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17Y1 - 부우스트 콤펜세이터 - Google Patents

부우스트 콤펜세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17Y1
KR910006517Y1 KR2019880018140U KR880018140U KR910006517Y1 KR 910006517 Y1 KR910006517 Y1 KR 910006517Y1 KR 2019880018140 U KR2019880018140 U KR 2019880018140U KR 880018140 U KR880018140 U KR 880018140U KR 910006517 Y1 KR910006517 Y1 KR 910006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st
pressure
pressure chamber
chamber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429U (ko
Inventor
사도루 이도오
히로시 나가누마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이다가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이다가끼 유끼오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3/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3/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 F02D23/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the engines being of fuel-inje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6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ans dependent on pressure of engine working fluid
    • F02D1/065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ans dependent on pressure of engine working fluid of intake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47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means specially adapted to limit fuel delivery or to supply excess of fuel temporarily, e.g. for starting of the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우스트 콤펜세이터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종단면도.
제2도는 개폐밸브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부우스트압에 대응한 개폐밸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3도(a)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 이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b)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d)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을 초과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특성을 나타낸 특성선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부우스트콤펜세이터(boost compensator)
4,24 : 다이아프램(diaphrgm) 5,25 : 부우스트압실
6,26 : 저압실 19 : 도입관(도입로)
20,37 : 개폐밸브 35,36 : 관통구멍(도입로)
본 고안은 과급기(過給器)부착 내연기관에 설치되어 부우스트압에 의하여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는 부우스트 콤펜세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급기 부착 내연기관에 있어서는 연료분사펌프에 부우스트 콤펜세이터를 설치하고, 과급기로 부터 내연기관에 이르는 흡기관로로 부터 부우스트 콤펜세이터에 분기도입한 부우스트압에 따라,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또 그러는 한편, 과급기의 터어빈에 이르는 배기관로 도중에 웨이스트 게이트(waist gate)를 설치하여,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웨이스트 게이트를 열어 배기의 일부를 바이패스시킴에 따라 부우스트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부우스트콤펜세이터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62-156143호 공보에 기재한 것등 각종의 것이 있으나, 종래의 부우스트 콤펜세이터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력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연료를 일정량으로 규제하는 기능은 지니고 있다고 하지만, 부우스트압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가령 웨이스트 게이트에 작동불량이 발생하면,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을 초과한 상태에서 계속 운전시키게 되어, 그 결과 엔진을 파손시킬 염려과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 놓은 것으로 부우스트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부우스트압을 저하시킬 수 있어, 이에 따라서 엔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우스트 콤펜세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압실에 부우스트압을 도입하는 도입로를 부설하고, 동 도입로에 부우스트압이 일정한 압력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도입로를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설치한 점이다.
부우스트압실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이 일정한 설정압에 도달하면, 개폐밸브가 열린다.
그런다음, 저압실에 도입로를 개재하여 부우스트압이 도입되고, 다이아프램이 저압실쪽으로 부터 부우수트압실쪽으로 향하여 밀어서 뒤로 돌아가게 된다.
그 결과,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가 감소하며, 부우스트압이 저하하게 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한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그 종단면도, 제2도는 개폐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이것들 도면에 나타낸 부우스트콤펜세이터(1)는 분배형 연료분사펌프(도면에 없음)에 설치된 것이며, 도면중 부호(2)는 하우징이다. 동 하우징(2)의 상부에는 커버(3)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들 하우징(2)와 커버(3)에 따라서 다이아프램(4)이 끼워 고정되어 있다.
본 다이아프램(4)에 따라, 커버(3)의 내부공간과 하우징(2)의 상부의 내부공간이, 각기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부우스트압실(5)과 저압실(6)로 되어 있다.
부우스트압실(5)과 저압실(6)로 되어 있다.
부우스트압실(5)에는, 배관(7)을 개재하여 과급기(도면에 없음)로 부터 부우스트압이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저압실(6)의 저부를 이루는 하우징(2)의 벽부에는 실린더(8)가 축선을 상하로 나사맞춤하여 고정되어 있다.
동 실린더(8)에는 푸시로드(9)가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동 푸시로드(9)의 상단부는 다이아프램(4), 동다이아프램(4)의 상하양측에 배치된 스프링시이트(10)의 및 너트시이트(11)를 관통하여 부우스트압실(5)에 돌출하고 있으며, 그 돌출한 상단부에 너트(12)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동 너트(12)와 협동하여 다이아프램(4)을 스프링시이트(10) 및 너트시이트(11)를 개재하여 끼워둠에 따라 푸시로드(9)가 다이아프램(4)에 지지되어 있다.
