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212B1 - 압 축 기 - Google Patents

압 축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212B1
KR910008212B1 KR1019890003999A KR890003999A KR910008212B1 KR 910008212 B1 KR910008212 B1 KR 910008212B1 KR 1019890003999 A KR1019890003999 A KR 1019890003999A KR 890003999 A KR890003999 A KR 890003999A KR 910008212 B1 KR910008212 B1 KR 91000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iron
roller
slide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759A (ko
Inventor
다다시 이쯔까
가즈시 후꾸다
신 이시하라
야스오 가미쯔마
유사꾸 나까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9000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212B1/ko
Publication of KR90001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 축 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다공질 산화철피막과 산질화층의 단면 설명도.
제2도는 회전식 프레온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압축기구부의 A-A선의 단면도.
제4도는 산질화 처리품의 단면 X선 분석도.
제5도는 산질화후 스팀처리품의 표면의 금속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4000배 확대해서 촬영한 도면 대응사진.
제6도는 제5도의 시료의 단면 X선 회절도.
제7도는 제5도의 시료의 단면의 X선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5도의 표면의 X선 회절도.
제9도는 공정 흑연주철에 산질화처리후 스팀처리품의 표면의 금속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4000배 확대해서 촬영한 도면대응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용기 2 : 크랭크축
3 : 전동기부 4 : 압축기부
5 : 실린더 6 : 상부 베어링
7 : 하부 베어링 8 : 롤러
9 : 크랭크핀부 10 : 베인
10a : 베인선단부 11 : 베인홈
21 : 다공질산화철피막 22 : 경질산질화층
23 : 질소의 확산층 24 : 기판
본 발명은 룸에어콘이나 냉장고 등에 사용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성능, 고신뢰성의 회전식 압축기에 가장 적합한 내마모성 및 경제성을 구비한 철계 슬라이드부품의 재료 조합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룸에어콘이나 냉장고 등에 사용하는 압축기는 회전식, 왕복 운동식, 스크롤식, 스크류식 등 다종 다양한 것이 있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예로써 회전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식 압축기는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에 저어널베어링에 의해서 지지된 크랭크축, 이 크랭크축에 의해 편심회전되는 롤러와 이 롤러를 수납하는 실린더 및 이 실린더에 형성된 베인홈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마련된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베인선단부는 상기 롤러의 바깥둘레부에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접촉되어 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은 프레온가스가 용해된 냉동기 기름의 윤활조건하에서 프레온 가스의 압축동작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품은 적당한 윤활 조건 및 내마모성이 필요하게 되므로 종래의 압축기에서, 상부 베어링, 하부 베어링에는 조각형상의 흑연주철 또는 철계의 소결재, 크랭크축에는 공정 흑연주철 또는 구형의 흑연주철, 조작형상의 흑주철, 베인에는 고속강철, 실린더에는 공정 흑연주철 또는 철계의 소결재의 어느것이나 철계 슬라이드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들 구성부품의 조합으로써는 룸에어콘이나 냉장고 등의 고기능화에 대응할 수 있는 소형 고출력의 회전수 제어방식의 압축기에 있어서, 프레온으로 희석된 저점도 냉동기 기름의 윤활유막의 운전조건하에서는 고부하 저속운전이나 급속 시동 운전시에 기름막 파괴에 의한 금속접촉에 따른 소위 경계윤활영역이 발생하여 마찰계수나 마모량의 증대, 또는 마모분말이나 제작시의 미소한 이물질의 침입이 기름막 파괴를 가속화해서 압축기의 기계적 성능과 장기간에 걸친 신뢰성을 손상하는 것이 염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슬라이드 부품의 내마모성 강화를 도모한 종래예로써 다음에 기술하는 몇가지 예가 있지만 각각 장단점이 있고, 내마모성과 생산성을 겸해서 갖춘 가장 적합한 재료를 조합한 것은 발견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55-45958호는 주 철재의 실린더와 롤러 및 베인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연질화 처리한 철계의 소결합금의 조합으로한 회전식 콤프레셔가 있지만, 철계의 소결합금의 