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324Y1 - 요동장치 - Google Patents

요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324Y1
KR910007324Y1 KR2019890006893U KR890006893U KR910007324Y1 KR 910007324 Y1 KR910007324 Y1 KR 910007324Y1 KR 2019890006893 U KR2019890006893 U KR 2019890006893U KR 890006893 U KR890006893 U KR 890006893U KR 910007324 Y1 KR910007324 Y1 KR 910007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actuator
actuators
pair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6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836U (ko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2019890006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324Y1/ko
Publication of KR900019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06Beds with magne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요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동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으로 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동장치에 사용되는 정지축의 발췌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구동장치의 발췌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발췌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발췌 정면도.
제7도는 제4도로서 나타낸 구동장치를 양측으로 설치한 제2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8도는 제5도로서 나타낸 구동장치를 양측으로 설치한 제7도와 유사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작동체 2, 2a, 2', 2'a : 작동레버
3, 3' : 연결간 4, 4a, 4', 4'a : 소만곡부
5, 5' : 회동축 5a, 5'a : 지지체
6, 6' : 축 7, 7' : 연결간
8 : 크랭크회동판 9, 9' : 요동안내체
10, 10A, 10B : 구동장치 11, 12, 12' : 자석
13 : 원통체 14 : 비틀림스프링
15 : 중심축 16 : 압봉
16a : 돌봉 22 : 회전체
25 : 감속모터 27 : 크랭크회전판
28 : 연결롯드
본 고안은 요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요람, 유모차, 흔들의자, 목마 및 침대등에 설치하여 이들에게 요동을 작동시켜 주는 요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인 선출원한 유아요람 구동장치(출원번호 198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655호)를 개량하여 전술한 유아요람, 유모차, 흔들의자, 목마 및 침대등에 장착시켜서 이들에게 요동을 부여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 유아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안락함과 즐거움을 주는 요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출원한 유아요람 구동장치는 작동간을 설치하고 이의 일단을 피요동체에 직접 연결하고, 또한, 타단에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부착시켜서 이 전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작동간을 상하이동을 시켜서 이에 의하여 피요동체에게 요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동장치는 상승이동에서 하강이동으로 전환할 시에 그 전환이동이 유연하지 못하여 피요동체를 사용하는 사람에 유쾌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폐단이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한 피요동체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피요동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폐단이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구동장치는 작동간을 지렛대의 형상으로 사용하여 그 소요되는 힘을 어느 정도는 절감할 수 있으나, 이는 그리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닌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아용 요람, 유모차의 본체, 흔들의자, 목마 및 침대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요되는 에너지가 전연 필요없거나, 또는 필요하여도 매우 적게 소요되면서 그 작동이 유연하고 효과가 큰 요동장치를 제공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요동장치는 소만곡부를 자유단에 형성한 한쌍의 작동레베이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시킨 ㄷ 형의 작동체를 지지체의 상부에 회동핀으로 설치하되, 이 작동체의 작동레베가 요동안내체를 사이에 두고 겹치게 상기 작동체를 한쌍으로 설치하여 이 각각의 작동체의 소만곡부를 상기 요동안내체의 양 측단부에 회동자재로 측으로 연계시키고, 상기 각각의 작동체의 연결부재의 중앙부위에 연결간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타단은 크랭크회동판에 연계시키며, 상기 일측의 작동체의 연결부재의 중앙부위의 하측에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한 작동체의 연결부재의 저면에 자석을 부착시키고, 이와 대향하게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자석이 부착된 원통체를 설치하되, 이 내부에 비틀림스프링의 일단은 중심축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상기 원통체의 내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원통체의 외측에 돌봉을 설치하고, 이와 접촉되는 압봉을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장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한쌍의 작동체의 각각의 연결부재의 하측에 작동방향을 상호 상이하게 하여서 설치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동장치는 상기한 작동체의 연결부재의 저면에 자석을 부착시키고, 이와 대향되게 극성이 상이하게 복수의 자석을 변갈아가면서 부착된 회전체를 감속모터에 연결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장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한쌍의 작동체의 각각의 연결부재의 하측에 작동 방향을 상호 상이하게 하여서 설치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동장치는 상기 작동체의 연결부재의 하측에 크랭크회전판을 감속모터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그 일단이 연결된 연결롯드의 타단은 상기한 크랭크회전판에 편심되게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은 작동체를 한쌍으로 구성하여 일측, 또는 양측을 구동장치로 작동시키면서 이를 크랭크회동판을 중계수단으로 이에 한쌍의 연결간을 통하여 타측으로 연계시키거나, 또는 양측을 상호 연계시켜서 요동의 효과를 증대시킨 것이다.
