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07B1 - 다이캐스트 주조기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트 주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07B1
KR910006207B1 KR1019830002811A KR830002811A KR910006207B1 KR 910006207 B1 KR910006207 B1 KR 910006207B1 KR 1019830002811 A KR1019830002811 A KR 1019830002811A KR 830002811 A KR830002811 A KR 830002811A KR 910006207 B1 KR910006207 B1 KR 91000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supply
molten metal
casting machin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030A (ko
Inventor
대루모도 야마구찌
쓰네오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덴끼 세아사구쇼
다나까 고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7933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240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96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145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덴끼 세아사구쇼, 다나까 고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덴끼 세아사구쇼
Publication of KR84000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08Cold chamber machines, i.e. with unheated press chamber into which molten metal is la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캐스트 주조기
제1도는 종래의 다이캐스트 주조기의 일부 측단면도.
제2a도-b도는 각각 상기한 주조기에 있어서 용탕의 공급 및 공동내로의 압입공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3a도는 상기한 주조기로 주조된 제품의 정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자의 제안에 의한 단판(段板)을 설치한 다이캐스트 주조기의 단면측면도.
제6a-d도는 제5도에 표시하는 주조기에 있어서 용탕의 공급 및 공동내로의 압입공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제6도의 용탕로의 단면도.
제8도는 단판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를 구비한 주조장치의 개략평면도.
제10, 11도는 각각 제9도에 표시한 용해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표시한 주조기의 일부 측단면도.
제13a도는 제12도에 표시한 주조기로 주조되는 제품의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종단측면도.
제14a도는 제9도에 표시한 불순물 제거장치의 평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XIV-XIV선 단면도.
제15a-d도는 각각 제9도에 표시한 주조기에 있어서 용탕의 공급 및 공동내로의 압입공정을 표시하는 일부 측단면도.
제16도는 제12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 측단면도.
제17a-d도는 각각 제16도에 표시한 주조기에 있어서 용탕의 공급 및 공동내로의 압입공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18도는 제12도의 실린더에 단판을 설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제19도는 단판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20a, b도는 각각 단판의 사시도.
제21a도는 제13도에 표시하는 제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21b도는 제21a도의 종단측면도.
제22도는 제11도에 표시하는 용해로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3도는 급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용 덮개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4b도는 제24a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a : 사출용피스톤 24 : 고정프레임
25 : 가동프레임 46 : 가동금형
37 : 용탕 51 : 탕구
43 : 급탕구 45 : 고정금형
44 : 급탕로 85 : 단판
49 : 간극
본 발명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가압실형(冷加壓室形) 다이캐스트 주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가압실형 다이캐스트 주조기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대(機台)(1)위에, 고정프레임(2), 그 고정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금형(3), 상기한 고정프레임(2)에 대하여 전후진하는 가동프레임(4), 그 가동프레임(4)에 고정되어 고정금형(3)과 접촉이탈되는 가동금형(5) 및 가동프레임 구동장치(6)를 배치하고, 양쪽 금형(3)(5)을 밀착한 후, 제2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에 설치된 사출성형용 실린더(7)내에 급탕기(8)에 의해 급탕구(9)로부터 공급된 용탕(10)을, 피스톤(11)의 지속구동(제2도(b) 참조) 및 고속구동 제2도(c)에 의해서, 실린더(7)내의 급탕로(12), 비스킷(biscuit)(13), 탕도(14) 및 탕구(15)를 통해 각 금형의 성형용 공동(cavity)(16)내에 충전하여(제2도(d)참조) 주조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주조기에서는, 실린더(7)내의 통형상 급탕로(12)의 바닥면(12a)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탕로(12)의 하반부에 용탕(10)이 고이는 한편, 상반부에 공기가 체류해서, 피스톤(11)의 구동에 의하여, 저속시에는 제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7)내에 공기가 잔존한 상태에서 용탕(10)이 공동(16)내로 압입되기 시작하며, 고속시에는 제2도(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용탕(10)중에 상기한 실린더(7)내의 공기를 혼입시킨 상태에서 공동(16)내로 압입한다.
