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49B1 - 노이즈 저감소자 - Google Patents

노이즈 저감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49B1
KR910009449B1 KR1019880011541A KR880011541A KR910009449B1 KR 910009449 B1 KR910009449 B1 KR 910009449B1 KR 1019880011541 A KR1019880011541 A KR 1019880011541A KR 880011541 A KR880011541 A KR 880011541A KR 910009449 B1 KR910009449 B1 KR 91000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lead portion
core body
thin band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112A (ko
Inventor
타까오 사와
마사미 오꾸무라
다이쥬 야마다
타까오 쿠사까
히로시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203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72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20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40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203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28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361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6371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4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이즈 저감소자
제1도는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의 외관을 나타내는 일부분이 잘린 사시도.
제2도는 전도 노이즈 평가회로도.
제3도는 복수의 형상치수가 다른 노이즈 저감소자에 있어서, 그 노이즈 저감소자를 제2도에서 나타난 회로도내의 SA1부분에 끼워넣을때의 출력 노이즈와 Do/L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의 한 실시예를 정류 소자의 리드부에 삽입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4도는 정면도.
제5도는 측면도.
제6도는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를 정류 소자의 리드부에 끼운 모울드로서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낸 예의 도면.
제6도는 정면도.
제7도는 측면도.
제8도는 사시도.
제9도는 복수의 형상지수(D/H)가 다른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를 제2도에서 나타난 회로도내의 SA1부분에 끼울때의 각 노이즈 저감소자의 동작시 온도상승과 회로로부터의 출력 노이즈와 D/H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부품 2 : 리드선
3 : 소자 5 : 코아체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칭 전원회로와 같은 반도체회로의 라인 또는 정류소자나 콘덴서소자와 같은 각종 소자의 리드부에 끼움으로서, 회로로부터의 노이즈 발생을 저감시키기에 유효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고주파 영역에서 대전류의 제어를 행하는, 예를들어, 스위칭 전원회로와 같은 반도체회로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반도체 자체의 성질이나 다른 회로적인 요인에 의해 전류 스파크나 링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상적인 회로동작을 방해하며 최후에는 반도체자체를 파괴해 버린다는 우려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회로에 있어서 스위칭 동작등에 기초한 급격한 전류변화는 전도 노이즈 및 방사 노이즈를 발생하며 회로를 조합한 기기의 노이즈 장해를 초래한다.
최근 이러한 노이즈 장해에의 국제적인 대책강화의 요청에 기초하여 반도체 회로를 조합한 각종기기에서의 발생 노이즈를 방지하는 노력이 강력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책의 하나로서, 예를들어 반도체회로에 조합되어야 할 정류 소자의 리드부에 페라이트 비즈(beads)라고 불리우는 소형의 인덕터를 끼우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페라이트 비즈라는 것은, 페라이트 분말을 토로이달 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것을 소결한 것이다.
그러나, 이 노이즈 저감소자는, 그것을 구성하는 페라이트 그 자체의 특성에 영향받아서 각형비(角形比)(Br/B1) 및 포화자속밀도가 작아서 노이즈 제어효과가 적다.
더구나,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형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소자의 경우, 작동시에 있어서 페라이트의 자기손실에 의해, 예를 들어, 정류 소자의 리드부가 뚫려 있는 공심부(空心部)의 안지름 쪽은 갑자기 발열하여 온도가 올라가며, 바깥지름쪽과의 사이에 커다란 온도차가 생긴다.
그리고 페라이트는 열전도성 및 방열특성이 나쁘기 때문에 이 온도차에 기인하여 페라이트 비즈에 열응력이 발생하며, 이 응력에 의해 소결체인 페라이트 비즈가 할손(割損)한다고 하는 사태가 많이 생긴다.
