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44B1 -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44B1
KR910010144B1 KR1019890007200A KR890007200A KR910010144B1 KR 910010144 B1 KR910010144 B1 KR 910010144B1 KR 1019890007200 A KR1019890007200 A KR 1019890007200A KR 890007200 A KR890007200 A KR 890007200A KR 910010144 B1 KR910010144 B1 KR 91001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ffee
temperature
container
men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944A (ko
Inventor
후미히로 이마무라
도미오 호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siphon in the water heat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43Vacuum-type 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o the upper bowl in which the ground coffee is placed and subsequently the heat source is cut-off and th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lter by the vacuum in the lower bowl
    • A47J31/047Vacuum-type 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o the upper bowl in which the ground coffee is placed and subsequently the heat source is cut-off and th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lter by the vacuum in the lower bowl with automatic cut-off of heat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in which the vapour from the boiling water is raised above the filter and after condensing passes through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상반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패널의 정면도.
제4도는 제어장치의 제어내용을 나타낸 공정도.
제5도는 히터의 통전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히터 13 : 저수용기
14 : 추출용기 15 : 통수관
19 : 온도센서 25 : 스타트 보턴
35 : 스위칭 회로 37 : 기억장치
본 발명은 사이펀 현상을 이용해서 커피를 추출하는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이런류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로서는 제어장치로 자동적으로 추출동작 및 보온 동작을 행하는 것이 있다.
그 구성으로서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저수용기상에 이것의 내부와 통수관을 통해서 연이어 통하는 추출용기를 탑재 하면서 그 추출용기에 온도센서가 접촉하도록 설치하여 제어장치에 의해 히터의 통전, 단전을 제어함으로서 일련의 동작을 연속해서 행하는 것이다.
즉 추출용기내에 원하는 양의 커피 분말을 넣고 저수용기 내에 그 커피 분말의 양에 따라서 물을 넣고 상태에서 스타트 스위치를 조작하면 추출동작 지령이 제어장치에 주어지고 이에 따라 제어장치가 히터로 통전해서 발열시킨다. 그러면 저수용기내의 물이 비등해서 주지의 사이펀 현상에 의해 저수용기로 부터 추출용기 내로 뜨거운 물이 공급되어 추출용기 내에서 커피가 추출된다.
이때 제어장치는 온도센서에 의한 검출온도가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해서 히터를 단전하도록 되어있고 이에 따라 추출용기 내의 커피는 통수관을 따라서 저수용기내로 강하해서 저장된다.
계속해서 제어장치는 히터로 통전하는 보온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저수용기 내의 커피는 보온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보온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저수용기의 온도의 상승 정도에 따라 히터를 통전, 단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에는 저수용기의 근방에 히터가 배치되어 있고, 히터는 저수용기내의 물을 단시간에 비등시킬 필요성으로 비교적 대출력이기 때문에 보온 동작시에 있어서 저수용기의 온도 검출을 정확히 행하기 곤란하게 된다.
때문에 종래에는 저수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부가하지 않고 보온 동작시에는 히터에 대하여 일정주기로 간헐적으로 통전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한 경우, 보온시에 있어서 히터는 일정한 출력으로 통전하게 되어 예를들면 실온이 높을때는 히터로 부터의 열이 더해져서 주위에서의 열도 커피에 가해지도록 되고 따라서 저수 용기내의 커피는 과열 경향을 띠고 커피가 다시 비등하거나 혹은 커피의 풍미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 실내온도가 낮을 때는 저수용기 내의 커피는 주위로 열을 빼앗기기 쉽게 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보온이 불가능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된 커피를 실내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적당한 온도로 보온할 수 있는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히터로 가열되는 저수용기와 이 저수용기 상에 탑재되어 이것의 내부와 통수관을 통해서 연이어 통하는 추출용기와, 이 추출용기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와, 추출동작 지령에 따라서 전술한 히터에 통전해서 추출동작을 개시시키면서 전술한 온도센서에 의한 검출온도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했을 때 전술한 히터를 단전해서 추출동작을 종료 시키는 제어장치를 갖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에 추출동작 개시전에 있어서의 전술한 온도센서의 검출온도를 기억하는 기억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추출동작 종류후에는 전술한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의 고저에 대하여 반비례적으로 변하는 출력으로 전술한 히터에 통전하는 보온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제어장치를 전술한 구성에 추가해서 보온 동작시에 히터에 간헐적으로 통전함으로서 그 출력을 변화시키면서 통전 듀티비를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에 따라 변화 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제어장치를 전술한 각 구성에 첨부해서 추출동작 종료후에 있어서의 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의 기간은 보온 동작의 개시를 억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어장치는 추출동작 지령이 주어지면 온도센서의 검출온도 결국 실내온도에 대응한 온도를 기억장치에 기억하면서 히터로 통전해서 추출동작을 개시한다.
