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532Y1 - 면취기 - Google Patents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532Y1
KR910008532Y1 KR2019880018820U KR880018820U KR910008532Y1 KR 910008532 Y1 KR910008532 Y1 KR 910008532Y1 KR 2019880018820 U KR2019880018820 U KR 2019880018820U KR 880018820 U KR880018820 U KR 880018820U KR 910008532 Y1 KR910008532 Y1 KR 910008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lide guide
guide
chamfer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086U (ko
Inventor
유다까 다나까
겐지 후꾸다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4144Means to trim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6216Randomly manipulated, work supported, or work following device
    • Y10T409/306384Randomly manipulated, work supported, or work following device with work supported guid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6216Randomly manipulated, work supported, or work following device
    • Y10T409/306552Randomly manipulated
    • Y10T409/306608End mill [e.g., rout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784Milling including means to adustably position 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784Milling including means to adustably position cutter
    • Y10T409/3084Milling including means to adustably position cutter with position indicator or limi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면취기
제1도는 면취기의 정면도.
제2도는 면취기의 부분좌측면 단도면.
제3도는 면취기의 부분 우측면도.
제4도는 면취기의 부분 저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면취기 본체 2 : 핸들부
3 : 회전칼붙이 6 : 스핀들하우징
11 : 피가공재 12 : 절삭날
13 : 가이드 베이스 13' : 저면부
17,18 : 직교안내면 19 : 협각부(狹角部)
20 : 슬라이드 가이드 24 : 홈
25 : 고정나사 30 : 조정나사
31 : 압축 코일 스프링 32 : 푸시피스(push piece)
본 고안은 휴대식 면취기에 있어서 면취량을 조정하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외주에 절삭날을 가진 회전칼붙이로 피가공재의 모서리부를 C자형으로 깍는 형식의 면취기에 있어서, 선단부에 회전칼붙이를 갖는 본체는 피가공제의 모서리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직교 안내면을 가지며 이 안내면의 협각부에서 상기 회전칼붙이의 절삭날을 비스듬하게 노출시키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면취기에 의해서 절삭되는 면취량은 상기 직교 안내면의 협각부에 대한 절삭날의 돌출정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그 조정을 위한 종래의 기구는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62-10081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칼붙이의 축중심에 대하여 편심하는 보스가 본체에 형성되고, 이 편심 보스에 슬라이드 가이드의 기단을 끼워넣은 구성으로서, 편심보스에 대한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전각도 위치에 따라 면취량이 설정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정 기구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본체 사이에 편심 보스를 개재시켜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며, 또한, 편심 보스의 가공오차는 편심 보스에 대한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전각도와 면취량의 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편심보스에 대한 비교적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어 그 제작도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면취량 조정기구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일본국 실원소 62-172167호)에서 회전칼붙이를 비스듬히 돌출하는 본체의 저면부에 직접 슬라이드 가이드를 회동 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이 축받이점을 중심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동 변위량에 비례하여 그 협각부에서 절삭날을 돌출 시켜서 면취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자들은 상술한 고안을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회전칼붙이를 비스듬히 돌출하는 본체 저면부에 축받이된 슬라이드 가이드를 회동 변위시켜서 슬라이드 가이드의 협각부에서 노출하는 절삭날의 돌출향을 