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44B1 -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44B1
KR910005944B1 KR1019880009508A KR880009508A KR910005944B1 KR 910005944 B1 KR910005944 B1 KR 910005944B1 KR 1019880009508 A KR1019880009508 A KR 1019880009508A KR 880009508 A KR880009508 A KR 880009508A KR 910005944 B1 KR910005944 B1 KR 91000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opolymer
monomer
unsatura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339A (ko
Inventor
겐지 야스에
다께시 마루다니
야스마사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스태미카본 베. 뷔.
마리누스 알페나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태미카본 베. 뷔., 마리누스 알페나르 filed Critical 스태미카본 베. 뷔.
Publication of KR89000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뛰어난 충격 강도 및 양호한 내열성, 내약품성 및 성형성을 지니고 있는 신규의 수지 조성물, 특히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에폭시그룹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부타디엔 코폴리머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뛰어난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열성 및 성형성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 특히 자동차의 외장 플레이트 또는 외부 부품 및 일반적인 기계부품용으로 그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및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는 수지조성물은 공지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고 제50260/1983호에는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에테르로 이루어진 세가지 성분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더 나아가 일본 특허공개 제100552/1977호 및 100553/1977호에는 그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94366/1978호에는 거기에 방염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폴리아릴레이트와 폴리아미드(필요하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에테르를 더 함유하고 있는)를 함유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은 내약품성 및 내열성 뿐만아니라 성형성이 뛰어나므로 전기, 전자 분야에 주로 이용된다.
비스페놀 A 및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프탈선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내열성은 뛰어나지만 알려진 바와 같이 내약품성이 부적당하고 외부압력에 의해 금이 가기 쉽다.
더 나아가 성형성도 좋지 못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폴리아릴레이트 30중량%, 나일론 6 50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은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열변형 온도도 역시 높아서 160℃ 수준이다.
성형성은 스파이랄 플로우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바에 의하면 폴리아릴레이트만으로 된 것에 비해 약 10배 우수하다.
이러한 물성으로 인해 이 수지 조성물은 전기 및 전자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폴리아릴레이트 및 폴리아미드(때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에테르를 더 함유하고 있는)를 함유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항상 적절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리아릴레이트 50중량%, 나일론 6 50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의 경우 아미조드 충격 강도가 7kg.cm/cm 인데 이것은 공업용 플라스틱으로 사용되기에는 비교적 낮은 수치이다.
그러므로 그 사용이 오히려 제한된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이 자동차의 의장 플레이트 또는 외부 부품으로 사용될 때 요구되는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적어도 20kg.cm/cm 이다.
이런 상태에서 전술한 수지를 자동차의 의장 플레이트 또는 외부 부품으로 이용하는 것은 뛰어난 내약품, 내열성 및 성형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부적당한 내충격성 때문에 지장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증진될 수 있다면 그 응용분야는 자동차의 의장 플레이트 및 외부 부품 뿐만아니라 다른 분야에 까지도 현저하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일본 특허공개 제56652/1979호에는 탄성체를, 일본 특허 공개 제93043/1974호에는 아이오노머를, 일본 특허공개 제105050/1984호에는 설폰산 그룹을 함유하고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일본 특허공개 제183353/1986호에는 α,β-불포화산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올레핀 코폴리머를 혼합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가들은 일본 특허 출연 제119585/1986호 및 제127063/1986호의 명세서에서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와 산무수물을 포함하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를 혼합시키는 것을 제안했다.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강성 부여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뛰어난 충격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을 지니고 있는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등의 의장 플레이트 및 외부 부품으로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그러한 응용분야에서는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물질에 대한 비용은 그 물리적인 물성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문제로서 이 비용을 줄이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레이트, 강성 부여재를 함유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아릴레이트가 비교적 비싸다.