따라서 제3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제품(17),(18)에 수축소(收縮巢)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그 외에, 비스킷(13), 탕도(14) 및 탕구(15)내의 잔류용탕(10)을 적게하면, 그 용탕(10)이 공동(16)내의 용탕(10)보다도 빨리 응고하는데, 이 응고시에 비스킷(13)내의 용탕(10)중에 혼입되어 있었던 공기가 공동(16)내의 용탕(10)중에 이동하여서, 제품(17),(18)에 수축공동이나 수축소 등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비스킷(13)등에 잔류하는 용탕(10)을 어느 정도 많게해서, 그 용탕(10)보다도 공동(16)내의 용탕(10)쪽이 빨리 응고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비스킷(13), 탕도(14) 및 탕구(15)에서 형성된 가스가 많아 생산효율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주조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탕로(12)의 바닥면(12a)이 수평이므로, 공동(16)을 급탕로(12) 앞쪽끝의 비스킷(13)보다도 아래쪽에 설치한 경우에는, 급탕구(9)로부터 용탕(10)을 급탕로(12)에 공급함과 동시에 비스킷(13)으로부터 탕도(14) 및 탕구(15)를 통해 아래쪽의 공동내로, 피스톤(11)의 구동에 의한 용탕(10)의 압입공정전에, 용탕(10)이 유입하여 응고하기 시작해서, 제품에 불균일한 응고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동을 급탕로 앞쪽끝의 비스킷(13) 위쪽 이외에는 설치할 수가 없어서, 예를 들어 비스킷(13)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넓어지는 바와 같은 제품(제13도(a)(b) 참조)을 주조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제품에 수축공동이나 수축소를 없게함과 아울러, 재료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는 다이캐스트 주조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캐스트 주조기에서는, 급탕구로부터 사출성형용 실린더방출내로, 공급된 용탕을 사출용피스톤으로 비스킷까지 압출하는 용탕의 급탕로 바닥면을, 그 압출방향으로 순차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해서, 공동내에, 우선 급탕로내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어서 용탕을 압입하도록 하여 제품에 발생하는 수축공동이나 수축소등을 적게하여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비스킷 및 탕구내의 잔류용탕을 적게하여 재료의 유효이용을 도모해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자가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다른 구조에 관한 다이캐스트 주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제8도에는 본 발명이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가 표시되어 있다. 이 다이캐스트 주조기에서는, 고정프레임(2), 실린더(7)등의 급탕로(12)중간부에, 바닥면으로부터 단판(段板)(7A)가 상승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6도(a)와 같이 급탕구(9)로부터의 급탕시 및 사출초기에는 단판(7A)이 상승하여 용탕의 이동을 제한하고, 용탕이 비스킷(13)을 통과하여 공동(16)에 도달하지 않도록 배려해서, 제6도(b)-(d)와 같이 공기혼입이 적은 주조를 행하여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단판(7A)의 평면형상은 제8도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 타원형상 등이다. 또, 이 단판(7A)은 피스톤(11)의 이동시에는 하강하지만, 이 단판(7A)의 상단부(7B)는 제7도,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7)의 내부둘레면과 동일한 곡면으로 되어서 가공시에 피스톤(1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9도에 있어서, 부호(21)는 재료공급장치, (22)는 용해로, (23)은 사출성형용 실린더, (24)는 고정프레임, (25)는 가동프레임, (26)은 가동프레임 구동장치, (29)는 상자수납장치, (30)은 반환장치, (31)은 조작반이다.
상기한 재료공급장치(21)는 제10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볼잉곳(ball ingot)(33)을 나선형상으로 예열케이스(34)의 내부둘레면에나 순환하여 설치된 공급슈우트(35)의 안내에 의해 상기한 용해로(22)의 용융실(36)내로 인도하여, 용융함과 아울러, 용탕(37)의 배열(排熱)을 상기한 예열케이스(34)내로 유도해서, 미리 볼잉곳(33)을, 열전대(熱傳對)등의 온도센서(38)에 인계된 조절댐퍼(control damper)(39)로서 온도조절을 행하면서, 예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용해로(22)내의 용탕(37)은, 용융실(36)의 일부를 덮고 있는 덮개(40)를 개폐용실린더(41)의 개방구동시에, 급탕장치(32)를 구성하는 급탕기(42)에 의하여 용탕(37)을 사출성형용 실린더(23)의 급탕구(43)로부터 급탕로(44)로 급탕하도록 하고있다(제15도(a) 참조).