조정함과 동시에 조정된 돌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순히 본체에 형성된 홈에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이 고정 나사의 선단부를 슬라이드 가이드에 나사로 끼워 맞춰 고정시키는 구조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직접지지하는 조작자의 손을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려서 면취량을 조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면취량의 미량조정, 나아가서는 일단 설정된 면취량의 근소한 변화를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행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하고도 또한 미묘하게 면취량을 조정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그 구조가 간단한 면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의 면취기는 저면부를 갖는 본체; 저면부에서 비스듬하게 돌출하는 회전칼붙이의 외주부에 절삭날을 갖고 본체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칼붙이; 저면부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 되고, 피가공재의 모서리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직교안내면을 가지며,이 안내면의 협각부에서 회전칼붙이의 절삭날의 적어도 일부를 돌출시키는 슬라이드 가이드; 슬라이드 가이드와 본체중 한쪽에 형성되는 홈; 슬라이드 가이드와 본체를 상호 고정시켜서 슬라이드 가이드의 협각부에서 노출하는 절삭날의 돌출량을 일정하게 유지 시키도록 그 단부가 슬라이드 가이드와 본체중 다른 한쪽에 끼워 맞춰지는 고정나사; 및 고정나사가 홈에 끼워 맞춰져서 협각부에서 돌출하는 절삭날을 조정하도록 홈에 삽입된 고정나사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나사를 느슨하게 하면 본체의 저면부에 축받이된 슬라이드 가이드는 그 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변위 가능해지며 이 회동각도에 비례한 양만큼 회전칼붙이의 절삭날이 직교 안내면의 협각부에서 돌출하여 면취량이 설정되는데, 이때 조정나사의 나사피치에 호응해서 이것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소정 회전수만큼을 돌리면 홈의 일측부에서 돌출하는 조정 나사의 돌출량이 그 조직에 따라서 증감되어 돌출량이 증감된 조정나사의 선단부에 고정나사가 맞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전각도에 비례해서 면취량의 미량조정이 가능해지며 이 상태는 고정나사로 슬라이드 가이드를 면취기 본체의 저면부에 체결 고정시키므로써 유지된다.
제1도에서, 참고부호(2)는 전동모터 혹은 에어모터등의 구동원이나 변속 기구를 내장하는 핸들부이다. 이 핸들부(2)에는 회전칼붙이(3)를 지지하는 스핀들(4)과 이 스핀들(4)에 대한 베어링 장치(5)를 갖춘 스핀들 하우징(6)이 대체로 L자형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제2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칼붙이(3)는 축(7)에 부착 되어 있으며, 축(7)이 끼워 맞춰져있는 중심구멍(8)은 스핀들(4)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중심구멍(8)은 그 중심구멍(8)의 반경방향으로 허용된 복수의 분할홈(9)과 통해있어, 스핀들(4)의 선단부가가요성을 갖는다. 캡너트 같은 척 링(10)을 스핀들(4)에 나사로 끼워맞추어 스핀들(4)의 선단부를 축(7)에 일체로 유지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회전칼붙이(3)에는 그 외주면부에 피가공제(11)의 모서리부를 절삭하는 복수의 절삭날이 배치되어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세밀한 피치의 수나사(6')는 스핀들 하우징(6)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베이스(13)의 보스부는 수나사(6')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베이스(13)의 보수부상의 분할부(14)를 통과하는 볼트(15)는 너트에 의해 조여지며, 이렇게 해서 가이드 베이스(13)는 스핀들 하부징(6)에 일체로 연결되어 핸들부(2)와 함께 면취기 본체(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면취기는 면취각도를 45°로 했기때문에 가이드 베이스(13)의 저면부(13')에 대해서 45°방향으로 가이드 베이스(13)의 보수부를 스핀들 하우징(6)에 나사로 끼워맞춰지며, 그 상태에서 회전칼붙이(3)의 절삭날(12)을 가이드 베이스(13)의 저면부(13')에서 돌출시킨다.
그리고, 볼트(15)를 느슨하게 하고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해 스핀들 하우징(6)을 핸들부(2)와 함께 돌리면, 스핀들 하우징(6)이나 핸들부(2)의 회전량과 수나사(6')의 피치와의 관계에 따라서 회전칼붙이(3)는 그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가이드 베이스(13)의 저면부(13')로 부터의 돌출량이 조정된다.
따라서, 스핀들 하우징(6)이 가이드 베이스(13)의 보스부에 나사로 끼워맞춰지는 깊이가 변하면, 절삭날(12)은 회전 칼붙이(3)의 축방향으로 칼날의 모든부위에서 피가공재의 모서리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13)의 저면부(13')에는 피가공재(11)의 모서리부에 접촉하는 직교 안내면(17, 18)을 가지며 이 안내면(17, 18)의 협각부(19)에 상기 회전칼붙이(3)의 절삭날(12)을 경사45°로 경사시켜서 돌출시키는 슬라이드 가이드(20)를 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있다.