즉, 장기간의 사용에 견디어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페라이트 비즈를 정류 소자의 인덕터 또는 콘덴서와 인덕터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 페라이트는 전기 전항이 높고, 자기시일드 효과가 적기 때문에 전도 노이즈 및 방사 노이즈를 억제한다고 하는 점에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고 말할 수 없으며, 실용상, 신뢰성에 있어서 항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은 것으로부터, 최근에는, 비정질 자성 합금의 엷은 띠를 사용한 노이즈 저감소자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비정질 자성 합금의 엷은 띠를 사용한 토로이달 형상의 코아체의 형상을 특정화하므로서, 뛰어난 억제효과를 발휘하는 노이즈 저감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는, 비정질 자성 합금의 엷은 띠를 토로이달 형상으로 감던지, 또는 층을 쌓아 코아를 형성한 끼워 통한 부분을 갖는 코아체로 구성하며, 특히 이 코아체의 평균 지름(Do)과 이 코아체의 끼워통한 부분에 끼워 통하는 그 노이즈 제어회로의 도체(전자부품 소자등의 리드부)의 단면 형상에서 그 횡단면에 있어서의 최장의 길이를 L로 했을 때, Do
Figure kpo00002
5L의 관계를 만족하는 값일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아체의 형상에 있어서, 이 코아체의 축방향의 길이(높이)(H)와 코아체의 두께(D)와의 관계가 0.03
Figure kpo00003
D/H
Figure kpo00004
0.3의 관계를 만족하는 값일 것, 또는 코아체를 형성하는 비정질 자성 합금의 엷은 띠의 표면 거칠기가 0.2
Figure kpo00005
Rf
Figure kpo00006
0.8의 관계를 만족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의 외관을 일부 잘라내어 나타낸 도면으로, 전자부품(1)의 리드부(2)를 끼워 넣은 노이즈 저감소자(3)로 구성되며, 이 노이즈 저감소자(3)는 비정질 자성 합금의 엷은 띠를 여러 겹으로 감아 공심부를 설치하며, 이 공심부에는 노이즈를 제어하려고 하는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을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워 통하는 구멍(4)을 형성하여 되는 토로이달형의 코아체(5)와, 이 코아체(5)의 주위를 포위하여 엷은 띠의 되돌려 감김을 방지하는 에폭시수지(6)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3)의 코아체(5)를 제조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한다.
먼저, 본 발명 소자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엷은 띠를 구성하는 비정질 자성 합금으로서는, 예를들어 다음식:
Figure kpo00007
(단, 식중, M은 Fe,Co의 군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1종을 나타내며 : M'은 Ti,V,Cr,Mn,Ni,Cu,Zr,Nb,Mo,Ta,W의 군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1종류를 나타내며 : Y는 B,Si,C,P의 군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1종류을 나타내며 : a,b는 각각, 0
Figure kpo00008
a
Figure kpo00009
0.15, 10
Figure kpo00010
b
Figure kpo00011
35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조성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합금중에서, Co를 기초로한 자왜(磁歪)가 전대치인 3×10-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5이하인 Co기 비정질 자성 합금이 바람직하며, 다음의 식:
Figure kpo00012
(단, 식중, M',Y는 어느쪽도 식(Ⅰ)의 경우와 같은 의미를 갖으며, X,Y,Z는 각각 0.01
Figure kpo00013
x
Figure kpo00014
0.1, 0
Figure kpo00015
y
Figure kpo00016
0.1, 10
Figure kpo00017
z
Figure kpo00018
32의 관계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나는 합금이 양호하다.
더욱 바람직한 합금으로서는, 다음의 식:
Figure kpo00019
(단, 식중, M″은 V,Cr,Mn,Ni,Cu,Nb,Mo의 군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1종류를 나타내며 : c,d,e,f는 각각 0.01
Figure kpo00020
c
Figure kpo00021
0.08, 0
Figure kpo00022
d
Figure kpo00023
0.10, 0.2
Figure kpo00024
e
Figure kpo00025
0.5, 20
Figure kpo00026
f
Figure kpo00027
30의 관계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들 합금에 있어서, M,M′,M″은 어느쪽 자기특성의 개선 및 합금의 열 안정성의 개선에 유효한 원소이며, M′이 15원자%를 넘어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합금의 큐리온도 및 포화 자속밀도가 저하한다.
또, Y는 합금의 비정질화에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그 함유량이 10원자%미만의 경우 또는 35원자%를 넘고있는 경우는 합금을 비정질화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Y에서, 식(Ⅲ)과 같은 Si와 B와의 조합이 열안정성의 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며, 그 경우, Si가 B보다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합금의 열안정성과 보자력(保磁力)의 점에서 볼 때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들 합금의 엷은 띠는, 용탕급 냉법으로서 상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임의의 조성으로 엷은 띠 형상의 것을 쉽게 조제할 수가 있다.
