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33B1 -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33B1
KR910006533B1 KR1019880016797A KR880016797A KR910006533B1 KR 910006533 B1 KR910006533 B1 KR 910006533B1 KR 1019880016797 A KR1019880016797 A KR 1019880016797A KR 880016797 A KR880016797 A KR 880016797A KR 910006533 B1 KR910006533 B1 KR 91000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ongated
bobbin
processing apparatus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25A (ko
Inventor
히로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0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4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in wound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wound for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라 기다란 섬유물을 염색하는 일련의 처리 단계들을 보이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처리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3도 장치에 설치되는 용기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일부분들이 결단되어 도시된 보빈의 사시도.
제5도는 용기에 보유된 보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는 제2도 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가열조의 개략 단면도로서 가열 유니트의 배치를 보이는 단면.
제7도는 제2도의 장치의 설치되는 컨베이어 기구의 개략 사시도.
제8도는 개조된 형태의 컨베이어 기구를 보이는, 제7도와 비슷한 도면.
제9도는 다른 개조된 형태의 컨베이어 기구를 보이는, 제7도와 비슷한 도면.
제10도는 제2도 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용기 회전 기구의 개략 사시도.
제11도는 개조된 형태의 용기 회전 기구를 보이는, 제10도와 비슷한 도면.
제1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염색 장치를 보이는 개략도.
제13도는 개조된 예의 염색 장치를 보이는, 제12도와 비슷한 도면.
제14도는 다른 개조된 예의 염색 장치를 보이는, 제12도와 비슷한 도면.
제15도는 이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개조된 형태의 염색 장치를 보이는, 제12도와 비슷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다란 섬유물 2 : 보빈
3 : 용기 4 : 염액
6 : 가열 매체 7 : 가열조
8 : 냉각조 9 : 후처리조
12 : 권취기 13, 40 : 용기 호울더
14 : 보빈 장전기 20 : 지지축
21 : 링판 22 : 지지봉
24 : 가열 유니트 25 : 컨베이어 기구
26 : 회전 기구 30 : 크레인
33 : 승강기 35 : 구동 로울러
38 : 보강링 39 : 방출 캐리어
41 : 보빈 방출기 42 : 해권기
48 : 염액 공급 유니트 49 : 덮개 복귀 컨베이어 기구
52 : 버킷(bucket) 53 : 예비가열실
54 : 가열실 55 : 안정화실
60, 61, 62 : 열풍 발생기 69, 70, 71 : 안전장치
이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 또는 스트링거 테이프를 포함한 연속적인 직물테이프, 웨브, 리본, 섬유 사조(스트랜드), 섬유사등과 같은 기다란 섬유물을 염색, 표백, 정련, 광내기 또는 알칼리에 의한 중량감소가공과 같은 처리 단계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기다란 섬유물은 염색을 포함하여 일련의 처리들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3종류의 염색 방법 또는 시스템 즉, 치이즈 염색, 비임 염색 및 연속 염색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8-5301호에 비임 염색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처리액은 펌프로 순환되어 먼저, 구멍들이 있는 중공 원통 비임의 내부 공간안으로 흐른 다음, 비임의 구멍들과 비임의 외벽 둘레에 감긴 기다란 섬유물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펌프로 복귀한다.