그러므로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물질에 대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폴리아릴레이트의 혼합비율을 감소시키거나 폴리아릴레이트를 비교적 값이 싼 다른 물질로 일부 대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폴리아릴레이트의 혼합비율이 감소되면 내열성이 떨어지고 폴리아릴레이트가 ABC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일부 대치되며 내충격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강성 부여재를 함유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에서 뛰어난 충격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및 성형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폴리아릴레이트 비율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가들은 이러한 목적하에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A) 적어도 40몰/106g의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고 있는 폴리아미드 30-70중량%, (B)5-40중량%의 폴리아릴레이트, (C)방향족 비닐 모노머, 불포화 니트릴 모노머 및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의 적어도 한 모노머와 부타디엔의 코폴리머에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진 부타디엔 코폴리머 5-40중량%, (D)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올레핀 모노머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 올레핀 에폭시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 3-30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아미드는 다음의 일반식(Ⅰ) 또는 (Ⅱ)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R1, R2, R3는 페닐렌 그룹이거나 알킬렌 그룹이고 n은 적어도 20인 정수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아미드로는 디아민과 이염기산과 축합반응, 아미노산의 자가 축합, 락탐의 중합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가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아미드는 상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아미드는 둘 혹은 그 이상의 성분의 코폴리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코폴리머,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과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코폴리머,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및/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아민의 코폴리머,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과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코폴리머,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과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헥사메틸렌 디아민의 콜폴리머 또는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과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로릴락탐 또는 카프로락탐의 코폴리머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아미드는 단일형이거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기에 가장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나일론 46중의 하나이거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다.
물리적인 물성이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인 폴리아미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아미드는 적어도 40몰/106g 특히 적어도 60몰/106g의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20몰/106g을 초과하면,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용융정도는 실제적으로 증가하고 성형성은 저하되므로 바람직스럽지 않다.
더 나아가, 40몰/106g미만인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부적당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아릴레이트는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비스페놀로부터 얻어진다.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X-는 -O-, -S-, -SO2-, -CO-, 알킬렌 및 알킬리덴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R4, R5, R6, R7, R'4, R'5, R'6및 R'7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및 탄화수소 그룹 및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중에서 선택된다.
전술한 비스페놀의 특별한 예로는,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2-메틸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3-클로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클로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3,5-디플루오로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비브로모페닐)프로판,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2,2,2-트리클로로에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실메탄 및 2,2-비스(4-하이드록시나프틸)프로판이 있다.
그러나 가장 흔히 이용되는 전형적인 비스페놀은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즉 소위 비스페놀 A이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비스페놀의 혼합물 또는 2,2'-디하이드록시 디페닐과 같은 다른 소량의 2가 화합물, 2,6-디하이드록시 나프탈렌과 같은 디하이드록시 나프탈렌, 하이드로 퀴논, 레소르시놀, 2,6-디하이드록시클로로벤젠, 2,6-디하이드록시 톨루엔 또는 3,6-디하이드록시 톨루엔과 비스페놀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의 페닐렌그룹 또는 그 관능성 유도체는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다.
더욱이,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그 관능성 유도체 외에도 소량의 다른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관능성 유도체가 코폴리머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아릴레이트는 공유중합, 용액중합, 또는 용융중합과 같은 어떠한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물리적인 물성이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0인 폴리아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부타디엔 코폴리머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방향족 모노머, 불포화 니트릴모노머 및 아트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모노머와 부타디엔의 코폴리머에 첨가함으로써 얻어진다.
첨가되는 수몰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수지 조성물의 아미노 그룹 몰수에 비해 0.3-2.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또는 p-메틸 스티렌이 이용될 수 있는데, 스티렌이 가장 일반적이다.
불포화니트릴 모노머로서는 아트릴로 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 니트릴이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부타디엔 코폴리머의 가장 일반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소위 ABC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스티렌 부타디엔의 할로겐화된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코폴리머가 있다.
부타디엔 코폴리머에 첨가되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무수물에는 일반식(Ⅳ)으로 표시되는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및 링에 cis형의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알리사이클릭 카르복실산 무수물이 포함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R8및 R9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탄화수소 그룹이다.
일반식(Ⅳ)으로 표시되는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특별한 예로는 말레인산 무수물, 클로로말레인산 무수물 및 시트라코닌산 무수물이 있다.
일반식(Ⅳ)으로 표시되는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는 다른 산 무수물의 특별한 예로는 이타코닌산 무수물, 부테닐석신산 무수물 및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이 있다.
링에 cis형의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알리사이클릭카르복실산의 특별한 예로는 cis-4-사이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엔도-비사이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메틸-엔도-cis-비사이클로-[2,2,1]-1,2,3,4,7,7-헥사클로로-2-헵틴-5,6-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이 있다.
