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915Y1 -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15Y1
KR910006915Y1 KR2019890005485U KR890005485U KR910006915Y1 KR 910006915 Y1 KR910006915 Y1 KR 910006915Y1 KR 2019890005485 U KR2019890005485 U KR 2019890005485U KR 890005485 U KR890005485 U KR 890005485U KR 910006915 Y1 KR910006915 Y1 KR 910006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case
elastic member
screw portion
drive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614U (ko
Inventor
김현근
Original Assignee
김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근 filed Critical 김현근
Priority to KR2019890005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915Y1/ko
Priority to US07/490,060 priority patent/US4989966A/en
Publication of KR9000186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6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반사경 및 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부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부분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이용한 신축성 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사경 2 : 케이스
3 : 신축성부재 3' : 위치고정선
4 : 구동부재 4' : 구동나사부
5 : 종동부재 5' : 돌기
6 : 지지부재 7 : 탄성부재
8 : 지지축 9 : 고정나사
본 고안을 차량용 반사경(Side Mirr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반사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충격을 받은 상태에서도 반사경이 케이스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케이스와 반사경간의 공간에 반사경의 전측면에 걸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반사경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반사경은 운전자의 신체적 구조와 운전석의 상황 및 외부충격에 따라 수시로 그 각도를 변경시켜야 한다. 이 경우 반사경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 케이스를 조절하기도 하지만 케이스내부에 설치된 반사경의 위치각도를 교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운전자가 반사경의 각도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반사경을 일단 교정한뒤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그 반사각도를 확인한후 다시 재조절하는 동작을 반복실시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친후 운전자에게 맞는 정확한 반사각도를 맞추었다하더라도 반사경은 조그만 충격에도 그 각도가 쉽게 변동되기 때문에 세차시등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단점을 계선한 반사경 원결 자동조절장치는 그 가격이 고가이므로 중형 및 소형차량과 봉고, 트럭, 버스등 대중용 차량등에 부착하기에는 그만큼 단가가 상승되어 비경제적이다. 더우기 원격조절장치(수동 또는 자동)는 차체를 관통한 상태이므로 이를 부착설치하는데에 있어서 그만큼 공정이 뒤따르며, 고장시에는 수리비가 과다하게 발생하는등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원격조절장치라도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반사경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것 보다는 비효율적이며, 주행중에 백밀러를 교정할때는 위험을 수반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차량반사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술한 단점을 해소하고, 반사경의 각도를 운전자가 설정해둔 최적위치로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한번 교저한 반사경을 항상 유지시킬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이용한 차량용 반사경 및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반사경 케이스(2)의 상부면에 본 고안에 사용되는 구동부재(4)를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길이 및 높이의 돌출부(10)를 구성하며, 케이스(2)와 반사경(1)간의 공간에는 케이스(2)내면을 따라 고무등의 신축성부재(3)를 설치하고 신축성부재(3)의 표면에는 다수의 위치교정선(3')을 표시한다. 한편 신축성부재(3) 내부에는 탄성부재(7)를 수용시킨다.
상기 신축성부재(3)는 케이스(2)내부면과 밀착되게 설치하고, 케이스(2)의 하부에는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9)를 구성하며 상부에는 후술한 종동부재를 설치하여 신축성부재(3)양단을 고정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서 케이스(2)내면을 따라 설치한 신축성부재(3)의 케이스(2)에 대한 외부이탈을 방지할수 있다.
운전자가 케이스(2)내에서 반사경(1)의 위치를 가장 적합한 상태로 맞추어 놓은뒤, 반사경(1)의 각 부분과 일치하는 위치교정선(3' 신축성 부재(3)표면에 표시됨)을 숙지한 상태에서 어떠한 이유(제3자의 운전후)에서 반사경(1)이 최초설정에서 벗어날 경우 숙지한 위치교정선(3')의 번호 또는 색깔에 반사경(1)을 다시 일치시키면, 최초의 적합한 상태로 반사경(1)의 위치(각도)를 교정할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a"부분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부분단면도로서, 전술한 반사경 상부구성을 나타낸다.
케이스(2)와 반사경(1)간의 공간에는 구동부재(4), 종동부재(5) 및 탄성부재(7)를 수용한 신축성 부재(3)를 수용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의 설명에서 언급한 케이스(2)의 돌출부(10)내에는 원통형의 구동부재(4)를 설치하되, 구동부재(4)의 좌우측단에는 나사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된 원통형 구동나사부(4')가 일체화된 상태이다.
