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97Y1 -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 Google Patents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697Y1
KR910006697Y1 KR2019890012355U KR890012355U KR910006697Y1 KR 910006697 Y1 KR910006697 Y1 KR 910006697Y1 KR 2019890012355 U KR2019890012355 U KR 2019890012355U KR 890012355 U KR890012355 U KR 890012355U KR 910006697 Y1 KR910006697 Y1 KR 910006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ignal
output
microcomput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2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98U (ko
Inventor
심재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2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697Y1/ko
Publication of KR910005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0Time-d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11/12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using amplifiers with feedback
    • H03H11/1204Distributed RC filte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제1도는 종래의 모드설정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모드신호 지연회로가 구성되는 모드설정 회로도.
제3도의 (a)(b)는 제2도의 각부의 파형도.
제4도는 제2도의 모드설정 진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제1 및 제2지연부 13,14 :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
15 : 마이콤 16 : 모드설정 스위치
본 고안은 모드설정 스위치를 절환시켜 3가지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회로에 있어서,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중간의 동작모드를 지나 다른 동작모드를 설정할 경우에 그 다른 동작모드의 신호를 일정시간동안 지연시키면서 그 일정시간 동안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신호 지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3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모드설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타이머의 예약시간 설정모드, 현재시간 표시모드 및 현제 신간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회로에 적당하도록 한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모드설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타이머의 3가지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회로들은 마이콤이 타이머 인터럽트 루틴을 수행하여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일정한 프리스켈터(PRESCALER)값과, 그 프리스켈러 값에 따른 키스캐닝시간 및 디바운싱 시간등을 갖게 되는데 그 시간을 마이콤이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각 루틴중에서 가장 긴 수행 소요시간 이상으로 설정해야 시간의 지연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모드설정 스위치를 절환하여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에서 중간의 동작모드를 순간적으로 지나 다른 동작모드를 설정할 경우 즉, 예를들면 타이머의 동작모드를 에약시간 설정모드→현재시간 표시모드→현재시간 조절모드로 이동설정할 경우에 모드설정 스위치의 절환속도를 디바우닝 시간이상으로 해야 되나, 절환속도를 디바운싱 시간보다 빨리 예약시간 설정모드에서 현재시간 표시모드를 지나 현재시간 조절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마이콤이 현재시간 표시모드의 신호를 리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마이콤이 본래의 기능을 순간적 또는 새로 조작하기 전까지 데이타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그 역으로 모드설정 스위치를 절환할 경우에도 마이콤이 데이타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드설정 회로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드설정 스위치(1)의 접지단자(A3,B3)를 에약시간 설정모드단자(A1,B1)에 접속시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R2)을 통해 마이콤(2)의 입력단자(IN1)(IN2)로 입력되고, 예약시간 설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모드설정스위치(1)를 마이콤(2)의 디바운싱 시간보다 빨리 절환시켜 접지단자(A2,A3)를 현재시간 표시모드 단자(A4,B4)에 접속시키고 현재시간 표시모드를 설정한 후 다시 접지단자(A3,B3)를 현재시간 조절모드단자(A5,B5)에 접속시켜 현재시간 조절모드를 설정할 경우에 마이콤(2)이 현재시간 표시모드의 설정시 입력단자(IN1)(IN2)로 입력되는 저전위 및 고전위의 현재시간 표시모드의 신호를 리드하지 못하여 마이콤(2)이 오동작 하였으며, 또한 그 역으로 모드설정 스위치(1)를 절환할 경우에도 마이콤(1)이 오동작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마이콤(1)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드설정 스위치의 절환속도를 기구적 구성으로 지연시키거나 또는 이를 사용상의 주의점 