일본 특허공고 제52-8867호에 개시된 일예의 연속 염색 시스템에서는 폴리에스터로 된 기다란 섬유물이 염색조, 증기 가열하는 증기박스, 건조하는 건조박스, 발색을 위한 열처리박스, 및 마무리하는 물세척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부들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상기 공지의 염색 시스템들은 섬유 제품의 대량 생산에는 특히 적합하지만, 여러 종류의 폐품을 비교적 짧은 생산 사이클로 소량 생산하는데 사용될때는 상업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하다. 다른 문제점은 처리된 제품들의 서로 다른 배치(batch) 또는 롯트(lot)에 있어서의 색 재현성이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여러 종류의 섬유 제품을 소량 생산하는데 적당하고 장치를 셋팅하는데 있어 긴 정지시간을 요함이 없이 여러 종류의 기다란 섬유물을 비교적 짧은 생산 사이클로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제1양태에 따라 용기내에 기체상(相)부분을 유지하면서 액체가 침투할 수 있게 보빈에 감긴 처리될 기다란 섬유물과 처리액을 용기에 밀봉적으로 보유하는 단계와 처리액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을 통해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섬유물이 용기내 처리액과 기체상 부분을 통해 번갈아 이동하도록 용기와 이 안에 보유된 보빈을 함께 회전시키므로써 처리액으로 섬유물을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발명의 제2앙태에 따라, 기다란 섬유물이 감기는 액체 투과성 구조의 보빈, 안에 기체상 부분이 유지된 체, 처리액을 밀봉적으로 보유하고 또한 상기 보빈을 움직일 수 없게 보유하는 용기, 기다란 고온 처리구역을 형성하는 수단, 상기 처리액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상기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을 통해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기구,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컨베이어 기구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섬유물을 상기 처리액과 기체상 부분을 통해 번갈아 이동시키기 위해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로 구성되는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이 발명에 따라 기다란 섬유 제품을 염색하는 방법이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염색될 기다란 섬유물(1)이 보빈(2)둘레에 소정 횟수만큼 비교적 느슨하게 감기어 보유된다. 이와 같이 섬유물이 느슨하게 감겼으므로 염액이 더 잘 침투하게 된다. 용기(3)의 컵모양 몸체에 보빈(2)이 수용된 후, 용기 몸체의 개방 단부에 단부 캡 또는 덮개(5)(제3도)가 연결되어 용기(3)를 폐쇄한다. 이 경우, 보빈(2)은 용기(3)내에 동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 보유된다. 그리고나서 용기(3)안에 일정량의 염액(4)이 공급된다. 이 염액량은 염색될 섬유물(1)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용기(3)에 공간 또는 기체상 부분이 항상 유지되도록 염액량이 용기(3)의 체적보다 더 작다. 보빈(2)은 구멍이 있는 중공 구조물이어서 용기(3)내의 염액(4)이 섬유물(1)과 보빈(2)의 구멍들을 통해 그 중공의 보빈(2)안으로 흐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단면이 다각형이고 구멍이 있는 통형의 중공 보빈(2)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후술되듯이 다각형 보빈이 용기(3)와 함께 회전될 때 염액(4)이 다각형 보빈의 측연부들에 의해 균일하게 교반되기 때문이다.
그후, 닫힌 용기(3)는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가열 매체(6)가 들어 있는 기다란 가열조(7)의 입구 단부안으로 넣어진 다음, 가열조(7)의 출구 단부쪽으로 소정 사이클 시간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이송된다. 이 시간동안, 용기(3)의 수직 위치를 가열 매체(6)의 수준에 대해 변화시킴으로써 가열 매체(6)에 잠긴 용기(3)의 표면적을 조절한다. 이와 동시에, 용기(3)는 가열조(7)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적당한 사이클 시간으로 그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또는 전후 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된다. 용기(3)가 이렇게 회전되면, 용기(3)와 이 안에 보유된 염액(4)이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이와 동시에, 그렇게 가열된 염액(4)은 섬유물(1)이 용기(3)에 염액(4)과 기체상 부분을 통해 번갈아 이동함에 따라 보빈(2)에 감긴 섬유물(1)의 전체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소정 주기 시간이 흐른 후, 용기(3)는 가열조(7)의 출구 단부에 도달하여 염색 공정이 완료된다.
그후, 가열조(7)에서 용기(3)가 제거된 다음, 염색된 섬유물(1)을 식히기 위해 냉각조(8)로 넣어진다. 용기(3)에서 보빈(2)이 제거된 후, 그 보빈(2)에서 섬유물(1)을 풀어 후처리조(9)에 도입시킨다. 이 후처리조에서 염색된 섬유물(1)이 세척되고 후처리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섬유물(1)이 건조기(10)에 의해 건조된다. 이렇게 가공된 섬유물(1)은 판매나 저장을 위해 제품 용기에 저장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은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이 장치는 그의 공급부쪽에 염색될 또는 처리될 기다란 섬유물(1)을 저장하는 적어도 1개의 저장 용기(11)(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 보빈[제4도에 도시된 보빈(2)과 동일함]에 섬유물(1)을 감는 권취기(와인더)(12), 용기[제3도에 도시된 용기(3)과 동일]를 붙잡는 제1용기 호울더(13), 제1용기 호울더(13)에 의 붙잡힌 용기 안으로 보빈을 장전하는 보빈 장전기(14), 및 안에 보빈에 장전된 용기를 제1용기 호울더(13)로부터 가열조(7)의 입구 단부로 이송하는 장전 캐리어(15)를 가지고 있다.
