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535B1 -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 - Google Patents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535B1
KR910008535B1 KR1019870006039A KR870006039A KR910008535B1 KR 910008535 B1 KR910008535 B1 KR 910008535B1 KR 1019870006039 A KR1019870006039 A KR 1019870006039A KR 870006039 A KR870006039 A KR 870006039A KR 910008535 B1 KR910008535 B1 KR 91000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pace block
tab
spac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308A (ko
Inventor
유진 콕스 프레드릭
존 링크 2세 프레드릭
알렌 발라초빅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아더 앰. 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아더 앰. 킹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0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
제1도는 발전기에 사용하는 공간 블록이 연결된 연철판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발전기의 부분 단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수단의 한 실시예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철판 12 : 고정자
16 : 도브테일 22 : 플랜지
23, 24 : 공간 블록 25,26 : 홈
27 : 키이 28 : 클립부재
29, 30 : 아암 32, 33 : 태브 돌출부
본 발명은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 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발전기의 고정자 코아는 대체로 원통형 회전자가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동축상으로 위치한 원통형 보어를 규정하는 전형적인 수평축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구조물로써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환형 구조물은 환형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형 단부 플랜지 사이에서 축방향력에 의하여 병렬로 평평하게 다같이 조여지는 다수의 평평한 금속 연철판의 축방향으로 적층된 어레이를 구비한다. 대단히 큰 클램핑력이 이용되고, 규정된 적층 연철판 구조물은 압축을 받을 때 단일체 구조물 또는 고형체 구조물과 대단히 유사한 특성을 얻는다.
층을 이룬 환현 구조물을 통하여 큰 축방향 클램핑력을 요구 형태로 분포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풍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아치형으로 이격된 공간 블록부재가 환형 단부 플랜지와 환형 박판 구조물 사이의 환형 적층 배열내에 삽입되고, 필요하다면 고정자를 따라서 소정의 축방향 장소에서 연철판 사이에 배치된다. 추가로 단부 플랜지는 축방향 최단부 또는 외부 공간 블록 부재의 축방향 외부면에 배치된 홈내에 수령되는 키이를 포함한다. 공간 블록 부재의 홈은 제작 공차를 수령하기 위하여 키이에 대하여 과다한 치수로 되어 있다. 그러나, 큰 클램핑력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어떤 공간 블록은 갑작스런 시동으로 인하여 야기된 고정자 코아에서의 온도 변화 때문에 방사상 내향으로 천천히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기계의 사이클 및 정상 작동을 중단시키며, 결국에는 고정자 코아에서 전기 코일 또는 도전봉의 전기 절연에 불리하게 적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의 고정자 코아에서 공간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자 코아에서 얻기 쉬운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는 구조물을 가지는 제어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발전기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제어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 단부가 개방된 U형 비금속 클립부재와 같은 제어 수단은 발전기의 고정자 코아 구조물에 배치된 공간 클록의 한 단부에 끼워진다. 클립부재의 개방 단부는 공간 블록에 접하는 단부 플랜지에 연결된 키이를 수령하기 위하여 공간 블록에 배치된 홈에서 여유 공간으로 끼워지는 내향 태브를 포함하며, 여기서 홈의 치수는 키이에 비해 크다. 키이 통로 배치는 더 넓은 홈에서 부분적으로 배치된 더 좁은 키이를 포함하기 때문에, 클립부재의 태브는 키이 통로의 공간 블록의 홈에서 여유 공간을 차지하고, 공간 블록의 교차(즉, 고정자에 관하여 방사상)운동과 키이에 관하여 관련홈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법과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에서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에 대해 언급하면, 단일층판 또는 연철판(10)이 도시되어 있다. 연철판은 환형 고정자 코아 구조물(12)(제2도)의 외측 둘레 또는 활모양으로 된 기구 표면(11)을 가진 대체로 부등변 4각형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기술될 것이다. 한쌍의 도브테일(16)이 기부 표면(11)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12)는 환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서리 맞춤 관계와 같이 평면맞춤 관계로서 축방향으로 나란히 적층 배치되어 있고 연철판(10)과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다수의 연철판을 포함한다. 층들은 도브테일(16)이 맞추어지도록 갈짓자로 되어 있는 반면에, 층판간의 접합부는 인접한 층의 접합부와 맞추어지지 않는다. 또한 연철판의 부등변 사각형의 모양은 보통 고정자(12)에 의해 형성된 내부 원통형 보어 구멍의 둘레를 형성하는 활모양의 원으로 된 기부 표면(13)을 포함한다. 연철판(10)은 전기 도전체를 수령하기 위하여 직립 돌출부(15) 사이에 절단부(14)를 형성하도록 제거된 적어도 하나의 사각형 부분을 가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기부 표면(11)에서 중단하는 이격된 한쌍의 키이 통로 슬롯식의 도브테일(16)을 형성하도록 다른 부분이 제거된다.