그러면 저수용기 내의 물이 비등하여 통수관을 통해서 추출용기 내로 공급되어 추출용기 내에서 커피가 추출된다.
이때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온도가 소정온도로 되면 제어 장치는 히터를 단전해서 추출동작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 내의 커피는 통수관을 통해서 저수용기내로 강하해서 저장된다.
계속해서 제어장치는 보온 동작을 행해서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의 고저에 대해 반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으로 히터로 통전한다.
결국 실내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 온도가 높은 때는 보온시의 히터의 출력이 낮게되도록 통전하고, 실내온도가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 검출온도가 낮을 때는 히터의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실내온도에 따라 보온시의 히터의 통전이 제어 되므로 보온시에 있어서의 저수 용기 내의 커피는 적당한 온도로 보온된다.
또한 보온 동작시는 히터에 간헐 통전하면서 그 통전 듀티비를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에 따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히터 출력의 변화 제어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추출동작 완료후에 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의 기간은 보온 동작의 개시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는 추출동작 종료후에 바로 보온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추출된 고온도의 커피가 바로 가열되지 않고 따라서 다시 커피가 비등해 버리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전체를 나타낸 제2도에서 ″1″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본체이고 이것의 베이스부(2)의 상면에 히터(3)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의 우측부는 케이스(4)로 되어있고 이것의 상부에 밀 모터(5)가 넣어져 있다.
″6″은 케이스(4)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밀 케이스이고, 이것의 내저부에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커터(7)가 설치되어 있고 밀 케이스(6)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커터(7)와 밀 모터(5)의 회전축의 커플링(8)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9″는 밀 케이스의 둘레 벽면부의 일부에 설치한 밀필터, ″10″은 밀 필터(9)를 통해서 밀 케이스(6)내와 연이어 통하는 가이드부이다.
″11″은 베이스부(2)의 좌측부로 부터 상방으로 뻗은 용기 받침으로 이것은 본체(1)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히터(3)의 상방에 위치하는 지지구(12)가 형성되어 있다.
″13″은 저수용기로 이것은 둥근 바닥 플라스로 모양을 이루는 내열 유리로 되고 그 상단의 머리부분이 전술한 지지구(12)로 지지되어 있다.
″14″는 같은 내열 유리로 된 추출용기로 그 저부에 도시 하지 않은 필터가 부착되어 있고 거기에서 하방으로 향해서 통수관(15)이 이어 설치 되어 있다.
이 추출용기(14)는 저수용기(13)상에 패킹(16)을 끼워서 탑제되어 있고 그 탑재 상태에서는 통수관(15)의 선단은 저수용기(13)의 내저면에 근접해 있다.
또 ″17″은 추출용기(14) 및 밀 케이스(6)를 덮도록 설치된 상부 덮개, ″18″은 덮개 스위치이다.
한편 ″19″는 온도 센서로 이것은 압축코일 스프링(20)에 의해 눌려져서 케이스(4)의 측면 중앙부로 부터 경사진 상방을 향해서 돌출해 있고 추출용기(14)가 저수용기(13)상에 올려진 상태에서는 이 온도센서(19)가 추출용기(14)의 측면에 닿도록 된다.
″21″은 케이스(4)의 전면에 설치된 패널로 이것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 같은 컵수 선택 보턴(22), 농도 선택 보턴(23), 코스선택 보턴(24), 스타트 보턴(25)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26) 내지 (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1도는 전기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하 이것에 대해 설명한다.
″33″은 제어장치이고 이것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하고 있고, 전술한 컵수 선택 보턴(22)으로 부터의 컵수선택 지령, 농도 선택보턴(23)으로 부터의 농도 선택 지령, 코스 선택보턴(24)으로 부터의 코스 선택 지령, 스타트 보턴(25)으로 부터의 스타트 지령 및 온도센서(19)로 부터의 검출 온도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면서 발광 다이오드(26) 내지 (32)의 점등, 밀모터(5)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34″는 케이스(4) 내에 설치된 부저로, 이것은 제어장치(33)에 의해 구동되면 소리를 내도록 되어 있다.