제1용기 호울더(13)는 용기(3)를 이탈가능하게 붙잡도록 회전 아암(16)의 말단부에 제공된 파지기(17)를 포함한다. 이 회전 아암(16)은 제2도에 도시된 수평 위치와 용기(3)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위치 사이에서 용기(3)를 이동시키기 위해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보빈 장전기(14)는 보빈(2)이 수평으로 지지되는 지지부위(19)를 말단부에 가진 피봇 아암(18)은 지지부위(19)가 권취기(12)에 파지된 보빈(2)의 축선과 정렬된 채 유지되는 제1위치와 제1용기 호울더(13)에 파지된 용기(3)의 중앙 축선과 정렬된 채 유지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일정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 보빈 장전기(14)는 권취기(12)로부터 보빈(2)을 수용한 다음 그 보빈(2)을 제1용기 호울더(13)에 지지된 용기(3)에 장전하도록 권취기(12) 및 제1용기 호울더(13)쪽으로 원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장전 캐리어(15)는 1쌍의 레일들(번호표시 없음)위에서 이들을 따라 왕복 아동할 수 있으며, 이 레일들은 가열조(7)의 각 측부에 하나씩 배치되고 가열조(7)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를 지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다. 장전 캐리어(15)는 1쌍의 평행 이격된 수직 실린더들 (번호 표시안됨)로 이루어진 승강기를 포함하며, 이 승강기는 장전 캐리어(15)가 레일들을 따라 제1용기 호울더(13)와 가열조(7)입구 단부 사이에서 왕복할 때 용기(3)를 제1용기 호울더(13)로부터 가열조(7)의 입구 단부로 이송한다.
이 장치의 공급부쪽이 이렇게 배열되어 있어 권취기(12)상에서 회전하는 보빈(2)에 기다란 섬유물(1)이 소정 횟수만큼 감긴다. 그 다음 보빈(2)이 보빈 장전기(14)에 의해 권취기(12)를 떼어내며, 그 장전기는 떼어내진 보빈(2)을 제1용기 호울더(13)에 수평하게 붙잡힌 용기(3)안으로 끼운다. 그후, 일정량의 염액(4)이 용기(3)에 채워지는데 이때 용기(3)는 그의 개방 단부가 위로 향한 채 수직 위치에 유지된다. 염약(4)의 양은 보빈(2)둘레에 감긴 섬유물(1)이 염액(4)으로 효율적으로 염색되고 용기(3)에 액체상 부분과 기체상 부분이 함께 존재하도록 결정된다. 염액(4)은 1:5-1:10의 욕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덮개(5)로 용기(3)가 닫히고, 이때 보빈(2)이 용기(3)내에 이와 동심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유지된다. 용기(3)가 수직 위치에서 수평 위치로 움직인 후, 장전 캐리어(15)의 승강기에 보유된 다음 가열조(7)의 입구 단부로 이송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는 내부식성 금속으로 된 컵 모양의 몸체(3a)와 그 몸체(3a)를 폐쇄하기 위해 몸체 개방 단부에 이탈가능하게 연결된 분리식 덮개(5)로 구성된다. 용기의 몸체(3a)와 덮개(5)의 단부 벽들 각자에게 바깥쪽으로 동축의 지지축들(20,20)이 튀어나와 있다. 몸체(3a)의 외주면에는 1쌍의 평행 이격된 보강링들(20,20)이 일제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은 1쌍의 대향된 원형 링판들(21,21)과, 이 링판들(21,21)사이에서 뻗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들(22)을 포함한다. 이들 지지봉(22)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각각의 지지봉(22)은 단면이 Y자형이고, 후술되듯이 보빈(2)이 용기(3)의 회전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는 동안 염액을 휘젓는 3개의 교반휜(fin)(23)을 포함한다. 섬유물(1)(제1 및 제2)은 지지봉들(22)둘레에 감긴다.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보빈(2)이 용기(3)내에 동심으로 보유되고, 이때 용기 몸체(3a)와 덮개(5)의 단부벽들에서 안쪽으로 뻗어 있는 1쌍의 대향된 보유 돌추부들(20a,20b)상에 링판들(21,21)이 견고히 보유된다. 보빈(2)은 외주벽에 많은 구멍들을 가진 중고의 원통형 보빈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가열조(7)는 기다란 상자 모양이고 그 안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등으로 된 가열 매체(6)가 들어 있다. 