즉, 이 지축(21)은 가이드 베이스(13)의 저면부에 나사로 끼워맞추어서 고정되는 나사부(21A), 몸통부(21B) 및 빠짐방지머리부(21C)가 순차로 외형을 크게 해서 일체로 계단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저면측에는 몸통부(21B) 및 빠짐방지머리부(21C)와 대체로 상사형을 이루는 이들이 헐겁게 끼워진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데, 몸통부(21b)와 끼워맞춤의 두께치수(T)는 몸통부(21B)의 축방향 길이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상면을 가이드 베이스(13)의 저면에 밀착 시켰을 때 빠짐 방지머리부(21C)의 상부와 관통구멍(22)의 시일링 사이에 간격(CL)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축(21)의 나사부(21A)를 가이드 베이스(13)에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이드(20)는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축(21)에 의한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축받이 점은 회전칼붙이(3)의 축중심에서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가이드(20)를 그 축받이점을 중심으로 회동변위시키면 그 회동 각도에 비례한 양 만큼 회전칼붙이(3)의 절삭날(12)이 협각부(19)로부터 돌출하여 그 돌출량(C)이 면취량으로서 설정된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13)에서 회전칼붙이(3)의 축중심을 끼우고 상기 지축(21)의 반대측에는 지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홈(24)을 형성하여 이 홈(24)에 관통 하는 고정나사(25)를 슬라이드 가이드(20)에 나사로 끼워맞춘다.
슬라이드 가이드(20)는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해서 그 홈(24) 원호폭에 의해서 규정되는 각도(θ)의 가이드 베이스(13)의 범위에서 회동이 허용되면, 예컨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4)의 좌측단부가 고정나사(25)에 맞붙는 상태에서 절삭날(12)의 돌출량(C)은 1.5㎜로 설정되며, 홈(24)의 우측단부가 고정나사(25)에 맞붙는 상태에 있어서는 절삭날 (12)의 돌출량(C)은 0㎜가 된다.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측면에는 면취량을 나타내는 눈금(26)이 새겨져 있고, 또한 그 상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베이스(13)의 측면에는 기준선(27)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가이드(20)에는 절삭날(12)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28)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이드(20)를 상대적으로의 θ각도 범위로 회동변위시킬 때 절삭날(12)은 슬라이드 가이드(20)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홈(24)의 일측부 즉 기립상태를 취하는 한쪽의 직교 안내면(17) 측에 위치하는 내부벽에는 자유로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가이드(20)에 나사로 끼워맞춰진 조정나사(30)의 선단부를 돌출시킴과 함께 홈(24)의 타측부에서는 압축코일 스프링(31)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푸시피스(32)의 선단부를 돌출시킨다.
상기 조정나사(30)는 면취량의 조정시에 그 나사피치와 회전수에 따라서 홈(24)내에서 고정나사(25)를 제4도 및 제5도의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고정나사(25)가 원위치 방향으로 잘못하여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한다.
푸시피스(32)는 고정나사(25)에 맞붙어서 이것을 조정나사(30)측으로 항상 탄지하며, 조정나사(30)를 제4도 및 제5도의 화살표(B)방향으로 되돌렸을 때 고정나사(25)를 조정나사(30)의 이동에 따르게 하는 복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베이스(13)에 대행 슬라이드 가이드(20)를 상대적으로 회동시켜서 면취량을 조정할때, 조정나사(30)를 좌우 어느방향으로 돌려도 고정나사(25)는 조정나사(30)의 이동에 따라서 그 선단에 항상 접촉되어 면취량의 증감 어느것에 대해서도, 환원하면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한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좌우 어느 회동방향에 대해서도 조정나사(30)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슬라이드 가이드(20)는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해서 소망의 회동위치를 취할 수가 있게 된다.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이드(20)를 상대적으로θ의 각도 범위로 회동변위시켜서 설정되는 면취량은 상기 고정나사(25)를 꽉 죔으로써 유지된다.