또 이들은, 통상, 결정화 온도이하의 온도에서 적정한 열처리를 행하므로 인해 각종의 톡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는, 중심에 끼워 통하는 구멍을 갖는 토로이탈 형상이며 권선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끼워 통하는 구멍에 반도체회로의 라인이나 정류 소자, 콘덴서 소자와 같은 각종 소자의 리드부를 끼워 넣어 실용화된다.
바꿔말하면, 상기 라인이나 리드부에 그 끼워 통하는 구멍을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끼워 통하는 구멍의 지름은 먼저, 상기한 라인이나 리드부가 끼워 통할 수 있는 크기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소자에 있어서, 그 평균지름(Do)은, 전술한 엷은 띠를 토로이달 형상으로 감았을 때, 얻어진 코아체의 바깥지름과 안쪽지름(끼워 통하는 구멍의 지름과 거이 같다)과의 산술평균치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라인 또는 리드부의 단면에 있어서, 최장의 길이(L)와, 예를들어 라인, 리드부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는 그 원이 직경을 의미하여, 또 라인, 리드부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는 그 대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그 값은 당연히 끼워 통하는 구멍의 지름보다도 작아야 한다.
본 발명의 소자는, 그 Do을 끼워 통해야할 라인 또는 리드부의 L에 대하여, Do
Figure kpo00028
L이 되도록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o가 Do
Figure kpo00029
LDo의 경우는, 소자 끼워 통하는 구멍에 라인 또는 리드부를 끼워 통할 수 없으며, 또 Do가 5L<Do의 경우는, 노이즈 억제효과가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1.1L
Figure kpo00030
Do
Figure kpo00031
4.0L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1L
Figure kpo00032
Do
Figure kpo00033
2.0L이다.
본 발명의 소자는, 상기한 엷은 띠를 감고, 또는 적층하여 제조된다.
예를들어, 제1b도에 나타나듯이 엷은 띠(7)를 제조하는 경우, 먼저, 그 끼워 통하는 구멍으로 끼워 통해야할 라인 또는 리드부의 값보다 큰 지름을 갖는 보빈(bobbin)(8)을 심체로 하여, 이 심체에 전술한 엷은 띠를 소정의 회수로 감는다.
L과의 관계에서 미리 설정한 평균지름(Do)를 만족시키는 두께까지 감았을 때에 감는 조작을 정지하고, 되돌려 감김이 일어나지 않도록 처치를 한 후에 보빈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평균지름(Do)의 토로이달 형상의 코아체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코아체를 정전도장으로 코아의 외부 주위를 코팅하면 본 발명의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 적층의 경우는 제1c도에 나타나 있듯이, 엷은 띠로부터 소정치수의 링형상의 조각(9)을 쳐서 따내는 성형을 하며, 이 링형 조각(9)을 적당한 장수만큼 적층하며, 얻어진 적층체에 수지 코팅처리를 실시하면 좋다. 이때, 링형 조각의 중심의 공심부가 끼워 뚫린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들 소자는 어느쪽도 권선 처리를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소자는 다음과 같이하여 사용된다.
즉, 반도체 회로의 라인이나 정류 소자, 콘덴서 소자와 같은 각종소자로부터 도출되고 있는 리드부를, 본 발명의 소자의 끼워 통하는 구멍으로 끼워 통해 사용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상기 라인이나 리드부에 소자의 끼워 통하는 구멍을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기 또는 적층된 엷은 띠의 감긴 두께는 1.5mm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3m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mm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에 있어서, 엷은 띠의 감긴부분 또는 적층부의 두께를 D, 높이를 H로 한때, D,H가 각각 식 0.03
Figure kpo00034
D/H
Figure kpo00035
0.3을 만족하는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상태에 기초한 노이즈 저감소자의 제조방법을 이하에 서술한다.
예를들어, 감아서 제조하는 경우, 소정의 직경을 갖는 보빈을 심체로 하며, 이 심체에 엷은 띠를 소정의 회수로 감는 것이다.