″35″는 스위칭 회로로 이것은 제어장치(33)에서의 지령에 따라 온, 오프해서 히터(3)를 교류 상용전원(36)에다 선택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37″은 예를들면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되는 기억장치로 이것은 제어장치(33)로 부터 디지탈 데이터가 주어지면 그것을 기억하면서 제어장치(33)로 부터의 지령에 입각해서 디지탈 데이터를 제어장치(33)로 출력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의 작용을 제어장치(33)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밀케이스(6)내에 원하는 양의 커피 원두를 넣고 저수용기(13)내에 커피 원두에 대응하는 양의 물을 넣는다.
다음에 밀케이스(6)에 넣은 커피 원두의 양에 따라 컵수설정보턴(22)을 누른다.
즉 커피 원두의 양이 2-3컵에 상당할 때는 컵수 선택보턴(22)을 1회 또는 기수회 누르고, 커피 원두의 양이 4컵에 상당할때는 컵수 선택보턴(22)을 2회 또는 우수회 누른다. 그러면 제어장치(33)는 컵수 선택지령을 1회 받았을 때는 선택 컵수를 「2-3」으로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26)를 점등하고 또 컵수 선택 지령을 2회 받았을 때는 선택컵수를 「4」로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27)를 점등한다.
다음에 농도 선택보턴(23)을 눌러서 원하는 커피액 농도를 선택한다.
결국 농도 선택보턴(23)을 1회 또는 기수회 눌렀을 때는 제어장치(33)는 레귤러가 선택 되었다고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28)를 점등하고, 또 2회 또는 우수회 눌렀을 때는 마일드가 선택 되었다고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29)를 점등한다.
다음에 코스 선택 보턴(24)을 눌러서 원하는 운전 코스를 선택한다.
결국 코스 선택 보턴(24)을 1회 또는 3n+1회(n은 자연수) 눌렀을때는 제어장치(33)는 밀로 부터 시작하는 운전코스가 선택 되었다고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30)를 점등하고 2회 또는(3n+2)회 조작했을 때는 추출로 부터 시작되는 코스가 선택 되었다고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31)를 점등하고 3회 또는(3n)회 조작한때는 보온 동작만 선택 되었다고 판정해서 발광 다이오드(32)를 점등한다.
그런데 전술한 것처럼 각 보턴(22)내지(24)를 원하는 횟수만 눌러서 초기 설정을 행한후(이 경우 코스는 밀로 부터 시작하는 코스가 선택된 것으로 한다) 스타트 보턴(25)을 누른다.
그러면 제어장치(33)에 스타트 지령(추출동작 지령)이 주어지므로 제어장치(33)는 제4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의 스텝(N1)에서 「예」로 판정해서 스텝(N2)으로 진행하고 온도 센서(19)의한 검출 온도를 실내온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터로서 기억장치(37)에 기억한다.
다음에 제어장치(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정한 선택 컵수를 스텝(N3)에서 식별한다.
결국 선택 컵이 「2-3」일때는 「예」라고 판정해서 스텝(N4)에서 밀모터(5)의 구동시간(t1)을 15초로 설정하고 선택컵수가 「4」일때는 「아니오」라고 판정해서 스텝(N5)에 있어서 구동시간(t1)을 20초로 설정한다. 그래서 제어장치(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정한 커피농도를 스텝(N6)에서 식별하고 레귤러가 설정되어 있는 때에는 「예」라고 판정해서 스텝(N7)에서의 흡습(吸濕)시간(t2)을 20초로 설정한다.
또한 마일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아니오」로 판정해서 스텝(N8)에서 흡습시간(t2)을 0초로 설정한다.
그래서 제어장치(33)는 스텝(N9) 내지(N11)에 있어서 밀 모터(5)를 설정시간(t1)만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밀케이스(6)내의 커피 원두가 커터(7)로 분쇄 되어 커피 분말로 되어 밀필터(9)를 통과해서 가이드부(11)로 인도되어 추출용기(14)내로 낙하한다.
다음에 제어장치(33)는 스텝(N12)에서 스위칭 회로(35)를 온 한다.
이에 따라 히터(3)가 교류 상용전원(36)에 접속되어서 발열하고 저수용기(13)내의 물이 비등한다.
그러면 저수용기(13)내의 온수가 사이펀 현상으로 통수관(15)을 상승해서 추출용기(14)내에 공급되고 추출용기(14)내에서 커피가 추출된다.
이때 추출용기(14)내에 온수가 공급됨에 따라 온도센서(19)에 의한 검출온도는 소정온도 까지 상승하고 제어장치(33)는 스텝(N13)에서 스텝(N14)으로 진행해서 흡습시간(t2)동안 대기한다.
그래서 흡습시간(t2)이 경과하면 제어장치(33)는 스텝(N15)에서 스위칭 회로(35)를 오프한다.