다음에 상기 실기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나사(25)를 느슨하게 하고 슬라이드 가이드(20)를 지축(21)을 중심으로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하여, 조정나사(30)를 좌우 소망하는 방향으로 회전수만큼 돌려서 이것을 홈(24)내부에서 화살표(A) 또는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들면, 조정나사(30)를 우방향으로 돌려서 이것을 화살표(A)방향으로 진출 이동시키면 조정나사(30)의 선단이 같은 방향으로 고정나사(25)를 밀어서 이동시킴과 함께 푸시피스(32)를 압축코일 스프링(31)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시키고, 이로써 고정나사(25)와 일체로 된 슬라이드 가이드(20)는 조정나사(30)의 화살표(A)방향으로의 진출 이동량에 비례한 각도 만큼 화살표(A)방향으로 회동이동한다.
또한, 조정나사(30)를 좌방향으로 돌려서 이것을 화살표(B)방향으로 후퇴 이동시키면 푸시피스(32)로부터 화살표(B)방향으로의 탄발력을 받고 있는 고정나사(25)는 조정나사(30)의 선단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조정나사(30)의 후퇴 이동에 추종이동하여, 이로써 고정나사(25)와 일체로 된 슬라이드 가이드(20)는 조정 나사(30)의 화살표(B)방향으로 후퇴 이동량에 비례한 각도 만큼 화살표(B)방향으로 회동 이동한다.
그리고, 지축(21)의 몬통부(21B)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 가이드(20)의 끼워맞춤부의 두께치수(T)는 몸통부(21B)의 축방향 길이치수 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으므로, 면취량 조정시에 지축(21)을 느슨하게 하는 조작은 일체 불필요 하다.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한 슬라이드(20)의 상대회동 변위량과 면취량과의 관계는 일단 눈금(26)에 의해 주어져 있어서 눈금에 나타나는 면취량을 설정할때에는 소망하는 면취량(C)을 나타내는 눈금(26)이 기준선(27)에 일치할때까지 조정 나사(30)를 회전 조작한다.
한편, 눈금(26)에 대해서 끝수가 되는 면취량(C)을 설정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눈금(26)과 기준선(27)과의 상대위치를 가늠해서 조정할 수도 있으나, 조정나사(30)의 이동량 즉 가이드 베이스(13)에 대한 슬라이드 가이드(20)의 상대 회동 변위량은 조정나사(30)의 나사 피치와 회전수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므로 이 나사(30)의 1회전당의 이동량을 미리 설정하면 조정나사(30)의 회전량에 의해서 면취량의 끝수를 간단하고 또한 정확히 설정 할 수가 있다.
또한, 일단 설정한 약간 증감시킬때도 조정나사(30)의 회전 조작량에 의해서 면취량의 미량조정을 간단하고도 또한 정확히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일단 설정한 면취량을 약간 증감시킬때도 조정나사(30)의 회전조작량에 의해서 면취량의 미량조정을 간단하고도 또한 정확히 행할 수가 있다.
조정나사(30)의 회전에 의해서 면취량을 설정한 후는 고정나사(25)를 꽉조이게 하여 슬라이드 가이드(20)를 가이드 베이스(13)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나사(25)는 탄지된 푸시피스(32)의 작용에 의해 조정나사(30)의 이동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완전히 추종해서 그 선단에 접촉해 있으므로, 고정나사(25)를 꽉죌때 다시 슬라이드 가이드(20)를 화살표(B)방향으로 밀어서 조정나사(30)와 고정나사(25)와의 접촉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은 불필요 하다.
이와같이 해서 면취량을 설정한후, 회전칼붙이(3)를 구동시키면서 슬라이드 가이드(20)를 피가공재(11)의 모서리부에 놓고서 이동시키면 회전칼붙이(3)의 절삭날(12)은 슬라이드 가이드(20)의 협각부(19)로부터 소정량이 돌출하게 되므로 이 조정된 절삭날(12)에 의해서 피가공재(11)의 모서리부를 면취할 수가 있게 된다.