더우기, 실린더(8)의 외주에는, 스프링 지지부재(13)가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나사맞춤되어 있으며, 부우스트압실(5)내에 부우스트압이 도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프링 지지부재(13)와 스프링시이트(10) 사이에 배설된 압축스프링(14)에 따라, 푸시로드(9)의 상단부가 커버(3)에 가압접촉되어 있다.
또, 푸시로드(9)의 하단부에는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부(9a)가 형성되어 있다.
동 테이퍼부(9a)와 대립하는 하우징(2)의 벽부에는, 연결핀(15)이 제1도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동 연결핀(15)은, 스프링(16)에 의하여 제어팔(control arm)(17)을 개재하여 제1도의 오른쪽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그 우단부는 실린더(8)의 벽부를 관통하여 푸시로드(9)의 테이퍼부(9a)의 가압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부우스트압실(5)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이 높아지고, 푸시로드(9)가 압축스프링(14)에 저하하여 하동하면, 연결핀(15)이 스프링(16)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추적하여 제어팔(17)이 축(18)을 중심으로 하여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동 제어팔(17)의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연료분사펌프의 제어슬리이브가 링크기구(어느것도 도해없음)를 개재하여 연료증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부우스트압실(5)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이 저하하면, 압축스프링(14)에 따라서 푸시로드(9)가 상동하게 되어, 제어아암(17)이 연결핀(15)을 개재하여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스리이브가 연료감소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연료의 증감조절기능은 종래의 부우스트 콤텐세이터(1)가 부우스트압이 지나치게 커졌을 경우에 연료를 감소시키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즉, 부우스트압실(5)에 부우스트압을 도입하는 배관(7)과 저압실(6) 사이에는 도입관(도입로)(19)이 배설되어 있다.
동 도입관(19)의 중도부에는, 개폐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동 개폐밸브(2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단에 저부가 있고, 타단에 개구한 실린더형상의 밸브(20a)를 구비하고 있다. 동 밸브(20a)의 개구부에는 덮개(20b)가 나사맞춤 고정되었으며, 또 그 내부에는 피스톤(20c)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동 피스톤(20c)에 따라서 밸브(20a)의 내부가 파일러럿 압실(20d)과 대기압실(20e)로 구획되어 있다(제2도에서는 파일럿압실(20d)의 용적은 영으로 되어 있다). 파일럿 압실(20d)의 도입관(19)을 개재하여 배관(7)에 접속되어 있으며, 파일럿압실(20d)의 도입관(19)을 개재하여 배관(7)에 접속되어 있으며, 파일럿압실(20d)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에 도달하면, 피스톤(20c)이 스프링(20f)에 저항하여 대기압(20e)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대기압실(20e)은 덮개(20b)에 형성된 유통구멍(20g) 및 거기에 설치된 필터소자(20h)를 개재하여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더우기, 도면중에서 부호(20i)는, 스프링(20f)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쐐기(shim)이다.
또, 피스톤(20c)의 내부에는 대기압실(20e)에 면하는 단면으로 부터 파일섯압실(20d)쪽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세로구멍(20j)과 동세로구멍(20j)과 교차하여, 피스톤(20c)외주면에 개구하는 가로구멍(20k)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20c)이 밸브(20a)의 저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로구멍(20k)과 대향하는 밸브(20a)의 벽부에는 연통구멍(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 연통구멍(201)에 저압실(6)로 이르는 도입관(19)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부우스트 콤펜세이터의 작용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급기로부터 부우스트압실(5)로 압송되는 흡기의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의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제3도(a)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입관(19)이 피스톤(20c)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
결국, 개폐밸브(20)가 닫혀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우스트압이 높아지면, 푸시로드(9)가 하동하여, 연료가 증가하고 반대로 부우스트압이 저하하면 푸시로드(9)가 상동하여 연료가 감소한다.
