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95B1 - 그랜드피아노의머플러장치 - Google Patents

그랜드피아노의머플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95B1
KR910008095B1 KR1019850003300A KR850003300A KR910008095B1 KR 910008095 B1 KR910008095 B1 KR 910008095B1 KR 1019850003300 A KR1019850003300 A KR 1019850003300A KR 850003300 A KR850003300 A KR 850003300A KR 910008095 B1 KR910008095 B1 KR 91000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pipe
connector
muffler pipe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534A (ko
Inventor
히로요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니뽄 가끼 세이즈 가부시끼가이샤
가미야 마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끼 세이즈 가부시끼가이샤, 가미야 마끼 filed Critical 니뽄 가끼 세이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4Repetition [tremolo] mechanis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2Actions specially adapted for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그랜드 피아노의 머플러(muffler)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머플러(muffler)장치의 일례로 제공된 그 관력부분과 액션(action) 기구의 부분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난 머플러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머플러 장치와 관련된 발음기구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에서 발생되는 음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 머플러(muffler)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랜드 피아노로 약음연주를 할 때, 일반적으로 해머(hammer)에 의하여 타현된 현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액션(action)기구와 함께 키(key)를 움직이는 것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3개현을 타격하는 경우에 3개중 2개의 현만이 약음연주를 위해 타격된다. 그러나 이 종래 구조로, 키와 액션 기구의 횡방향 이동을 위하여 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페달과 레보기구의 사용은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고, 부품수를 증가시킨다.
그러한 결점을 피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보 소화 45-22294는 어프라이트 (upright) 피아노에서처럼, 머플러가 해머에 의하여 타현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해머의 열과 현의 일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머플러를 설치하기 위하여 타현위치의 앞에 머플러가 배열되기 때문에 큰 공간이 필요하였다.
그러한 배열은 액션 기구로 신중히 조정하여야 한다. 횡으로 배열된 머플러의 전후이동은 불가피하게 약음효과를 더 낮추는 머플러의 약간의 강성을 요구한다. 그러한 정도의 강성에도 불구하고, 수평 배열된 머플러는 변형되기 쉽다. 머플러의 수평이동은 그것의 드라이브(drive)기구의 복잡한 구조를 요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머플러 장치를 제공하고 그 약음효과를 감하지 않고 설치하기 위하여 감소된 공간을 요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최소한 한 개의 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 머플러 파이프 피아노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현의 열 아래 배열되고, 머플러가 현의 열과 해머의 열사시에 놓여진 약음연주를 위한 오퍼레이티브(operative) 위치와 일반연주를 위한 인오퍼레이티브(inoperative) 위치 사이에 이동을 위한 머플러 파이프에 붙여진다. 액션기구와, 본 바려않으면 안 되에 따라서 머플러장치로 제공된 그랜드 피아노의 그 관련된 부분이 제1도에 나타나 있고, 키 프레임(key frame)(2)이 키 베드(key bed)(1)상에 배열되고, 키(3)가 키 프레임(2)상에 배열된다. 키 프레임(2)은 프론트 레일(front rail)(2a), 밸런스 레일(balance rail)(2b), 백 레일(back rail)(2c)와 이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키 보텀(key bottom)(2d)으로 이루어졌다.
프론트 핀(front pin)(4)은 키(3)의 좌우방향의 회동을 막기위하여 프론트 레일(2a)상에 배열되고, 밸런스 핀(balance pin)(5)은 키 (3)의 중간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밸런스레일(2b)상에 배열된다.
키(3)의 후단부 상방으로, 관련된 현(7)을 대응하는 종래 주지의 액션기구(6)가 배열되었다. 액션기구(6)는 플랜지(flange)(9)를 통하여 와이픈 레일(wippen rail)(8)의 일측에 회동자재하여 추지되고, 키(3)가 내리 눌러졌을 때, 캡스턴 (capstan)에 의하여 토스(toss)된 와이픈(11), 와이픈(11)의 유단(遊端)으로 회동자재하여 추지된 잭(jack)(12), 와이픈(11)상에 설치된 플랜지(13)의 상방에 회동자재하여 추지된 리피트션 레버(repetition lever)(14), 상기 리피티션 레버(14) 위에 해머 롤러(19)를 통하여 배열되고, 생크(shank)플랜지 레일(15)의 일단에 회동자재하여 추지된 해머 생크(20), 해머 나무(17)를 통하여 해머싱크(20)의 유단에 부착된 해버펠트(18), 그리고 잭(12)와 리피티션 레버(14)에 복귀습성을 부여하기 위한 리피티션 스프링(21)을 포함한다. 와이픈 레일(8)과 생크 플랜지레일(15)은 둘다 키 프레임(2)의 액션 브래킷(24)상에 배열된다. 레귤레이팅 버튼(regulating button:조절버튼)(22)도 생크 플랜지 레일(15)상에 배열된다.