사출성형용 피스톤(23a)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상기한 사출성형용 실린더(23)를 보유하는 고정프레임(24)에는 성형형틀로서의 고정금형(45)을, 고정프레임(24)에 대하여 전후동하는 가동프레임(25)에는 성형형틀로서의 가동금형(46)을 각각 금형고정장치(47)…(47)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대(52)위의 고정프레임(24)에는 사출성형용 실린더(23)를, 그 실린더내실(44a)의 바닥면이 앞쪽끝으로 향함에 따라서 순차상승하도록 경사시켜서 지지프레임(48)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상기한 실린더(23)의 앞끝에는, 동일한 축을 이루어져 실린더내실(44a)과 연통하는 구멍(44b)을 고정금형(45)에 설치하고, 상기한 내실(44a)과 구멍(44b)으로서 급탕로(44)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가동금형(46)에는, 그 가동금형(46)과 고정금형(45)의 밀착시에, 상기한 급탕로(44)의 앞끝을 폐색하는 간극(비스킷)(49)과, 그 간극(49)의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성형용 공동(50)…(50)과 간극(49)을 연통시키는 탕구(51)…(51)를 각각 형성하는 오목부(46a)를 설치하는 한편, 고정금형(45)에는, 가동금형(46)과 고정금형(45)의 밀착시에 상기한 가동금형(46)의 오목부(46a)와 함께 공동(50)…(50)을 형성하는 오목부(45a)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공동(50)내에서 주조된 성형품인 제품(53)(제13도참조)을, 금형의 개방시에, 가동금형(46)으로부터 압출장치(54)에 의하여 배출시켜서, 제품보전유지위치(A)(제9도중 1점쇄선으로 표시한다)에 위치하는 제품보전유지장치(27)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품보전유지장치(27)는, 상기한 제품(53)을 끼워맞추는 구멍(미도시)을 보유하는 트리밍다이스(trimming die)(55)와, 그 다이스(55)를 트리아암(56)과 함께 양쪽 금형(45)(46)의 이간시에 수평방향으로부터 금형(45)(46)사이로 진출하였을 때에, 가동금형(46)에 부착한 제품(53)을 상기한 다이스(55)의 구멍내로 끼워맞춤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품보전유지장치(27)의 끝면에는, 도포장치로서의 이형제(離型劑) 도포용노즐(57)…(57)을 복수개 설치해서, 제품(53)을 보전유지한 제품보전유지장치(27)가 양쪽 금형(45)(46)사이로부터 빠져나올 때, 각 금형(45)(46)의 오목부(45a)(46a)에 이형제를 시간제어에 의하여 충분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다이스(55)에 보전유지된 제품(53)은, 금형(45)(46)사이 밖의 다듬질위치(B)(제9도중 실선으로 표시함)에서, 다듬질장치(28)에 의하여 다듬질가공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다듬질장치(28)는, 제품압출용 펀치(58)와, 펀치구동용 실린더(59)로 구성되고, 상기한 펀치(58)는 상기한 펀치구동용 실린더(59)에 의하여 고동되어서, 다듬질위치(B)에 위치하는 트리밍다이스(55)를 통과하여 압출되어서, 제품(53)으로부터 주조시에 형성된 버르(burr)나, 비스킷(49) 및 탕구(51)에 형성된 찌꺼기(60)등을 제거하여 다듬질 가공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듬질된 제품(53)은, 제품슈우트(61)를 통하여 컨베이어(62)상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상자(63)에 일정한 개수씩 채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제품(53)의 다듬질시에, 제품(53)으로부터 제거된 버르나찌꺼기(60)등은, 완전하게 냉각되기 이전에, 반환장치(30)에 의하여 용해로(22)내로 복귀되어서 재어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반환장치(30)에서는, 버르나 찌꺼기(60)등을 복귀재료슈우트(64)로부터 이 엘리베이터(65)내의 버킷(미도시)내로 수집하고, 그 버킷이 일정량으로 되면, 그 버킷을 실린더(미도시)구동에 의하여 엘리베이터(65)내를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65)의 상단위치에서 버킷을 경사작동시켜서, 버킷내의 버르나 찌꺼기(60)등을 용해로 투입용 슈우트(66)를 통해 용해로(22)내의 망(67)에 의하여 구획된 재생부(68)내로 투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호(69)는 용해로(22)의 탕면(湯面)의 불순물제거장치로서, 제14도(a)(b)중 C위치로부터 D위치로 화살표(a)방향으로 불순물채취기(71)를 이동시켜서, 용해로(22)의 탕면의 불순물을 상기한 불순물채취기(71)내로 거둬들이고, 그 불순물채취기(71)를 D위치로부터 지지점(72)을 중심으로 화살표(b)방향으로 E위치까지 회동해서, 불순물채취기(71)내에 거둬들인 불순물(73)을 불순물수용기(74)내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에 의한 다이캐스트 주조기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9도에 있어서, 조작반(31)의 조작에 의하여 가동프레임 구동장치(26)로 양쪽 금형(45)(46)을 밀착시키는 한편, 용해로(22)로부터 용탕(37)을 급탕장치(32)에 의하여 사출성형용 실린더(23)내로 공급한다.(제15도(a) 참조).
