH04298508A (ja) 1992-10-22
CN1056056A (zh) 1991-11-13
EP0459632A1 (en) 199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9631A (ko) 콜레스테롤조절 조성물 및 그 방법
US6593366B2 (en) Ionic polymers as anti-infective agents
KR970074791A (ko) 인터페론 결합체
JP5243466B2 (ja) 低塩形態のポリアリルアミン
EP0524612B1 (en) Modified silicone containing hair cosmetic
US6203785B1 (en) Poly(diallylamine)-based bile acid sequestrants
EP1265942B1 (en) Use of poly(diallylamine) polymers
JP4499363B2 (ja) 血清グルコースの減少方法
US20100266526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AU682766B2 (en) Enhancement of antitumor therapy with hemoglobin-based conjugates
KR940013515A (ko) 빌산 포촉제 및 이를 함유한 약제 조성물
US6060235A (en) Antiviral polymers comprising acid functional groups and hydrophobic groups
US4502976A (en) Water soluble polyesters
US5300288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olesterol
US20180085395A1 (en) Polyion complex of poly(l-arginine) segment-containing block copolymer and polyanionic polymer
JPWO2004004794A1 (ja) 体液適合性および生体適合性を有する樹脂
JPH1045626A (ja) 皮膚外用基剤及び皮膚外用基剤成分
Poiani et al. Conjugates of cis-4-hydroxy-L-proline and poly (PEG-Lys), a water soluble poly (ether urethane): synthesis and evaluation of antifibrotic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JP6654057B2 (ja) 局所麻酔薬を含有するポリイオンコンプレックスを有効成分とする局所疼痛制御用組成物
WO2004039335A3 (e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ntifibrotic agents, and methods of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for
Ferruti et al. New functional polymers and oligomers of medical significance
AU2979901A (en) Ionic polymers as anti-infective agents
RU2001102257A (ru) Соединения, полученные из видов salvia и обладающие протововирус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CN102786682A (zh) 聚乙二醇醛基活性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