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917B1 -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917B1
KR100271917B1 KR1019970060200A KR19970060200A KR100271917B1 KR 100271917 B1 KR100271917 B1 KR 100271917B1 KR 1019970060200 A KR1019970060200 A KR 1019970060200A KR 19970060200 A KR19970060200 A KR 19970060200A KR 100271917 B1 KR100271917 B1 KR 10027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uel
spring
fuel injection
compens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941A (ko
Inventor
양도순
Original Assignee
박상록
주식회사두원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록, 주식회사두원정공 filed Critical 박상록
Priority to KR101997006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91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2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fuel delivery being controlled by means of fuel-displaced auxiliary pistons, which effect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엔진에 있어서, 고압연료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영역에서 적은 연료량을 보상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되게 한 연료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과급실의 중앙에 다이아프램이 설치되어 그 상부에는 조절볼트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어드져스팅핀이 스프링으로 탄설되어 그 연결핀에 의해 연료량 조절레버와 접촉 구성된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과급실 상부의 압력주입구에 공기압축기와 연결된 에어 파이프를 연결하되, 그 중간에 피스톤이 스프링으로 탄설된 개페밸브를 장착하여 그 후측의 유입공에 연료파이프를 설착하여 연료오버플로우홀과 연결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본 발명은 디젤엔진에 있어서, 고압연료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영역에서 적은 연료량을 보상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되게 한 연료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영역에서의 연료량 보상장치는 도 1 의 도시와 같이 펌프내의 실내압이 오리피스(108)를 통해 어드쟈스팅핀(107)에 작용하여 이것이 위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연결핀(105)이 어드쟈스팅핀(107)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연결핀(105)의 왼쪽 끝단과 접촉되어 있는 레버(1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국 연료량이 증가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내부에 있는 스프링(104)은 도 4 a, c의 도시와 같이 스프링(104)의 세팅력으로는 연료량의 증강위치, 스프링 상수로는 연료량 증가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스트로크의 변경은 도 4 b,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길이 조절용 스크류(103)와 어드쟈스팅 핀의 콘앵글각으로 설정한다.
도 2 에 도시한 연료보상장치는 역시 고속영역의 연료량을 보상하는 장치이다.
이때 사용되는 압력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압력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
즉, 그 작동원리를 보면 엔진상태에 따라 배기가스압이 발생되고 이를 연료보상장치의 배기가스 주입구에 가압하게 되면 다이아프램을 아래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때 다이아프램과 연결된 어드져스팅핀(207)이 동시에 아래로 밀려 내려가게 된다.
이로서 어드져스팅핀(207)과 레버(206)의 연결핀(205)이 어드져스팅핀(207)의 경사면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핀(205)의 왼쪽과 연결되어 있는 레버(2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료를 증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5 a,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의 세팅력으로 연료의 증감위치, 스프링 상수에 의해 연료증가의 기울기를 결정한다.
이때 스프링의 세팅력은 스프링시트(204)의 높낮이로 조절한다.
그 스트로크는 도 5 b,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shim)(203)의 두께와 어드쟈스팅핀의 콘앵글로 설정한다.
전기한 연료보상장치 중 펌프내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는 그 실내압을 직접 이용하므로서 그 연료가 내부에 있게 되어 펌프의 실압변동에 따라 연료분사장치의 내부 압력변화도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되므로 압력유지를 위해 도 1 의 도시와 같은 연료드레인호울(210)을 있게 하여 별도의 파이프를 구성하여 이를 저압발생부에 연결 구성하여야 하였다.