그 실린더(23)내의 급탕로(44)에 공급된 용탕(37)을, 제15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출용피스톤(23a)의 저속구동에 의하여 비스킷(49)쪽으로 압출하고, 실린더(23)내의 공기를 용탕(37)에 앞서서 공동(50)내로 유입시켜 공기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킨다.
다음에, 피스톤(23a)을 고속구동하여 제15도(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용탕(37)을 급탕로(44)로부터 비스킷(49) 및 탕구(51)를 통해 공동(51)…(50)내로 압입하고, 또한 제15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3a)을 실린더 앞쪽끝의 비스킷(49)내부까지 압출하여 용탕(37)을 공동(50)…(50)내로 충전하여 주조를 행한다.
이어서, 제품(53)을 가동금형(46)쪽으로 부착시킨 상태로 양쪽 금형(45)(46)을 이간시켜서, 제9도에 1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양쪽 금형(45)(46)사이에 다이스(55)를 진입시킨다.
다음에, 상기한 가동금형(46)으로부터 제품(53)을 압출하여 상기한 다이스(55)의 구멍내로 끼워맞춤시킨다.
그후, 상기한 다이스(55)를 양쪽 금형(45)(46)사이로부터 후퇴시키면서 노즐(57)…(57)로부터 이형제를 각 금형(45)(46)의 오목부(45a)(46a)내로 도포한다.
다음에, 양쪽 금형(45)(46)을 다시 밀착시켜 다음의 주조를 행한다.
한편, 제품(53)을 보전유지한 다이스(55)에 대해서, 펀치(58)을 압압시켜서, 제품(53)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버르나 찌꺼기(60)등을 제거하고, 상기한 펀치(58)에 의하여 압출되어 다듬질가공된 제품(53)은, 제품용슈우트(61)를 통해 컨베이어(62)위의 상자(63)내로 일정갯수씩 채워진다.
동시에 상기한 버르나 찌꺼기(60)등은, 복귀재료 슈우트(64)를 통해 엘리베이터(65)의 버킷 내로 일시적으로 수집되어서, 엘리베이터(65)에 의하여 용해로(22)보다도 위쪽으로 운반된 후, 용해로 투입용 슈우트(66)로부터 용해로(22)내로 투입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조재료로서 볼잉곳(33)을 사용하였으므로, 재료의 공급조작을 극히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용탕(37)의 열을 이용하여 볼잉곳(33)을 예열하도록 하였으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다이스(55)에 설치한 이형제 도포용 노즐(57)…(57)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분사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서, 금형(45)(46)의 오목부(45a)(46a)내로 균일하게 분사할 수가 있다.
또한, 제품(53)으로부터 제거된 버르 및 찌꺼기(60)등을 신속하게 버킷내로 수집하여 용해로(22)내로 복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수집작업이 간단하게 됨과 아울러, 버르 및 찌꺼기(60)등이 완전하게 냉각되기 이전에 용해로(22)내로 복귀가능하므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프레임(24) 및 금형(45)에 대하여 지지프레임(48)에 의해 사출성형용 실린더(23)를, 그 앞끝이 위쪽으로 비스듬하도록 경사시켜 설치했지만,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사출성형용 실린더(23)를 고정프레임(24) 및 금형(45)에 대해 지지프레임(48)에 의해서, 종래와 동일하게 급탕로(44)가 한 쌍의 금형(45)(46)사이에 걸쳐지는 주조기에 축심 G-G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삼각대형상의 개대(75)위에 설치해서, 주조기의 축심 G-G를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급탕로(44)를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하여도 좋다.