한편,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에 도달하면, 개폐밸브(20)의 피스톤(20c)이 스프링(20f)에 저항하여 파일럿압실(20d)쪽으로 부터 대기압실(20e)쪽으로 향하여 이동하고, 제3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스톤(20c)의 파일럿압실(20d) 측단 가장자리가 연통구멍(201)의 파일럿압실(20d)측단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부우스트압이 더욱 높아지면, 제3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파일럿압실(20d)과 연통구멍(201)이 연통하여 개폐밸브(20)가 개방상태로 된다. 이러한 결과, 저압실(6), 도입관(19), 연통구멍(201)을 개재하여 파일럿압실(20d)로 연통하고, 나아가서 파일럿압실(20d) 및 도입관(19)을 거쳐 배관(7)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저압실(6)에 부우스트압이 도입되어, 다이아프램(4)이 저압실(6)쪽으로 부터 부우스트압실(5)쪽으로 향하여 밀어서 뒤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추종하여 푸시로드(9)가 상동하여 연료분사펌프의 제어슬리이브가 연료감소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내연기관에 대한 연료공급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회전수가 저하함과 동시에 부우스트압이 저하한다. 이에 따라서 엔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우기, 연료의 감소에 기초한 내연기관의 회전수 저하에 따라 과급기에 의한 부우스트압이 설정압 이하로 되면 개폐밸브(20)의 피스톤(20c)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도입관(19)이 닫혀져서 저압실(6)과 배관(7) 사이가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저압실(6)이 도입관(19), 연통구멍(201), 가로구멍(20k), 세로구멍(20j), 대기압실(20e), 유통구멍(20g) 및 필터소자(20h)를 개재 외부에 개방되어, 저압실(6)내의 부우스트압이 외부에 방출된다.
제4도는 상기한 작용을 나타낸 특성선도로서 부우스트압실(5)내의 부우스트압이 설정압(P2)으로 되면, 개폐밸브(20)가 열려서, 저압실(6)내의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서, 푸시로드(9)의 스트로우크가 감소한다. 그리고 부우스트압이 P3에 도달하면, 저압실(6)내의 압력이 P3로 되어 푸시로드(28)의 스트로우크가 영으로 된다. 결국 연료의 지나친 공급이 정지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부우스트 콤펜세이터(21)는 열형원료분사펌프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하우징(22)이 연료분사펌프(A)에 고정되어 있다.
동 하우징(22)의 한쪽부분에는 커버(23)가 고정되어 있으며, 하우징(22)와 커버(23)에 의하여 링형상을 이루는 다이아프램(24)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동 다이아프램(24)와 커버(23)사이에 부우스트압실(25)이 형성되어, 다이아프램(24)와 하우징(22) 사이에 저압실(26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다이아프램(24)의 중앙부에는 2개의 판체(27),(27)가 다이아프램(24)의 내주부를 끼움에 따라 고정되어 있다. 저압실(26)쪽의 판체(27)와 하우징(22) 사이에는 판체(27)를 부우스트압실(25)쪽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커버(23)에 형성된 도입구멍(23a)으로 부터 부우스트압실(25)내에 부우스트압이 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스프링(28)에 의하여 부우스트압실(25)쪽의 판체(27)가 고정나사(27)가 고정나사(29)에 가압 접촉하게 되어, 부우스트압이 도입되면 판체(27),(27)는 스프링(28)에 저항하여 저압실(26)쪽으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저압실(26)쪽의 판체(27)에는 밑이 있는 단통상의 케이싱(30)이 그 개구부를 고정하고 있다.
동 케이싱(30)의 저부에는, 푸시로드(31)의 일단부가 있다. 동 푸시로드(31)의 타단은 저압실(26)을 구획하는 하우징(22)의 벽부를 기밀하게 관통하여, 하우징(22)와 연료분사펌프(A)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S)내에 돌출하고 있으며, 그 돌출한 단부에 걸어 고정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공간(S)내에는 레버(32)가 축(33)에 정역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동 레버(32)의 일단부는, 걸어고정부(31a)에 접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화살표 C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규제 되어 있다. 레버(32)의 타단부에는 조절나사(34)가 나사맞춤되어 있으며, 동 조절나사(34)에 연료분사펌프(A)의 제어랙(B)이 접촉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부우스트압실(25)내에 부우스트압이 도입되면, 판체(27) 및 케이싱(30)을 개재하여 푸시로드(31) 및 그 걸어고정부(31a)가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하여, 그 이동분만큼 레버(32)가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결과, 제어랙(B)이 같은 방향(연료증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부우스트압이 저하하면, 스프링(28)에 따라서 판체(27)가 밀어서 뒤로 되돌아오게 한다. 이에 따라서, 레버(32)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 제어랙(B)을 연료감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같은 연료조절기구는 종래의 부우스트 콤펜서이터와 마찬가지이지만, 동 부우스트 콘펜세이터(21)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연료를 감소시키기기 위하여 다시금 다음과 같은 구성을 하게 된다.
즉, 판체(27),(27) 및 케이싱(30)에는, 각기 관통구멍(도입로)(35),(36)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우스트압실(25)에 도입된 부우스트압이 관통구멍(35), 케이싱(30)의 내부 및 관통구멍(30)을 개재하여 저압실(26)내에 도입되어 되어 있다. 하편, 케이싱(30)의 내부에는 관통구멍(35)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7)가 설치되어 있다.