면취 작업중에는 핸들부(2)를 통해서 가이드 베이스(13)에 제5도의 화살표(B)방향으로의 힘이 작용되는데, 특히 조정나사(30)는 고정나사(25)에 접촉해서 그 힘을 받을 수 있는 방향, 즉 한쪽의 직교안내면(17)측에 위치하는 내벽부로 부터 홈(24)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중의 진동으로 고정나사(25)가 느슨해지거나 이나사(25)의 조인상태가 불충분하더라도 일단 설정한 면취량이 작업중에 잘못하여 변화하는 일이 없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한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는 조정나사(30)를 후퇴 이동시켰을때에 고정나사(25)를 그 조정나사(30)의 이동에 추종이동시키는 복귀수단으로서 탄지된 푸시피스(32)를 설치했는데 이와같은 복귀수단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다만 이런 경우에는, 조정나사(30)를 화살표(B)방향으로 후퇴이동 시켰을때에는 고정나사(25)를 죄어서 고정하기 전에 슬라이드 가이드(20)를 화살표(B)방향으로 눌러서 그 조정나사(30)의 선단부에 고정나사(25)를 접촉시키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홈(24)을 가이드 베이스(13)에 설치해서 고정나사(25)를 슬라이드 가이드(20)에 끼워맞추는 구조로 했으나, 그 역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고정나사(25)의 머리부는 직교안내면(18)에 끼워넣어 둘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면취기는 회전칼붙이를 경사지게 돌출하는 본체의 저면부에 지축을 통해서 직접 슬라이드 가이드를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하고 이 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동변위량에 비례해서 그 협각부에서 절삭날을 돌출시켜서 면취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므로써, 편심보스와 같은 특별한 부재를 본체와 슬라이드 가이드와의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없고, 이로인해 면취량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홈내에서 고정나사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역방향으로의 고정나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는 조정나사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소정 회전만을 조작하므로써 조정나사의 나사 피치와 회전수에 호응하는 이 나사의 이동량에 비례시켜서 면취량의 조정이 가능해져서 슬라이드 가이드를 직접 저지하는 손을 본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돌려서 면취량을 조정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써, 면취량의 미량조정, 나아가서는 일단 설정한 면취량의 약간의 변경을 간단히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어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정확한 면취량의 조정이 가능해 진다.
더구나,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동 각도의 면취량과의 관계는 본체의 저면부에 대한 슬라이드 가이드의 축받이 위치에 따른 뿐이므로 그와같은 평면적인 위치맞춤에 관한 가공오차는 일반적으로 작으므로 편심보스를 사용하는 구조에 비해서 그 제작도 용이하며,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동각도와 면취량과의 관계는 근사적으로 비례관계를 가지므로 면취량 조정을 가음하는 눈금을 등 간격으로 간단히 붙일 수가 있다.

Claims (1)

  1. 저면부(13')를 갖는 본체(1)와; 상기 저면부(13')에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본체(1)에 배치된 회전칼붙이(3)와; 저면부(13')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고, 피가공재(11)의 모서리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직교안내면(17, 18)을 가지며, 이 안내면의 협각부(19)에서 회전칼붙이(3)의 절삭날(12)의 적어도 일부를 돌출시키는 슬라이드 가이드(20)와; 상기 본체(1)에 형성된 혼(24)과; 홈(24)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0)에 나사로 결합된 고정나사(25)와; 고정나사(25)가 상기 홈(24)내에 삽입되어 협각부(190에서 돌출하는 절삭날을 조정하도록 고정나사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수단(30)으로 구성되는 피가공재의 모서리부를 절삭하기 위한 면취기.
