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41B1 - 폴리불화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및 그의 윤활첨가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불화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및 그의 윤활첨가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41B1
KR910007941B1 KR1019880007384A KR880007384A KR910007941B1 KR 910007941 B1 KR910007941 B1 KR 910007941B1 KR 1019880007384 A KR1019880007384 A KR 1019880007384A KR 880007384 A KR880007384 A KR 880007384A KR 910007941 B1 KR910007941 B1 KR 91000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radical
polyfluorinated compounds
carbon atoms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404A (ko
Inventor
제르마노 로르
에르망 마르끄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아또샹
쟝 르블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아또샹, 쟝 르블랑제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아또샹
Publication of KR89000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229/1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1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to carbon atoms of acyclic carbon skelet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133/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33/08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15/04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Alkoxylate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ubricant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불화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및 그의 윤활첨가제로서의 용도
본 발명은 불화된 생성물의 분야 및 윤활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윤활제용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유용한 신규의 불화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그들의 마모방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윤활제내에 어떤 유기불소 유도체를 혼입시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520, 377호에는, 폴리불화된 쇄를 갖는 아민 또는 아미노 알코올의 혼힙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윤활제 조성물이 얻고자 하는 탁월한 마모방지성 및 탁월한 마찰 감소력을 지닐 수 있도록 하지만, 그 사용은 종종 이들 화합물의 높은 휘발성으로 인해 제한되며, 이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윤활제 조성물의 효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이르러 상기 결점은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불화된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중, RF는 과불화된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직쇄 또는 측쇄의 퍼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X는 결합 - (CH2CF2)a(CH2)b-, -CF=CHCH2- 또는 -CFHCH2CH2-를 나타내며, a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범위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4범위일 수 있는 정수이지만 a가 0 이외의 것일때 2이며,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R3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4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에서, 좀더 특히 바람직한 것은 RF가 탄소원자수 6 내지 16의 직쇄의 퍼플루오로 알킬 라디칼이고, X가 결합 -CH2CH2-,-CF=CHCH2- 또는 -CFHCH2CH2-이며, R1및 R2가 수소 원자이고, R3가 탄소원자수 8 내지 18의 알킬 라디칼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식(I)의 단일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특히, 상이한 기 RF, X 및/또는 R3를 갖는 화합물의 산업용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일반식(I)의 화합물들은 하기 일반식(II)의 아미노 알코올을 하기 일반식(III)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축합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2
상기식중, 기호 RF, X, R1,R2및R3는 상기한 바와같다.
비-불화된 아민의 α,β-불포화된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에의 첨가는 오랜동안 공지되어 왔다(예를들어, 문헌 : J.Chem.Soc., 1970, p.343 및 469 및 J.Amer.Chem. Soc., 1949, 2533). 이러한 공지의 방법은 일반식(II)의 아미노 알코올을 일반식(III)의 에스테르와 축합할 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이 축합은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이룰 수 있다. 용매의 부재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된에스테르 및 아미노 알코올에 대한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이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저분자 질량(C1∼C4)알코올이지만, 또한 에테르류, 니트릴류 및 이들의 혼합물(특히 에테르/아세토니트릴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축합은 촉매의 부재상태에서 만족스럽게 일어나지만, 그 반응은 아세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촉매의 첨가로 가속될 수 있다.
상기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II) 및 에스테르(III)는 일반적으로 거의 등몰량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낮은 비점을 갖는 에스테르(III)(예를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반응을 위한 용매로서 과량의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미노 알코올의 몰당 5몰 이하의 범위일 수 있는 상기 과량의 에스테르는 반응후 대기압에서 또는 진공하에서 증류제거한다.
R3가 장-쇄(C5∼C24)알킬 라디칼인 일반식(I)의 화합물은 또한 R3가 저급 (C1∼C4)알킬 라디칼인 일반식(I)의 화합물로부터, 장-쇄 알코올을 사용하는 후자의 에스테르 교환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양상에 따르면, 아미노 알코올(II)와 에스테르(III)와의 축합은 에스테르(III)가 부족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부족은 이론적 양의 1/2이하의 범위까지 가능하다. 이때 화합물(I)외에도, 출발 아미노 알코올의 50% 이하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수득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또한 윤활제용 마모방지 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일부분을 이룬다.