엷은 띠를 감는 부분의 두께(D)가 엷은 띠의 폭(이것을 감은 후의 소자의 높이(H)가 된다.)와 후술의 관계를 만족하는 두께로 된 시점에서 엷은 띠의 감는 조작을 정지하여, 되돌려 감김이 일어나지 않도록 처치를 행한 후 보빈을 제거한다. 이렇게하여, 중심에는 보빈의 직경과 같은 지름의 끼워 통하는 구멍을 가지며, 엷은 띠의 폭을 그 자체의 높이로 하는 토로이달 형상의 코아체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코아체를 예를들어 정전도장에 의해 코아의 외부주위부를 코팅하여 본 발명의 소자가 얻어진다.
여기서, D,H에 관하여는 각각 0.03
Figure kpo00036
D/H
Figure kpo00037
0.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D/H가 0.03보다 작은 값이 되도록 한 경우는, 얻어진 소자의 노이즈 저감능력이 작아지며, 또 D/H가 0.3을 넘을 경우에는, 소자의 방열특성이 저하하여 작동시에 있어서 소자의 온도상승이 무시되지 않게된다.
D/H가 0.05-0.25의 값이 되도록한 D,H의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H는 8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상태는, 상기 비정질 합금의 엷은 띠로서 엷은 띠의 표면거칠기(Rf)가 0.2이상 0.8이하인 엷은 띠를 사용한 것이다. 개개의 Rf는 JIS B0601에 규정하는 기준길이 2.5mm에 있어서 10점 평균거칠기, 및 엷은 띠의 중량으로부터 구하여진 평균판 두께를 각각 RZ, T로 했을 때 Rf=RZ/T에 의해 구하여진 거칠기를 특징짓는 바로미터이다.
Rf가 0.2미만의 경우는, 감을때의 층 사이의 밀착성이 좋으며 이것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어, Rf가 0.8보다 크게되면 자심층간의 틈새가 크게되어, 그 결과 총자속량이 작아지며, 노이즈저감 효과가 작아진다. 엷은 띠의 표면성이 본 발명 범위내에 들어가는 장치로서는, 로울재질, 로울표면온도, 용탕온도등의 제조조건의 콘트롤이 필요하다.
또한, 로울면에 표면성에 관하여는 대기중에서 제작할 경우, 특히 기포의 감아들임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소자는 전술함과 같이, 라인 또는 리드부에 단순히 끼우는 것만으로 실용에 이바지 할 수 있지만 더욱이,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 예를들어, 정류소자, 콘덴서소자의 리드부에 적용하는 경우, 이 리드부에 소자를 끼워 통하는 구멍을 단순히 끼우는것만이 아닌, 전기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양자를 모울드하여 일체화하여도 좋다.
즉, 리드부에 본 발명의 소자가 끼워진 각종 소자를, 예를들어, 소정의 금형이나 케이스 속에 두며, 여기서 에폭시수지나 실리콘수지와 같은 수지를 주형하여 모울드하는 것이다. 또, 불소수지, 페놀수지등의 성형용 수지에 의한 보호커버, 또는, 고정된 틀속에 넣은 상태로 사용하여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와 각종소자의 조합시에 있어도, 그 조합조작을 기계화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소자는, 다이오드 및 콘덴서의 리드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다이오드의 경우에는, 다이오드가 급격한 전류의 변화를 갖을 때, 외부 노이즈를 발생하지만, 이것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콘덴서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소자와 조합에 의해 간단하게 노이즈필터를 구성하면, 노이즈대책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두께 15㎛, 폭 5mm 인 조성이 (Co0.94Fe0.05Nb0.01)72Si15B13인 Co기 비정질자성 합금 엷은 띠를 감으며, 그 감은 회수를 변화시켜 평균지름(Do)값이 다른 복수의 토로이달 형상의 코아체를 제조한다. 이들 코아체의 외부표면에 에폭시수지를 코팅했다. 이들 소자를 제2도에 나타난 전도노이즈 평가회로에 있어서 노이즈저감소자(SA1)를 라인에 장치하여 부하시킨 경우와, 동일회로상의 다이오드(D1)의 리드부에 끼운 경우의 양쪽에 관해 평가했다.