제17도(a)-(d)에 표시하는 볼실시예에 있어서 사출성형용 실린더(23)내로의 용탕(37)의 공급 및 피스톤(23a)의 구동조작등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5도(a)-(d)에 표시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면, 종래의 주조기에 있어서의 기대를 상기한 기대(75)로 교환할 수 있어서, 범용성이 풍부하다.
또, 급탕로(44)내로 공급된 용탕(37)중, 비스킷쪽 앞끝부분의 용탕량이 적으므로, 사출성형전에 앞끝부분의 용탕온도가 내려가서 용탕(37)의 일부가 응고하는 경우도 있으며, 사출성형후의 다른 탕과의 용융혼합정도가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1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윗면에 사출성형용 실린더(23)의 내부둘레면과 거의 동일한 곡면(85a)을 보유하는 단판(85)을 사출성형용 실린더(23)의 고정프레임 근방에 피스톤(23a)과 동기(同期)시켜서 상하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급탕로(44)내로 용탕(37)을 공급할 때에는, 단판(85)을 제18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H)로 상승시켜 용탕(37)을 막아서(제19도 참조), 제15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은 용탕(37)의 탕량이 적은 앞끝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한편, 용탕(37)을 공동(50)내로 압입할 때에는, 제18도에 1점쇄선으로 표시한 I위치로 이동시켜서, 용탕(37)의 압입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용탕(37)을 공동(50)내로 압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단판(85)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 근방의 위치뿐만 아니라 제18도에 점선(J)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4)내에 설치하여도 좋다. 단판(85)의 형상은, 제20도(a) 에 표시하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20도(b)에 표시하는 단면이 원형상인 것 등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용탕(37)의 앞끝부분의 탕량이 적게되지 않으므로, 항상 용융혼합이 균일화해서, 품질을 보다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제품은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스킷(49)을 중심으로 한 방사상의 공동에 의하여 주조한 것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21도(a)(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스킷(49)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비스킷(49)을 포위하는 공동에 의하여 주조한 것(76)등 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용해로(22)대신에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21)내로, 용융실(36)을 가열한 후의 배출연기를 통과시켜서, 배출연기의 열에 의하여 볼잉곳(33)을 예열하도록 한 용해로(77)이어도 좋다.
또한 제22도에서, 부호(78)는 공급 슈우트개폐용 실린더로서, 그 실린더(78)에 의하여 볼잉곳(33)의 공급량을 조정하며, 부호(79)는 탕면 보호덮개이다. 또, 상기한 급탕장치(32) 대신에, 제23도, 제24도에 표시하는 것도 좋다. 제23도, 제24도에서 부호(80)는 급탕기, 부호(81)는 옆부분에 사다리꼴형상의 캠부분(81a)(81a)을 보유하며 아래끝에 상기한 급탕기(80)를 설치한 지지아암, 부호(82)(82)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는 한쌍의 탕면 개폐용 덮개, 부호(83)(83)는 각각 그 개폐용 덮개(82)(82)에 위쪽을 향해 돌출설치해서 윗끝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려 접촉부(83a)(83a)를 형성한 돌출부를 각각 나타내는데, 제2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83)(83)의 접촉부(83a)(83a)사이에 지지아암(81)의 폭이 좁은 부분(81b)을 삽입하고, 그 후에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81)을 연직방향의 아래쪽을 향해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접촉부(83a)(83a)가 지지아암(81)의 캠부분(81a)(81a)을 따라서 미끄럼운동하여 개폐용 덮개(82)(82)가 개방되어서, 급탕기(80)내로 용탕(37)을 유입시킨다.