구동부재(4)좌우측단에 일체로 구성한 각원통형 구동나사부(4')의 각측단에는 소정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회전축(8)을 구성하여, 이와 대응하는 케이스(2)표면에 구성한 홈(8')에 수용되며, 결국 구동부재(4)는 이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이루어진다.
구동부재(4)와 일체화된 구나사부(4')의저면에는 상부표면이 나사부로 구성된 판형의 종동부재(5)를 연접하게 위치시킨다. 이와같이 원통형 구동나사부(4')와 판형나사 형태의 종동부재(5)를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구동부재(4')가 회전운동을 하게되면, 판형 종동부재(5)는 측방향으로 직성운동을 하게된다.
한편, 구동나사부(4')와 종동부재(5)가 연접하는 부분에는 구동나사부(4')와 종동부재(5)의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재(6)를 케이스(2)상부면에 고착한 상태로 설치하며, 지지부재(6)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종동부재(5)의 저면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부(5')를 종동부재(5)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여 지지배주(6)와 종동부재(5)의 표면 마찰력을 최소화 한다.
종동부재(5)의 외향부 끝단에는 각각 전술한 신축성부재(3)내에 수용되어 있는 탄성부재(7)를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기능 및 작동을 제1도 및 제2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케이스(2)와 반사경(1, 반사경은 케이스(2)후면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힌지고정된 상태임)간의 공간에 탄성부재(7)가 수용된 상태에서 표면에 위치교정선(3')이 표시된 신축성부재(3)를 삽입시키고 그 양단은 외부로 노출된 탄성부재(7)를 통하여 전술한 양 종동부재(5)의 끝단에 각각 고착한다.
탄성부재(7)가 초기수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반사경(1)선단을 신축성부재(3)표면에 표시된 위치교정선(3')에 맞추어 케이스(2)내에서 그 위차를 조정한후, 구동부제(4)를 제2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부재(4)와 일체화된 구동나사부(4')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의 구동나사부(4')에 구성한 나사방향이 서로 상반되어 있기때문에 구동나사부(4')와 연동하는 종동부재(5)는 각각 구동부재(4)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어 양종동부재(5)에 각각 고착된 탄성부재(7)도 구동부재(4)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7)는 구동부재(4)의 회전 및 종동부재(5)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4)저면의 고정나사(9)를 중심으로 구동부재(4)양측면부를 향하여 늘어나게 된다. 이완된 탄성부재(7)는 반사경(1)의 양측면에 대응밀착되며, 따라서 탄성부재(7)의 이완에 케이스(2)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탄성부재(7)가 고정된 종동부재(5)는 직선운동을, 이와 연동하는 구동부재(4)에 고착된 구동나사부(4')는 회전운동을 하게되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종동부재(5)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인위적인 구동부재(4)의 작동이 없이는 반사경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2도의 설명에서 언급한 지지부재(6)의 구성을 나타낸다.
구동부재(4)양측면에 일체화된 구동나사부(4')와 그 하부에 연접된 판형 종동부재(5)간의 연접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스(2)에 고착된 지지부재(6)를 종동부재(5)저면을 따라 설치하며, 유동하는 종동부재(5)와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재(6)간의 표면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동부재(5)의 저면에는 종동부재(5)의 길이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반원형인 돌기부(5')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구동부재(4)이 회전에 따라 탄성부재(7)를 이완시켜 이에 따라 발생되는 조입력에 의하여 양측면에서 반사경(1)을 동시에 조이게 되므로 반사경(1)은 최적의 설정위치가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스(2)내에서 고정되며,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면 어떠한 반사경(1)의 외형이나 반사경각도가 어떠하더라도 구동부재(4)가 케이스 일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신축성부재(3)의 구성폭이 중앙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반사경(1)의 대칭면을 동시에 수용할수 있기 때문에 반사경(1)을 각도 변경없이 조일수가 있다. 다시 반사경(1)의 각도를 바꾸고자 할때는 구동부재(4)를 조일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탄성부재(3)의 이완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반사경(1)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도는 제1도에서 설명한 위치교정선이 도시된 신축성부재의 사시도로서, 신축성부재(3)의 두께는 반사경(1)이 움직이는데 지장이 없어야 하며, 이 신축성부재(3)내에는 얇은판 형태의 탄성부재(7)를 수용하고 이 탄성부재(7)의 양단은 종동부재(5)와 연결되어 반사경(1)을 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 신축성부재(3)는 그 폭이 반사경(1)측면의 전후좌우 이동시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정도(예를 들어 5cm 이내)로 구성한다.