또한, 작동체의 작동레버의 자유단에 형성된 소만곡부가 일측의 작동이 끝나게 될시에 고정판에 접촉되어 이에 의하여 방대방향의 요동을 유도하고, 동시에 구동장치에 의해서도 반대방향의 전환이 지극히 유연하여, 이에 장착되는 피요동체에 무리를 주지않게 되어 피요동체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고, 또한 사용자에게 쾌적한 느낌과 안락성을 부여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서 요동안내체(9)는 거리를 띄워서 한쌍으로 설치되고, 이의 하측으로 고정판(17)과 당접되는 만곡부(9a)를 가지며, 상단의 수평면은 부착면(9a)으러서, 여기에 예컨대, 유아용 요람, 유아용 유모차의 본체, 흔들의자, 목마 및 침대등과 같은 피요동체(18)가 취부된다.
상기 요동안내체(9)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ㄷ 형의 자공체(1)(1')가 한쌍으로 겹쳐서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요동안내체(9)의 내측면으로 설치되는 작동체(1)의 구조를 설명하면, 한쌍의 작동레버(2)(2a)와 이 일 끝단부의 사이를 연결부재(3)로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작동레버(2)(2a)의 자유단의 하측으로 소만곡부(4)(4a)를 각각 형성하여 이 소만곡부(4)(4a)를 요동안내체(9)(9')의 측단부(제1도 및 제2도에서 좌측단부)에 축(6)으로 회동자재로 연결시키며, 상기 작동레버(2)(2a)를 상기 소만곡부(4)(4a)측으로 치우치게 상기 고정판(17)의 상면에 고착된 지지체(5a)에 회동축(5)으로 회동자재로 설치한다.
즉, 상기 작동레버(2)(2a)의 회동축(5)에서 소만곡부(4)(4a)의 축(6)사이의 거리를 회동축(5)에서 연결부재(3)가 결합되는 끝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하여 회동축(5)으로 작동레버(2)(2a)를 회동자재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요동안내체(9)(9')의 외측면으로 설치되는 작동체(1')도 그 형상을 상기한 작동체(1)와 동일한 것이고, 이의 연결부재(3')의 길이만 약간 긴 것이며, 또한 그 설치되는 양태도 상기한 작동체(1)와 대칭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작동체(1)(1')의 각각의 연결부재(3)(3')의 중간부위에 각각 연결간(7)(7')의 일단은 연결시키고, 타단은 상기 고정판(17)의 상면에 고설된 지지체(8a)에 회동자재로 설치된 크랭크회동판(8)에 각각 편심되게 연계시킨다.
또한, 상기 일측의 작동체(1)의 연결부재(3)의 중간부위의 하측으로 구동장치(10)를 설치한다.
이 구동장치(10)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의 중간부위의 저면에 영구자석(11)을 예컨대, N극이 하향으로 표출되게 부착시키고, 이 영구자석(11)과 대향되게 원통체(13)를 설치한다.
