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98Y1 -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98Y1
KR910004998Y1 KR2019880018329U KR880018329U KR910004998Y1 KR 910004998 Y1 KR910004998 Y1 KR 910004998Y1 KR 2019880018329 U KR2019880018329 U KR 2019880018329U KR 880018329 U KR880018329 U KR 880018329U KR 910004998 Y1 KR910004998 Y1 KR 910004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er
contact
pushe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57U (ko
Inventor
야스지 시바노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06K7/0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means for pressing the connector contacts in the direction of the card contacts to assure trustworth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ard and conn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06K7/00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the galvanic contacts of the connector adapted for landing on the contacts of the card upon card inser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넥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콘넥터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상기 콘넥터의 황단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 방향에서 본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의 Ⅳ-Ⅳ선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Ⅴ-Ⅴ선의 단면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제 2 도의 Ⅵ-Ⅵ선의 단면도.
제 7a 도∼제 7c 도는 록크기구의 동작설명도.
제 8 도는 제 7a 도의 Ⅷ-Ⅷ선의 단면도.
제 9 도는 요동부재와 작동자를 일체화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10 도는 카드(C)의 평면도.
제 11 도는 다른 형식의 카드에 요부를 도시한 도면.
제 12 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넥터의 분해사시도.
제 13a 도 및 제 13b 도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34 : 요동부재
5 : 슬라이더 14, 15 : 접편
14a, 15a : 콘택트 26 : 한쪽의 요동단부
27 : 다른쪽의요동단부 33 : 캠면
C : 카드
본 고안의 ROM 카드등의 외부단자를 컴퓨터를 장비한 기기본체에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데 필요한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넥터는 카드의 외부단자에 접촉하는 콘택트가 카드삽탈 경로(카드를 삽입하고 빼는 경로)에 돌출되어 있어, 상기 카드삽탈경로에 카드가 끼워지거나 카드삽탈경로로부터 카드를 빼내거나 할때에는 상기 콘택트가 카드의 외부단자에 탄성상태로 접촉하게 되고, 또 카드의 소정위치에 세트되었을 때에는 상기 콘택트가 카드의 외부단자 소정의 힘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넥터에 있어서, 카드의 외부단자에 대해서 콘택트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힘을 크게함으로써, 확실한 전기적 도통을 도모 할려고 하면, 카드를 꽂거나 뽑아내거나 할때에 상기 콘택트가 카드나 그 외부단자가 접촉하는 힘도 커지게 되어 현저히 마모가 발생함과 동시에, 카드의 빼고 꽂는데 필요한 조직력도 과도하게 커진다. 그 반면, 상기 조작력을 작게 해서 조작을 개선할려면 상기 콘택트가 카드나 그 외부단자의 접촉력을 작게 하면 되나, 그렇게 하면 소정위치에 세트된 카드의 외부단자에 대해서 콘택트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힘도 작아지게 되어 전기적 도통이 불확실해지는 염려가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콘넥터에서는 소정위치에 세트된 카드의 외부단자에 대해서 콘택트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힘을 크게해서 확실한 전기도통을 도모함과 동시에, 카드를 빼고 꽂을 때의 조작력을 작게해서 조작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마모를 경감시키는 것이 서로 배반하는 사항으로 되어 있어, 양쪽의 사항을 동시에 개선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드를 빼고 꽂을 때에는 콘택트가 카드와 마찰하지 않도록 하고, 카드가 소정위치에 세트되었을 때에 상기 콘택트가 카드의 외부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카드를 빼고 꽂을때에 조작성과 카드의 외부단자에 대한 콘택트의 전기적 도통상태와 확실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콘넥터는 카드삽탈경로에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콘택트와, 