이 신축성 부재이 표면 폭을 따라 설정된 위치교정선(3')은 일정한 간격을 가진 테의 형태로 구성하며, 각각의 위치교정선의 필요위치에 일련번호를 기재하거나, 미관상 장점을 살릴수 있도록 다양한 색을 사용할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위치교정선(3')은 신축성부재(3)가 불필요한 경우 백밀러 케이스(2)내부에 직접표시 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신축성부재(3)내의 탄성부재(7)도 구동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생략할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반사경의 각도를 설정해둔 케이스내의 위치에 손쉽게 교정할 수 있으며, 최적각도로 설정한 반사경을 신축성부재의 조임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용 반사경에 있어서, 탄성부재(7)를 수용한 소정폭의 신축성부재(3)를 반사경(1)과 케이스(2)와의 공간에 위치시키고, 상기 케이스(2)상단에는 원통형 구동부재(4)를 설치하되, 상기 원통형 구동부재(4)양측면에는 나사방향이 상반된 원통형 나사부가 구성된 구동나사부(4')를 각각 입체화하고, 상기 각 구동나사부(4') 하부에는 상부면이 나사부로 구성됨과 동시에 각 외측면이 상기 탄성부재(7)와 고착된 상태의 평판형 종동부재(5)를 연동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구동나사부(4')와 종동부재(5)가 연접되는 부분을 수용하는 지지부재(6)를 케이스(2)상부면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부재(3)는 외부로 나타내는 표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테형태의 위치교정선(3')을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5)는 상기 지지부재(6)와 연접된 그 저면에 종동부재(5)의 길이방향으로 그 단면이 반원형상인 돌기(5')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부재(3)는 케이스(2) 저면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고정나사(9)를 이용하여 케이스(2)에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KR2019890005485U 1989-04-29 1989-04-29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KR910006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485U KR910006915Y1 (ko) 1989-04-29 1989-04-29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US07/490,060 US4989966A (en) 1989-04-29 1990-03-07 Adjustable vehicle side view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485U KR910006915Y1 (ko) 1989-04-29 1989-04-29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614U KR900018614U (ko) 1990-11-05
KR910006915Y1 true KR910006915Y1 (ko) 1991-09-17

Family

ID=1928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485U KR910006915Y1 (ko) 1989-04-29 1989-04-29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89966A (ko)
KR (1) KR9100069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198A (en) * 1991-12-17 1995-01-03 Zhang; Zhijie Courtesy lamp system for vehicles
US5198929A (en) * 1992-07-13 1993-03-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exible seal for adjustable side view mirror
US20040264014A1 (en) * 2003-06-18 2004-12-30 Skilliter Robert T.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9592A (en) * 1930-09-16 1932-09-27 Guyer D Thomas Distance-indicator for vehicles
US3513807A (en) * 1965-05-25 1970-05-26 Robert J Helle Rear view mirror with adjustment guides
US3439646A (en) * 1965-05-25 1969-04-22 Robert J Helle Rearview mirror with adjustment guides
US3421728A (en) * 1966-03-01 1969-01-14 Norman Gordon Adjustable mirror
JPS5211537A (en) * 1975-07-14 1977-01-28 Kingo Asayama Visually measuring device of a rear- vision mirror for use in vehicles
US4526446A (en) * 1983-06-20 1985-07-02 Adams Richard W Adjustable auxiliary rear-view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614U (ko) 1990-11-05
US4989966A (en) 199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3438B2 (en) Rearview mirror constructed for efficient assembly
US7914186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4041793A (en) Electrically adjustable vehicle accessory
US4456333A (en) Side view mirror for vehicles
KR910006915Y1 (ko) 차량용 반사경의 위치교정 및 고정장치
US6971777B2 (en) Automotive lamp unit incorporating a pivot element supported on the housing
US4056253A (en) Adjustable mirror support
KR101531072B1 (ko) 아웃사이드 미러 유닛용 장착 구조
EP1000807B1 (en) Remote-controlled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GB2208633A (en) Front-view and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and conveyances
JPH0834064B2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US3978735A (en) Electrically adjustable vehicle accessory
CN220399723U (zh) 一种镜片调节装置、抬头显示器以及车辆
US625708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ar angle of outside mirror for automobile
EP0171906B1 (en) Exterior rearview mirrors for vehicles
JPH0451363Y2 (ko)
JP4283023B2 (ja) 車両用後方確認ミラー
SU1029824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учной ориентации фар автомобил в вертикальной плоскости
KR0115647Y1 (ko) 자동차의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 조절장치
KR0139642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JP3086161B2 (ja) ドアミラーのブラケット
KR200153376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920005570B1 (ko) 차량용 전조등의 경동장치
US4755024A (en) Rearview mirror
KR200258919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