필요하다면 디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의 금속염,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산 할로겐화합물도 역시 혼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는 말레인산 무수물 및 엔도-비사이클로-[2,2,1]-5-헵텐-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이 있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부타디엔 폴리머를 공중합하는 방법에는 종래의 소위 라디칼 공중합법이 있는데, 산무수물을 함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모노머가 라디칼 형성재의 존재하에서 용매 또는 분산용액의 존재유무에 관계없이 부타디엔 코폴리머로 라디칼-그라프트 된다.
그라프트 반응이 용융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극히 단시간 내에 단순화된 방법으로 압출기, 반죽기 또는 반바리믹서와 같은 용융 반죽기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에폭시 그룹을 함유하는 올레핀 코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와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코폴리머의 형태는 랜덤 코폴리머, 블록 코폴리머, 그라프트 코폴리머 및 올터네이트 코폴리머 중 어떠한 것일 수도 있다.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는 그 분자내에 올레핀 모노머 및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 그룹과 공중합될 수 있는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는 모노머이다.
이러한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의 예로는 일반식(Ⅴ) 및 (Ⅵ)으로 표시되는 불포화 글리시딜 에테르와 일반식(Ⅶ)으로 표시되는 에폭시 알켄이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에서 R10은 올레핀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는 탄화수소 그룹이다.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Y-는 -CH2-O- 또는
Figure kpo00006
이고 R10은 일반식(V)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kpo00007
여기에서 R10은 일반식(V)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10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탄화수소 그룹이다.
특히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모노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디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모노글리시딜 부텐트리카르복실레이트, 디글리시딜 부텐트리카르복실레이트, 트리글리시딜 부텐 트리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p-스티렌 카르복실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메틸글리시딜에테르, 스티렌-p-글리시딜에테르, p-글리시딜스티렌, 3,4-에폭시-1-부텐, 3,4-에폭시-3-메틸-1-부텐, 3,4-에폭시-1-펜텐, 3,4-에폭시-3-메틸-1-펜텐, 5,6-에폭시-1-헥센 및 비닐사이클로헥센 모노옥사이드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레핀 코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해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와 공중합되는 올레핀 모노머는 분자에 에폭시 그룹을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올레핀 모노머이어도 된다.
그러나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이소부틸렌, 데센-1, 옥타센-1 또는 스티렌과 같은 올레핀; 비닐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닐 벤조에이트와 같은 비닐 에스테르;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부틸알콜, 2-에틸헥실알콜, 사이클로헥실알콜, 도데실알콜 또는 옥타디데실알콜과 같은 포화 알콜과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말레인산 디에스테르; 비닐 메틸 에테르 또는 비닐 에텔에테르와 같은 비닐에테르;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과 같은 N-비닐 락탐; 또는 아크릴산 아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올레핀 모노머는 단독이거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데류의 혼합물로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할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로서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등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에서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의 공중합비는 보통 0.05-95몰%, 바람직하기로는 0.1-50몰%이다.
본 발명의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아미드의 비율이 3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되고 30중량% 미만이면 내약품성이 좋지 않다.
폴리아릴레이트의 비율은 5-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릴레이트 비율이 40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전혀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 5중량% 미만이면, 비용이 상승되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모두 좋지 않아진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부타디엔 코폴리머의 비율은 5-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비율이 40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된다.
반면 그 비율이 5중량% 미만이면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낮다.
에폭시 그룹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은 3-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비율이 30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3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낮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열안정제, 항산화제, 광안정제, 윤활제, 색소, 방염제 및 가소제와 같은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게다가 유리섬유, 금속섬유, 티탄산 칼륨 휘스커 또는 탄소섬유와 같은 섬유 보강재 또는 활석, 탄산칼슘, 운모, 유리박편 또는 금속박편과 같은 충전형 보강재도 역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유리섬유를 10-50% 혼합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기계적인 강도 및 내열성이 실제적으로 개선될 뿐만 아니라 내수성도 개선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는 데 바람직하다.
이하 다음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본 발명 범위가 다음 실시예 범위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7 및 비교실시예 1-4]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ABS수지 K-2540 스미또모 노가턱 제조) 100중량부, 말레인산 무수물 2중량부, 디-t-부틸퍼옥사이드 0.7중량부 및 상기 코폴리머 100중량부, 엔도-비사이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3부, 디-t-부틸 퍼옥사이드 0.7부를 각각 실온에서 헨첼 믹서로 혼합했다.