그러므로 부품의 공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배기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는 터보차량에만 부착 사용하는 것이어서 그 사용범위가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발명한 것으로서 배기압용 연료보상장치의 구성에 배기가스의 압력 대신에 펌프의 실압이 작용되게 하여 범용성을 있게 하면서도 연료량 보상을 할 수 있게 하여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게 한 연료보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기존 연료분사장치의 펌프실압을 이용한 연료 보상 장치 단면도
도 2 는 기존 연료분사장치의 배기압을 이용한 연료 보상 장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연료분사장치의 단면도
도 4 는 펌프실압에 의한 연료보상장치의 특성도
도 5 는 배기압에 의한 연료보상장치의 특성도
도 6 은 본 발명 펌프의 실압곡선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압력곡선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과급실 2 : 다이아프램
3 : 조절볼트 4 : 어드져스팅핀
5 : 스프링 6 : 연결핀
7 : 조절레버 8 : 압력주입구
9 : 공기압축기 10 : 에어파이프
11 : 피스톤 12 : 스프링
13 : 개폐밸브 14 : 유입공
15 : 연료파이프 16 : 연료오버플로우 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과급실(1)의 중앙에 다이아프램(2)이 설치되어 그 상부에는 조절볼트(3)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어드져스팅핀(4)이 스프링(5)으로 탄설되어 그 연결핀(6)에 의해 연료량 조절레버(7)와 접촉 구성된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과급실(1) 상부의 압력주입구(8)에 공기압축기(9)와 연결된 에어 파이프(10)를 연결하되, 그 중간에 피스톤(11)이 스프링(12)으로 탄설된 개페밸브(13)를 장착하여 그 후측의 유입공(14)에 연료파이프(15)를 설착하여 연료오버플로우홀(16)과 연결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연료분사장치가 작동하면서 실내압이 발생되면 그 실내압이 오버플로우 밸브(16)에 미치면서 이에 연결된 연료파이프(15)에 의해 그 압력이 개폐밸브(13)에 전달되므로서 그 유압에 의해 개폐밸브(13)내의 피스톤(11)이 스프링(12)의 탄발력을 넘어서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에어파이프(10)를 개통시키게 되어 압축공기가 과급실(1)의 다이아프램(2) 상부에 유입되게 하므로서 다이아프램(2)으로 구분된 펌프실압과 대응되게 하여 양측압력을 1:1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6 은 펌프의 실압곡선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실압의 크기는 약 12kg/mm2으로 나타나고 있다 .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압력은 1kg/mm2이하이므로 이것을 피스톤의 오리피스경과 압축공기의 유로파이프의 경 및 스프링으로 조정하여 설정하므로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보상된 압력은 도 7에 도시하였다.
이로서 기존의 펌프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고속영역의 연료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디젤엔진의 고압연료보상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펌프형상을 변경하지 않아 부품의 공용성을 가지면서도 펌프의 실내압에 의하여 고속영역에서 연료량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과급실(1)의 중앙에 다이아프램(2)이 설치되어 그 상부에는 조절볼트(3)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어드져스팅핀(4)이 스프링(5)으로 탄설되어 그 연결핀(6)에 의해 연료량 조절레버(7)와 접촉 구성된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과급실(1) 상부의 압력주입구(8)에 공기압축기(9)와 연결된 에어 파이프(10)를 연결하되, 그 중간에 피스톤(11)이 스프링(12)으로 탄설된 개페밸브(13)를 장착하여 그 후측의 유입공(14)에 연료파이프(15)를 설착하여 연료오버플로우홀(16)과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KR1019970060200A 1997-11-15 1997-11-15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KR10027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00A KR100271917B1 (ko) 1997-11-15 1997-11-15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00A KR100271917B1 (ko) 1997-11-15 1997-11-15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41A KR19990039941A (ko) 1999-06-05
KR100271917B1 true KR100271917B1 (ko) 2000-11-15

Family

ID=1952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00A KR100271917B1 (ko) 1997-11-15 1997-11-15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9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4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338B2 (en) Fluid flow pressure regulator
WO2004015262A1 (ja) ガス燃料供給装置
US5150677A (en)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US5161513A (en) Device for damping the intake noise of diesel engines
KR19990077116A (ko) 배기다기관 장치
US4765303A (en) Gaseous fuel charge form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271917B1 (ko) 연료분사장치의 실내압을 이용한 연료보상장치
CA2223770A1 (en) Valve assembly using pressurized medium for contro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a two-stroke engine
US4512308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full-load injection quantity of a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1061252A3 (en) Fuel injector
US4181110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749896A (en) Compression operated fuel injection pump
SU1746035A1 (ru) Система питани газодизел
CN201297219Y (zh) 减压调节器
EP1177372B1 (en) Valve device
US4206731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87182A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1452680A (en) Power fuel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arburettor
KR19990032013A (ko) 터보 차저 엔진의 웨이스트 게이트 구조
SU1390419A1 (ru) Ускорительный насос карбюратора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GB2031515A (en) Compression-ignition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KR100418784B1 (ko) 차량의 연료 분사량 고도 보상 제어장치 및 방법
US5190010A (en) Arrangement for regenerating a soot burn-off filter in the exhaust duct of an air-compressing fuel-injected internal-combustion engine
KR0136980Y1 (ko) 디이젤 엔진의 전자식 인젝터
KR100199425B1 (ko) 디젤엔진의 연료량 보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