그후, 지지아암(81)을 상승시켜서, 캠부분(81a)(81a)으로부터 접촉부(83a)(83a)가 벗어남에 따라서 개폐용 덮개(82)(82)가 폐쇄되는 한편, 지지아암(81)의 아래쪽 끝의 급탕기(80)내의 용탕(37)을 사출성형용 실린더(23)의 급탕구(43)로부터 급탕로(44)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개폐용 덮개의 실린더(41)등이 불필요하게 되어서, 개폐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14)

  1. 대향면에 용탕공급용 공동(50)을 형성한 한쌍의 성형형틀과, 한쪽 끝이 이 성형틀의 공동(50)과 연통되고 바닥면이 전기한 한쪽 끝을 향하여 순차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된 급탕로(44)와, 이 급탕로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급탕로에 용탕(37)을 주입하기 위한 급탕구(43), 및 급탕로(44)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전기한 한쪽끝을 향해 이동가능하여서 공동(50)내로 급탕로내의 공기를 유입시킨 후에 용탕을 공동내로 압입하여 제품의 수축소를 적게하는 사출용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1쌍의 성형형틀의 축심(G)-(G)은 수평이며, 이것에 대하여 급탕로(44)의 축심이 경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한쌍의 성형형틀과 급탕로(44)의 축심은 서로 동일축이거나 평행하게 되고, 이들은 모두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급탕로(44)의 한쪽 끝은 사출용피스톤(23a)의 앞끝면과 평행한 평면으 로 되어서 사출시의 급탕로내 잔류용탕량이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급탕구(43)는 급탕로(44)의 전기한 한쪽 끝부분 바닥면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어서, 급탕구(43)로부터 급탕로(44)내로 용탕(37)을 주입한 경우에도 사출전에 급탕로(44)의 한쪽 끝으로부터 용탕이 공동(50)내로 유입되지 않으며, 또한 사출용피스톤(23a)의 이동에 의해서도 용탕이 급탕구(43)로부터 역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한 사출용피스톤(23a)은 급탕로(44)내의 탕면이 급탕로(44)의 한쪽 끝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될 때까지는 저속으로 이동하고, 그 이외는 고속으로 용탕을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공동(50)은 급탕로(44)의 전기한 한쪽 끝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급탕로(44)는, 사출용피스톤(23a)을 내장한 실린더(23)와, 성형형틀내에 형성되는 실린더내실(44a)에 대하여 동일축으로 형성되는 구멍(44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1쌍의 성형형틀은 가동금형(46)과 고정금형(54)이며, 가동금형에는 양쪽 금형의 밀착시에 급탕로(44)의 한쪽 끝을 폐색하는 간극(49)이 설치하고, 이 간극은 양쪽 금형사이에 형성되는 탕도 및 탕구(51)를 통해 공동(50)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급탕로(44)의 중간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단판(85)이 돌출가능하게 되어서, 급탕구(43)로부터의 급탕시에는 용탕(37)의 이동을 제한하여 탕온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한 단판(85)의 상단부(85a)를 급탕로(44)의 내부 둘레면과 동일한 국면으로 형성해서, 단판의 하강시에 단판의 상단부가 사출용피스톤(23a)의 진퇴를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12. 고정프레임(24)과, 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동하는 가동프레임(25)과, 고정프레임에 고정부착되는 고정금형(54)과, 전기한 가동프레임에 부착되어 고정금형에 대하여 접합 및 이탈함과 아울러 저합시에 고정프레임과의 사이에 공동(50)을 형성하는 가동금형(46)과, 한쪽 끝이 전기한 공동에 연통되어 중간부에 급탕구(43)가 설치됨과 아울러, 경사져서 전기한 한쪽 끝부분이 급탕구보다도 높게 되어 급탕구로 주입된 용탕이 사출전에 공동내로 들어가지 않는 급탕로(44)와, 급탕로가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해 사출시에 급탕로내의 공기를 용탕보다도 먼저 공동내로 보내어서 제품중의 수축공동이 적게되도록 용탕을 공동으로 송출하는 사출용피스톤(23a)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13. 폐쇄된 한쌍의 성형형틀로 형성되는 성형을 공동(50)내로, 사출성형용실린더(23)의 사출용피스톤(23a)에 의해 압출되는 용탕(37)을 간극(49)으로부터 탕구(51)를 통해 주입하여 성형품을 얻는 다이캐스트 주조기에 있어서, 급탕구(43)로부터 전기한 사출성형용 실린더내로 공급된 용탕을 전기한 사출용피스톤으로 간극까지 압출하는 용탕의 급탕로(44)의 바닥면을, 그 압출방향으로 순차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쌍의 성형형틀의 사이에 걸쳐지는 주조기의 축심(G)-(G)을 상기한 급탕로(44)와 평행하게 되도록 경사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주조기.