이 혼합물을 더블 스크루 압출기에 넣고 200℃에서 압출하여 두 종류의 산 무수물의 부가생성물인 두 종류의 코폴리머를 얻었다.
이들은 각각 ABS-MAH와 ABS-HAH로 간단하게 명명되었다.
처리되지 않은 코폴리머는 간단하게 ABS로 명명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다른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폴리아미드 : 아미노그룹 농도가 높은 나일론 6(유니티까 제조, 아미노그룹 농도 : 84몰/106g, 상대점도 : 25℃에서 1g/dl이의 농도로 96% 황산 용액에서 측정된 값으로서 2.1) 및 아미노그룹 농도가 낮은 나일론 6(유니티까 제조, 아미노그룹 농도 : 35몰/106g, 상대점도 : 25℃에서 1g/dl 의 농도로 96% 황산 용액에서 측정된 값으로서 2.1) 폴리아릴레이트 : 비스페놀 A/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코폴리머(U-폴리머, U-100, 유니티까 제조) 에폭시그룹을 함유하고 잇는 올레핀 코폴리머 :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본드패스트 E, 스미또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이들 성분들은 표 1에 나타난 비율대로 실온에서 헨첼믹서에 의해 혼합된 다음 이 혼합물이 진공하에서 80℃에서 밤새 건조된 다음 270℃에서 더블 스크루 압출기에의해 용융 혼합되어 수지 조성물 펠릿이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펠릿을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얻어서 그 물리적인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8-10 및 비교실시예 5]
폴리아미드로서 나일론 46(네델란드 DSM 제조, 아미노그룹 농도; 54몰/106g, 상대점조; 25℃에서 1g/dl의 농도로 96% 황산용액에서 측정된 값으로서 2.3)과 실시예 1-7에서 사용된 성분과 같은 성분을 사용했다. 이들 성분들은 표 2에 나타낸 비율대로 혼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시편을 만들어 그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08
① : ASTM D256 방법에 따름, 두께 1/8인치, 노치드
② : ASTM D648 방법에 따름, 하중 : 18.6KG/㎠
[표 2]
Figure kpo00009
① : ASTM D256 방법에 따름, 두께 1/8인치, 노치드
② : ASTM D648 방법에 따름, 하중 : 18.6KG/㎠
[실시예 11-13]
폴리아미드로서 나일론 66(마라닐 A 100, ICI 제조, 아미노그룹 : 52몰/106g, 상대점도 : 25℃에서 1g/dl의 농도로 96% 황산용액에서 측정된 값으로서 2.7) 비스페놀 A와 이소프탈산을 함유하고 있는 폴리아릴레이트(상대점도 : 25℃에서 1g/dl의 농도로 1,1,2,2-테트라클로로에탄/페놀=40/60에서 측정된 값으로서 1.6), 부타디엔 코폴리머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말레인산 무수물의 수소화된 부가생성물(크라톤 G1701X, 쉘 케미칼 제조),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로서 실시예 1-7에서 사용된 본드패스트 E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시편을 얻어서 그 물성을 측정했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Figure kpo00010
① : ASTM D256 방법에 따름, 두께 1/8인치, 노치드
② : ASTM D648 방법에 따름, 하중 : 18.6kg/㎠
표 1,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미노 그룹 농도가 높은 폴리아미드, 산무수물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진 부타디엔 코폴리머를 사용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뛰어난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아미노 그룹 농도가 낮은 폴리아미드와 산무수물이 첨가되지 않은 부타디엔 코폴리머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크게 저하된다.

