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538Y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538Y1
KR910009538Y1 KR2019840012784U KR840012784U KR910009538Y1 KR 910009538 Y1 KR910009538 Y1 KR 910009538Y1 KR 2019840012784 U KR2019840012784 U KR 2019840012784U KR 840012784 U KR840012784 U KR 840012784U KR 910009538 Y1 KR910009538 Y1 KR 910009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panel
hinge
lid
main body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503U (ko
Inventor
요시요끼 미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50009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밥솥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사시도.
제2도는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뚜껑
4 : 힌지 10 : 손잡이
15 : 조작패널 19 : 조작편
본 고안은, 전기밥솥의 취반 운전에 관계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진 조작 패널의 배치 구조를 개량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밥솥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조작패널을 본체의 외주측면 하부에 돌출시킨 상태로 수평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조작패널에 조작스위치의 조작편을 외부에서 조작가능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조작패널에 표시용 램프 혹은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체를 배치하여,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기밥솥의 취반 운전을하게하는 동시에, 그 조작에 따른 발광체의 빛을 상기 조작패널에 설치한 장을 통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전기밥솥의 취반 운전의 행정을 확인할 수 있게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으로는, 조작부가 본체의 외주측면에서 돌출되고 있으므로, 설치 공간이 크게될 뿐 아니라, 의장적으로로도 양호하지 않다. 또,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취반후 밥솥속의 밥을 떠내는 것을 고려하여, 테이블이나 조리대와 같은 낮은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따라서 사용자의 눈 위치도 통상적으로 본체보다 높게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상술한 것에서는 조작패널의 본체의 외주측면 하부에 수평횡방향으로 실치되고 있으므로, 서있을때는 시선이 조작패널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므로,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 조작패널을 보기 힙들고 또, 그 조작부의 조작도 곤란하여. 또 이 정우에 본체의 주위중, 조작부와 마주보는 방향측외에서는 조작부를 조작할 수 없고, 또 램프표시 등도 그 방향측외에서는 보고확인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묵직은, 본체의 설치공간을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양을 좋게할 수 있고, 또 조작패널 전체를 눈으로 보고 쉽게 화인할 수 있으며, 조작부의 조작서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뚜껑의 개방상태에서 전체의 배치 균형도 향상되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본체에 대하여 힌지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뚜껑이 힌지부에서 지름방향으로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손잡이부중 상기한 힌지측의 부위에 취반운전에 관계되는 조작을 하기위한 조작부를 가진 조작패널을 상방을 향한 상태로 설치 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 하고, 또 조작부를 가진 조작패널이 가해져서 무겁게 되기 쉬운 뚜껑의 중심을 힌지측의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고, 뚜껑을 개방했을때에 뚜껑이 별로 무겁게 느껴지는 것이 없으며 또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 전체의 배치 균형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호(1)는 밥솥(2)을 내부에 구비한 본체이고, (3)은 본체(1)에 대하여 힌지(4)를 통하여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인데, 이것은 외측 뚜껑판(5)과 하면판(6)을 연결하여 된 것이고, 이 의측뚜껑판(5)과 하면판(6)의 사이에 단일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뚜껑가열기(8)를 하면판(6)의 상면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뚜껑(3)의 하면판(6)의 하면에는 내부뚜껑(9)을 연결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부착하고 있다. 한편,(10)은 뚜껑(3)의 손잡이부인데, 이것은 외측뚜껑만(5)의 상면부에 힌지(4)부측에서 그 외측뚜껑만(5)의 지름방향에 일체로 형성한 손잡이 받침부(11)에 그 상방에서 손잡이 커버(12)가 예를 들면 나사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 손잡이부(10)에는, 힌지(4)와는 반대측 부위에 클랭프(13)를 형성하고, 이 클램프(13)의 선단부에 형성한 결함부(13a)를, 본체(1)에 형성한 걸리부(14)에 결합시킴에 따라, 뚜껑(3)을 본체(1)에 대하여 닫힌 상대로 유지시킨다. (15)는 뚜껑(3)의 손잡이부(10)중 힌지(4)측의 부위에 상방을 향한 상태로 설치된 조작 패널인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 조작패널(15)을 손잡이 커버(12)에 일체로 성형함에 따라 힌지(4)측과는 반대측의 부위 클램프(13)측의 부위를 향하여 하강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조작패널(15)에는 조작용 구엄부(16)및 복수의 표시용 구멍부(17)가 형성되고 있다.(18)은 조작패널(15)의 하면에 설치된 프린트 기판인데, 이 상면에는 조작스위치(19)의 조작부인 조작편(19a)및 복수의 발광체(20)를 각기 조작패널(15)의 조작용 및 표시용의 각 구멍부(16, 17)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18)상의 조작스위치(19) 및 발광체(20)등의 전기부품은 본체(1)에서 힌지(4)부분을 통하여 뚜껑(3)내에 도입된 리이드선(21)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22)는 뚜껑(3)에 그 내외를 연통하도륵 형성된 증기 배출구 이고, 또 제2도에 있어서, (23)은 본체(1)의 외주부에서 힌지(4)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밥물받이 용기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된 본 실시예의 경우 조작패널(15)을 뚜껑(3)의 손잡이부(10)에 상방을 향하드륵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본재(1)의 의주측면부에는 종래의 조작패널과 같은 돌출부는 존재하지 않게되고, 그결과, 본체(1)의 설치 공간을 작게할 수 있는 동시에 , 본체(1)의 형상이 우아하게 되어 모양을 좋게할 수 있고, 또 본체(1)를 통상 사용시에 테이블이나 조리대 등, 사용자의 눈높이보다 낮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서있는 상태에서 조작패널(15)중의 조작편(19a)및 발광체(20)의 빛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이들을 본체(1)의 좌측경사 상방 또는 우측 경사 상방 등 정면이외의 방향에서 보면서 조작할 수 있고, 조작편(19a)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패널(15)전체를 쉽게 보고 확인할 수 있게된다. 기타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조작편(19a)을 상방에서 눌러 조작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본체의 측방에서 조작편을 누르는 구성과는 다르므로 조작시 강하게 조작편(19a)을 누를 경우에도 본체(1)가 측방으로 흔들리는 것이 없다.
