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920Y1 -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920Y1
KR910008920Y1 KR2019890001694U KR890001694U KR910008920Y1 KR 910008920 Y1 KR910008920 Y1 KR 910008920Y1 KR 2019890001694 U KR2019890001694 U KR 2019890001694U KR 890001694 U KR890001694 U KR 890001694U KR 910008920 Y1 KR910008920 Y1 KR 910008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tissue
wall
protrusion par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347U (ko
Inventor
김조천
Original Assignee
김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조천 filed Critical 김조천
Priority to KR201989000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920Y1/ko
Publication of KR900015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벽면에 착설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 "A"부의 확대도.
제4도는 제2도 "B"부의 확대도.
제5도는 제2도 "C"부의 확대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휴지통내의 두루마리 휴지가 외측 경사 저지돌기부에 위치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체 3 : 덮개
7 : 휴지 인출구 8 : 내측경사면
8a : 내측회동제어돌기부 9 : 외측경사면
9a : 외측회동제어돌기부 10 : 능형후육부
10a : 만곡면 11 : 돌설부
11a : 절취제어돌기부
본 고안은 두루마리 휴지를 수납하여 재치되는 휴지통의 바닥면에 휴지의 인출구와 내외측의 회동제어 경사 돌기부 및 절취제어 돌기부를 형성한 구조의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에 휴지를 잡아당겨줌에 따라 전달되는 힘의 관성이 휴지통내의 두루마리 휴지에 까지 전달되는 일이 없이 휴지를 적당한 길이 만큼 풀리게 되어 휴지가 절취된 시점에서 두루마리 휴지의 회동이 즉시 정지되어 휴지가 불필요하게 풀리는 일이 없도록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 벽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지걸이에 있어서는 두루마리 휴지가 휴지걸이봉에 걸어진 상태이므로 사용시에 휴지를 잡아 당기게 되면 잡아당기는 힘의 관성이 휴지걸이봉에 걸어진 두루마리 휴지에 전달되어 두루마리 휴지가 제어됨이 없이 회전하게 되므로 휴지가 필요이상의 길이로 풀려 나오게됨에 따라 절취 상태가 번거 러우며, 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휴지의 손실이 초래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면주벽(1a)과 배면주벽(1b), 좌우측면주벽(1c)및 바닥면(1d)으로 상자체(1)의 상면개구부(2)에 손잡이편(3a)를 가진 덮개(3)를 경첩(4)에 의하여 설하여지고, 배면주벽 (1b)외부에 양면 접착테이프(5)를 부착하여 사용처의 벽면(6)에 부착 고정할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자체(1)를 형성하는 배면주벽(1b)의 하방으로 휴지인출구(7)를 설하며 바닥면(1d)에는 내측경사면(8)과 외측경사면(9)에 의하여 상면이 만곡면(10a)을 이루는 능형 후육부(10)를 형성하여 내외경사면(8), (9)에 내측회동제어경사돌기부(8a)와 외측회동제어경사돌지부(9a)를 각각 돌설하며, 절면 주벽(1a)의 하방으로 연설시킨 돌설부(11)의 선단면에는 절취 제어돌기부(11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두루마리 휴지, 13은 유지절취부, 14는 벽면(6)과 휴지절취부(13)와의 간격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휴지걸이통을 형성하는 상자체(1)치 배면주벽(1b)에 부착시킨 양면 접착테이프(5)에 의하여 실내의 사용처인 벽면(6)에 부착 고정시킨 다음 손잡이편(3a)으로 덮개(3)를 들어올려 두루마리 휴지(12)의 풀린 단부를 휴지인출구(7)로 끼워내린 상태로 두루마리 휴지(12)를 상자체(1)내에 수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자체(1)의 휴지인출구(7)하방으로 끼워 내린 두루마리 휴지(12)의 풀린 단부는 휴지 절취부(13)로서 벽면(6)과 일정한 간격(14)을 유지한 상태로서 사용시에는 휴지 절취부(13)를 쥐어 잡기가 용이한 것이다.