Claims (6)

  1. (A) 적어도 40몰/106g의 아미노 그룹을 가지고 있는 폴리아미드 30-70중량% (B) 폴리아릴레이트 5-40중량% (C) 방향족 비닐 모노머, 불포화된 니트릴 모노머 및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의 적어도 한 모노머와 부타디엔의 코폴리머에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부타디엔 코폴리머 5-40중량%, (D)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글리시딜 모노머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올레핀 모노머를 공중합 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 3-3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중의 하나이거나 이들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릴레이트가 비스페놀,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으롭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부타디엔 코폴리머가 말레인산 무수물 또는 엔도-비사이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부가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가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에폭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올레핀 코폴리머가 에틸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KR1019880009508A 1987-07-27 1988-07-27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 KR910005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88196A JP2502612B2 (ja) 1987-07-27 1987-07-27 耐衝撃性樹脂組成物
JP?62-188196 1987-07-27
JP188196 1996-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339A KR890002339A (ko) 1989-04-10
KR910005944B1 true KR910005944B1 (ko) 1991-08-09

Family

ID=1621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508A KR910005944B1 (ko) 1987-07-27 1988-07-27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43385A (ko)
EP (1) EP0301663B1 (ko)
JP (1) JP2502612B2 (ko)
KR (1) KR910005944B1 (ko)
AT (1) ATE73159T1 (ko)
DE (1) DE386875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1044A (ja) * 1987-12-17 1989-06-23 Unitika Ltd 耐衝撃性樹脂組成物
CA2005726A1 (en) * 1988-12-21 1990-06-21 Haruo Tomit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GB9000907D0 (en) * 1990-01-16 1990-03-14 Bp Chem Int Ltd Process
EP0451769B1 (en) * 1990-04-10 1996-09-18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10030716A1 (de) * 2000-06-23 2002-01-03 Degussa Tieftemperaturschlagzähe Polymerlegierung
JP5127090B2 (ja) * 2000-11-06 2013-01-2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用樹脂組成物および摺動部材
FR2911151B1 (fr) * 2007-01-05 2010-08-20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Procede d'obtention d'un produit contenant des nanofibres et produit contenant des nanofibres
US20110028621A1 (en) * 2009-07-30 2011-0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aging resistant polyamide compositions including polyhydroxy polymers
JP5267523B2 (ja) * 2010-08-17 2013-08-2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摺動用機械部品
CN103396662B (zh) * 2013-07-15 2015-12-02 上海秋橙新材料科技有限公司 抗老化pa-par塑料合金
JP6725265B2 (ja) * 2016-03-03 2020-07-15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400A (en) * 1970-11-13 1972-07-11 Du Pont Thermoplastic blends of high-amine-end poly-amides and acid-containing olefin polymers
EP0227053A3 (en) * 1985-12-23 1988-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blends containing polyamide and epoxy functional compounds
DE3605573A1 (de) * 1986-02-21 1987-08-27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3766288D1 (de) * 1986-05-24 1991-01-03 Unitika Ltd Schlagzaehe harzmasse.
US4777223A (en) * 1986-06-26 1988-10-11 Amoco Corporation Addition of polyhydroxyether to blends of a polyarylate and a polyam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02612B2 (ja) 1996-05-29
EP0301663A3 (en) 1989-07-19
EP0301663A2 (en) 1989-02-01
DE3868758D1 (de) 1992-04-09
JPS6431865A (en) 1989-02-02
KR890002339A (ko) 1989-04-10
US5043385A (en) 1991-08-27
ATE73159T1 (de) 1992-03-15
EP0301663B1 (en) 199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572A (en) Mol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formed of the same
EP0247357B1 (en) Impac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910005944B1 (ko) 내충격성 수지 조성물
EP0042724B1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US4942200A (en) Polyamide-polyarylate composition containing elastomeric modifier and epoxy-functional copolymer
KR93000380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S61183353A (ja) 樹脂組成物
JPH066664B2 (ja) 耐衝撃性樹脂組成物
JPH0692527B2 (ja) 耐衝撃性樹脂組成物
US5240999A (en) Polyarylate/polyeste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and low melt viscosity
JPS63314270A (ja) 耐衝撃性樹脂組成物
JP306511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0389797A1 (en) Blends of polyesters and polyolefins
JPH0425559A (ja) 樹脂組成物
JPH02261858A (ja) 耐衝撃性樹脂組成物
JPH01315465A (ja) ポリエーテルイミド含有樹脂組成物
JPH073346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6965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318816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2040100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32260A (ja) 樹脂組成物
JPS61171759A (ja) 樹脂組成物
EP0432756A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based on a vinylaromatic copolymer and a polyamide resin
CA2063507A1 (en) Poly(akylene cyclohexane dicarboxylate)-(alkylene terephthalate) copolyesters
JPH01161044A (ja) 耐衝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