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765B1 -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765B1
KR910009765B1 KR1019870015520A KR870015520A KR910009765B1 KR 910009765 B1 KR910009765 B1 KR 910009765B1 KR 1019870015520 A KR1019870015520 A KR 1019870015520A KR 870015520 A KR870015520 A KR 870015520A KR 910009765 B1 KR910009765 B1 KR 91000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imer
set time
plu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356A (ko
Inventor
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1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765B1/ko
Publication of KR89001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단축다이얼 제어방식에 따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키스캔의 출력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콘트롤 판넬의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흐름도.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상대방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키를 사용하지 않고 한개의 키이로서 복수상대처중 일개소를 호출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팩시밀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 단축다이얼 방범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0개의 다이얼(*00∼*19)을 지닌 키스캔 방식으로 5라인의 스캔라인(KSL1-KSL5)과 4라인의 리턴 라인(KRL1-KRL4)을 갖추어 시스템 제어부의 명령을 받은 콘트롤러는 제2도와 같은 스트로브 라인을 출력시키게 된다.
즉, 처음에는 제 1스캔라인(KSL1)에 스캔신호를 출력시킨 뒤 리턴라인(KRL1-KRL4)의 데이타를 읽어보게 된다.
이때 리턴라인(KRL1-KRL4)의 4비트 데이타를 판독하여, 일예로 0100과 같은 데이타를 읽게 되면, 즉 제 3리턴라인(KRL3)에 고전위신호가 인가되면 *02키가 눌러졌음을 단축키이 콘트롤러에서 인식한 후 데이타 버스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로 가르켜준다.
마찬가지로 제 3스캔라인(KSL3)에 스캔신호를 출력한 뒤 입력데이타가 0001일 경우에는 *08키이가 입력되었음을 알게 된다. 결국 종래의 단축다이얼 혹은 원터치다이얼 장치에서 다이얼 갯수만큼 필요하게 되어 키이 갯수가 많이 필요했다. 따라서 장치의 콘트롤 판넬 스페이스를 많이 차지함과 동시에 부품의 갯수 소요에 따라 제작비의 상승과 여러개의 키이에 의한 고장율이 높아 장치의 평균 고장간격시간(Mean Time Between Failure)이 줄어드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축다이얼을 이용하여 송신할 때에는 최소키이를 3개이상 작동시켜야 가능한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감안하여 한개의 키이로서 복수상대처중 송신하고자 하는 1개소를 호출할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콘트롤 판넬 상태도인 것이다.
팩시밀리기의 판넬에는 0에서 9까지의 버튼과 “*”과 “#” 버튼이 있고, 일측으로 액정(LCD) 판넬이 배열되어 있으며, 기능을 입력시키기 위해 서브메뉴(SUB-MENU), 셀렉트(SELECT), 메뉴(MENU), 텔(TEL), 스톱(STOP) 및 스타트/세트의 버튼이 기존의 구성과 같이 설치되어 있으며, 플러스(+) 및 마이너스(-)버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플러스(+), 마이너스(-)버튼과 단축버튼들은 키이 콘트롤러 혹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로 연결되고, 종래의 장치에서 꼭 필요로 했던 단축키 콘트롤러가 필요없게 되어서 제3도와 같은 키배열로 인해 5스트로브라인과 4리턴라인만의 입/출력포트(Port)가 요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동작을 제4도의 호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고를 팩시밀리의 송신 가이드에 올려놓으면 팩시밀리는 송신 준비상태로 된다. 이때 송신하고자 하는 수신측의 단축번호가 “K”에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플러스(+)버튼을 누른다.
차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키이벨리드 타임동안 플러스(+)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키이프로세서는 키이컨티뉴 타이머를 거쳐 등록되어 있는 키를 점차 증가시켜 액정(LCD)에 표시해준다. 액정(LCD)에 “K”가 표시되면 플러스(+)버튼을 해제한다. 이때에는 키이 “K”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게 되고 다른 키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트랜스 타임내에 다른 키이가 안들어오면 릴레이를 절체한 뒤 바 “K”의 기억되어 있는 번호를 다이얼링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너스(-)버튼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은 방법과 유사하게 진행시켜 마이너스(-)버튼을 조작하게 되고, 단축다이얼을 단축할 때에는 키이 컨티뉴 타이머세트후 타이머의 종료 유무를 묻고 키이의 요부를 물을 때 그후에 입력되는 숫자(0-9의 전화 다이얼)버튼에 따라 키이를 입력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이루는 본 발명은 종래의 원터치키를 사용할 경우 많은 키이의 사용으로 인한 가격상승, 필요 스페이스증가, 평균고장간격시간(M.T.B.F)저항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단축다이얼과 같은 조작을 할 때 키이를 3번(
Figure kpo00001
)을 눌러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줄여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플러스 키이가 입력되면 키이 밸리드 타이머를 세트한 후 그 타이머의 세트시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플러스키이가 입력된 상태이면 키 컨티뉴 타이머를 세트하고, 그 컨티뉴 타이머의 세트시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플러스 키이가 입력된 상태이면 등록키이 “K”가 소정값 “n”이 될 때까지 순차 증가시켜 키이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키 컨티뉴 타이머를 세트하는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이후 상기 플러스 키이 입력이 중단되고 상기 등록키이 “K”가 메모리되어 있으면 트랜스 타이머를 세트한 후 그 트랜스 타이머의 세트시간이 완료될때 릴레이를 절체하고, 상기 등록키이 “K”를 다이얼링하여 트랜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마이너스 키이가 입력되면 마이너스 키이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마이너스 키이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키이 밸리드 타이머 세트시간이 완료될때까지 상기 플러스 키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트랜스 타이머의 세트시간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른 키이가 입력되는 경우에 키이 프로세스를 해제하고 메인 프로세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KR1019870015520A 1987-12-31 1987-12-31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KR91000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520A KR910009765B1 (ko) 1987-12-31 1987-12-31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520A KR910009765B1 (ko) 1987-12-31 1987-12-31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56A KR890011356A (ko) 1989-08-14
KR910009765B1 true KR910009765B1 (ko) 1991-11-29

Family

ID=1926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520A KR910009765B1 (ko) 1987-12-31 1987-12-31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7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56A (ko) 198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9070A (en) User friendly interface for a facsimile machine integrating programed dialing and monitor dialing
US5067150A (en) Telephone number display device
US4665545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mode line selection buttons
KR910009765B1 (ko) 팩시밀리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CA1090496A (en) Telephone control console
KR970007670B1 (ko) 단말기의 버튼기능 변환 기능을 갖는 키폰시스템 및 그 방법
JP2778686B2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2171067A (ja) 多機能電話機
JPS61133770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5160894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KR100217758B1 (ko) 전화단말장치의 원 터치 다이얼방법
JPH0226443A (ja) 自動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JPH0450686Y2 (ko)
CA1089130A (en) Telephone apparatus
JPH031304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237847A (ja) ダイヤル発信装置
JPH06303301A (ja) 通信端末装置
JPH071649U (ja) ファクシミリ送信機
JPH081743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71760A (ja) 被呼者データ登録方法
JPH032838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56222A (ko) 키폰전화기에서 오다이얼링된 디지트 송출 방법
JPS63196142A (ja) デイスプレイ付電話機
JPS62258586A (ja) 電話システム
JPH02295274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