다공질재의 연질화처리에서는 빈구멍 내부에 우선적으로 질화반응이 진행하고, 형상의 변형이 크게 되어 치수 수정가공이나 염기의 부착을 제거하기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고, 더 나아가서는 빈구멍과 질화물이 노치작용으로 되므로 피로강도가 기계적강도가 낮다는 것 때문에 소형 고출력의 고성능 압축기의 구동부품으로써는 불충분하였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0-73082호에서는 실린더 내면에 철계산화물을 10 내지 40체적% 함유하는 철계의 소결합금이고, 회전자 및 베인은 마르텐사이트를 다시 굽는 것에 의해 생성한 바닥중에 금속탄화물 및 금속산화물이 분산하고, 또한 질소가 상기 바닥중에 고용하고 있는 철계의 소결합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합금성분으로서 철, 크롬, 탄소, 니켈, 구리, 몰리브덴을 규제하여 모두 소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지만, 소형고출력, 고기능, 고성능의 압축기의 베인재로써는 기계적강도, 피로강도의 면에서 용제재료의 종래 재료에 비해서 앞서의 예와 마찬가지로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한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2-13784호에서는 크랭크 축에 시안산알칼리 금속염을 주체로 하는 염기에 침지해서 황화철을 포함하는 질화철의 다공질층, 그 아래층에 질화철의 합금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있지만 독성이 높은 염성분이 크랭크축의 중공부나 기름구멍에 들어가 세척후의 찌꺼기가 남기 쉽고, 또 주철중의 흑연속으로 침투하므로 처리후의 분출물로써 문제로 되므로 세척을 강화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고, 또 세척한 폐액을 무공해화하는 처리가 필요하게 되고, 이 공정이 생산성, 경제적효과를 현저하게 악화시키는 것이다. 또, 염질화처리를 한 경우의 크랭크축의 면의 거친 정도가 비교적 크게 되므로 압축기 구성부품과 같이 수마이크로미터의 치수 정밀도 관리를 필요로 하는 정밀부품에 대해서는 처리후 치수를 확보하기 위한 수정가공를 필요로 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프레온과 냉동기 기름의 공존하에서의 슬라이드부재의 조합에 있어서 열안정성에 대해서는 유황이 스며든 질화층의 황화철성분이 프레온의 분해 생성물인 염산과 반응해서 용해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고온에서의 사용환경 조건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의 것으로 소형, 고출력의 고성능 압축기에 대해서 충분한 성능을 갖고 있는 슬라이드부재의 가장 적합한 조합으로 된 것을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종래 기술은 소형 고출력의 고성능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고강도의 슬라이브부품에 대해서 충분한 기계적강도, 프레온으로 희석된 저점도의 냉동기 기름에 의한 경계윤활조건에 있어서 충분한 기름유지성, 일치성, 내마모성과 부착한 염성분의 세척문제, 치수마무리가공등의 복잡한 다음 공정에 대한 생산효율 등의 모두를 만족시키는 점에 있어서 배려되지 않고, 프레온을 사용하는 압축기로써는 소형 고성능화에 대한 슬라이드재료의 고강도화, 압축기의 기계손실이나 용적효율 등의 기계적 성능의 강화, 장기간의 운전에서의 신뢰성의 향상 및 생산원가 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슬라이드재료의 강도와 경제적 특성을 갖는 종래의 용제재료의 강철이나 주철의 철계 슬라이드부품의 표면층에 암모니아가스, 공기, 수증기에 의해 다공질의 산화철피막과 산질화층을 형성해서 상기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압축기의 소형, 고성능화, 기계적 성능의 향상, 장기간의 신뢰성의 향상, 생산성 효과의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압축기를 구성하는 조각형상의 흑연주철, 공정흑연주철, 구형의 흑연주철, 고속강철 등의 종래의 용제철계의 슬라이드재료로 만들어진 크랭크축, 롤러, 베인 등을 암모니아가스와 0.5 내지 5%의 공기를 갖는 혼합가스중에서 450∼650℃에서 산질화처리하여 먼저 표면층에 입자형상의 질화철과 산화철을 혼합하는 산질화층을 마찬가지로 형성하고, 또 300∼800℃의 스팀처리를 실행해서 이 입자형상의 산화철 부분을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기의 나쁜 윤활조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그물눈형상의 다공질이 화학적으로 안정된 사삼산화철피막을 0.1∼10μ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표면층 부분에 얇고, 똑같이 처리하기 위해서는 빈구멍을 갖지 않는 치밀한 용제재료나 이것과 같은 밀도를 갖는 액상의 소결합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다공질의 바닥의 철계의 소결금속에서는 오히여 내부에까지 확산, 침투해서 내부왜곡을 발생시켜 기계적강도의 저하나 면의 거칠음도, 치수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새집모양이나 빈구멍의 결함부를 실질적으로 5%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압축기의 슬라이드부품의 표면에 형성시킨 다공질의 산화철피막과 아래층의 산질화층은 상대측의 철계 슬라이드부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있다.