(2)조작패널(l5)이 뚜껑(3)의 손잡이부(10)에 설치되고 있으므로, 본체(1)와 뚜껑(3)사이에서 넘치는 밥물등이 조작패널(15)에 닿지 않으므로, 넘치는 밥물로 부터 조작패널(15)내의 전기부품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3)조작패널(15)및 프린트기판(18)을 뚜껑(3)의 손잡이부(10)중 힌지(4)측의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뚜껑(3)의 무게중심이 뚜껑(3)의 중간에서 힌지(4)측에 위치하게 되는 결과, 뚜껑(3)에 조작패널(15)등을 설치한 구성이면서 뚜껑(3)을 개방하였을때에 뚜껑(3)의 중량감을 느끼지 않게 되고, 또 뚜껑(3)을 열어서 세운 상태로 개방하였을때에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도 높지않게되며, 따라서 뚜껑(3)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체의 배치균형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4)프린트기만(18)이 힌지(4)의 근바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본체(1)에서의 리이드선(21)의 연장길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리이드선(21)의 처리가 간단하고 전체작으로 제조코스트를 낮게할 수 있다.
(5)손잡이부(10)의 충간부에 조작패널을 설치할 경우와는 달리, 조작팬널(15)및 프린프기판(18)의 부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부(10)를 쥐는 효과가 좋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조작패널(15)내부중, 힌지(4)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본체(1)에서 도입된 리이드선(21)의 접속부가 위치되고 있으므로, 그부분에 가령 조작패널(15)의 틈새에서 넘친 물이 닿으면 절연불량이 발생하여 안전상 문제가 있다. 그런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패널(15)을 힌지(4)측에서 클램프(13)측을 향하여 하강 경사시키고 있으므로, 예컨대 조작패널(15)에 물이 닿더라도 그 물은, 바로 클램프(13)측을 향하여 흐르고 조작패널(15)의 힌지(4)측 부분에 물이 체류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므로, 그 힌지(4)측 부분에서 조작패널(15)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리이드선(21)의 접속부에 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극히 안정성이 높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진 바와같이 본체에 대하여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이 힌지부측에서 지름방향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를 가진 전기밥솥에 있어서, 그 손잡이부중 사기 힌지축부위에, 취반운전에 관계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진 조작패널을 상방으로 향한 상대로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본체의 외주측면부에 종래의 조작패널과 같은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게되어, 본체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모양을 좋게할 수 있고, 또 본체를 테이블이나, 조리대등, 통상의 설치장소에 놓았을경우, 조작패널 전체를 쉽게 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 조작부를 가진 조작패널이 부가되어 무겁게 되기 쉬운 뚜껑의 중심을 힌지측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뚜껑을 개방했을때에 그 뚜껑의 중량감이 없게되고, 동시에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전체의 배치균형의 향상도 도모할수 있고, 또한 조작부가 힌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조작부와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본체에서 도출된 리이드선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리이드선의 처리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제조 코스트를 낮출수 있는등 여러가지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본체에 대하여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이 힌지부측에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손잡이부를 가진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중 상기 힌지측 부위에 취반운전에 관계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진 조작패널을 상바으로 향한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패널은 힌지측과는 반대측 부위를 향하여 하강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2019840012784U 1983-12-06 1984-12-06 전기밥솥 KR91000953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58-188287 1983-12-06
JP1983188287U JPS6094117U (ja) 1983-12-06 1983-12-06 炊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03U KR850009503U (ko) 1985-12-05
KR910009538Y1 true KR910009538Y1 (ko) 1991-12-13

Family

ID=3040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784U KR910009538Y1 (ko) 1983-12-06 1984-12-06 전기밥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94117U (ko)
KR (1) KR9100095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94117U (ja) 1985-06-27
JPH0123374Y2 (ko) 1989-07-18
KR850009503U (ko) 198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5097A (en) Rice cooker
JP4484893B2 (ja) 加熱調理器
KR910009538Y1 (ko) 전기밥솥
JPH0223275Y2 (ko)
JPH0614887B2 (ja) 炊飯器
JPH0425057Y2 (ko)
KR200397979Y1 (ko) 식기 세척기의 버튼 고정 구조
CN209346717U (zh) 盖体和烹饪器具
JPS6335719Y2 (ko)
CN115404658A (zh) 一种控制板组件及衣物处理设备
CN217113135U (zh) 厨用电器顶部旋钮结构
CN217488597U (zh) 一种机门组件及洗碗机
CN210185354U (zh) 烹饪器具
JPH0513314Y2 (ko)
CN217852553U (zh) 一种组装方便的空气炸锅
JPH0131137Y2 (ko)
JPH0327596Y2 (ko)
JP3011628B2 (ja) 洗濯機
JP2644464B2 (ja) 炊飯器
JPS60853B2 (ja) 調理器
JPS5856582Y2 (ja) 電気調理器
JPH0748189Y2 (ja) 炊飯器
JP2644465B2 (ja) 炊飯器
JPH05161774A (ja) 洗濯機
JPH0614889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2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