공간 블록 조립체는 용접으로 연철판(10)에 제각기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제1 및 제2공간 블록(23,24)을 포함한다. 공간 블록(23,24)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고형체의 형태를 가지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제1 및 제2공간 블록의 부재는 길이를 제외하고 동일한 형상일 것이다. 공간 블록(24)보다 길이가 긴 공간 블록(23)은 표면(11)에서부터 직립 돌출부(15)에 있는 표면(13)까지 연장하고, 반면에 공간 블록(24)은 표면(11)에서부터 절단부(14)의 바닥 표면(19)까지 연장한다. 공간 블록(23,24)은 표면(13,19)과 표면(11)에 관하여 축소되어 있다. 고정자 코아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립되었을 때, 공간 블록(23,24)은 회전자의 회전축에 관하여 실제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제2도에는 발전기(21)의 축방향 단부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자(12)는 요구한 환형 및 축방향 형태로서 연철판의 적층을 유지하는 아치형으로 이격된 다수의 키이 바아(17)(하나만 도시됨)를 구비한다. 환형 플랜지 부재(22)는 고정자(12)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환형 고정자(12)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철판(10)의 조립은 아치형으로 가까이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키이 바아(17)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된다. 키이 바아(17)는 이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며 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키이 또는 돌출 리브(18)를 포함한다. 단면에서 리브(18)는 연철판(10)의 도브테일(16)과 보족하는 윤곽면을 가진다. 각각의 연철판(10)은 키이 바아(17)의 이격된 인접쌍에 걸쳐 있어서 키이 바아(17)의 리브(18)가 연철판(10)의 하나의 도브테일(16)에 끼워지고, 이웃한 키이 바아의 리브(18)가 연철판(10)의 다른 도브테일(16)에 정합된다. 이러한 배열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연철판(10)이 평평하게 적층된 축방향 관계로서 정확한 맞춤하에 배열된다. 키이 바아(17)는 조립후에 다른 연철판의 적층이 환형고정자(12)를 형성하기 위하여 모서리 방향과 같이 축방향 관계를 유지하도록 일반적으로 원형열로서 배열된다.