(1) 거칠은 경계윤활조건에서, 프레온을 용해한 저점도의 냉동기 기름이 다공질층에 유지되고, 또 기름의 침투작용에 의해 기름막 파괴의 회복작용이 빨라 기름막 유지능력이 우수하다.
(2) 다공질의 산화철피막은 상대측의 슬라이드면의 형상에 따라 소성유동(plastic flow)해서 잘 적응하여 밀착하기 쉬우므로, 실질적으로 슬라이드면의 압력을 경감하는 작용이 있다.
(3) 사삼산화철을 주체로 하는 산화철피막은 상대측의 철기판에 대해서 고체의 용해(solid solution)나 확산이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상대측의 슬라이면에 대해 비융착성 비소결부착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사삼산화철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므로, 압축기가 고온조건에서 동작하여도, 냉동기 기름의 질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부식마모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5) 아래층의 경질 산질화층은 주철에서는 철과 질소와 산소의 합금층을, 고속강철에서는 질화철을 분산한 질소확산층을 형성하고, 모두 경질로써 다공질의 산화철과의 밀착성을 가져서 균열방지작용을 한다. 금속접촉시의 마모분말이나 조립시에 침입하는 미소한 경질의 이물질이 슬라이드면 사이에 혼입한 경우에도, 처리되지 않은 상대측 슬라이드부품의 철기판면에 이물질을 매설시키므로, 다공질 산화철피막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유에 의해 압축기의 경계윤활조건이 거칠은 상태하에서도 슬라이드재료사이의 소결부착성, 융착성, 내마모성,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압축기로써의 기계적 성능과 장기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표면성 개선법은 종래의 저렴한 용제재료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처리층의 박층화에 의해 표면의 거칠음도 형상치수의 변화를 작게 억제하고, 치수 수정가공이나 염에 침지하는 것과 같은 세척이나 무공해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하여 부품단가, 나아가서는 압축기의 생산원가의 경제적 효과가 얻어진다. 이들 효과는 프레온을 사용하는 압축기중 구동계의 철계 슬라이드부재, 특히 고속강철에 사용한 베인, 공정(공융 혼합물) 흑연주철, 조각형상의 흑연주철 또는 구형상의 흑연주철 등으로 구성하는 롤러나 크랭크축에 본 발명의 표면처리를 실행하여 고정계의 철계 소결재료 또는 주철성의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과 조합한 경우에 큰 개선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전식 압축기를 그 종단면도인 제2도 및 횡단면도인 제3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중 (1)은 밀폐용기, (2)는 크랭크축, (3)은 전동기부, (4)는 압축기부이다.
압축기부(4)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5), 상부 베어링(6), 하부 베어링(7), 롤러(8), 크랭크축의 핀부(9) 및 베인(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축(2)는 상부 베어링(6)과 하부 베어링(7)에 의해 저어널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크랭크축핀부는 저어널베어링이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롤러(8)에 편심회전을 부여한다. 롤러(8)을 수납하는 실린더(5)에 형성된 베인홈(11)과 선단부가 상기 롤러(8)의 바깥둘레면에 각각 슬라이드할 수 있게 접촉시킨 베인(1)은 1방향, 또는 왕복의 스러스트베어링이 슬라이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의 슬라이드부품은 최근 룸에어콘이나 냉장고에서의 소형화, 고기능화에 따라서 회전수 제어방식으로 되고, 저속에서 고 속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운전된다. 특히, 크랭크축의 핀부(9)와 롤러(8), 실린더(5)의 베인홈부(11)과 베인(10), 베인의 선단(10a)와 롤러(8)의 조합에서 경계윤활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종래의 강철이나 주철로 되는 철계의 슬라이드부품에서는 기름유지성, 일치성을 수반하는 내마모성이 부족하고, 또 종래의 표면처리예에서는 소재의 기계적강도특성, 내마모성, 생산성 등의 효과가 부족하여 헌실성이 없다는 문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종래 재료인 치밀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용제재료로 되는 철계의 슬라이드부품의 표면에 수마이크로미터의 사삼산화철을 주체로 하는 다공질의 산화철 피막과 그 아래층에 경질의 산질화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경계윤활조건에서도 기름막의 파괴를 개선하는 효과가 크며, 다음에 기술하는 것에 의해 그 효과가 확실하다. 본 발명의 표면층 단면구조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한다.