이는 아미노 알코올(II)의 공업용 혼합물 및/또는 에스테르(III)의 공업용 혼합물로부터 수득된 좀더 복잡한 혼합물에 적용된다.
일반식(III)의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틸, n-부틸, 2-에틸헥실, n-도데실, n-테트라데실, n-헥사데실 및 n-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들수 있으며, 특히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X가 -CFHCH2CH2- 결합인 화합물을 제외한, 아미노 알코올(II)는 하기 일반식(IV)의 요오도 유도체를 하기 일반식(V)의 아미노 알코올과 축합하여 수득될 수 있는 공지의 생성물(참조. 예를들어,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1,532,284호, 제93,170호, 제95,059호, 및 제2,102,753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3,535,381호)이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기식중, RF, a, b 및R1는 상기한 바와같다. RF-CH2CH2I형의 요오다이드를 사용할 경우, 축합시키면 일반적으로 하기 일반식(II-a)와 (II-b)의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적절하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상기식중, RF'는 라디칼 RF보다 탄소원자가 하나 적은 과불화된 라디칼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상기 두 아미노 알코올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과량의 아미노 알코올(V)을 사용하여 포화된 아미노 알코올(II-a)을 제조할 수 있다. 유사하게, 불포화된 아미노 알코올(II-b)는 상기에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3,535,381호에 따라서 아미노 알코올(V)을 불화된 올레핀 RF-CH=CH2와 축합시켜 수득할 수 있다.
X가 -CFHCH2CH2- 결합인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II)는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II-b)를 수소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 수소화반응은 예를들어, 라니 니켈 또는 목탄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 25 내지 250℃(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범위일 수 있는 온도, 그리고 200바아에 이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바아인 수소압력하에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소화 반응은 또한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II-a)와 (II-b)의 혼합물에 적용하여 포함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최적의 마모방지 효율을 수득하기 위해서 윤활유에 혼합해야할 일반식(I) 화합물(들)의 양은 오일의 중량에 대해 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이다.
윤활유는 하기 상이한 계열에 속하는 광물성 오일, 합성 탄화수소 또는 합성 오일일 수 있으며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그들의 에테르 및 그들의 에스테르, 및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뉴트럴 솔벤트(Neutral solvent)"기재와 같은 엔진 오일의 제조용 석유유분을 윤활제 기재로서 사용할 때, 본 발명의 유기불소 유도체는 유리하게 칼슘 또는 바륨알킬퍼네이트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와 같은 통상적인 분산-세제 첨가제, 또는 숙신산 유도체와 같은 "무회(ashless)"분산제와 혼합된다. 이 분산-세제 첨가제는 후첨가제의 마모방지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들의 고유력을 손실시키지 않으면서 오일중에서 불화 첨가제의 안정화를 증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불화된 유도체를 아연 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와 같은 첨가제를 이미 함유하는 제제화된 오일에 첨가하면 마모방지력에 실질적인 개선점과 다른 첨가제에 의해서 얻어진 특성, 예를들어 분산성, 세척성, 부식방지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들 오일의 내력(耐力)의 증가를 꾀하게 된다.
내연 엔진용 오일제제에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본 발명에 따른 0.1 내지 0.2%의 유기 불소 화합물로 매체하면 상기 통상적인 첨가제로 수득되는 것과 동일한 또는 그 이상의 마모방지의 수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불화된 첨가제를 가솔린 또는 디이젤 엔진용 윤활유에 있어서 아연 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의 매체물로서 또는 상기 윤활유에의 특별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 및 시험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는 것이다. 퍼센트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비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응축기가 부착된 100ml들이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10g의 에탄올에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 C8F17-CH2CH2-NH-CH2CH2OH와 C7F15CF=CHCH2-NH-CH2CH2OH(각각 65 및 35몰%)의 혼합물 20g을 용해시킨 용액에 4g의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10시간 동안 환류시킨후, 에탄올 및 과량의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진공하에서, 증발 제거한다.
적외선 스팩트로스코피로 특징화되는(에스테르 밴드 : 1,730cm-1), 잔류물 (22g)은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이며 :
Figure kpo00007
이는 실온에서 약간 혼탁하나 60℃에서 완전히 균일한 유기액체로 형성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 20g, 5.55g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0g의 n-부탄올을 함유하는 용액을 10시간 동안 100℃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용매 및 과량의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전공하에서 증발시킨다. 수득된 생성물(23g)은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이며 :
Figure kpo00008
이는 실온에서 혼탁한 유기층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3]
실시예 2를 반복하되, 0.1g의 아세트산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시간만 가열한다.