이에 따라 히터(3)가 단전되어서 저수용기(13)내의 온도는 저하되고 이에 따라 추출용기(14)내의 커피가 저수용기(13)내로 강하해서 저장된다.
이때 2-3컵분에 상당하는 커피가 저수용기(13)로 강하 하는데 최대 5분, 또 4컵분에 상당하는 커피가 강하 하는데 최대 5분 30초를 요하므로 제어장치(33)는 스텝(N17) 또는 스텝(N18)에서 최대시간 대기한후 스텝(N19)에서 부져(34)를 울린다.
따라서 부져(34)로 부터의 소리에 따라 추출동작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장치(33)는 보온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이때 제어장치(33)는 스텝(N20)에서 온도센서(19)의 검출온도가 60℃이하로 될때까지 대기상태로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33)는 온도센서(19)의 검출 온도가 60℃ 이상의 기간은 보온 동작의 개시를 억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사이에서는 저수용기(13)내의 커피는 히터(3)의 잔열에 의해 보온된다.
그래서 제어장치(33)는 온도센서(19)의 검출온도가 60℃이하로 된 시점에서 스텝(N20)에서 스텝(N21)으로 진행해서 기억장치(37)에서 초기 실내온도(전술한 스텝(N2)에서 기억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래서 초기 실내온도가 18℃에서 25℃사이에 있을 때는 스텝(N22) 및 스텝(N23)으로 진행하여 스위칭 회로(35)를 온시간 1초, 오프시간 7초로 간헐적으로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히터(3)는 제5b도에 나타낸 것처럼 통전 시간1초, 단전시간 7초의 통전 듀티비 1/8로 간헐적으로 통전된다.
즉 히터(3)는 일정의 출력으로 통전되어 발열하여서 저수용기(13)내의 커피는 최적온도로 보온된다.
또한 기억장치(37)에 기억된 초기 실내온도가 18℃이하의 때는 제어장치(33)는 스텝(N22)에서 스텝(N25)로 진행하고 스위칭 회로(35)를 온시간1초, 오프시간 6초로 간헐적으로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히터(3)는 제5c도에 나타낸 것처럼 통전시간 1초, 단전시간 6초의 통전 듀티비 1/7로 통전되어서 초기 실내온도가 18℃에서 25℃까지의 경우와 비교해서 고출력으로 통전하게 된다.
따라서 보온시에 저수용기(13)내의 커피가 18℃이하인 주위온도의 영향에 따라 차가운 기운이 있어도 히터(3)의 출력이 큰 만큼 저수용기(13)내의 커피에 큰 열량이 주어지게 되어 결국 저수용기(13)내의 커피는 최적온도로 보온 된다.
그리고 기억장치(37)기억된 초기 실내온도가 25℃이상 일때는 제어장치(33)는 스텝(N23)에서 스텝(N26)으로 진행하여 스위칭회로(35)를 온시간 1초, 오프시간 9초로 간헐적으로 동작시킨다.
따라서 히터(3)는 제5a도에 나타낸 것처럼 통전 시간1초, 단전시간 9초의 듀티비 1/10로 통전시켜서 초기 실내온도가 18℃에서 25℃의 경우에 비해서 저출력으로 통전되게 한다.
따라서 보온시에 저수용기(13)내의 커피가 25℃ 이상인 주위온도의 영향으로 가열되는 경향이 있어도 히터(3)의 출력이 작은 만큼 저수용기(13)내의 커피에 작은 열량이 주어지게 되어 결국 저수용기(13)내의 커피는 최적온도로 보온된다.
말하자면 전술의 구성에 따르면 제어장치(33)는 보온 동작시에 히터(3)에 간헐적으로 통전되면서 통전듀티비를 기억장치(37)에 기억된 초기 실내온도에 따라서 변화시키고 특히 그 듀티비의 변화 방법은 초기 실내온도가 높을 때는 통전 듀티비를 작게, 초기 실내온도가 낮을 때는 통전 듀티비를 높게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실내온도의 고정에 대해 반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으로 히터(3)의 출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저수용기(13)내의 커피는 실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최적온도로 보온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초기 실내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는 추출용기(14)내에 온수가 공급된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19)를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 새로 온도센서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서 전체의 구성이 복잡화 되는 일도 없다.