KR2019880018820U 1988-01-14 1988-11-19 면취기 KR9100085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03639U JPH0529774Y2 (ko) 1988-01-14 1988-01-14
JP63-3639 1988-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086U KR890016086U (ko) 1989-08-18
KR910008532Y1 true KR910008532Y1 (ko) 1991-10-25

Family

ID=1156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820U KR910008532Y1 (ko) 1988-01-14 1988-11-19 면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81857A (ko)
JP (1) JPH0529774Y2 (ko)
KR (1) KR910008532Y1 (ko)
DE (1) DE3900505A1 (ko)
GB (1) GB2213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2684A (en) * 1994-05-11 1996-06-04 Heck; Philip Chamfer cutting tool
US5423642A (en) * 1994-05-11 1995-06-13 Heck; Philip Chamfer cutting tool
US5871313A (en) * 1996-10-01 1999-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cise self-aligning chamfer method and apparatus
JP3707519B2 (ja) * 1998-03-26 2005-10-19 日東工器株式会社 面取り機
US7073423B2 (en) 2003-09-17 2006-07-11 Robotic Production Technology, Inc. Compliance device for trimming a workpiece
KR100955217B1 (ko) * 2010-02-12 2010-04-29 주식회사 대성지티 면취기의 원터치식 면취량 조절장치
CN102554328B (zh) * 2010-12-07 2013-10-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弧面铣削加工成型器
KR101259540B1 (ko) 2011-08-25 2013-04-30 이종일 가공용 면취기의 자동 이송장치
CN105642978A (zh) * 2014-12-01 2016-06-08 中航贵州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数控加工中插铣清角的方法
US20160311042A1 (en) * 2015-04-21 2016-10-27 Noga Engineering & Technology (2008) Ltd. Adjustable deburring tool and adapter therefor
US10730201B2 (en) * 2016-10-03 2020-08-04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Blade chamfer tools
DE202018106425U1 (de) * 2018-09-07 2018-12-05 WS Wieländer + Schill Professionelle Karosserie-Spezialwerkzeuge GmbH & Co. KG Kantenlöswerkzeug für Blech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2221A (en) * 1962-07-25 1964-12-22 Burl D Lacey Router attachment
US3212541A (en) * 1963-02-19 1965-10-19 Stanley Works Cutting guide
US3517712A (en) * 1967-03-23 1970-06-30 Ronald Selowitz Workpiece edge trimming device
US3628579A (en) * 1969-11-18 1971-12-21 Edward Noland Roche Plastic laminate trimmer
DE2719979A1 (de) * 1977-05-04 1978-11-09 Wolff Robert Fraes-vorsatzgeraet fuer heimwerker- bohrmaschinen
JPS58130774A (ja) * 1982-01-29 1983-08-04 Toyo Electric Mfg Co Ltd 直流直流変換制御方法
JPS6232707U (ko) * 1985-08-14 1987-02-26
JPS62100814A (ja) * 1985-10-28 1987-05-11 Toshiba Corp 自動制御監視装置
JPS62172167A (ja) * 1986-01-27 1987-07-29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81857A (en) 1989-11-21
JPH0529774Y2 (ko) 1993-07-29
GB2213750B (en) 1992-01-08
GB8900658D0 (en) 1989-03-08
GB2213750A (en) 1989-08-23
JPH01110011U (ko) 1989-07-25
KR890016086U (ko) 1989-08-18
DE3900505A1 (de) 1989-07-27
DE3900505C2 (ko) 199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532Y1 (ko) 면취기
JP2534814Y2 (ja) 卓上切断機のターンテーブル位置決め装置
RU2023546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даления заусенцев
KR920008845Y1 (ko) 면삭기
US3276101A (en) Adjustable cutting tool
JPH0639004B2 (ja) フライス
KR910007068Y1 (ko) 모떼기 기계
KR910008533Y1 (ko) 면취기(面取機)
US3981226A (en) Rotatable base unit for a router for trimming laminate plastics
JPH0529773Y2 (ko)
US4944121A (en) Coolant supply nozzle apparatus for slicing machine
KR930004392Y1 (ko) 면삭기
JPS5912406B2 (ja) 面取り装置
JPS5811101A (ja) 動力切断工具
JP3161225B2 (ja) 丸のこ
JP7356876B2 (ja) 面取り装置の装置本体、及び面取り装置
JP3893523B2 (ja) リニアガイド
KR200211005Y1 (ko) 회전식 홀더 장치
KR860000919Y1 (ko) 절삭 가공기의 다이헤드
JPS62157710A (ja) カツタ−装置
SU566676A1 (ru) Стружкодробитель
SU1450909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фас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вращени
GB2006651A (en) Rotary cutting tool
JPH10217203A (ja) 電動トリマ
JPS63888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