고정자(12)에서 다른 연철판과의 적층 맞춤관계에 있어서, 연철판(10)의 절단부(14)는 전기 도전체를 수령하는 축방향 연장 슬롯을 형성한다. 연철판이 어떤 그룹 또는 묶음은 고정자(12)를 냉각하는 유체를 위해 대체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인접한 그룹 또는 묶음에서 이격될 것이다. 키이 바아(17)의 나사부분은 플랜지(22)를 관통한다. 너트(39)는 키이 바아(17)의 나선 돌출부에 끼워지고, 각각의 너트는 소정의 축방향 또는 클램핑력이 연철판에 가해져서 유지되도록 조여진다. 실시에 있어서, 축방향력(큰 코아 구조물에서는 1000톤에 가깝다)은 고정자(12)의 연철판 코아 구조물에 작용될 것이다. 환형의 연철판 고정자(12)의 단부 표면의 소정 영역에 걸쳐 클램핑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과치를 얻기 위해 사용된 하나의 실시는 공간 블록(23,24)(제1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공간 블럭(23,24)은 플랜지(22)와 환형 고정자(12)의 축방향 단부 표면사이에 배치되는 고형 금속 블록이며, 따라서 외부 공간 블록으로써 언급될 것이다. 또한 추가 공간 블록이 고정자(12)를 통과하는 유체 냉각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고정자(12)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서 소정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장소에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자(12)에서의 큰 압축력은 인접한 연철판 사이의 평평한 측면 접촉 영역에서 높은 마찰력을 초래하면서 요구 위치에서 연철판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마찰력 및 압출력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간 블록(23,24) 및 연철판(10)(제1도)은 환형 고정자(12)의 중앙축을 향하여 방사상 대부로 천천히 이동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발전기(21)의 시동 및 중단 사이클과 협력하는 고정자(12)에서의 온도 변화는 공간 블록 조립체를 방사상 내부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충분한 측방향력을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만일에 그러한 내향 방사상 운동이 제한 또는 금지되지 않으면, 결국에는 공간블럭(23,24) 및/ 또는 연철판(10)이 코일(20)의 방사상 외부 즉, 절단부(14)의 표면(19)과 접하는 코일(20)의 부분과 이에 관련된 전기 절연체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더 많은 내향 이동은 연철판(10)의 비교적 얇은 에지가 절연체의 전기 절연 완전성을 상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것이다.
공간 블록 조립체를 방사상 내부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데 사용된 하나의 실시는 도브테일(16)이 키이 바아(17)의 도브테일 부분과 결합하도록 연철판을 배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브테일 배치를 사용할지라도, 어떤 기계에서는 기계에서 발생된 힘이 도브테일(16)을 규정하는 연철판(10)의 부분을 충분히 구부리게 되고, 그 결과 공간 블록(23,24) 및 연철판(10)의 방사상 내향 이동을 심하게 일으키거나, 또는 공간 블록(23,24)과 이 블록이 용접되어 있는 인접한 연철판(10)을 내향 이동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철판 및/ 또는 공간 블록(23,24)의 이동은 결국에는 연철판 및/또는 공간 블록의 에지가 고정자 코아 슬롯에 배치된 코일(20) 또는 도전체 바아의 전기 절연을 절단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이에 의해 전기 전열의 완전성을 상하게 한다.
제3도에는 제2도의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간 블록(23,24)의 방사상 내향 이동의 더 큰 억제를 보장하기 위하여, 키이 및 키이 통로는 외부 공간 블록(23,24)과 접촉하는 플랜지(22)사이 배치하게 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아래 설명은 공간 블록(24)에 대해서만 기술될 것이다. 모든 사항은 다른 방법으로 주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공간 블록(2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쌍의 맞춤가능한 키이 통로 홈(25,26)이 제각기 공간 블록(24)과 플랜지(22)의 대향한 접촉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공간 블록(24)과 플랜지(22)가 적절하게 조립되었을 때, 공간 블록(24)의 홈(25)은 플랜지(22)의 홈(26)에 대향하여 맞추어져서 공간 블록(24)과 플랜지(22)사이에서 키이 통로를 형성한다. 조립되었을 때, 홈(25,26)은 서로 마주보고, 공간 블록(24)과 플랜지(22)의 접촉 표면사이에 있는 접촉 영역을 횡단하거나 또는 연결하는 키이 통로를 규정한다. 키이(27)는 홈(25)의 체적 일부만을 차지하도록 홈(25,26)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공간 블록(24)과 플랜지(22)의 접촉 표면사이의 접촉 영역을 횡단하거나 또는 연결한다. 양호하게도, 키이(27)는 압입 끼워맞춤에 의한 것과 같이 원주상 연장홈(26)내에 단단히 고정되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환상 부재의 일부인데, 따라서 환상 부재는 조립중에 각각의 공간 블록(23, 24)(제1도)의 홈(25)에 수령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키이(27) 및/또는 환상 부재는 플랜지(22)와 일체로 될 수 있다.