가열조(7)에는 제6,7 및 제8도에 각각 도시된 가열 유니트(24), 컨베이어 기구(25), 및 회전 기구(26)가 제공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유니트(24)에는 도시안된 제어 유니트의 제어하에 소정 온도에서 가열 매체(6)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전기 가열기(27)와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되는 증기 가열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기구(25)는 가열조(7)(제2도)를 따라 배치된 수평 레일(29)상에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가열조(7)를 가로질러 뻗은 크레인(30)으로 구성된다. 용기(3)는 컨베이어기구(25)의 크레인(30)에 의해 수평하게 매달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열 매체(6)에 잠긴 채 가열조(7)의 입구 단부에서 출구 단부로 이동 되어진다. 크레인(30)에 의한 이송중 용기(3)의 수직 위치, 즉, 높이가 가열 매체(6)면에 대해 조절됨으로서 용기(3)의 잠긴 정도를 변화시킨다. 컨베이어 기구(25)는 제8도에 도시된 컨베이어 기구(25a)로 대체될 수 있는데 그 컨베이어 기구(25a)는 가열조(7)의 양쪽에 배치되고 그곳들을 따라 뻗어 있고 용기(3)의 지지축들(20,20)을 지지하는 1쌍의 무단 벨트 컨베이어들 (31,31)로 구성된다. 그 컨베이어들 (31,31)의 높이는 가열조(7)의 입구 단부에서 출구 단부쪽으로 점차 줄어들게 되어 있다. 또 다르게는 제9도의 컨베이어 기구(25b)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컨베이어 기구(25b)는 1쌍의 안내레일들(32)상에 각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1쌍의 승강기들(33,33)로 구성되고 이 안내 레일들(32)은 가열조(7)상에 그의 한쪽을 따라 배치된다. 용기(3)는 그의 지지축(20)에서 승강기들 (33)에 지지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구(26)는 지지축(34)에 고정된 2개의 측방 이격된 구동 로울러들(35)을 포함하는데 이 로울러들은 용기(3)를 회전시키도록 용기(3)의 외주면상의 보강링들(38,38)과 각자 마찰 접촉하여 유지된다. 지지축(34)은 통상의 벨트(번호표시 안됨)를 통해 전기 모터(36)의 구동축에 피동 관계로 결합된다. 컵모양의 용기 몸체(3a)를 변형되지 않게 보강하도록 보강링들(38,38)이 제공되며, 그렇게 보강되지 않으면 용기(3)를 회전시키기 위해 용기(3)의 외주면에 대해 구동 로울러들(35)이 밀릴 때 용기 몸체가 변형될 수 있다.
제10도에 개조된 예의 회전기구(26a)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회전 기구는 지지축(34)의 개수가 2개이고 그중 하나가 용기(3)의 한쪽에 배치되어 전기 모터(36)의 구동축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는 제8도의 회전 기구(26)와 다르다. 나머지 지지축(34)은 용기(3)의 반대쪽에 자유로이 회전 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1도에 다른 개조된 형태의 회전 기구(26b)가 도시되어 있다. 이 회전 기구는 전기 모터(36)로 구동되는 구동 기어(37a)와, 용기(3)의 지지축들(20)중 하나에 고정되고 구동 기어(37a)와 맞물린 채 유지되는 피동 기어(37b)로 구성된다. 기어 타입 회전 기구(26b)와 조합하여 제10도의 마찰 구동 로울러들(35)이 용기(3)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지지축(34)은 이 축에 고정되나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마찰 구동 로울러들(35)을 회전시키도록 적극적으로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서로 수평으로 원근 이동할 수 있는 지지축들(34)을 배치하여 가열 매체(6)면에 대한 용기(3)의 지지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지지축들(34)이 용기(3)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의 방출부 쪽에는 가열조(7)출구 단부 바로 하류에 배치된 냉각조(8), 방출 캐리어(39), 제2용기 호울더(40), 보빈 방출기(41), 해권기(언와인더)(42), 후저리조(9), 및 건조기(10)가 배치되어 있다. 방출 캐리어(39), 제2용기 호울더(40), 보빈 방출기(41) 및 해권기(42)는 각자 이 장치의 공급부쪽의 장전 캐리어(15), 제1용기 호울더(13), 보빈 호울더(14), 및 권취기(12)와 구조가 동일하나 기능은 그 반대이다.