동일 생성물이 91%의 수율로 수득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기구에서 10g의 n-부탄올에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 23.72g을 용해시킨 용액에 11.4g의 라우릴 아크릴레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10시간 동안 100℃로 유지시킨후, n-부탄올을 진공하에서 증발 제거하고, 그 잔류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취하며, 용매는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은 증발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 혼합물은 선명한 오렌지색 액체로 형성된다(32.7g; 수율 : 93%)
Figure kpo00009
[실시예 5]
20g의 메틸 아크릴레이트와 하기 일반식의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산업용 혼합물 20g을 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80℃로 가열한다.
Figure kpo00010
상기식중, n은 6,8,10,12 및 14이며, 각각 56.2중량%, 27.2중량%, 12.3중량%, 3.7중량% 및 0.6중량%이다. 평균 분자 질량이 466인 언급된 공업용 혼합물은 거의 65몰%의 포화된 아미노 알코올 및 35몰%의 불포화된 아미노 알코올을 함유한다.
과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증발시킨후,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 혼합물을 선명한 황색 액체(수율 : 91.3%)로 수득하며, 이것은 IR 스펙트로스코피로 특징화된다(에스테르 밴드 : 1.730cm-1).
Figure kpo00011
[실시예 6]
본 절차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나, C8F17및 C7F15아미노 알코올을 실시예 5에서 정의된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공업용 혼합물 20g으로 대체하고, 6g의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선명한 액체 24.05g은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이다 :
Figure kpo00012
[실시예 7]
응축기가 장치된 100ml들이 에를렌메이어(Erlenmeyer)에서 10g의 n-부탄올에 실시예 5에서 정의된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공업용 혼합물 20g을 용해시킨 용액에 7.9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한후, 그 혼합물을 80℃로 8시간 동안 가열한다.
n-부탄올을 진공하에서 증발 제거한후,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선명한 황색 액체를 95%의 수율로 수득한다.
Figure kpo00013
[실시예 8]
본 절차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하나, C8F17및 C7F15아미노 알코올을 실시예 5에서 정의된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공업용 혼합물 20g으로 대체한다.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92%의 수율로 수득한다.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실시예 9]
실시예 5에서 정의된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공업용 혼합물 6.18g이 들어있는 플라스크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의 부족량(1.09g, 거의 0.65몰 당량에 상당함) 및 9g의 메탄올을 첨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96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지시킨다.
메탄올을 증발시킨후, 수득된 생성물은 실온에서 혼탁하나 60℃에서 균일하게 된다. 이 생성물은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 혼합물이 거의 60몰%의 비율로, 그리고 미반응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이 거의 40몰%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Figure kpo00016
[실시예 10]
실시예 9를 반복하되, 1.42g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0.847몰 당량)을 사용한다. 동일한 생성물이 90%의 수율로 수득된다.
[실시예 11]
a/자석식 추진 교반 시스템이 장치된 4ℓ들이 스테인레스 철제 오토클레이브를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 C8F17-CH2CH2-NH-CH2CH2OH와 C7F15-CF=CH-CH2-NH-CH2CH2OH(각각 67몰 % 및 33몰%)로 충전시킨 다음, 순도 99%의 에탄올 1.2ℓ 및 농도 99%의 에탄올에 라니 니켈을 현탁시킨 농도 60%의 현탁액 32g으로 충전시킨다.