동 개폐밸브(37)는 판체(27)에 대하여 접근, 이간할 수 있도록 배치된 판상을 이루는 밸브(37a)와 케이싱(30)의 사이를 밀폐한 상태에서 밸브(37a)를 지지하는 주름통(bellows)(37b)과 밸브(37a)를 판체(27)에 가압 접촉시켜서, 관통구멍(35)을 닫는 스프링(37a)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우스트(25)내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에 도달하면, 밸브(37a)가 스프링(37c)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관통구멍(35)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음은 더말할 것 없다.
상기한 구성의 부우스트 콤펜세이터(21)에 있어서, 부우스트압실(25)내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이 설정압에 도달하면, 밸브(37a)가 스프링(37c)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관통구멍(35)을 연다. 그런다음, 부우스트압실(25)내의 부우스트압이 관통구멍(35),(36)을 개재하여 저압실(26)내에 도입된다.
이렇게 도입된 부우스트압에 의하여 판체(27)가 밀어 뒤로 되돌아오게 되고, 푸시로드(31)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랙(B)이 연료감소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내연기관에 대한 연료공급량이 감소된다.
연료공급량이 감소에 따른 내연기관의 회전수의 저하에 따라서 부우스트압이 저하하면, 밸브(37a)가 스프링(37c) 따라서 판체(27)에 가압 접촉하게 되어, 관통구멍(35)을 담는다. 또, 저압실(26)내의 부우스트압은 가변유량 제어밸브(38)를 개재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가변 유량제어밸브(38)에 대하여는, 관통구멍(35)을 개재하여 저압실(26)내에 유입하는 부우스트압에 따라서 저압실(26)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뿐만아니라 저압실(26)내의 부우스트압이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되도록 그 유로면적이 조정된다. 일단 조정한 다음에는 유량을 바꿀 필요가 없고, 따라서 가변형의 것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 유료면적을 조정하면 제5도에서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지 유출구멍(39)을 형성하여도 좋다.
더우기, 본 고안은 상기한 2가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부우스트 콤펜세이터(21)에 있어서는 밸브(37a)와 케이싱(30)사이를 주름통(37b)으로 기밀하게 차폐하고 있으나, 주름통(37b)에 대하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단, 주름통(37b)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저압실(26)내의 압력(부우스트압도입에 의하여 발생한다)이 밸브(37a)를 판체(27)쪽으로 향하여 가압하는 배압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주름통(37b)을 설치하였을 경우보다는 부우스트압이 높은 상태에서 밸브(37a)가 관통구멍(35)을 닫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부우스트 콤펜세이터는 개폐밸브가 열리는 경우의 부우스트압을 종래의 부우스트 콤펜세이터에 있어서의 온하중(full load)이때의 부우스트압 보다도 낮게 설정하면, 온하중일때의 연료공급량의 보정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부우스트 콤펜세이터에 의하면 저압실에 부우스트압을 도입하는 도입로를 부설하고, 동 도입로에 부우스트압이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도입로를 여는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우스트압이 소정의 설정압에 도달하면 개폐밸브가 열리고, 저압실에 부우스트압이 도입되어,다이아프램이 저압실측으로부터 부우스트압실 쪽으로 향하여 밀어서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부우스트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엔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과급기의 부우스트압을 도입하는 부우스트압실(5)과 동 부우스트압실에 대하여 다이아프램(4)에 의하여 구획된 저압실(6)을 구비하고, 부우스트압실(5)에 도입되는 부우스트압에 따라서, 다이아프램(4)을 저압실(6)쪽으로 향하여 가압변형함에 따라서,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증대시키도록 한 부우스트 콤펜세이터(1)에 있어서, 저압실에 부우스트압을 도입하는 도입로(19)을 부설한 다음, 본 도입로(19)에 부우스트압이 일정한 압력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도입로를 여는 개폐밸브(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트콤펜세이터.