키이(27)는 폭 즉, 키이 통로내에 배치되었을 때는 반경방향 치수를 가지는데, 홈(25)의 폭보다 크게 작고 또한 길이 즉, 키이 통로내에 배치되었을때는 축방향 치수를 가지는데, 이 길이는 키이 통로내에서 키이(27)의 방향에 관계없이 적어도 홈(25,26)의 일부에 걸쳐 있기에 충분히 길다. 키이(27)와 홈(25)간의 이러한 치수 관계는 플랜지(22)와 공간 블록(24)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제작 공차의 형성으로 인한 잠재적인 비정렬을 허용하는데 필요하다.
키이(27)가 각각의 대향 홈(25,26)에 부분적으로 거주하고 그리고 공간 블록(24)과 플랜지(22)간의 접촉영역을 연결하는 상태에서, 공간 블록(24)은 제3도의 화살표의 방사상 내향에서 제한되지 않으면 자유로이 이동하지 않는다. 공간 블록(24)에서 홈(25)의 측면벽은 키이(27)에서 지탱하며, 다음에 키이는 플랜지(22)에서 홈(26)의 측면에서 지탱함으로써, 공간 블록(24)이 방사상 내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동한 후에는 공간 블록(24)의 방사상 내향 활주 운동을 더 이상 진행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홈(25,26) 및 키이(27) 사이에서 초기 조립관계는 상술한 운동 제한 기구가 공간 블록의 요구한 내향 방사상 운동보다 더 큰 운동이 발생할 때까지 유효하게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새로 조립한 발전기와 이미 사용중인 기계간의 형태의 균일성을 유지할 것을 결정하였기 때문에, 공간 블록 운동 제한 해결책은 본 말명의 제작 실시에 제한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사용중인 기계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제 제4도에 대해 언급하면, 비자기 제어 수단 또는 클립부재(28)는 기구벽(31)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아암(29,30)을 가지는 대체로 U형 물체를 구비한다. 아암(29,30) 사이에서 서로를 향해 내부로 돌출하는 태브 돌출부(32,33)는 제각기 아암(29,30)의 외부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아암(29,30)은 평행하게 동일 평면인 길이 에지(34,35)를 가지는 평평한 사각형 부재이다. 태브 돌출부(32,33)는 아암(29,30)의 외부 단부에서 클립부재(28)의 평행한 에지(34,35)와 동일한 면을 이루고, 클립부재(28)에서, 횡단 에지(36,37)에서 나와 각각의 에지(34,35)를 따라 기부벽(31)을 향하여 그리고, 에지(35,34)에서 나와 각각의 횡단 에지(36,37)를 따라 소정 걸기를 연장한다. 동시에, 태브 돌출부(32,33)는 서로를 향하여 이격된 아암(29, 30)에서 제각기 돌출한다. 아암(29,30)은 가요성이 있고, 태브 돌출부가 서로 만날 때까지 서로를 향하여 눌려질 것이다. 그 위에 아암(29,30)은 서로 멀어지게 끌어당겨서 아암(29,30)의 탄성 계수를 초과함이 없이 태브 돌출부(32,33)사이에 소정 연장 거리를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아암(29,30)은 변형력이 제거될 때 전응력 형태로 복귀할 것이다.
이제 제3도에 대해 언급하면, 클립부재(28)는 아암부재(29, 30)가 공간 블록의 방사상 외부 단부에 걸쳐 있도록 공간 블록(24)상에 장착된다. 공간 블록(24)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단부 연철판(10)의 방사상 위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고정자 코아 단부 플랜지(22)와 코아 연철판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비교적 좁은 사각형 고형금속 블록으로써 도시되어 있다.