등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사용자가 모드설정 스위치를 천천히 절환시키도록 한 것도 있으나, 기구적 구성으로 모드설정 스위치의 절환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은 그 기구적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모드설정 스위치를 천천히 절환시키도록 인식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주고, 조작의 미숙등으로 실수를 하였을 경우에 마이콤(2)이 여전히 오동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동작모드에서 중간의 동작 모드를 지나 다른 동작모드를 설정할 경우에 그 다른 동작모드의 신호를 마이콤의 디바운싱 시간이상 지연시키고, 그 지연시킨 디바운싱시간 이상동안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여 마이콤이 오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신호 지연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모드신호 지연회로는 전원단자의 전원을 제1 및 제2지연부가 충전시키면서 그의 시정수 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고, 그 제1 및 제2지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모드 신호 출력부가 모드신호를 출력하여 마이콤으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드설정 스위치를 절환시켜 동작모드를 설정할 경우에 설정한 각 동작모드의 단자가 접지됨에 따라 제1 및 제2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순간 방전시키고, 접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및 제2지연부가 전원단자의 전원을 지연출력하여 제1 및 제2 모드신호 출력부가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제1 및 제2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순간방전시킨 후 다시 출력할때까지의 지연시간을 마이콤의 디바운싱시간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모드설정 스위치를 순간적으로 절환하여 순간적으로 선택한 동작모드의 신호를 디바운싱시간 이상동안 출력하여 마이콤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내지 제4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모드신호 지연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모드신호 지연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단자(Vcc)의 전원을 충전시키면서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저항(R11)(R12) 및 콘덴서(C11)(C12)로 된 제1 및 제2지연부(11)(12)와, 상기 제1 및 제2지연부(11)(12)의 출력신호에 따라 모드신호를 출력하여 마이콤(15)에 입력시키는 저항(R13,R14)(R15,R17) 및 트랜지스터(TR11)(TR12,TR13)로 된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와, 예약시간 설정모드시 상기 제1지연부(11)의 출력신호를 순간 방전시키고 현재시간 표시 모드시 제1 및 제2지연부(11)(12)의 출력신호를 모두 순간방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설정한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게 제어하는 모드설정 스위치(16)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드신호 지연회로는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모드설정 스위치(16)의 예약시간 설정모드단자(A11)(B11)를 접지단자(A13,B13)에 각기 접속시켜 예약시간 설정모드를 설정하였을 경우에 제1지연부(11)의 출력단자가 모드설정 스위치(16)의 단자(B11,B13)를 통해 접지되므로 제1지연(11)는 계속 저전위를 출력하고, 제1모드신호 출력부(13)의 트랜지스터(TR11)가 계속 오프되어 제1지연부(11)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며, 제2지연부(12)의 출력단자는 접지되지 않으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2)을 통해 콘덴서(C12)에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전되면서 저항(R1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콘덴서(C12)에 일정전원 이상이 충전되어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그의 드레시홀드 전압(VTH)이상이 되면, 트랜지스터(TR12)가 온되어 그의 콜렉터로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전위가 출력되고, 트랜지스터(TR13)가 오프되어 제2모드신호 출력부(14)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즉, 예약시간 설정모드를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모두 고전위를 출력하여 마이콤(15)의 입력단자(IN11)(IN12)로 입력되고, 마이콤(15)은 예약시간 설정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모드선택 스위치(16)를 절환시켜 접지단자(A12,B12)를 현재시간 표시모드 단자(A14)(B14)에 각기 접속시키면, 제1 및 제2지연부(11)(12)의 출력단자가 모드선택 스위치(16)를 통해 모두 접지되어 출력신호가 순간 방전되므로 제1모드신호 출력부(13)의 트랜지스터(TR11)가 오프되어 마이콤(15)의 입력단자(IN11)로 고전위가 입력되고, 제2모드신호 출력부(14)는 트랜지스터(TR12)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13)가 온되어 마이콤(15)의 입력단자(IN12)로 저전위가 입력된다.
즉, 현재시간 표시모드를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각기 고전위 및 저전위를 출력하여 마이콤(15)의 입력단자(IN11)(IN12)로 입력되고, 마이콤(15)은 현재시간 표시모드 동작하게 된다.