이어서 오토클레이브를 30바아의 질소로 3회 세척한 후, 30바아의 수소로 3회 세척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2,000rpm에서의 교반 및 20바아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70℃에서 6시간 45분 동안 수소화시킨다.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킨후, 압력을 낮추고 오토클레이브를 세척하며, 촉매를 여거한 후, 에탄올을 증발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융점이 51℃인 담황색 고체 생성물 1.940g을 GC 분석하여 하기 결과를 수득한다 :
C8F17-CH2CH2-NH-CH2CH2OH..................65.6%
C7F15-CFH-CH2CH2-NH-CH2CH2OH.......25.4%
C7F15-CH2CH2CH2-NH-CH2CH2OH............8.9%
b/응축기가 장치된 100ml들이 에를렌메이어에서, 10g의 n-부탄올에 상기에서 수득된 포화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 6.27g을 용해시킨 용액에 1.87g의 n-부틸 아크릴 레이트를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10시간 동안 100℃에서 유지시킨후, n-부탄올 및 과량의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증발 제거하고, 황색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며, 용액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증발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96%의 수율로 수득된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 혼합물은 황색액체로 형성되며, 이것은 IR 스펙트로스코피로 특징화된다(1,725cm-1에서의 에스테르 밴드).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실시예 12]
a/실시예 11-a에서와 같이 수행하면서, 하기 일반식의 불화된 아미노 알코올의 공업용 혼합물 2,000g을 80℃에서 9시간 동안 수소화시킨다.
CnF2n+1-CH2CH2-NH-CH2CH2OH (67몰%) 및
Cn-1F2n-1-CF=CH-CH2-NH-CH2CH2OH (33몰%) 여기에서 불화된 쇄의 중량 분포는 하기와 같다.
Figure kpo00020
1,990g의 반-엑체, 반-고체 담황색 생성물(45℃에서 완전히 액체)을 수득하며, 이것을 GC 분석하여 하기 결과를 수득한다.
CnF2n+1-CH2CH2-NH-CH2CH2OH...................(69.3%)
CnF2n-1-CFH-CH2CH2-NH-CH2CH2OH........(18.6%)
CnF2n-1-CH2CH2CH2-NH-CH2CH2OH............(9.8%)
b/포화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의 상기 혼합물 5.5g에 2.05g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한후, 혼합물을 8시간 동안 100℃로 유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하기 일반식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선명한 오렌지색 엑체를 93%의 수율로 수득한다.
Figure kpo00021
[실시예 13]
실시예 12-b를 반복하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3.3g의 라우릴 아크릴레이트로 대체하고, 실시예 12-a에서 수득된 포화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의 혼합물 6.87g을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라우릴 에스테르 혼합물(수율 : 92%)은 선명한 황색 액체로 형성된다.
[실시예 14]
응축기가 장치된 250ml들이 에롤렌메이어에서 에테르와 아세토니트릴의 혼합물(3 :1) 12g에 실시예 12-a에서 수득된 포화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을 혼합한 혼합물 6.73g에 1.56g(0.85몰 당량)의 n-부틸 아크릴 레이트를 첨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에서 96시간 동안 교반한후, 용매를 진공하에서 증류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출발물질인 포화된 불화 아미노 알코올 거의 20몰% 비율, 이들 아미노 알코올의 부틸 에스테르 거의 80몰% 비율로 이루어진 선명한 황색 액체 7.5g을 회수한다.
마모방지성 시험
기재오일로서 광물성오일 200뉴트럴 솔벤트(Neutral Solvent) 및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불화된 쇄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마모방지력은 쉘 EP 4 보올 머쉰(SHELL EP 4 ball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이에 관한 내용은 문헌[참조 :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Part 24(1979), page 680∼688]에 기술되어 있다.
이 시험은 시험 윤활제를 칠한 고정된 3개의 보올상에서 직경이 12mm인 보올을 1,500rpm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행한다. 40 또는 70daN의 하중을 레버(Leber)시스템으로 적용하는데, 이로써 고정된 보올들이 척(chuck)에 위치된 상부의 보올을 향해 밀린다.
윤활제의 마모방지 효율은 1시간 작동후 고정된 3개의 보올상의 마모흔 직경의 평균치로 정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불화된 첨가제로 수득된 결과를 수록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첨가제를 Fx의 형태로 표시하고 여기서 x는 모든 경우에 0.1%의 중량비율로 시험되는, 불화된 첨가제의 제조를 기술한 실시예의 번호이다.
[표 1]
Figure kpo00022
열안정성 시험
엔진내에서 나타나는 조건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그들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불화된 화합물을 공기하에서 중량열 분석한다. 이 시험은 생성물의 샘플을 10ℓ/h의 기류하에서 온도를 상승(2℃/min)시키고 200, 250 및 300℃에서의 중량 감소 퍼센트를 기록하여 행한다.