상기한 원통체(13)는 상기한 고정판(17)의 상면에 고설된 지지체(13a)에 중심축(15)이 고정되고 비틀림스프링(14)의 내측의 일단을 중심축(15)에 고정시키고, 외측의 타단은 상기 원통체(13)의 내면에 부착시켜서 상기 비틀림스프링(14)의 탄성력으로 스톱퍼(도시안됨)에 의하여 수정범위내에서 회동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13)의 표면에 영구자석(12)을 예컨대, S극으로 그 표면이 표출되게 하여 상기한 N극인 영구자석(11)과 대향되게 부착시키고, 이 일측에 N극이 표출되게 영구자석(12')을 소정간격을 두고 부착시키며, 또한, 상기 원통체(13)의 일측에 돌봉(16a)을 설치하고, 이 돌봉(16a)과 접촉되게 상기 작동체(1)의 연결부재(3)에 압봉(16)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1도 및 제3도에서는 상기 요동안내체(9)(9')의 요동을 정지시켜주는 정지축(19)(19')은 절곡부(19a)를 형성하여 상기 한쌍의 요동안내체(9)(9')사이에 회동이 되게 삽입 설치하되, 일측으로 손잡이(19e)가 표출토록하고, 이의 절곡부(19a)의 양측에 정지륜(19c)을 삽착시키고, 상기 일측의 요동안내체(9')의 내측에 이정지축(19)(19')이 삽입되는 부위에 요홈판(20)(20')을 고착시킨다.
이 요홈판(20)(20')에는 수직요홈(21)과 수평요홈(21')이 요설되어 있고, 이 요홈(21)(21')에 선택적으로 상기 정지축(19)(19')의 절곡부(19a)의 일 측단부(19b)가 삽착됨에 따라서 상기 절곡부(19a)에 삽착된 정지륜(19c)이 상기 한 고정판(17)에 당접되면 상기 요동안내체(9)(9')가 요동이 정지되어 안정된 상태로 되고, 상기 당접이 해제되면, 상기 요동안내체(9)(9')가 요동할 수 있는 자유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손잡이(19e)부위에 통상의 방식으로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정지축(19)(19')의 유동을 방지시킬수도 있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한 한쌍의 요동안내체(9)(9') 사이에 삽입된 정지축(19)(19')의 손잡이(19e)를 잡고 약간 잡어 당기면 절곡부(19a)의 일측의 측단부(19b)가 요홈판(20)(20')의 수직요홈(21)에서 이탈된다.
이를 대략 90도 정도로 회동시켜서 다시 내측으로 밀면 절곡부(19a)의 일측의 측단부(19b)가 요홈판(20)(20')의 수평요홈(21')에 삽착되어 절곡부(19a)에 삽착된 정지륜(19c)도 회동되어 상기한 고정판(17)에서 그 접촉이 해제되어, 이에 따라 상기 요동안내체(9)(9')는 자유상태로 된다.
이 때에 상기 작동체(1)의 연결부재(3)의 하측에 설치된 구동장치(1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3)의 저면에 부착된 영구자석(11)이 N극으로 되어 있고, 이와 대향되고 원통체(13) 표면에 부착된 영구자석(12)이 S극으로 되어서 이 한쌍의 자석(11)(12)이 상이한 극으로 대향되어 상호 흡인하게 되는것에 의하여 상기한 연결부재(3)은 하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레버(2)(2a)는 지지체(5a)의 회동축(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작동레버(2)(2a)의 연결부재(3)측으로 회동측(5)을 중심으로 하향회동으로 인하여 이 작동레버(2)(2a)의 소만곡부(4)(4a)측은 상기 회동축(5)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소만곡부(4)(4a)에는 축(6)으로 요동안내체(9)(9')의 일 측단부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이에 따라서 요동안내체(9)(9')는 제2도에서 좌측단부가 상향으로 올라가고 우측단부가 하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요동안내체(9)(9')는 일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에 연결간(7)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3)의 하향이동으로 연결간(7)은 크랭크 회동판(8)을 화살표"가"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 크랭크 회동판(8)의 화살표"가"방향으로 회동에 의하여 이 크랭크 회동판(8)에 연계된 연결간(7')을 상향으로 밀게되고, 이에 의하여 대칭으로 설치된 작동체(1')의 연결부재(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이 연결부재(3')와 일체로 결합된 작동레버(2)(2a)를 역시 또 다른 회동축(5')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소만곡부(4')(4'a)를 하향으로 회동시키며, 또한 이 소만곡부(4')(4'a)가 축(6')을 통하여 상기한 요동안내체(9)(9')의 일 측단부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이 요동안내체(9)(9')를 하향으로 회동시켜서 전술한 구동장치(10)의 작동과 일치되어 그 요동을 2중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작동체(1)의 연결부재(3)가 한쌍의 상기한 자석(11)(12)의 흡인력으로 상기와 같은 작동이 일어나고, 또한 연결부재(3)가 하향이동으로 이에 취부된 압봉(16)이 하향되어 상기한 원통체(13)에 취부된 돌봉(16a)가 접촉되어 이 원통체(13)를 비틀림스프링(14)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원통체(13)의 회동에 따라, 이 표면에 부착된 영구자석(12)은 상기한 연결부재(3)에 부착된 영구자석(11)과 흡착되기 직전에 그 위치가 회동되고 이 위치에 N극이 표출된 또 다른 영구자석(12')이 위치되어 간다.