라인의 경우, SA1을 관통시킨 라인은 직경 2mm의 선재(L=2)이며, 또 다이오드의 경우, 다이오드(D1)의 라드부는 그 단면이 편평한 직사각형이며, 최장의 길이(L)는 1.6mm이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입력전압(Ein) : AC 100V
입력전압(E) : DC 5V
출력전류(I) :
Figure kpo00038
8A
동작주파수(f) : 200KHz
L : CY 쵸우크 40㎌-10A의 시험조건하에서 회로로부터의 출력노이즈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Do/L과의 관계로서 제3도에 나타냈다. 도면중,
Figure kpo00039
는 라인에 끼워 통한 경우,
Figure kpo00040
는 리드부에 끼워 통한 경우의 결과이다.
[실시예 2]
두께 15㎛, 폭 5mm 인 조성이 (Co0.94Fe0.05Nb0.01)72Si15B13인 Co기 비정질자성 합금 엷은 띠를 감으며, 바깥지름 4mm, 안쪽지름(끼워 통하는 지름) 2mm, 높이 4mm의 본 발명 소자를 제조하였다.
이 소자의 바깥표면에는 에폭시수지가 코팅되어 있다. 2개의 다이오드를 1개의 패키지에 일체화한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나는 To3P타입의 다이오드(10)의 3개의 리드부중 2개의 리드부(2),(2)에 상기한 본 발명의 소자(3),(3)를 끼워 붙여 인덕터가 부착된 다이오드를 제작한다. 다이오드의 리드부는, 그 단면이 세로 0.5mm, 가로 1.6mm의 장방형이며, 최장의 길이(L)는 계산에 의하면 약 1.68mm이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나 있듯이 다이오드(10)의 리드부(2),(2)에 본 발명의 소자(3)를 끼워붙인후, 그 부분을 에폭시수지(14)로 모울드하여 양자를 일체화했다. 한편, 비교를 위해 같은 다이오드에 동일치수의 Mn-Zn 페라이트로부터 되는 페라이트비즈를 끼워붙여,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 형상의 인덕터가 부착된 다이오드를 제작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3종류의 다이오드를 200KHz의 포워드방식을 사용한 스위칭 전원의 2차 측에 설치했다. 그리고 인덕터의 할손 원인이 되는 인덕터의 외부 주위부와 리드부에 끼워 붙여진 내부주위부의 온도차 △T(℃)를, 사용개시에 따른 전압동작개시시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또한 참고로 정상상태의 온도를 표 1에 같이 나타냈다. 단, 환경온도는 20℃로 일정하다.
[표 1]
Figure kpo00041
또, 상기 3종류의 다이오드를 이 스위칭 전원의 2차 측에 설치한 것을 각각 100개 준비하여, 1개월간에 걸쳐 동일조건에서의 단속사용에 따른 내구시험을 행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계하는 다이오드에서는 인덕터의 할손이 보여지지 않았던 것에 대하여, 페라이트비즈를 끼워붙인 다이오드에서는 100개중 8개의 다이오드에 인덕터의 할손이 있었다.
계속하여, 제2도에 나타난 전도노이즈 평가회로에 있어서, 다이오드(D1)로서 본 발명을 그 리드부와 라인에 끼워뿐인 것을 사용하며,
입력전압(Ein) : AC 100V
입력전압(E) : DC 5V
출력전류(I) :
Figure kpo00042
8A
동작주파수(f) : 200KHz
L : CY 쵸우크 40㎌-10A의 시험조건하에서 회로로부터의 출력노이즈를 측정했다. 값은 어느쪽의 경우도 0.05V이었다. 또한, D1으로서 종래의 페라이트비즈를 리드부에 끼워 붙인 다이오드를 사용한때의 출력노이즈는 0.15V이었다. 더욱이, 이들 양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하는 방사노이즈를, 120MHz와 30MHz의 2종류의 주파수에서 측정하였다(단위 : dB). 이 결과를 표 2로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43
[실시예 3]
두께 15㎛, 폭 4mm 인 조성이 (Co0.94Fe0.05Nb0.01)72Si15B13인 제9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D/H가 0.03이상일 때 회로의 출력노이즈는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까지 저감하며, 또 0.3이하일 때 소자의 온도상승은 12℃이하와 실용상 문제가 없는 정도이다.