냉각조(8)에는 냉각액이 들어 있고, 방출 캐리어(39)에 의해 가열조로부터 이송되어온 용기(3)를 냉각시키는 분무기(43)가 제공되어 있다. 방출 캐리어(39)는 또한 용기(3)를 냉각조(8)에서 제2용기 호울더(40)로 옮기는 역할도 한다. 처리된, 즉, 염색된 섬유물이 감긴 보빈(2)이 제2용기 호울더(40)에서 제거된 다음 보빈 방출기(41)에 의해 해권기(42)에 놓인다. 보빈(2)이 해권기(42)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채 염색된 섬유물이 보빈(2)에서 풀린다. 그 다음 이렇게 풀린 섬유물은 후처리조(9)으로 이송되며, 이 후처리조는 섬유물의 이동 경로로부터 보아 순서대로 배치된 J-박스(44), 물세척조(45), 및 마무리조(46)로 구성된다. 건조기(10)는 수직으로 배열된 1쌍의 가열 로울러들(47,47)로 구성된다. 건조기(10)는 수직으로 배열된 1쌍의 가열 로울러들(47,47)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또한 제1용기 호울더(13)의 파지기(17)위에 배치된 염액 공급 유니트(48)를 포함하는데, 이 공급 유니트는 용기(3)가 제1용기 호울더(13)에 의해 파지될 때 일정량의 염액을 용기(3)안으로 공급한다. 염액(4)의 양과 종류는 처리될 섬유물(1)의 재질과 양 및 용기(3)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제2도에 보이듯이 이 장치는 또한, 제1 및 제2용기 호울더들(13,40)사이에 뻗어 있는 덮개 복귀 컨베이어 기구(49)를 포함하는데, 이 덮개 복귀 컨베이어 기구는 덮개(5)를 장치의 방출부쪽에서 공급부쪽으로 복귀시킨다. 또한, 용기 복귀 캐리어(50)와 보빈 복귀 캐리어(50)가 각자 용기(3)와 보빈(2)을 장치의 방출부쪽에서 공급부쪽으로 복귀시키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장치에서 보빈(2)이 권취기(12)위에서 회전되는 동안 그 보빈(2)에 소정량의 기다란 섬유물(1)이 감긴다. 권취기(12)에서 보빈(2)이 분리된 다음, 제1용기 호울더(13)상에 수평하게 붙잡힌 용기 몸체(3a)안으로 보빈 장전기(14)에 의해 끼워진다. 제1용기 호울더(13)는 용기 몸체(3a)의 개방 단부가 위로 향한 채 용기 몸체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 위치로 용기 몸체(3a)를 일정각도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용기 몸체(3a)에 적절한 양의 염액(4)이 공급되는데, 이 염액의 양은 용기(3)가 닫힌 때 그 안에 기체상 부분이 유지되게끔 섬유물(1)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염액(4)은 1:5-1:10의 욕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몸체(3a)의 개방 단부가 덮개(5)로 닫힌 후, 용기(3)가 장전 캐리어(15)에 의해 가열조(7)의 입구 단부로 옮겨지는 수평위치로 용기(3)가 다시 일정각도로 이동된다. 용기(3)는 컨베이어(25)에 의해 가열조(7)의 입구단부로부터 출구 단부로 연속적으로 또한 단속적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회전 기구(26)에 의해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가열 매체(6)에 대한 용기(3)의 잠김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그의 수직 위치가 적당히 변경된다. 따라서, 용기(3)에 수용된 보빈(2)상의 섬유물(1)이 염액(4)으로 염색된다. 그 다음, 염색된 섬유물(1)을 식히기 위해 용기(3)가 가열조(7)에서 냉각조(8)로 이송된다. 그후, 방출 캐리어(39)에 의해 용기(3)가 제거된 다음 제2용기 호울더(40)에 붙잡힌다. 용기를 수평 위치에 유지하는 동안 용기 몸체(3a)에서 덮개(5)가 분리된 다음 염색된 섬유물(1)이 감긴 보빈(2)이 보빈방출기(41)에 의해 용기 몸체(3a)에서 제거된다. 이같이 제거된 보빈(2)이 해권기(42)에 놓이면 염색된 섬유물(1)이 그 해권기에 의해 보빈(2)로부터 풀리어 세척 및 마무리를 위한 후처리조(9)안으로 들어간다. 이같이 하여 마무리된 섬유물(1)은 가열 로울러들(47)의 둘레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염색에 사용된 용기(3)와 보빈(2)과 덮개(5)는 세척되어 장치의 공급부쪽으로 복귀된다.
제12도에 도시된 개조된 형태의 처리 장치는 연속 고온 고압 타입이고, 각자 1개의 용기(3)을 수용하는 일련의 버킷(bucket)(52)를 가진 컨베이어 기구(25)를 포함한다. 이 버킷(52)은 상기 실시예의 가열조(7)에 해당하고 가열 매체(6)를 담고 있다. 버킷(52)에 수용된 용기(3)를 회전시키기 위해 버킷(52)에 회전 기구(도시 안됨)가 설치된다. 버킷(52)은 예비가열실(53)을 통해 가열실(54)안으로 이송된 다음 소정 속도로 가열실(54)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안정화실(55)을 통해 후처리부(도시 안됨)로 운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3)에는 보빈[제4도의 보빈(2)과 동일]에 감긴 소정량의 섬유물과 염액이 들어있다.