바닥의 경질의 산질화층(22)는 용제의 강철 또는 주철을 슬라이드부품 형상으로 정밀가공한 후 0.1 내지 5%의 공기를 포함하는 암모니아가스중에서 450∼650℃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질화와 산화가 섞여있는 경질의 산질화피막이 형성된 것이고, 또 표면은 스팀처리로 온도를 400∼800℃로 관리하는 것에 의해 그물눈 형상의 다공질의 사삼산화철을 주체로 하는 산화철막(21)을 융기상태로 형성할 수가 있다. 기판(24)와의 경계면에는 질소의 확산층(23)이 생성된다.
먼저, 대표적인 실시예로써 종래 재료인 용제의 고속강철 SKH51에 대해서 설명한다. SKH51용제재료를 JIS(일본공업규격)의 표준의 열처리에 의해 담금질, 다시굽은 것에 의해 품질을 조정한 베인을 공기 4%가 포함된 암모니아가스중에서 540℃, 40분간 처리하면 제4도에 도시한 단면의 X선 분석 및 제6도에 도시한 표면층 X선 회절상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표면층에 입자형상의 산화철을 포함하는 산질화물이 생성되고, 또 450℃의 스팀중에서 30분간 처리하면 입자형상의 산화철이 팽창해서 제5도의 표면사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물눈형상의 다공질의 사삼산화철이 형성되는 것을 제7도의 X선 분석 및 제8도의 X선 회절상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기는 사삼산화철을 주체로 하는 산화철막의 경도를 마이크로비커스 경도로 나타내면 HMV300∼600, 아래층의 산질화층은 HMV600∼1300으로 높고, 상대측으로 되는 무처리의 철계 슬라이드 부재의 경도인 HMV300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또 압축기와 같이 동일한 슬라이드를 반복슬라이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초기에 상대의 슬라이드면의 형상에 맞추어서 가소성 유동하고, 또 미소한 경질의 이 물질에 대해서는 상대측에 매설해서 실질적인 밀착상태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초기일치성(initial fitness property)이라 한다. 이 초기일치성에 의해 슬라이드하는 면의 압력이 경감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크랭크축 재료인 공정흑연주철 FCE20에 대해서 산질화처리후 스팀처리를 행한 경우의 표면형상을 제9도에 도시한다. 여기서도 다공질의 산화철피막이 얻어지고, 프레온 113을 70%, 나프텐계광유를 30% 혼합한 액중에서 수직으로 세워 액체의 침투높이를 비교하면 무처리품에 비해서 모세관작용에 의해 30 내지 50% 높게 침투한다. 즉, 다공질부분이 기름막을 유지하고, 또 막파괴를 일으켜도 신속하게 기름막을 회복시키는 능력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내마모성, 응착성, 소결부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 표면에 형성한 사삼산화철은 상대의 철계 슬라이드부분에 대해서 고용체나 확산성을 갖지 않으므로, 응착이나 소결부착현상을 좀처럼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식성, 내유냉매성, 즉 고온으로 손상되는 마찰 슬라이드면에서 피막이 안정된다.