[실시예 4]
두께 15㎛, 폭 4mm 표면거칠기(Rf) 0.52인 조성이 (Co0.94Fe0.05Nb0.01)72Si15B13인 Co기 비정질자성 합금 엷은 띠를 감으며, 바깥지름 4mm, 안쪽지름(끼워 통하는 구멍) 2mm, 높이 4mm의 본 발명 소자를 1000개 제조하였다. 이 소자의 외부표면에는 에폭시수지가 코팅되어 있다.
한편, 비교를 위해, 동일 합금조성에서 Rf=0.11이 되는 비정질합금의 엷은 띠를 제작하며, 동일 형상의 소자도 1000개 제조했다. 더욱이, 비교를 위해, Mn-Zn 페라이트로 구성되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 형상의 인덕턴스소자를 제조했다. 다이오드의 리드부는, 그 단면이 세로 0.5mm, 가로 1.6mm의 장방형이며, 최장의 길이(L)는 계산에 의하면 약 1.68mm이었다. Co기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를 감으며, 그 감은 회수를 변화시켜서 D값이 다른 토로이달 형상의 코아체를 이 코아체의 크기는 안지름 2mm, 높이(L)가 4mm이었다. 이들 코아체의 외부표면에 에폭시수지를 코팅했다.
이들 소자를 제2도에 나타낸 전도노이즈 평가회로에 있어서 소자(SA1)의 위치에 라인으로 장치하에 부하한 경우와, 다이오드(D1)의 리드부에 끼운 경우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입력전압(Ein) : AC 100V
입력전압(E) : DC 5V
출력전류(I) :
Figure kpo00044
8A
동작주파수(f) : 200KHz
L : CY 쵸우크 40㎌-10A의 시험조건하에서 회로로부터의 출력노이즈와 소자의 온도상승을 측정했다. 다이오드의 리드부는, 그 단면에 세로 0.5mm, 가로 1.6mm의 장방형이며, 최장의 길이(L)는 계산에 의하면 1.68mm이었다. 그 결과를, D/H와의 관계로서 제9도에 나타냈다.
도면에서,
Figure kpo00045
는 출력노이즈,
Figure kpo00046
는 소자의 상승온도를 나타내며, 각 값은 각 D/H에 있어서 평균값이다. 이들의 자심을 제2도에 나타낸 전도노이즈 평가회로에 있어서, SA1의 위치에 사용하며,
입력전압(Ein) : AC 100V
입력전압(E) : DC 5V
출력전류(I) :
Figure kpo00047
8A
동작주파수(f) : 200KHz
L : CY 쵸우크 40㎌-10A의 시험조건하에서 회로로부터 출력노이즈를 측정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00개중, 모두 출력노이즈는 0.04-0.06V로 안정되고 낮았지만, Rf=0.11의 비정질합금 엷은 띠를 사용한 비교에서는, 같은 정도의 출력노이즈가 얻어진 것은 약 15%정도이며, 다른 것은 0.07-0.09V이었다. 또한 페라이트를 사용한 비교에서는, 출력노이즈는 0.14-0.17V이었다.
상기의 설명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소자는 구성재료가 합금이기 때문에, 사용시의 할손사고등은 전혀 없으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방열특성이 뛰어나며, 더욱이, 회로의 전도노이즈, 방사노이즈의 억제효과도 매우 뛰어나다. 또한, 다이오드의 리드부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도, 뛰어난 기능를 발휘하는 간편한 노이즈 저감소자이며, 본 발명의 노이즈 저감소자를 사용하므로서, 회로구성을 간소화하며 고성능의 것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그 공업적 가치는 크다.