KR1019830002811A 1982-06-22 1983-06-22 다이캐스트 주조기 KR910006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93382A JPS58224059A (ja) 1982-06-22 1982-06-22 ダイカスト鋳造機
JP57-107933 1982-06-22
JP107933 1982-06-22
JP13096582A JPS5921459A (ja) 1982-07-26 1982-07-26 ダイカスト鋳造機
JP130965 1982-07-26
JP57-130965 1982-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030A KR840005030A (ko) 1984-11-03
KR910006207B1 true KR910006207B1 (ko) 1991-08-17

Family

ID=2644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811A KR910006207B1 (ko) 1982-06-22 1983-06-22 다이캐스트 주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10006207B1 (ko)
CH (1) CH663166A5 (ko)
DE (1) DE3322223A1 (ko)
GB (1) GB2123326B (ko)
IT (1) IT12129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8282D0 (en) * 1988-12-03 1989-01-05 Sensotect Ltd Fluid level monitor
CA2083082C (en) * 1992-11-17 2003-09-09 Guido Perrella Cold chamber die casting machine injection system
US5787962A (en) * 1992-11-17 1998-08-04 Dbm Industries Ltd. Cold chamber die casting casting machine and method
ATE276063T1 (de) * 1999-06-04 2004-10-15 Mitsui Mining & Smelting Co Druckgussverfahren von magnesiumlegierungen
US20050255189A1 (en) * 2004-05-17 2005-11-17 Manda Jan M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melt conduits in a molding system and/or a run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968B2 (de) * 1968-10-22 1971-05-19 Cross, Raymond E , Lake Forest, 111 (VStA) Druckgiessmaschine zum vergiessen hochschmelzender metalle
DE2532107B1 (de) * 1975-07-18 1976-12-23 Mahle Gmbh Anordnung des fuellraumes einer kaltkammer-druckgiessmaschine
DE2624444A1 (de) * 1976-06-01 1977-12-15 Mahle Gmbh Horizontale kaltkammer-giessmaschine mit geneigtem fuellr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12988B (it) 1989-12-07
GB2123326B (en) 1986-08-13
IT8367687A0 (it) 1983-06-21
CH663166A5 (de) 1987-11-30
KR840005030A (ko) 1984-11-03
GB8316797D0 (en) 1983-07-27
GB2123326A (en) 1984-02-01
DE3322223A1 (de) 198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9414C2 (ru) Машина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способ лить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й машины
KR860001332B1 (ko) 사출성형기용 열 탕구 밸브 조립체, 주형 조립체 및 디스크형성 재료의 흐름 조절방법
JPS5941820B2 (ja) 鋳造設備
KR910006207B1 (ko) 다이캐스트 주조기
US4287936A (en) Ingot casting apparatus
JP4356123B2 (ja) 鋳造用中子ピン
US5725041A (en) Molding machine
KR20040100916A (ko) 3개의 챔버들을 이용한 수직 주입 기계
CN213860498U (zh) 一种循环水冷注塑机
JPS58224059A (ja) ダイカスト鋳造機
JPH0140708B2 (ko)
EP0670758B1 (en) Cold chamber die casting machine injection system
JPS60148655A (ja) コ−ルドチヤンバダイカストマシン
CN111619065B (zh) 一种聚丙烯化工填料生产工艺
JPH06312252A (ja) 鋳造装置の金型構造
KR100558361B1 (ko) 다이캐스팅 성형장치
JP2012101256A (ja) 成型用鋳型
JPH02169161A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の開孔方法
RU208634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литых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заготов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562978B2 (ja) 竪型射出装置
SU1764771A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 легкоплавких моделей из оболочковых форм
JPH01288414A (ja) 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JPH0475757A (ja) 溶湯鍜造方法
JP2021146383A (ja) 鋳造装置及び鋳造方法
JPH0671408A (ja) 金型の冷却媒体通路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