하기 표 II는 수득된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비교할 목적으로 선행기술(프랑스공화국 특허2,520,377호)에서 소개된, 하기 불화된 화합물의 성능을 표의 상부에 나타낸다 :
P1 : C8F17-C2H4-NH-C2H4OH
P2 : CnF2n+1-C2H4-NH-C2H4OH
(n은 상기 실시예 5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
[표 2]
Figure kpo00023

Claims (12)

  1. 하기 일반식(I)의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
    Figure kpo00024
    [상기식중, RF는 과불화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 X는 2가 결합 -(CH2CF2)a(CH2)b-, CF=CHCH2- 또는 CFHCH2CH2- (식중, a는 0 내지 10범위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4범위의 정수이나 a가 0이외의 것일때는 2이다)를 나타내며 ;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R3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4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칼 라디칼을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RF가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직쇄 또는 측쇄의 퍼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이고 R2가 수소원자인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F가 탄소원자수 6 내지 16의 직쇄의 퍼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이고, X가 결합 - CH2CH2-, -CF=CHCH2- 또는 -CFHCH2CH2-이며, R1및 R2가 수소원자이고, R3가 탄소원자수 8 내지 18의 알킬 라디칼인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RF, X 및/또는 R3가 상이한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하기 일반식(I)의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하기 일반식(II)의 아미노 알코올들의 혼합물 50%이하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상기식중, RF는 과불화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 X는 2가 결합 -(CH2CF2)a(CH2)b-, -CF=CHCH2- 또는 CFHCH2CH2- (식중, a는 0 내지 10범위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4범위의 정수이나 a가 0이외의 것일때는 2이다)를 나타내며 ;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R3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4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6. 하기 일반식(II)의 아미노 알코올들의 혼합물을 하기 일반식(III)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러한 에스테르의 혼합물과 축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의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7
    [상기식중, RF는 과불화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 X는 2가 결합 -(CH2CF2)a(CH2)b-, -CF=CHCH2- 또는 CFHCH2CH2- (식중, a는 0 내지 10범위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4범위의 정수이나 a가 0이외의 것일때는 2이다)를 나타내며 ;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내며, R3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4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칼 라디칼을 나타낸다.
  7. 제6항에 있어서, 축합 반응을 저급(C1∼C4) 알코올 중에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에서 수행하는 방법.
  8. R3가 저급(C1∼C4) 알킬 라디칼인 제1항에 따른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장-쇄 알코올을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R3이 장-쇄 (C5∼C24)알킬 라디칼인 제1항에 따른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윤활제용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용도.
  10.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함량이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인 윤활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폴리불화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이 통상적인 첨가제와 혼합된 윤활제.
KR1019880007384A 1987-06-17 1988-06-18 폴리불화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및 그의 윤활첨가제로서의 용도 KR910007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08663 1987-06-17
FR8708663A FR2616783B1 (fr) 1987-06-19 1987-06-19 Composes polyfluor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additifs pour lubrifiants
FR8708663 1987-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404A KR890000404A (ko) 1989-03-14
KR910007941B1 true KR910007941B1 (ko) 1991-10-04

Family

ID=935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384A KR910007941B1 (ko) 1987-06-17 1988-06-18 폴리불화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및 그의 윤활첨가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59357A (ko)
EP (1) EP0296935B1 (ko)
KR (1) KR910007941B1 (ko)
AT (1) ATE60049T1 (ko)
AU (1) AU603682B2 (ko)
CA (1) CA1308738C (ko)
DE (1) DE3861553D1 (ko)
ES (1) ES2019697B3 (ko)
FR (1) FR2616783B1 (ko)
GR (1) GR3001625T3 (ko)
ZA (1) ZA884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6781B1 (fr) * 1987-06-19 1989-10-06 Atochem Amino-alcools polyfluores et leurs esters, preparation de ces composes et leur utilisation comme additifs pour lubrifiants
US5252400A (en) * 1990-11-13 1993-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uorine-containing compounds
FR2673194B1 (fr) * 1991-02-27 1993-12-24 Atochem Sels d'amines grasses et d'acides polyfluorocarboxyliques, et leur utilisation comme additifs pour lubrifiants.