클립부재(28)의 아암(29,30)간의 거리는 키이(27)와 공간 블록(24)의 홈(25)의 방사상 외부 측면벽 사이에서 개방 공간에 배치된 태브 돌출부(32,33)와 포개어지는 관계로서 클립부재(28)가 아암(29,30)사이에 삽입된 공간 블록과 작동상으로 조립되어 있을 때 아암부재(29,30)가 공간 블록(24)의 측면에 놓이거나 또는 이웃에서 접하도록 공간 블록(24)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조립후에 키이(27)와 홈(25)의 방사상 외부벽 사이에 있는 공간의 실제 치수는 기계의 디자인과 기계 조립중에 축적되는 전체 공차에 의존한다. 클립부재(28)의 내향으로 돌출하는 태브 돌출부(32,33)는 홈(25)의 한 단부내에 삽입되고 그리고 키이(27)와 홈(25)의 방사상 외부측벽 사이에서 홈(25)이 거의 모든 방사상 범위를 차지하는 소정 치수로 되어 있다. 즉, 에지(34, 35)를 따라 놓여있는 태브 돌출부(32,33)의 범위는 키이(27)와 홈(25)의 방사상 외부측면 사이에서 홈(25)의 거의 모든 방사상 범위를 차지하는데 필요한 치수를 제공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되어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서, 에지(34,35)를 따라 놓여 있는 태브 돌출부(32,33)의 범위는 종래 기계에 요구한 장착 방향성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될 것이다. 아암(29,30)의 길이는 태브 돌출부(32,33)가 공간 블록(24)에서 홈(25)의 단부에 양호하게 도달함과 동시에 클립부재(28)의 기부벽(31)이 공간 블록(24)의 방사상 외부 표면에 접하도록 미리 정해져 있다. 고정자(12)에 클립부재(28)를 조립한 후에, 공간 블럭(24)이 방사상 내향으로 이동을 시도할 때, 태브 돌출부(32,33)는 공간 블록(24)의 더 심한 어떤 방사상 내향 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키이(27)와 홈(25)의 방사상 외부측벽 사이에서 크게 압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클립부재(28)는 여러층을 가지는 과다한 크기의 부재와 클립부재(28)의 요구한 최종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만드릴(mandrel)에 감싸인 수지 함유 유리 섬유로 제작되었다. 경화후에, 과다한 크기의 부재는 만드릴에서 제거되어 요구한 치수로 가공되었다. 적절한 수지로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가요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클립부재(29)용으로 선택되는 재료는 최소한 약 130℃ 이상의 온도에서 탄성을 유지해야 하고, 발전기용 냉각 유체로써 수소를 이용할 때 수소에 대해 비교적 불활성이어야 한다.
클립부재(28)의 태브 돌출부(32,33)는 키이(27)와 홈(25)의 방사상 외부면 사이에서 어떠한 여유 공간을 이용할지라도 맞춤에 적합한 치수로써 절단 또는 마모에 의해 깎여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적용될 때, 태브 돌출부(32,33)는 전단력 보다는 압축력을 받으므로, 해로운 기계적 변형이 없이 대단히 높은 이동력을 저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전기의 고정자 코아에서 공간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 수단을 설명하였는데, 여기서 제어 수단의 구조는 종래의 고정자 코아에서 얻을 수 있는 공간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종래 기계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을 실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술에 숙련된 자는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서 이루어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2)

  1. 조립된 상태에서 층상 코아 구조물을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적층된 연철판(10)을 구비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코아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플랜지(22)중 하나와, 코아 구조물에서 클램핑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의 쌍에 연결된 키이 바아(17)와 너트(23)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코아 구조물과, 또한 플랜지사이의 코아 구조물에 부과된 클램핑력을 분포시키기 위해 플랜지와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코아 구조물 사이에 삽입되는 공간 블록 제어수단(23,24)을 가진 발전기의 고정자 코아 구조물에 있어서, 플랜지와 공간 블록 사이에서 키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배치된 상호 맞춤이 가능한 홈(25,26)을 각각 가지는 플랜지와 공간 블록의 접촉 표면과, 상기 키이 통로에 배치될 수 있고 공간 블록의 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짐으로써 키이가 키이 통로내에 배치될 때 키이와 공간 블록의 홈의 측벽 사이에서 여유 공간을 가지게 되는 키이(27)와, 상기 여유 공간의 최소한 일부분을 차지하기 위해 공간 블록의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 표면간의 상대 운동을 제한하는 태브를 가진 클립부재(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태브는 U형상의 직립 아암에서 태브 돌출부(32,33)를 가지는 비금속 U형 클립부재(28)에 구비하고, 상기 U형 클립부재는 공간 블록이 직립 아암(29,30) 사이에 삽입되고 태브 돌출부(32,33)가 공간 블록의 홈의 여유 공간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 