잭(12)은 해머롤러(19)를 토스하고, 리피티션 레버(14)와 함께 위로 움직인다. 이동중, 잭(12)은 레귤레이팅버튼(22)을 건드리고,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며, 리피티션 레버(14)가 해머롤러(19)의 하부 일단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이탈된다. 해머롤러(1)가 잭(12)에 의하여 토스될 때, 해머생크(20)는 해머팰트(felt)(18)가 후레임(25) 상부의 튜닝핀(tunning pin)(26)가 프레임 핀(도시된 않음) 사이의 텐션 (tension)으로 배열된 관련 현(7)을 타현할 것이므로 위로 돌아간다.
주지의 댐퍼 기구(30)는 키 디프레션(key depression)에 관련하여 키(3)의 후방에 배열된다. 댐퍼기구(30)는 관련된 키의 자유진동을 억제하기에 적합하고, 댐퍼레버(31), 하부단에서 댐퍼레버(31)의 전단으로 피보우트(pivote)된 댐퍼선(32), 댐퍼선(32) 위에 설치된 댐퍼(33)로 이루어진다. 키 디프레션시, 댐퍼레버(31)는 관련된 키(3)의 후단에 의하여 토스되며, 댐퍼레버(31)와 댐퍼선(32)으로 연결된 댐퍼(33)가 관련된 현(7)과 함께 이간(離間)되도록 위로 올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인 머플러장치는 상기 언급된 댐퍼기구(30)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제2도와 제3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머플러장치(40)는 헤머펠트(18)의 약간 후단과, 현(7)의 열 아래위치에 모든 현(7)에 수평으로 그리고 측면으로 연장된 머플러 파이프(41)에 착설되며, 머플러 파이프(41)의 양 끝은 서포트(support) 판(42)에 착설된 브래킷(43)에 회전할 수 있도록 축설되며, 서포트판(42)은 중간 후레임(44)에 고정된다. 가죽, 팰트 또는 부직포등과 같은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진 머플러(45)는 머플러 파이프(41)에 끝단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머플러(45)가 결합된 머플러 파이프(41)의 일단에는 첨부도면 제3도와 같이 코넥터(48)를 삽착하여 그 코넥터(48)에 의하여 유지된 마그네트(49)를 포함하는 발음기구(47)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플러(45)가 머플러 파이프(41)를 축으로 회전할 때, 머플러 파이프(41)에 축착된 마그네트(49)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브래킷(braket)(43)의 상부와 하부면에 흡착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49)가 첨부도면 제3도의 C와 같이 브래킷 (43)의 상면에 흡착되면 끝단이 머플러 파이프(41)에 고정된 머플러(45)는 B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마그네트(49)가 d와 같이 브래킷(43)의 하면에 흡착되면 머플러(45)는 A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머플러(45)의 위치를 선택하는 스위치 노프(Knob)(51)는 브래킷 (50)과 스프링(53)을 통하여 키 베드(bed)(1)의 저면에 설치되어 머플러장치(40)의 코넥터(48)와 스위치 노브(51)가 와이어(wire)(52)로 연결되며, 스프링(53)의 탄발력은 항상 코넥터(48)쪽으로 스위치 노브(51)를 밀고 있다.
결과적으로 마그네트(49)는 일반연주를 하기 위하여 스위치 노브(51)를 당기면 마그내트(49)가 브래킷(43)의 하면에 제3도에서 d와 같이 흡착되어 머플러(45)가 A위치에 유지된다.
약음연주를 위하여, 스위치노브(51)를 밀면 코넥터(48)가 제3도에서 c와 같이 회전할 것이며, 이로 인하여 머플러(45)가 현(7)과 해머팰트(18) 사이의 제1도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수동적으로 밀려진다. 이 상태하에 키(3)를 누르면, 관련된 해머생크(20)가 머플러(45)를 통하여 관련된 현(7)을 타현하기 위하여 액션기구(6)의 동작에 의하여 위로 올려진다. 이 간접타현에 의하여 약음이 발생된다. 이때 마그네트(49)의 자력 때문에 스위치 노브(51)는 밀려진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일반연주와 약음연주 사이의 스위칭은 스위치노브(51)의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시행될 수 있다. 스위치노브(51)가 연장된 와이어(52)를 통하여 코넥터(48)에 연결되므로, 설치위치는 매우 용이하게 선택 될 수 있다. 머플러(45)가 일반적으로 관련된 해머뒤에 놓여지므로 조정으로 그 형태가 간섭받지 않고. 액션기구 (6)가 설치된다. 스위칭은 매 스위칭마다 발음기구(47)에 의하여 발생된 크릭크에 의하여 청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발음기구(47)에 설치된 마그네트(49)의 자력 때문에 스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연주중 기대하지 않는 스위칭이 일어나지 않는다.
비록 마그네트(49)가 전기 예의 경우에서 모든 현(7)위에 연장될지라도, 분리 머플러 파이프는 다른 현무리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머플러 파이프의 배열은 고음부의 현에 대하여 생략될 수 있다. 적절한 플랜지은 머플러의 설치를 위하여 머플러 파이프의 길이를 따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머플러(45)에서 컷아우트(cutout)(46)은 머플러(45)에 대한 두께와 물질의 적절한 선택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전기예의 경우에서, 스위치노브(51)는 와이어(52)에 의하여 코넥터(48)에 연결된다. 무릎레버 또는 발 페달은 스위치노브(51)에 대한 대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소자는 머플러 파이프(41)에 직접 연결된다. 와이어(52)도 로드(rod) 또는 링크(link)기구로 대치될 수 있다. 더구나, 와이어(52)의 일단은 머플러 파이프에 걸린 피니온(pinion)으로 교합(皎合)하는 랙크(rack)에 연결될 수 있다. 랭크기구는 힘의 전달에 삽입되어질 수 있다.