KR2019880018140U 1988-01-08 1988-11-03 부우스트 콤펜세이터 KR9100065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00597U JPH01105733U (ko) 1988-01-08 1988-01-08
JP88-597 198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29U KR890016429U (ko) 1989-08-19
KR910006517Y1 true KR910006517Y1 (ko) 1991-08-24

Family

ID=1147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140U KR910006517Y1 (ko) 1988-01-08 1988-11-03 부우스트 콤펜세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4993A (ko)
JP (1) JPH01105733U (ko)
KR (1) KR910006517Y1 (ko)
DE (1) DE38443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86B1 (ko) * 1998-02-10 2001-01-15 김영환 잡음제거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9198A (en) * 2002-06-01 2003-12-03 Seneca Tech Ltd A governor for a diesel engine
US6883316B2 (en) * 2003-06-23 2005-04-26 Toyota U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a turbo-charged diesel aircraft engine
EP2102468B1 (de) * 2006-12-21 2011-02-16 BorgWarner, Inc. Mehrstufige turboladeranordnung
US7832327B2 (en) * 2007-12-07 2010-11-16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Ring sealed diaphrag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2956A (en) * 1939-10-20 1942-02-04 Atlas Diesel Ab Improvements in means for controlling the fuel supply in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279048A (en) * 1940-03-04 1942-04-07 George M Holley Torque controlled fuel supply system
AU457071B2 (en) * 1970-11-30 1975-01-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mprovements in vacuum operated fuel injection apparatus
US3981285A (en) * 1972-08-19 1976-09-21 Robert Bosch G.M.B.H. Fuel control system for supercharged, fuel inj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176641A (en) * 1976-12-30 1979-12-04 Cummins Engine Company, Inc. Aneroid for a turbocharged engine
US4136656A (en) * 1977-07-26 1979-01-30 Tsentralny Nauchno-Issledovatelsky Dizelny Institut Load control device for turbo-suspercharged diesel engines
DE2854422A1 (de) * 1978-12-16 1980-07-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anlage fuer diesel- brennkraftmaschinen, insbesondere fuer fahrzeug-dieselmotoren
JPS5596328A (en) * 1979-01-17 1980-07-22 Nissan Diesel Motor Co Ltd Fuel injection regulator of diesel engine
DE2936162A1 (de) * 1979-09-07 1981-03-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euerein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insbesondere ladedruckabhaengige korrektureinrichtung fuer aufgeladene fahrzeug-diesemotoren
JPS56124643A (en) * 1980-01-14 1981-09-30 Diesel Kiki Co Ltd Apparatus used in supercharged engine for preventing excessive supply of fuel
JPS56124645A (en) * 1980-01-16 1981-09-30 Diesel Kiki Co Ltd Apparatus used in supercharged engine for preventing excessive supply of fuel
JPS6128028Y2 (ko) * 1981-05-14 1986-08-20
JPS57200621A (en) * 1981-06-05 1982-12-08 Diesel Kiki Co Ltd Fuel injection amount regulating device in fuel injection pump
DE3139789A1 (de) * 1981-10-07 1983-04-2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DE3146132A1 (de) * 1981-11-21 1983-06-0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JPS59119944A (ja) * 1982-12-27 1984-07-11 Fujitsu Ltd 回線制御診断方式
JPS60201029A (ja) * 1984-03-27 1985-10-11 Toyota Motor Corp タ−ボチヤ−ジヤ付デイ−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S62156143A (ja) * 1985-12-28 1987-07-11 Idemitsu Petrochem Co Ltd 発泡体の製造方法
JPS646136A (en) * 1987-02-03 1989-01-10 Toppan Printing Co Ltd Hologram fi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86B1 (ko) * 1998-02-10 2001-01-15 김영환 잡음제거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29U (ko) 1989-08-19
US4864993A (en) 1989-09-12
DE3844391A1 (de) 1989-07-20
JPH01105733U (ko) 1989-07-17
DE3844391C2 (ko) 199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184A (en) Diaphragm actuator
KR950003743B1 (ko) 과급기(過給機)부착엔진의 흡기장치
KR910006517Y1 (ko) 부우스트 콤펜세이터
JPS6045296B2 (ja) 内燃機関の無負荷回転数の調整装置
JPS6128028Y2 (ko)
US5003957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mechanical super-charger
US4228774A (en) Control apparatus for supercharged fuel injection engines
US6244227B1 (en) Valve assembly using pressurized medium for contro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a two-stroke engine
US5003949A (en) Governor assist mechanism
US4005691A (en) Control installation for exhaust gas recycling
US4138978A (en) Two-open-position choke valve control system
US2984232A (en) Fuel injection control
US4181110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334078A (ja) 流体圧力調整器
GB2096239A (en) Regulation of i c engine idling speed by throttle bypass valve control
JPH086601B2 (ja) 過給圧制御弁装置
US4563998A (en) Control arrangemen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128924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GB2038416A (en) Auxiliary Air Regulating Device for a Fuel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725661B1 (en) Valve device
JPS6345487B2 (ko)
KR100271917B1 (ko)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GB2031515A (en) Compression-ignition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JPS626261Y2 (ko)
JPH0388954A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