이하, 압축기의 철계슬라이드부품의 표면에 실행한 다공질의 그물눈형상의 사삼산화철피막과 산질화층의 조합처리품의 내마모성에 관한 실용특성을 무치러품의 종래예와 대비해서 개재한 표 1로 설명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여기서의 내마모성 실용평가는 회전식압축기의 실용조건에 근사시키기 위해서 프레온 12CCl2F2나 프레온 22CHClF2와 같은 특성을 갖는 프레온 113C2Cl3F3을 용해해서 저점도화한 나프텐계 냉동기 기름중에서 주속도 5.7m/s, 하중 75Kgf/cm2의 조건에서 강제적으로 경계윤활로한 스즈끼식 마모시험기로 실험하여 원통형의 시험조각의 마모량, 마찰계수, 마찰면의 형태에 의해 판정한 것이다.
실시예 1의 베인재료인 고속강철 SKH51의 산질화스팀처리 재료와 실린더재료인 공정흑연주철 FCE20의 조합에서는 종래에 1의 미처리 조합재료에 비해서 베인의 마모량이 무처리품의 1/2, 마찰계수가 1/6, 실린더측의 마모량에서는 1/100로 되고, 마모의 형태도 응착형에서 정상의 연마재 마모로 개선할 수 있어 내마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상술한 다공질 그물눈 형상의 산화철피막과 산질화층의 기름유지성, 일치성, 비응착성, 비소결부착성의 특질에 의해 연질(HMV 약 200)의 실린더 공정 흑연주철 FCE20의 내마모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 2의 베인재료인 고속강철 SKH51의 산질화 스팀처리 재료와 품질이 조정된 롤러고정흑연주철 FCC25재료(여기서, 품질조절(qualiy-adjusted)이란 강철의 결정입자를 미세하게 하여 재질을 조정하고, 점성, 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의 조합에 있어서도 종래예 2의 무처리재료의 조합에 비해서 롤러재료의 마모를 1/100, 마찰계수를 1/4로 경감하여 마모형태를 응착해서 정상적인 연마재로 개선하였다. 이것도 상술한 예와 같은 이유에 의한 개선효과이다.
다음에 크랭크축 공정흑연주철 FCE20과 대표적인 저어널베어링을 구성하는 품질조정된 롤러 FCC25재료의 조합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예 3의 인산망간 처리품에 비해서 축재료의 마모량을 1/100로 경감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A의 용해유입의 질화처리품에 비해서 다공질층의 탈락이 적고, 초기마모량으로써 1/2의 값으로 수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질의 산화철피막과 산질화처리품이 마모량과 마찰계수에 있어서 비약적으로 개선된 이유로써 프레온 용해의 저점도 윤활유가 다공질 산화철피막에 흡착해서 기름유지성, 일치성을 발휘하여 기름막 파괴에 의한 슬라이드면의 응착성, 소결부착성을 방지하고, 또 미량의 마모분말이나 경질의 미세한 이물질의 혼입에 대해서 충분한 경도를 갖는 산질화층의 기계적강도와 기판 및 산화철피막에의 밀착성이 다공질 산화철 피막의 손상를 방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치수안정성에 관해서는 면의 거칠음도를 Rmax 0.5μm로 마무리한 고속강철을 유황침투 질화처리와 산질화처리로 같은 시간에 처리한 결과, 면의 거칠음도는 전자가 Rmax 2.5μm, 후자가 Rmax 1.0μm로 되어 산질화처리쪽이 면의 거칠음도가 적고, 치수수정후 가공을 하지 않고 그대로 실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나중공정의 생략에 의해 경제적효과를 도모할 수가 있다.