Claims (13)

  1. 비정질사성 합금의 엷은 띠를 감으며, 또는 적층으로 구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반도체회로의 라인 또는 각종 전자부품 소자(1)의 리드부(2)를 끼워 통하는 구멍(4)이 형성되어있는 토로이달형상의 코아체(5)에 있어서, 전술한 코아체(5)의 바깥지름과 끼워 통하는 구멍(4)의 지름과의 산술평균치의 평균지름을 Do,전술한 코아체(5)의 끼워 총하는 구멍(4)에 끼워 통해 있는 전술한 리드부(2)의 횡단면에 있어서, 최장의길이를 L로 했을 때, Do
    Figure kpo00048
    5L의 관계를 만족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Do와 L의 관계가 1.1
    Figure kpo00049
    Do
    Figure kpo00050
    4.0L을 만족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Do와 L의 관계가 1.1
    Figure kpo00051
    Do
    Figure kpo00052
    2.0L을 만족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가 다음식;
    Figure kpo00053
    (단, 식중, M은 Fe,Co의 군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1종류를 나타내며 : M'은 Ti,V,Cr,Mn,Ni,Cu,Zr,Nb,Mo,Ta,W의 군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1종류를 나타내며 : Y는 B,Si,C,P의 군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1종류을 나타내며 : a,b는 각각, 0
    Figure kpo00054
    a
    Figure kpo00055
    0.15, 10
    Figure kpo00056
    b
    Figure kpo00057
    35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가 Co기(基) 비정질자성 합금으로부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가 다음식;
    Figure kpo00058
    (단, 식중, M',Y는 어느쪽도 식(Ⅰ)의 경우와 같은 의미를 갖으며, x,y,z는 각각 0.01
    Figure kpo00059
    x
    Figure kpo00060
    0.1, 0
    Figure kpo00061
    y
    Figure kpo00062
    0.1, 10
    Figure kpo00063
    z
    Figure kpo00064
    32의 관계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가 다음의 식; (Co1-c-dFecM″d)100-f(Si1-eBe)r식에서, M″은 V,Cr,Mn,Ni,Cu,Nb,Mo의 군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1종류를 나타내며, c,d,e,f는 각각 0.01
    Figure kpo00065
    a
    Figure kpo00066
    0.08, 0
    Figure kpo00067
    d
    Figure kpo00068
    0.10, 0.2
    Figure kpo00069
    e
    Figure kpo00070
    0.5, 20
    Figure kpo00071
    f
    Figure kpo00072
    30의 관계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끼워 통한 구멍(4)에 끼워 통하여진 도체가, 다이오드의 리드부(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다이오드를 공통의 리드부로 갖고 되는 한쌍의 다이오드(10)로 구성되며, 전술한 공통의 리드부 이외의 리드부(2),(2)에 코아체(5)를 일체적으로 모울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리드부(2)와 코아체(5)를 일체적으로 모울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끼워 통하는 구멍(4)에 끼워 통하여지는 도체가 콘덴서의 리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코아체(5)의 두께를 D, 엷은 띠의 감은폭과 동등한 높이를 H로 했을 때, 0.03
    Figure kpo00073
    D/H
    Figure kpo00074
    0.3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비정질자성 합금의 엷은 띠의 표면거칠기(Rf)가 JISB 0601에 규정하는 기준길이 2.5mm에 있어서, 10점 평균거칠기를 Rz, 전술한 엷은 띠의 중량에 의해 구하여지는 평균판 두께를 T로 하였을때, Rf=Rz/T로 얻어지는 거칠기를 특징짓는 바로미터로써 0.2
    Figure kpo00075
    Rf
    Figure kpo00076
    0.8을 만족하는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소자.
KR1019880011541A 1987-09-04 1988-09-05 노이즈 저감소자 KR910009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20341 1987-09-04
JP62-220343 1987-09-04
JP62-220342 1987-09-04
JP62220342A JP2807225B2 (ja) 1987-09-04 1987-09-04 ノイズ低減素子
JP62220341A JP2804029B2 (ja) 1987-06-10 1987-09-04 ノイズ低減素子
JP62220343A JP2602843B2 (ja) 1987-09-04 1987-09-04 ノイズ低減素子
JP62-236142 1987-09-22
JP62236142A JP2637114B2 (ja) 1987-09-22 1987-09-22 インダクタンス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112A KR890006112A (ko) 1989-05-18
KR910009449B1 true KR910009449B1 (ko) 1991-11-16

Family

ID=2747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41A KR910009449B1 (ko) 1987-09-04 1988-09-05 노이즈 저감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58134A (ko)
EP (1) EP0306041B1 (ko)
KR (1) KR910009449B1 (ko)
DE (1) DE38531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0273T2 (de) * 1991-04-26 1996-01-25 Ibm Koaxiale schwingungsdämpfende Anordnung eines Ringkerntransformators.