예비가열실(53)은 버킷(52)이 가열실(54)안으로 이송되기전에 그 버킷(52)을 가열하도록 가열실(54)과 같은 온도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안정화실(55)도 섬유물에 부착된 염료를 굳히도록 가열실(54)과 같은 온도로 유지된다.
예비가열실(53), 가열실(54) 및 안정화실(55)은 직렬로 배열된다. 예비가열실(53)은 도입문(56)을 가지며 내부 입구 차폐물(57)에 의해 가열실(54)과 분리된다. 가열실(54)은 내부 출구 차폐물(58)에 의해 출구문(59)을 가진 안정화실(55)과 분리된다. 상기 실들(53,54,55)각자에는 버킷(52)을 전진시키는 수평의 컨베어어 기구(25)와 상하부의 열풍 출구들(63,64 또는 65)로부터 각 실(53,54 또는 55)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발생기(60,61 또는 62)로 구성된 가열 유니트(24)가 제공된다. 예비가열실(53), 가열실(54) 및 안정화실(55)은 가압 상태하에 유지되며, 그 목적을 위해 가압된 공기 공급 유니트(66,67 또는68)와 안전장치(69,70 또는 71)가 상기 각실(53,54,55)과 관련되어 있다. 안전장치(69,70,71)는 안전 밸브와 배기 구멍으로 구성된다.
제1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른 개조된 예의 처리 장치를 보인다. 이 장치는 연속 대기압 증열기 타입이고, 예비가열실(53), 가열실(54) 및 안정화실(55)이 입구 공기 간막이(72), 이동가능한 내부 입구 간막이(74), 이동가능한 내부 출구 간막이(75), 및 출구 공기 간막이(73)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2도 장치의 구조와 거의 같은 구조이다. 또한, 증기 가열기로 구성되는 가열 유니트(24)는 가열실(54)에만 배치된다. 제12도의 연속 고온 고압 타입 처리 장치와는 반대로, 연속 대기압 증열기 타입 처리장치에는 안전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제14도의 또 다른 개조된 예의 처리 장치는 연속 열풍 가열 타입이다. 이 장치는 제12도의 장치와 비슷하지만, 용기(3)가 수평으로 달리 채 컨베이어 기구(도시 안됨)에 의해 상기 실들(53,54,55)을 통해 이송된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그와 동시에 용기(3)는 회전 기구(도시안됨)에 의해 회전된다. 이 장치는 폴리에스터 합성 섬유로 형성된 섬유물의 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제15도는 또 다른 변경된 처리 장치를 보이는데 이 장치는 가열 유니트(24)가 가열실(54)에만 배치된 증열기로 구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4도의 장치와 거의 같다. 이러한 가열 유니트(24)의 경우 가열실(54)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이 처리 장치는 면적물 섬유나 나일론 섬유로 형성된 섬유물의 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빈에 감긴 기다란 섬유물과 처리액은 용기내에 기체상 부분을 유지하면서 용기에 밀폐된다. 용기는 처리액이 소정온도로 효율적으로 가열되도록 기다란 고온 구역을 통해 이송되면서 회전된다. 그와 동시에 보빈이 용기와 함께 일제히 회전함에 따라 섬유물이 용기내 처리액과 기체상 부분을 통해 번갈아 이동하며 그 결과 섬유물 전체에 걸쳐 처리액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러한 균일한 처리액 분포는 보빈에 제공된 교반휜들에 의해 처리액을 휘저음으로서 촉진된다. 염색과 같은 소망의 처리는 각 용기마다 실행되며 그래서 다른 롯트(lot) 또는 배치(batch)들 사이에서 색 재현성이 안정하다. 따라서 이 발명의 처리 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섬유 제품을 생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Claims (30)

  1. (a)보빈(2)에 액체가 침투가능하게 감긴 처리될 기다란 섬유물(1)과 처리액(4)을 용기(3)내에 기체상 부분을 유지하면서 상기 용기(3)에 밀봉적으로 보유시키는 단계, (b)상기 처리액(4)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7:54)을 통해 용기(3)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안 상기 용기(3)를 그 안에 보유된 상기 보빈(2)과 함께 회전시켜 상기 섬유물(1)이 상기 용기(3)내 상기 처리액(4)과 상기 기체상 부분을 통해 번갈아 이동하게 하므로써 상기 섬유물(1)이 상기 용기(3)내 상기 처리액(4)으로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된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 구역이 상기 소정 온도로 가열된 액체 가열 매체를 안에 담은 기다란 가열조(7)인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가 상기 기다란 가열조(7)를 통해 이송될 때 상기 액체 가열 매체(6)에 대한 상기 용기(3)의 잠김 정도를 변화시켜 상기 처리액(4)의 온도 상승률을 제어하도록 상기 액체 가열 매체(6)의 표면에 대한 상기 용기(3)의 위치가 변경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 구역이 상기 소정 온도로 가열된 기체상 가열 매체를 안에 담은 기다란 가열실(54)인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상 가열 매체가 열풍인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상 가열 매체가 증기인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 구역이 안에 액체 가열 매체를 담고 용기(3)를 수용하는 이동 가능한 버킷(52)을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 구역이 상기 가열실(54)의 입구 단부에 배치된 예비가열실(53)과 상기 가열실의 출구 단부에 배치된 안정화실(55)을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4)은 상기 보빈(2)이 상기 용기(3)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휘저어지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상기 용기들 (3)이 서로 일렬로 이송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11. (a)기다란 섬유물(1)이 감기고 액체가 침투 가능한 구조로 된 보빈(2), (b)안에 기체상 부분이 유지된 채 상기 보빈(2)과 처리액(4)을 밀봉적으로 보유하고 안에 상기 보빈(2)이 움직일 수 없게 보유되는 용기(3), (c)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7:54)을 형성하는 수단, (d)상기 