DE59503891D1 (de) * 1994-03-09 1998-11-19 Clariant Gmbh Fluorhaltige Carboxylbetaine und Alkylsulfobetaine sowie deren Mischungen mit gesättigten Fluoralkyaminen
US5551309A (en) * 1995-01-17 1996-09-03 Olin Corporation Computer-controlled chemical dispensing with alternative operating modes
US5877128A (en) * 1996-04-26 1999-03-02 Platinum Research Organization Ltd. Catalyzed lubricant additives and catalyzed lubricant systems designed to accelerate the lubricant bonding reaction
US6258758B1 (en) 1996-04-26 2001-07-10 Platinum Research Organization Llc Catalyzed surface composition altering and surface coating formulations and methods
US8791056B2 (en) 2010-06-24 2014-07-2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lkylphosphorofluoridothioates having low wear volume and methods for synthesizing and using same
WO2013169779A1 (en) 2012-05-07 2013-11-1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nergistic mixtures of ionic liquids with other ionic liquids and/or with ashless thiophosphates for antiwear and/or friction reduction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619A (en) * 1967-01-02 1975-03-25 Ugine Kuhlmann Perfluoro-aliphatic substituted aminoalcohols
JPS58110543A (ja) * 1981-12-25 1983-07-01 Daikin Ind Ltd 含フツ素アミノカルボン酸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と用途
US4409001A (en) * 1982-01-08 1983-10-11 Texaco Inc. Gasoline compositions containing amino alkanoic acids as detergents
FR2520377B1 (fr) * 1982-01-22 1985-09-13 Ugine Kuhlmann Application des amines a chaine polyfluoree comme additifs pour lubrifiants
FR2599378B1 (fr) * 1986-05-30 1988-07-29 Atochem Lubrifiants et nouveaux composes polyfluores utilisables comme additifs
FR2616781B1 (fr) * 1987-06-19 1989-10-06 Atochem Amino-alcools polyfluores et leurs esters, preparation de ces composes et leur utilisation comme additifs pour lubrifi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60049T1 (de) 1991-02-15
KR890000404A (ko) 1989-03-14
FR2616783B1 (fr) 1989-10-06
AU1810288A (en) 1988-12-22
GR3001625T3 (en) 1992-11-23
DE3861553D1 (de) 1991-02-21
FR2616783A1 (fr) 1988-12-23
ZA884336B (en) 1989-03-29
EP0296935B1 (fr) 1991-01-16
AU603682B2 (en) 1990-11-22
ES2019697B3 (es) 1991-07-01
EP0296935A1 (fr) 1988-12-28
CA1308738C (fr) 1992-10-13
US4859357A (en) 198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2190A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providing anti-wear protection
US10125335B2 (en)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isoprene based components
KR910007941B1 (ko) 폴리불화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및 그의 윤활첨가제로서의 용도
US4832859A (en) Lubricants and new polyfluorinated compounds which can be used as additives
US4209411A (en) Methylol polyesters of C12 -C22 hydrocarbon substituted succinic anhydride or acid,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additives for lubricants and fuels
FR2553765A1 (fr) Nouv
US3235497A (en)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ulti-functional additives
US4853141A (en) Polyfluorinated amino alcohols and their esters, preparation of these compounds and their use as lubricant additives
US20050181957A1 (en) Lubricating oil additive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83475A (en) Fuel compositions containing reaction products of aromatic triazoles and fatty acids salt as antiwear additives
US3755173A (en) Alkenyl halolactone esters and acids and lubricants containing them
JPH01319460A (ja) ポリ弗化物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潤滑添加剤としての使用
JPH06158079A (ja) 潤滑油組成物
US3997570A (en) Alkenyl halolactone esters
CN113512454B (zh) 四冲程发动机润滑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910001018B1 (ko)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의 폴리플루오르 화합물
JPH10176175A (ja) 燃料油用添加剤組成物および燃料油組成物
RU2800545C2 (ru) Менее коррозионные органически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присадок к смазочным материалам
US5021174A (en) Compounds useful as detergent additives for lubricants and lubricating compositions
JPS62256891A (ja) 鋼板の冷間圧延油
SU657055A1 (ru) Смазочна композици
JPH03199295A (ja) エンジン油基油
EP4105303A1 (en) Saps-free twin-tail amine derivatives additives for lubricant for friction modification and wear prevention for friction modification and wear prevention
JPS6346296A (ja) 鋼板の冷間圧延油
JPH0672229B2 (ja) 鋼板の冷間圧延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