이에 따라서 연결부재(3)의 저면에 부착된 영구자석(11)이 N극이어서 동일한 극으로 되어서 이 한쌍의 자석(11)(12')이 상호 반발력이 작용하여 연결부재(3)는 상향으로 상기한 지지체(5a)의 회동축(5)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된다.
이에 따라 압봉(16)과 돌봉(16a)은 상호 이간되어 원통체(13)에 내부에 탄설된 비틀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통체(13)가 원위치로 회동되어 이에 부착된 자석(12)이 S극이 되어 전술한 흡인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요동안내체(9)(9')의 일 단측부(제2도에서 우측)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서 이에 축(6)으로 연결된 또 다른 작동체(1')의 작동레버(2')(2'a)의 자유단에 형성된 소만곡부(4')(4'a)가 상기한 고정판(17)의 상면에 당접되어 이의 작동레버(2')(2'a)를 회동축(5')을 중심으로 연결부재(3')을 하향으로 회동시키게 되어서 이에 따라서 상기한 한쌍의 자석(11)(12')의 반발력과 함께 작동레버(2')(2'a)의 회동방향을 바꾸게 되고, 또한, 전술한 한쌍의 자석(11)(12')의 동일한 극성으로 이에 발생하는 반발력으로 작동체(1)의 연결부재(3)를 상기한 회동축(5)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시키고, 또한, 이에 연결된 연결간(7)의 일단이 상향이동에 따라서 이의 타단에 연결된 크랭크 회동판(8)이 화살표"나"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어, 이에 연계된 연결간(7')은 일단이 화살표"나"방향으로 회동에 따라 이의 타단에 연결된 또 다른 작동체(1')의 연결부재(3')를 하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요동안내체(9)(9')의 일 측단부(제2도에 좌측)측으로 기울어 질때에는 작동체(1)의 작동레버(2)(2a)의 소만곡부(4)(4a)가 상기한 작동과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한 한쌍의 자석(11)(12) 또는 한쌍의 자석(11)(12')에 의하여 그 흡인력이나, 반발력이 작용하여, 그 요동방향을 바꾸게 되고, 또한, 소만곡부(4)(4a)나 소만곡부(4')(4'a)에 의하여서도 그 요동방향을 바꾸게 되어서 상기 요동안내체(9)(9')는 제1도 내지 제2도에서 좌우로 요동하게 되고, 이 요동안내체(9)(9')의 부차면(9b)에 취부된 유아용 요람, 흔들의자, 유아용 유모차의 본체, 목마 및 침대등과 같은 피요동체(18)가 요동하게 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는 영구자석(11)(12)(12')을 사용하는 관계로 전혀 전기등의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요동장치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상기한 정지축(19)을 전술한 방식대로 조작하되, 절곡부(19a)의 일 측단부(19b)가 요홈판(20)의 수직요홈(21)에 삽착시키면, 정지륜(19c)이 고정판(17)에 당접되어 상기 요동안내체(9)(9')는 정지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제5도는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구동장치(10A)는 상기한 작동체(1)의 연결 부재(3)의 저면에 예컨대, N극인 영구자석(11)이 부착되고, 이와, 대향하게 회전체(22)를 회전축(23)으로 회동자재로 지지체(24)에 설치하고, 이 지지체(24)는 상기한 고정판(17)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3)은 소형 감속모터 (25)의 축(26)과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22)의 표면에는 영구자석(12)(12')을 S극과 N극이 번갈아 가면서 다수개가 부착된 것이다. 그리고, 그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작동은 상기한 회전체(22)가 소형 감속모터(25)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저속 회전함에 따라 이의 표면에 부착된 S극과 N극을 가진 영구자석(12)(12')이 번갈아 가면서 상면으로 위치되어 이에 따라서 N극인 자석(11)을 흡착 또는 반발시키게 됨에 따라, 연결부재(3)는 상하고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전술한 방식대로 요동안내체(9)(9')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좌우로 