처리액(4)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상기 용기(3)를 상기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7:54)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기구(25), 및 (e)상기 용기(3)가 상기 컨베이어 기구(25)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섬유물(1)이 상기 처리액(4)과 상기 기체상 부분을 통해 번갈아 이동하도록 상기 용기(3)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26)로 구성되는 기다란 섬유물(1)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은 그 보빈이 상기 용기(3)와 함께 회전될 때 상기 처리액(4)을 휘젓는 수단을 가진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2)은 1쌍의 원형 링판들 (21.21)과 이들 사이에 뻗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들 (22)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3)는 원통형이고 상기 보빈(2)이 상기 링판들 (21,21)을 각자 보유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양 단부벽들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1쌍의 정렬된 보유 돌추부들(20a,20b)을 가지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들(22)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2)은 단면이 각진형태이고 적어도 1개의 종방향 교반 휜(23)을 가지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단부벽에서 바깥으로 뻗어 있는 동축의 지지축(20)을 가진 대략 컵 모양의 몸체(3a)와 그 몸체(3a)의 개방 단부에 땔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3a)의 상기 지지봉(22)에서 바깥으로 연장한 동축의 지지축(20)을 가진 원형 덮개(5)로 이루어진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몸체(3a)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대의 보강링(38)이 있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 구역 형성 수단이 상기 소정 온도로 가열된 액체 가열 매체(6)를 안에 담는 기다란 가열조(7)로 구성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 구역 형성 수단이 상기 소정 온도로 가열된 기체상 가열 매체를 안에 담는 기다란 가열실(54)로 구성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상 가열 매체가 열풍인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상 가열 매체가 증기인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원통형이고 상기 컨베이어 기구(25)는 상기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7)위에 배치되어 그 구역을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용기(3)을 수평하게 매달린 상태로 지지하는 크레인(30)을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원통형이고 그 용기의 양 단부벽들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1쌍의 정렬된 지지축들(20,20)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기구(25b)는 상기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7)의 양쪽에 배치되어 그곳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용기(3)의 상기 지지축들(20)을 지지하는 1쌍의 무단 벨트 컨베이어들(31)을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원통형이고 그 용기의 양 단부벽들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1쌍의 정렬된 지지축들(20,20)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기구(25b)는 상기 기다란 고온 처리 구역(7)에 배치되어 이 구역을 다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용기(3)의 상기 지지축들(20,20)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각자 지지하는 1쌍의 승강기들(33,33)을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기구(25)는 액체 가열 매체(6)를 각자 담고 용기(3)를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버킷들(52)이 있는 버킷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원통형이고 상기 회전 기구(26)는 상기 용기(3)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그 용기의 외주면과 마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적어도 1대의 마찰 구동 로울러(35)를 포함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이 처리 장치가 상기 원통형 용기(3)의 상기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는 자유 회전 마찰 구동 로울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 구동 로울러(35)와 상기 자유 마찰 구동 로울러가 상기 용기(3)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3)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찰 구동 로울러와 접촉하는 보강링(38)이 있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2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는 원통형이고 상기 회전 기구(26b)는 동력 구동식 구동 기어(37a)와 상기 구동 기어(37a)와 맞물려 유지되고 상기 용기(3)와 동심으로 고정된 피동 기어(37b)로 구성되는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30. 제1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용기들(3)이 서로 일렬로 배열된 기다란 섬유물 처리 장치.