이와같이 휴지걸이통을 사용처인 벽면(6)등에 부착 고정시켜 휴지 절취부(13)가 휴지 인출구(70)의 하방인 상자체(1)의 저부로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시에 휴지 절취부(13)를 손으로 쥐어잡고 앞으로 당겨 주게 뒤면 상자체(1)내의 두루마리 휴지(12)가 바닥면(1d)가 내측경사면(8)에 돌설한 내측회동제어돌기부(8a)에 재치된 상태로 회동하면서 휴지가 풀려 나오게 되는데 이때 상자체(1)내의 두루마리 휴지(12)는 내측회동제어 돌기부(8a)에 의하여 휴지 절취부(13)에서 잡아 당기는 힘의 관성이 제어되므로 두루마리 휴지(12)는 휴지 절취부(13)에서 잡아당겨준 당시만 회동하게 되어 휴지가 종래와 같이 계속하여 풀리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와같이 풀려내린 휴지는 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체(1)의 정면주벽(1a)하방으로 연설시켜 형성한 돌설부(11)의 절취제어돌기부(11a)에 접지시킨 상태로 도면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게 되면 두루마리 휴지(12)에 이미 형성된 절취선이 용이하게 절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휴지의 절단 상태는 절취제어돌기부(11a)에 휴지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으며, 또한 두루마리 휴지(12)가 내측회동제어돌기부(8a)에서 회동을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휴지가 절단되어 휴지의 절취 작업을 간편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휴지의 절취작업이 완료되면 휴지 절취부(13)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벽면(6)과 일정한 간격(14)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다음의 사용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상태로서 다음의 사용자가 휴지를 쥐어 잡기가 용이한 것이다.
이와같이 휴지를 사용하다가 두루마리 휴지(12)의 두루마리의 크기가 적어질 경우에는 도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지인출구(7)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외측 경사면(9)에 돌설한 외측회동제어돌기부(9a)와 배면 주벽(1b)의 내벽면에 재치된 상태로서 작용상태는 전술한 내측회동제어돌기부(8a)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사용하면서 두루마리 휴지(13)의 마지막 부분까지 알뜰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이며, 또한 휴지를 절취시에 휴지가 필요이상으로 풀리는 일이 없으므로 휴지의 손실을 방지할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면주벽(1a)과 배면주벽(1b), 좌우측면주벽(1c)및 바닥면(1d)으로 상자체(1)의 상면개구부(3)에 손잡이편(3a)를 가진 덮개(3)를 경첩(4)에 의하여 설하여지고, 배면주벽(1b)외부에 양면 접착테이프(5)를 부착하여 사용처의 벽면(6)에 부착 고정할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자체(1)를 형성하는 배면주벽 (1b)의 하방인 바닥면(1d)의 후방으로 휴지인출구(7)를 설하며, 바닥면(1d)과 배면주벽(1b)및 두루마리 휴지접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한 원리로서, 바닥면(1d)에는 내측경사면(8)과 외측경사면(9)에 의하여 상면이 만곡면(10a)을 이루는 능형후육부(10)를 형성하며 내외측경사면(8), (9)에 내측회동제어경사돌기부(8a)와 외측회동제어경사돌기부(9a)를 각각 돌설하며, 정면주벽(1a)의 하방으로 연설시킨 돌설부(11)의 선단면에는 절취 제어돌기부(11a)를 형성하여 한손만 가지고도 두루마리 휴지에 이미 형성된 절취선이 용이하게 절취될수 있도록 하여서 된 벽면부착용 휴지걸이.
KR2019890001694U 1989-02-17 1989-02-17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KR910008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694U KR910008920Y1 (ko) 1989-02-17 1989-02-17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694U KR910008920Y1 (ko) 1989-02-17 1989-02-17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47U KR900015347U (ko) 1990-09-01
KR910008920Y1 true KR910008920Y1 (ko) 1991-11-15

Family

ID=1928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694U KR910008920Y1 (ko) 1989-02-17 1989-02-17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47U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54865B (da) Indretning til paafoering og udskiftning af et slangeformet beskyttelsesovertraek af formstoffolie paa et klosetsaede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slangeovertraek til brug deri
JPH07106749B2 (ja)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及びペーパータオルシートの取出方法
JPH0654777A (ja)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
KR910008920Y1 (ko) 벽면 부착용 휴지걸이통
US2543169A (en) Holder for wax paper dispensers
JPH037142U (ko)
WO2003037153A1 (fr) Support de papier et dispositif coupe-papier
KR200372012Y1 (ko) 두루마리화장지용 휴지걸이
KR910006489Y1 (ko) 휴지 걸이
KR900004395Y1 (ko) 화장지 홀더의 화장지 커팅장치
US4079874A (en) Roll dispenser
KR101520587B1 (ko) 원하는 절취선에서 절취가 이루어지는 절약형 휴지 걸이구
KR930001974Y1 (ko) 화장지 케이스
JP2603409Y2 (ja) カッタ付トイレットペーパホルダ
JP3041352U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自動三角折り器
JP2537787Y2 (ja) 包装体の蓋用ラベル
ATE101791T1 (de) Papierspender fuer badezimmer (breite rolle).
JPS5842341Y2 (ja) ロ−ルペ−パ−の繰出装置
JPH0528291U (ja) トイレツ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3029036U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具
JP3023479U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GB102271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aper roll holders
KR19990008319U (ko) 화장지 상자
JPH0738201Y2 (ja) ペーパー製品用保持装置
JPH088716Y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