요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6도로서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는 구동자치(10B)를 나타낸 것으로, 소형속모터(25)이 축(26)에 크랭크회전판(27)을 축고정시키고 이 크랭크 회전판(27)에 편심되게 연결롯드(28)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한 작동체(1)의 연결부재(3)에 연계시켜서 구성된 것이며, 그 외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작동은 소형감속모터(25)의 저속 회전이 축(26)을 통하여 크랭크 회전판(27)에 회전시키고, 이에 편심되게 연결된 연결롯드(28)를 통하여 상기한 작동체(1)의 연결부재(3)를 상하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그 외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어서 그 설명을 생략 한다.
또한, 제7도로 나타낸 실시예는 전술한 제4도로 나타낸 구동장치(10)를 각각의 작동체(1)(1')의 연결부재(3)(3')의 하측에 각각 설치하여 그 작동방향을 반대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작동체(1)의 연결부재(3)가 하향하도록 한쌍의 자석(11)(12)의 흡인력이 작용하면, 이와 대칭인 작동체(1')의 연결부재(3')는 한쌍의 자석(11)(12')에 의하여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향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피요동체(18)의 하중이 일반적으로 큰것인 침대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제8도로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제5도로 나타낸 구동장치(10A)를 각각의 작동체(1)(1')의 연결부재(3)(3')의 하측에 각각 설치하여 그 작동방향을 반대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작동체(1)의 연결부재(3)가 하향하도록 한쌍의 자석(11)(12)의 흡인력이 작용하면, 이와 대칭인 작동체(1')의 연결부재(3')는 한쌍의 자석(11)(12')에 의하여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향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피요동체(18)의 하중이 일반적으로 큰 것인 침대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요동체(18)인 유아용 요람, 유아용 유모차의 본체, 흔들의자, 목마 및 침대 등을 요동시키는 장치로서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느낌과 안락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요동장치는 작동체가 한쌍으로 설치되어 그 상승회동 및 하강회동으로 교번으로 전환시에 그 작동이 유연하여 이에 장착되는 피요동체에 무리함을 주지않게 되고, 또한 작동체의 작동레버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어서 이에 소요되는 힘을 작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요동장치는 공급전원이 필요없이도 작동시킬 수가 있는등의 편리함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피요동체에만 그 사용이 국한된 것이 아니고, 요동을 필요로하는 다른 기계장치에 전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6)

  1. 소만곡부(4)(4a)를 자유단에 형성한 한쌍의 작동레버(2)(2a)와 사이를 연결부재(3)로 연결시킨 ㄷ형의 작동체(1)를 지지체(5a)의 상부에 회동축(5)으로 상기 작동레버(2)(2a)의 소만곡부(4)(4a)측으로 치우치게 회동자재로 설치하되, 이 작동체(1)의 작동레버(2)(2a)가 요동안내체(9)(9')를 사이에 두고 겹치게 상기 작동체(1)를 한쌍으로 설치하여 이 각각의 작동체(1)(1')의 소만곡부(4)(4a)(4)(4'a)를 상기 요동안내체(9)(9')의 양 측단부에 회동자재로 축(6)(6')으로 연계시키고, 상기 각각의 작동체(1)(1')의 연결부재(3)(3') 중앙부위에 연결간(7)(7')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타단은 크랭크 회동판(8)에 연계시키며, 상기 일측의 작동체(1)의 연결부재(3)의 하측에 구동장치(10)(10A)(10B)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장치(10)는 상기한 작동체(1)의 연결부재(3)의 저면에 자석(11)을 부착시키고, 이와 