블록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아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 돌출부(32,33)는 공간 블록(23,24)의 대향 측면을 따라 놓여있는 가요성 아암(29,3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아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 돌출부(32,33)는 공간 블록의 대향 측면에서부터 서로를 향하여 공간 블록의 홈내로 들어가는 사각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아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2,33)는 서로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U형 클립부재(28)의 아암(29,30)의 내부 단부에 위치하고, 공간 블록은 아암이 공간 블록과 접촉할 수 있도록 U형 구조내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아 구조물.
  6. 공간 블록과 플랜지가 접하고 각각은 키이 통로를 그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접촉 표면에 배치된 상호맞춤 가능한 홈(25,26)과 키이 통로의 일부를 차지하는 키이(27)를 가지고, 키이가 키이 통로에 배치될 때 공간 클록의 홈의 격벽과 키이 사이에 여유 공간을 가지고 발전기의 층상 코아 구조물과 플랜지(22)사이에 배치된 공간 블록(23,24)에 장착되는 클립부개(28)에 있어서, 돌출 아암(29,30)의 각각의 한 단부를 단일체 구조물처럼 상호 연결하는 기부벽(31)을 가진 U형상의 비금속 재료와, 공간 블록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공간 블록의 홈(25)의 측벽과 키이(27)사이의 여유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아암(29,30)에 연결되어 아암에서 돌출하는 태브 돌출부(32, 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재료는 전기 비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비전도성 재료는 수지 함유 유리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터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재.
  11. 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연철판(10)으로 제작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연철판에서 압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플랜지(22)와, 다수의 연철판과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고 플랜지 수단과 다수의 연철판 사이에 압축력의 최소한 일부분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블록(23,24)과, 플랜지와 적어도 하나의 공간 블록 사이에서 키이(27)를 수령하는 상기 키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맞춤 가능하며 플랜지와 공간 블록에 각각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발전기용 제어 수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 블록의 방사상 내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키이를 따라 키이 통로를 배치되는 태브와, 키이 통로 내에서 태브를 유지하기 위해 태브에 결합지지된 클립부재(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수단.
  12. 상기 클립부재(29)는 외팔보형 아암(29,30)을 가지는 대체로 U형 클립부재이고, 상기 태브는 각각의 외팔보형 아암에 연결되어 아암의 한 블록사이에 걸쳐지도록 서로 마주보면서 돌출된 태브(32,33)이며, 각각의 태브는 제어 수단이 발전기에서 작동상으로 배치될 때마다 대향 방향으로 키이 통로를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수단.
KR1019870006039A 1986-07-01 1987-06-15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 KR910008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81,157 US4710664A (en) 1986-07-01 1986-07-01 Space block control means for dynamoelectric machine
US881157 1986-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08A KR880002308A (ko) 1988-04-30
KR910008535B1 true KR910008535B1 (ko) 1991-10-18

Family

ID=2537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039A KR910008535B1 (ko) 1986-07-01 1987-06-15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10664A (ko)
EP (1) EP0250982B1 (ko)
JP (1) JPH0640716B2 (ko)
KR (1) KR910008535B1 (ko)
CN (1) CN1005948B (ko)
DE (1) DE377769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731A (en) * 1991-02-25 1992-0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Stator core vent structures
FR2683959B1 (fr) * 1991-11-18 1994-01-07 Thierry Rahban Noyau d'induit annulaire de machines dynamo-electriques a echangeur thermique intrinseque.