KR1019880016797A 1987-12-17 1988-12-16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910006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1007 1987-12-17
JP62321007A JPH01162858A (ja) 1987-12-17 1987-12-17 布帛等の染色その他処理方法と装置
JP62-321007 1987-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25A KR890010325A (ko) 1989-08-08
KR910006533B1 true KR910006533B1 (ko) 1991-08-27

Family

ID=1812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797A KR910006533B1 (ko) 1987-12-17 1988-12-16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88839A (ko)
EP (1) EP0324128B1 (ko)
JP (1) JPH01162858A (ko)
KR (1) KR910006533B1 (ko)
AU (1) AU603273B2 (ko)
BR (1) BR8806754A (ko)
CA (1) CA1286453C (ko)
DE (1) DE3877552T2 (ko)
ES (1) ES2037189T3 (ko)
HK (1) HK194395A (ko)
MY (1) MY1036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2150B2 (ja) * 2003-08-11 2009-02-12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繊維織物の脱油装置
CN113102362B (zh) * 2021-04-14 2022-03-04 思立科(江西)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薄型陶瓷电容用功能性离型膜的表面去污装置
CN115074928B (zh) * 2022-06-08 2023-07-21 塔里木大学 纺织用安全防护纺织材料冲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51353A (ko) *
FR1120581A (fr) * 1954-01-23 1956-07-09 Dispositif pour le traitement de matières ou d'articles souples
BE566291A (ko) * 1958-03-31 1958-04-15
US3938952A (en) * 1974-08-20 1976-02-17 Akzona Incorporated Method and means for multi-colored dyeing textile yarns
JPS528867A (en) * 1975-07-11 1977-01-24 Seiko Epson Corp Electronic watch
DE2749165A1 (de) * 1976-11-11 1978-05-18 Sandoz Ag Textilbehandlungsverfahren und -apparatur zu dessen durchfuehrung
JPS585301B2 (ja) * 1978-05-30 1983-01-2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ビ−ム液処理装置
US4393671A (en) * 1980-01-19 1983-07-19 Hajime Ito Apparatus for dyeing fiber by utilizing microwaves
US4494389A (en) * 1981-09-28 1985-01-22 Smejda Richard K Continuous system for treating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806754A (pt) 1989-08-29
HK194395A (en) 1996-01-05
AU603273B2 (en) 1990-11-08
EP0324128B1 (en) 1993-01-13
KR890010325A (ko) 1989-08-08
US4888839A (en) 1989-12-26
EP0324128A2 (en) 1989-07-19
EP0324128A3 (en) 1990-01-17
JPH01162858A (ja) 1989-06-27
ES2037189T3 (es) 1993-06-16
DE3877552D1 (de) 1993-02-25
JPH0515820B2 (ko) 1993-03-02
AU2699688A (en) 1989-06-22
DE3877552T2 (de) 1993-05-13
CA1286453C (en) 1991-07-23
MY103656A (en) 199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4103B2 (ja) 超臨界液で繊維物質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41539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ly dyeing textile yarns in a continuous system
CA2235439C (en) Low temperature, low bath ratio, tensionless and short-term dyeing method using microwaves, and its device
JPH01111062A (ja) なわ状繊維材料を連続的に処理、特に染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5907961A (en) Textile wet processing apparatus
KR910006533B1 (ko) 기다란 섬유물을 처리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S6338463B2 (ko)
JP2014505800A (ja) 糸のリール及び/又はパッケージに巻かれた織物繊維の染色のための機械及び方法
US4793014A (en) Process and machine for the treatment, in particular for batchwise dyeing, of lap-folded fabrics
US1896954A (en) Dyeing
KR20060070466A (ko)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
US7398660B2 (en) Dye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1432319A (en) Apparatus for the dyeing and other treatment of textile fibers in the loose state
US5791165A (en) Small textile-finishing installation
US382095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ing of textile fabric
US2758463A (en) Apparatus for wet processing textile materials
JP2001348770A (ja) 染色装置および染色方法
GB2030183A (en) Wet heat treatment of textiles
US5361438A (en) Process for the indigo dyeing of yarns in skeins
KR102598300B1 (ko)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JPH0160097B2 (ko)
KR840000043B1 (ko) 제트 염색 장치에서의 직물 처리방법
EP0621913B1 (en) Dyeing textile articles
US3880583A (en) Method for dyeing textiles
Hawkes et al. Wool‐dyeing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