US5622768A (en) * 1992-01-13 1997-04-22 Kabushiki Kaishi Toshiba Magnetic core
JPH06236819A (ja) * 1993-01-11 1994-08-23 Boam R & D Co Ltd フェライト磁性体チップビード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5536978A (en) * 1994-11-01 1996-07-16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Net current control device
US5850114A (en) * 1996-12-23 1998-12-15 Froidevaux; Jean-Claude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udio and/or video signals
WO1999019889A1 (de) * 1997-10-14 1999-04-22 Vacuumschmelze Gmbh Drossel zur funkentstörung
JP4244123B2 (ja) * 2002-08-20 2009-03-25 日立金属株式会社 レゾネータ
US7052283B2 (en) * 2004-06-18 2006-05-30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Sheath current attenuator for coaxial cable
WO2008132810A1 (ja) * 2007-04-17 2008-11-06 Kabushiki Kaisha Toshiba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JP5342447B2 (ja) 2007-10-24 2013-11-13 株式会社東芝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US20110074383A1 (en) * 2009-09-29 2011-03-31 Astec International Limited Assemblies and Methods for Sensing Current Through Semiconductor Device Lea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1111A (en) * 1965-11-05 1968-11-12 Army Usa Mast for loop direction finding system
US4116728B1 (en) * 1976-09-02 1994-05-03 Gen Electric Treatment of amorphous magnetic alloys to produce a wide range of magnetic properties
DE2824749A1 (de) * 1978-06-06 1979-12-13 Vacuumschmelze Gmbh Induktiv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S56136948A (en) * 1980-03-28 1981-10-26 Hitachi Ltd Amorphous alloy for magnetic head core
US4637843A (en) * 1982-05-06 1987-01-20 Tdk Corporation Core of a noise filter comprised of an amorphous alloy
US4656451A (en) * 1986-01-23 1987-04-07 Ferronics, Inc. Electronic noise suppressor
CA1297148C (en) * 1986-06-30 1992-03-10 Randall Cross Clayburn High frequency signal suppression component
US4818957A (en) * 1988-03-31 1989-04-04 Hewlett-Packard Company Ferrite toroid iso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6041B1 (en) 1995-02-22
DE3853111T2 (de) 1995-08-03
DE3853111D1 (de) 1995-03-30
EP0306041A3 (en) 1991-01-16
KR890006112A (ko) 1989-05-18
EP0306041A2 (en) 1989-03-08
US4958134A (en) 199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557B1 (ko) 인덕턴스소자
US6919788B2 (en) Low profile high current multiple gap inductor assembly
KR910009449B1 (ko) 노이즈 저감소자
KR20170097852A (ko) 코일 부품
JP3009686B2 (ja) インダクタ
GB2139008A (en) Amorphous wound core
KR101097117B1 (ko) 소음 제거 및 소형화 구조를 갖는 인덕터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인덕터
JP2851268B2 (ja) ノイズ低減方法
JP2804029B2 (ja) ノイズ低減素子
JP2602843B2 (ja) ノイズ低減素子
WO2017115603A1 (ja) 表面実装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4102B1 (ko) 인덕턴스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스너버 회로
JP2807225B2 (ja) ノイズ低減素子
JPH0831665A (ja) 磁気シールド形チップインダクタ
JPH11176653A (ja) 磁心とそれを用いた磁性部品
JP2006156737A (ja) 巻線型インダクタ
JP4825918B2 (ja) 薄型磁性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磁性部品の製造方法
JP2637114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01257120A (ja) 多連筒状チョークコイル。
JPH0834160B2 (ja) スイングチョークコイル
CA2136684C (en) Inductance element
JPH0732912U (ja) コイル部品
JPH02303008A (ja) ノイズ低減素子
JPS629689Y2 (ko)
JPH11195542A (ja) コイルを有する回路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