또 제어장치(33)는 온도센서(19)에 의한 검출온도가 60℃ 이하로 될때까지 히터(3)에 간헐 통전하는 보온 동작을 행하지 않아서 저수용기(13)내로 강하한 커피가 즉시 히터(3)에 의해 가열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추출 종료 직후에 있어서 온도가 높은 커피가 다시 가열되어 버려서 커피가 재 비등해 버리거나 과열로 풍미가 저하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 경우 추출 동작종료 직후는 히터(3)는 아직 고온 상태이므로 잔열에 의해 저수용기(13)내의 커피를 보온할 수 있고 전력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온동작시에 있어서의 히터 출력 조정을 히터로 간헐적으로 통전하는 때의 통전 듀티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했으나 그 대신 예를들면 위상 제어에 의해 히터 출력을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추출 동작 종료후에 보온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좋은 등,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기술에서 밝혀진 것처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허청구 제1항의 사이펀식 커피추출기에 따르면 제어장치는 추출동작 종료후에 있어서의 온도센서의 검출장치를 기억하는 기억장치를 갖추고 추출동작 종료후에는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의 고저에 대하여 반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으로 히터로 통전하는 보온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실내온도의 고저에 대해서 반비례적으로 발열되는 히터로 가열된다.
따라서 추출된 커피를 실내온도와 관계없이 항상 적온으로 보온할 수 있다.
특허청구 제2항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에 따르면 히터 출력의 변화 제어를 간단하게 행하면서 특허청구 제1항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허청구 제3항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에 따르면 추출동작 종료후에 즉시 보온동작이 행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추출된 고온도의 커피가 즉시 가열되 버리는 일이 없어져서 커피가 재비등해 버리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히터(3)상에 배치되어 가열되는 저수용기(13)와, 이 저수용기에 탑재되어 저수용기와 통수관으로 연이어 통하는 추출용기(14)와, 추출용기에 닿아서 추출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9)와, 추출동작 지령에 따라 히터로 통전해서 커피의 추출동작을 개시시키고 전술한 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소정온도 까지 상승한 때에 전술한 히터를 단전해서 추출동작을 종료시키는 제어장치(33)를 갖춘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33)는 커피 추출 동작 개시전의 전술한 온도센서의 검출온도를 기억하는 기억장치(37)와, 커피의 추출 동작 종료후 전술한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의 값에 따라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보온 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는 미리 정해진 제1과, 제2의 값을 가지고 있고 전술한 보온 제어 장치는 커피의 추출동작 종료후 전술한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의 값을 미리 정해진 제1값과 제2값을 비교해서 그 고저에 반비례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으로 전술한 히터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보온 제어장치는 보온 동작시 전술한 히터에 간헐적으로 통전해서 히터출력을 변화시키는 장치를 가지고 있고 그 통전 듀티비를 기억장치에 기억된 검출온도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는 커피 추출 동작 종료후의 온도 센서의 검출 온도가 소정값 이하로 될때까지 보온 동작의 개시를 지연시키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KR1019890007200A 1988-05-30 1989-05-29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KR910010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33594 1988-05-30
JP63133594A JPH01300910A (ja) 1988-05-30 1988-05-30 サイホン式コーヒー抽出器
JPP63-133594 198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944A KR890016944A (ko) 1989-12-14
KR910010144B1 true KR910010144B1 (ko) 1991-12-17

Family

ID=1510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200A KR910010144B1 (ko) 1988-05-30 1989-05-29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300910A (ko)
KR (1) KR910010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91B1 (ko) * 2007-03-19 2008-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 메이커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91B1 (ko) * 2007-03-19 2008-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 메이커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300910A (ja) 1989-12-05
KR890016944A (ko) 198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6953A (en) Siphon coffee maker
JP4588696B2 (ja) 飲料の抽出のための改良型の装置
KR910010144B1 (ko)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KR910010143B1 (ko) 사이펀식 커피 추출기
KR930002371Y1 (ko) 음료제조기
JPH061087Y2 (ja) 加熱調理器
JPH0789989B2 (ja) 電気炊飯器
JP3518522B2 (ja) コーヒー沸かし器
JPH067614U (ja) 炊飯器
JP3140887B2 (ja) 保温釜
JPS6198223A (ja) 調理器
JPH0614699Y2 (ja) サイフォン式コーヒーメーカー
JPS6360662B2 (ko)
JP3724488B2 (ja) コーヒー沸かし器
JPS642651Y2 (ko)
JPH0472533B2 (ko)
JP4311154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H0621407Y2 (ja) サイホン式飲料抽出器
JPS6279027A (ja) コ−ヒ−沸かし器
JPH09252949A (ja) 保温釜
JPH0710246B2 (ja) 飲料製造機
JPH08168436A (ja) 粥調理器
JPS6362211B2 (ko)
JPS6058114A (ja) 炊飯器
JP3297587B2 (ja) 電気湯沸か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