대향되게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자석(12)(12')이 부착된 원통체(13)를 설치하되, 이 내부에 비틀림 스프링(14)의 일단은 중심축(15)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상기 원통체(13)의 내면에 고정시키며, 상기 원통체(13)의 외측에 돌봉(16a)을 설치하고, 이와 접초되는 압봉(16)을 상기 연결부재(3)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장치(10)는 상기한 한쌍의 작동체(1)(1')의 각각의 연결부재(3)(3')의 하측에 작동방향을 상호 상이하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 특징으로 하는 요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장치(10A)는 상기한 작동체(1)의 연결부재(3)의 저면에 자석(11)을 부착시키고, 이와 대향되게 극성이 상이한 복수의 자석(12)(12')을 번갈아가면서 부착된 회전체(22)를 감속모터(25)에 연결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장치(10A)는 상기한 한쌍의 작동체(1)(1') 의 각각의 연결부재(3)(3')의 하측에 작동방향을 상호 상이하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장치(10B)는 상기 작동체(1)의 연결부재(3)의 하측에 크랭크 회전판(27)을 감속머터(25)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그 일단이 연결된 연결롯드(28)의 타단을 상기한 크랭크 회전판(27)에 편심되게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장치.
KR2019890006893U 1989-05-25 1989-05-25 요동장치 KR910007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893U KR910007324Y1 (ko) 1989-05-25 1989-05-25 요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893U KR910007324Y1 (ko) 1989-05-25 1989-05-25 요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836U KR900019836U (ko) 1990-12-12
KR910007324Y1 true KR910007324Y1 (ko) 1991-09-25

Family

ID=1928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893U KR910007324Y1 (ko) 1989-05-25 1989-05-25 요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0787B2 (en) 2013-03-04 2015-04-21 Ki Mobility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0787B2 (en) 2013-03-04 2015-04-21 Ki Mobility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836U (ko) 199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878B1 (ko) 전신안마의자 및 그의 의자 프레임 구조
CN201008471Y (zh) 婴儿摇椅及其驱动装置
JP2004216072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10099012A (ko) 침대
KR100791615B1 (ko) 물체 이동 기구
EP1419841A2 (en) Reciprocating saw
AU766404B2 (en) Combination of a seat and a backrest supported by a frame
KR910007324Y1 (ko) 요동장치
CN1982524A (zh) 缝纫机的中压脚装置
DE69502331T2 (de) Ergonomischer Lehnstuhl mit Schaukelbewegung
JP3764467B2 (ja) 着座型運動装置
CN100496340C (zh) 婴儿摇椅
JP2564320B2 (ja) 遠隔操縦玩具の方向変換装置
CN216169910U (zh) 动物玩具的腿杆驱动机构
CN101227881A (zh) 按摩机
KR0184114B1 (ko) 전동식요람
JPH1176337A (ja) マッサージ機
KR910008960Y1 (ko) 유아요람 구동장치
JP2773896B2 (ja) マッサージ機
CN215607439U (zh) 一种颈部按摩装置
WO2006070508A1 (ja) 着座型運動装置
JP2007054600A (ja) 着座型運動装置
CN218129919U (zh) 一种摇摆机构及摇摇机
JPH0539543U (ja) マツサ−ジ装置
CN210583071U (zh) 震动按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