Claims (5)

  1. 피아노의 폭 방향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현(鉉)의 열 아래에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열된 최소한 한 개의 머플러 파이프(muffler pipe), 약음연주를 위하여 해머의 관련된 열과 현의 열 사이에 놓여진 오퍼레이티브(operative) 위치와, 일반연주를 위한 인오퍼레이트브(inoperative) 위치 사이에 머플러 파이프의 축 회전상에서 움직일 수 있고, 머플러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된 머플러, 그 위에 수동동작으로 축회전에 대한 머플러 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 모든 그랜드 피아노(grand piano)의 머플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머플러 파이프가 해머의 열 뒤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머플러 파이프로 연결된 코넥터, 코넥터의 일단에 연결된 와이어(wire), 그리고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된 수동동작할 수 있는 스위치 노브(swich kno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장치.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머플러 파이프가 머플러 파이프의 축 회전상에서 크릭크(click) 하는 발음기구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장치.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발음기구가 코넥터로 세워진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장치.
KR1019850003300A 1984-05-15 1985-05-14 그랜드피아노의머플러장치 KR91000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69793(U) 1984-05-15
JP?59-069793 1984-05-15
JP6979384 1984-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534A KR850008534A (ko) 1985-12-18
KR910008095B1 true KR910008095B1 (ko) 1991-10-07

Family

ID=1341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300A KR910008095B1 (ko) 1984-05-15 1985-05-14 그랜드피아노의머플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10008095B1 (ko)
FR (1) FR2564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3489B1 (fr) * 1989-02-22 1993-10-15 Guyon Vincent Mecanisme pour piano dro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809C (de) * H. SCHANZENBACH in Stuttgart, Johannisstrafse 20 III Neuerung an Schalldämpfern für Pianinos
FR341926A (fr) * 1903-02-07 1904-08-23 Emile Passard Sourdine progressive basculante pour pianos
US3640171A (en) * 1970-02-06 1972-02-08 John W Giglio Tone modifier and muffler for piano
JPS57150892U (ko) * 1981-03-19 1982-09-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64628A1 (fr) 1985-11-22
FR2564628B1 (fr) 1986-12-12
KR850008534A (ko) 198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3753A (en) Muffler mechanism for a piano
JP3456243B2 (ja) 平形鍵盤楽器
JP3430638B2 (ja) 鍵盤楽器
JP3671814B2 (ja) 鍵盤楽器のジャック脱進調整装置、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463365B2 (ja) 鍵盤楽器
JPH07219522A (ja) 鍵盤楽器
US4161129A (en) Modified piano striking mechanism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EP0655727A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movable key bed for performing music without acoustic sounds
US3640171A (en) Tone modifier and muffler for piano
US5528969A (en) Damper unit for a piano
US7164071B2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KR910008095B1 (ko) 그랜드피아노의머플러장치
JP2570704Y2 (ja) 鍵盤楽器
JP3292164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3651732A (en) Piano actions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4572092B2 (ja) 音色変更装置、及び、音色変更装置を備えたピアノ
JPH068635Y2 (ja) グランドピアノのマフラ−装置
JPH0543119B2 (ko)
JPH068636Y2 (ja) グランドピアノのマフラ−装置
JP3598571B2 (ja) 鍵盤楽器
JPH05211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