US5491886A (en) * 1993-08-12 1996-02-20 Emerson Electric Co. Gapless inner diameter stator winding blocking mechanism
GB2309978A (en) * 1996-02-09 1997-08-13 Atraverda Ltd Titanium suboxide electrode; cathodic protection
US6346760B1 (en) * 2000-12-14 2002-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Axial bolt-in cage stator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stator
WO2007016761A1 (en) * 2005-08-10 2007-02-15 Tm4 Inc. Electric machine provided with an internal stator
JP4840259B2 (ja) * 2007-06-13 2011-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絶縁部材
EP2398129B1 (en) * 2010-06-17 2012-1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generator, in particular for a wind turbine
US9071096B2 (en) * 2011-11-09 2015-06-30 Siemens Energy, Inc. Clamping structure for a stator co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23617B (de) * 1929-09-02 1931-07-10 Siemens Schuckertwerke Wien Druckfingeranordnung für gezahnte Blechpakete elektrischer Maschinen.
US3237035A (en) * 1962-03-02 1966-02-22 Allis Chalmers Mfg Co Load indicating studs for dynamoelectric machine cores
DE1197971B (de) * 1963-10-04 1965-08-05 Bbc Brown Boveri & Cie Abstuetzung fuer die Statorwickelkoepfe von Turbogeneratoren
AT330288B (de) * 1973-12-15 1976-06-25 Bbc Brown Boveri & Cie Wickelkopfabstutzung fur einen turbogenerator grosser leistung
JPS51130801A (en) * 1975-05-12 1976-11-13 Hitachi Ltd Gap winding system rotary elctric machine
US4126799A (en) * 1977-02-28 1978-11-21 Iogansen Vadim I Device for securing end connectors of electric machine stator winding
GB1539707A (en) * 1977-03-08 1979-01-31 Shapiro Ab Stator end winding support arrangements
SU917263A1 (ru) * 1980-02-11 1982-03-30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динамики Ан Усср Ста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10664A (en) 1987-12-01
EP0250982B1 (en) 1992-03-25
KR880002308A (ko) 1988-04-30
EP0250982A1 (en) 1988-01-07
JPS6335146A (ja) 1988-02-15
CN87104830A (zh) 1988-01-13
DE3777697D1 (de) 1992-04-30
CN1005948B (zh) 1989-11-29
JPH0640716B2 (ja) 1994-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606A (en) Electric rotary machine with toroidal windings on an annular stator core
US7649295B2 (en) Insulation structure of rotary electrical machinery
KR910008535B1 (ko) 클립부재를 포함한 공간 블록 제어수단을 가진 발전기용 코아 구조물
US3829720A (en) Motor stator
US5844332A (en) Cylindrical linear motor having individually toothed laminated primary cores
EP0516078B1 (en) Static electric apparatus
US11916455B2 (en) Busbar unit for motor
KR20220069644A (ko) 모터
JP2005137193A (ja) 短絡部材、整流子、及び短絡部材の製造方法
US11942849B2 (en) Motor
US11329524B2 (en) Rotor and motor having same
US10903709B2 (en) Armature of electric motor
US4475052A (en) Air gap winding rotating electric machine
US3031593A (en) Dynamoelectric machine
US3156840A (en) Magnetic core for dynamoelectric machines
KR20220007448A (ko) 모터용 버스바 유닛
EP4044402B1 (en) Motor
CN115668417B (zh) 用于制造绝缘间隔件的部件和方法
US20210184534A1 (en) Stator for electric motors having coil wound carriers mounted thereon
KR20220091198A (ko) 모터
KR20220096364A (ko) 모터
KR20220011405A (ko) 모터용 버스바 유닛
KR20220033814A (ko) 모터
KR0179311B1 (ko) 고정자 포밍지그
KR20230109905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