다음에 산질화 처리품과 스팀처리피막품의 프레온 12와 나프텐계 냉동기 기름의 열안정성을 평가하면 표 2와 같이 된다. 즉, 산질화처리후 스팀처리를 실행한 것은 무처리품 및 유황침투 질화처리품에 비해서 기름의 색상변화, 냉매계의 분해율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고온시에서의 사용에 대해서 신뢰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2
× : 변색이 크다, ○ : 변색이 중간, △ : 변색이 근소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를 구성하는 철계의 슬라이드부품의 표면에 다공질의 산화철피막과 그 아래층에 표면과의 밀착성이 좋은 경질의 산질화층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프레온에 의해 희석되어서 저점도화한 윤활유막 파괴의 상태와 이물질 혼입등의 이상운전에 있어서도 기름막의 유지성, 침투성이나 산화철의 비응착성, 비소결부착의 특성 등에 의해 마찰계수를 1/4 내지 1/6로, 마모량을 1/100이하로 경감시키는 효과가 크고, 압축기로써의 기계적 성능 및 장기간 운전에서의 신뢰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표면처리는 종래의 저렴한 용제철계 슬라이드 부품의 표면에 간단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고, 염을 사용하는 연질화나 유황침투질화에서 볼 수 있는 나머지 염의 세척공정이나 무공해화처리, 또 치수수정가공의 공정을생략할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하여 경제적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프레온를 압축하는 왕복운동식 압축기, 회전식 압축기, 스크롤식 압축기, 스크류식 압축기, 경사판식 압축기 등을 구성하는 모든 압축기의 철계의 슬라이드 부품의 조합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실린더(5), 이 실린더내에 편심해서 배치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8), 상기 롤러를 회전구동하는 크랭크축(2), 상기 롤러와 슬라이드 접합하는 베인(10)을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상기 롤러, 상기 크랭크축 및 상기 베인중의 적어도 하나가 철계의 용제재료제의 부재로 되고, 상기 하나의 부재의 슬라이드 접촉면에 다공질의 산화피막(21)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산화피막의 내측에 산질화층(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8)은 상기 크랭크축(2)의 크랭크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또 상기 베인(10)은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베인홈(11)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한쪽끝에서 상기 롤러의 바깥둘레면에 슬라이드 접합하고 있는 압축기.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의 산화피막(21)의 주성분은 사삼산화철인 압축기.
  4.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재는 고속도 강으로 되는 베인(10)인 압축기.
  5.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10)에 슬라이드 접합하는 상기 실린더(5)는 주철로 되는 압축기.
  6.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에 슬라이드 접합하는 상기 롤러(8)은 주철로 되는 압축기.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재는 주철로 되는 축(2)인 압축기.
  8.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2)에 슬라이드 접합하는 상기 롤러(8)은 품질이 조정된 주철로 되는 압축기.
KR1019890003999A 1989-03-29 1989-03-29 압 축 기 KR91000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3999A KR910008212B1 (ko) 1989-03-29 1989-03-29 압 축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3999A KR910008212B1 (ko) 1989-03-29 1989-03-29 압 축 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759A KR900014759A (ko) 1990-10-24
KR910008212B1 true KR910008212B1 (ko) 1991-10-11

Family

ID=1928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999A KR910008212B1 (ko) 1989-03-29 1989-03-29 압 축 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61B1 (ko) * 2000-12-26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759A (ko) 1990-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663A (en) Rotary compressor having oxidizing and nitriding surface treatment
KR100398563B1 (ko) 회전압축기 및 그 제조 방법
US5087181A (en) Sliding structure such as compressor or the like
JP2842421B2 (ja) 圧縮機の鉄系摺動部品及びこれの表面処理方法と圧縮機
JP2002161856A (ja) シャフトおよびシャフトの製造方法
EP3546749B1 (en) Refrigerant compressor and freezer including same
KR910008212B1 (ko) 압 축 기
JPH0436549A (ja) 摺動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周波数可変型冷媒圧縮機
JP2825334B2 (ja) 圧縮機
KR950005325B1 (ko) 베인 재료 베인 및 베인 생산 방법
JP2809763B2 (ja) 摺動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縮機
KR0125768B1 (ko) 베인 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4996214B2 (ja) 冷媒圧縮機
US6174087B1 (en) Friction bearing
JP2821225B2 (ja) 摺動構造物とそれを用いた圧縮機及び製造法
JP2001342981A (ja) ロータリ圧縮機
JPH0436458A (ja) 摺動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周波数可変型冷媒圧縮機
JPH0551708A (ja) 圧縮機用耐摩耗材料およびその材料を使用した圧縮機
JPH02248676A (ja)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JPS6213784A (ja) ヒ−トポンプ式ル−ムエアコン
CN113833745B (zh) 摩擦副组件、气浮轴承组件和空气压缩机
JPH1113668A (ja) ロータリ圧縮機
JP2686244B2 (ja) 回転式冷媒ガス圧縮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17665A (ja) 摺動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88294A (ja) ロ−タリコンプレツサのブレ−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