또한, 모드선택 스위치(16)를 절환시켜 접지단자(A13)(B13)를 현재시간 조절모드단자(A15)(B15)에 각기 접속시키면, 제1 및 제2지연부(11)(12)의 출력 단자가 모두 접지되지 않아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1)(R12)을 통해 콘덴서(C11)(C12)에 충전되고 콘덴서(C11)(C12)의 충전전원이 트랜지스터(TR11)(TR12)의 드레시홀드 전압(VTH)이상으로 되면, 트랜지스터(TR11)(TR12)가 온되어 제1모드신호 출력부(13)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TR12)가 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R13)는 오프되어 제2모드신호 출력부(14)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즉, 현재시간 조절모드를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각기 저전위 및 고전위를 출력하고, 마이콤(15)은 현재시간 조절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작함에 있어서, 현재 예약시간 설정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현재시간 표시모드를 지나 현재시간 조절모드를 선택할 경우에, 현재시간 표시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제1 및 제2지연부(11)(12)의 출력신호가 모두 순간 방전되고, 현재시간 조절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제1 및 제2지연부(11)(12)의 콘덴서(C11)(C12)에 다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다시 충전되기 시작하므로 현재시간 조절모드가 선택되어도 콘덴서(C11,C12)에 드레시홀드 전압(VTH) 이상이 충전되기 전의 일정시간(T)동안은 제1 및 제2모드 신호 출력부(13)(14)는 현재시간 표시모드의 신호인 고전위 및 저전위를 출력하여 마이콤(15)이 현재시간 표시모드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일정시간(T)이 경과하여 콘덴서(C11,C12)에 드레시 홀드 전압(VTH) 이상이 충전되면, 제1 및 제2 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현재시간 조절모드의 신호인 저전위 및 고전위를 출력하여 마이콤(15)이 현재시간 조절모드 동작하게 되며, 또한 현재시간 조절모드에서 현재시간 표시모드를 지나 예약시간 설정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도 일정시간(T)동안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현재시간 표시모드의 신호를 출력한 후 예약시간 설정모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현재 설정한 동작모드에서 중간의 동작모드를 지나 다른 동작모드를 설정할 경우에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13)(14)가 디 일정시간(T)동안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한 후 다른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여기서, 일정시간(T)을 마이콤(15)의 디바운싱 시간 이상으로 하면, 마이콤(15)이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정확히 리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타이머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각 동작모드를 순차적으로 설정해야 되는 각종 기기에 간단히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현재 설정한 동작모드에서 중간의 동작모드를 순간적으로 지나 다른 동작모드를 설정하여도 마이콤의 디바운싱시간 이상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한 후 다른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므로 마이콤이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정확히 리드할 수 있어 마이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3가지의 동작모드를 순차 설정하는 모드 설정회로에 있어서, 전원단자의 전원을 충전시키면서 마이콤의 디바운싱시간 이상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및 제2지연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마이콤으로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와, 하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제1 및 제2지연부의 출력 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순간 방전시키고 중간의 동작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제1 및 제2지연부의 출력신호를 모두 순간 방전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모드신호 출력부가 선택한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중간의 동작모드를 지날 때 마이콤의 디바운싱시간 이상 그 중간의 동작모드의 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모드설정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설정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KR2019890012355U 1989-08-24 1989-08-24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KR910006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355U KR910006697Y1 (ko) 1989-08-24 1989-08-24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355U KR910006697Y1 (ko) 1989-08-24 1989-08-24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98U KR910005098U (ko) 1991-03-20
KR910006697Y1 true KR910006697Y1 (ko) 1991-08-31

Family

ID=1928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355U KR910006697Y1 (ko) 1989-08-24 1989-08-24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6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98U (ko) 1991-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0765B2 (ja) Cmos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US5039875A (en) CMOS power-on reset circuit
JPH0697429B2 (ja) 低電圧阻止制御装置
JPS5951177B2 (ja) オ−トクリア信号発生回路
US5929713A (en) Oscillating circuitry built in integrated circuitry
JPS6087678A (ja) インバ−タ制御回路
US6011429A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device
KR910006697Y1 (ko)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US4320386A (en) Selection and power reset circuit
US3005935A (en) Transistor control circuit
US3917960A (en) MOS transistor logic circuit
US5815464A (en)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JP2000022512A (ja) パルス発生回路
JPH038126B2 (ko)
KR910000212Y1 (ko) 낸드게이트를 이용한 타이머회로
KR920004509Y1 (ko) 스위칭소자를 이용한 리세트회로
JPH03210815A (ja) Cmos型出力回路
JPH0229117A (ja) リセット回路
KR890003753Y1 (ko) 마이콤의 오동작시 자동 리세트회로
KR930012131B1 (ko) 마이컴의 키 입력회로
KR930000989Y1 (ko) 마이크로 컴퓨터용 리세트 장치
KR100360792B1 (ko) 파워온리셋회로및이것을이용한제어장치
KR870001256Y1 (ko) 리셋트 회로
KR930008064Y1 (ko) 마이컴의 리세트회로
KR950002080Y1 (ko) 컴퓨터의 리셋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