상기 카드삽탈경로에 꽂혀진 카드에 의하여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 밀려들어가는 슬라이더와, 상기 카드삽탈경로에 꽂혀진 카드와 상기 슬라이더에 걸치는 위치에 배치된 요동부재를 갖추고, 상기 요동부재는 카드의 삽탈방향과 직교하는 축심둘레에서 요동자채케 보디에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축심의 전후에 한쪽의 요동단부와 다른쪽의 요동단부가 분할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밀려들어감에 따라서 상기 요동부재의 한쪽의 요동단부에 작동해서 다른쪽의 요동단부를 상기 콘택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한편, 슬라이더가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밀려나옴에 따라서 상기 한쪽의 요동단부에 대한 작동상태가 해제되는 캠면이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삽탈경로에 카드를 꽂을때, 및 상기 카드삽탈경로부터 카드를 빼낼때에는 카드가 접편의 콘택트에 접촉하지 않는다. 카드삽탈경로에 카드가 끼워지면, 그 카드에 의해서 슬라이더가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밀려들어가고, 그에 따라서 슬라이더의 캠면이 요동부재의 한쪽이 요동단부에 작동하여, 요동부재 요동해서 그 다른쪽의 요동단부가 접편에 접근하여 방향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요동부재의 다른쪽의 요동단부가 접편이 콘택트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할때에 그 요동단부에 의하여 직접 또는 별도의 부재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카드가 압압되도록 해 놓으면, 카드에 의해서 슬라이더가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밀려들어간 시점 또는 그 직전에 카드의 외부단자가 상기 콘택트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콘넥터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상기 콘넥터의 횡단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 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Ⅳ-Ⅳ선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Ⅴ-Ⅴ선의 단면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제 2도의 Ⅵ-Ⅵ선의 단면도이다.
콘넥터의 보디본체(2)와 후부덮개체(3)로 분할된 보디(1)와, 요동부재(4)와 슬라이더(5)와, 작동자(6)와, 록크기구(7)를 갖추고 있다.
보디본체(2)의 상부벽 중앙부분에는 육후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육후부(8)에 4개의 접편삽입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편삽입구멍(9)…의 각각에는 상하에 간격을 두고 접편삽입홈(10a)(10b)을 가진 4개의 접편삽입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후부덮개체(3)를 보디본체(2)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쌍방의 접편삽입구멍(9)(10) 및 접편삽입홈(9a)(9b), (9c)(10d)이 각각 연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부덮개체(3)의 양측벽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계합편(1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계합편(11)을 보디본체(2)의 양측벽의 후단부에 형성된 피계합부(12)(12)에 감합상태로 계합시킴으로써 보디본체(2)와 후부덮개체(3)가 서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계합편(11)은 보디본체(2)쪽에 형성된 오목홈(13)에 감입되어 있다. (14)은 길다란 접편(15)는 짧은 접편을 표시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길다란 접편(14)은 선다부에 만곡형상의 콘택트(14c)를 가짐과 동시에, 중간부와 선단부가 폭이 넓게 되어있고, 중간부의 장출부(길다랗게 나온 폭이 넓은 부분)(14a)(14b)가 상기 접편삽입구멍(9)(10)의 상부쪽 접편삽입홈(9a)(10b)에 삽입되어 있다. 또, 제 6a 도로부터 유추할수 있는 바와같이 선단부의 장출부(4b)(14b)를 보디본체(2)의 리브(17)에 탄성적으로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콘택트(14c)에 예비하중을 부여하고 있다. 이 길다란 접편(14)은 보디본체(2)의 앞쪽벽에 형성된 카드삽탈구멍(20)으로부터 상기 접편삽입홈(9a)(10b)에 삽입되고, 삽입후에 리이드부(14d)를 하부로 절곡함으로써 후부덮개체(3)의 하부에 돌출시킨 것이다. 짧은 접편(1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서 그 콘택트(15c)에 예비하중을 부여하고 있다. (15d)는 짧은 접편(15)의 리이드부이다. 상기 카드삽탈구멍(20)은 카드(c)의 두께 치수보다도 약간 폭이 넓어서, 카드삽탈구멍(20)에 끼워진 카드(c)의 두께치수보다도 약간 폭이 넓어서, 카드삽탈구멍(20)에 끼워진 카드(c)의 두께치수보다도 약간 폭이 넓어서, 카드삽탈구멍(20)에 끼워진 카드(c)는 약간 상하로 이동할수 있다. 또한 길다란 접편(14)의 중간부 및 짧은 접편(15)의 중간부에는 접어올린 클릭(14e)(15e)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클릭(14e)(15e)이 보디본체(2)쪽의 계합부(21)(22)에 계합해서 빠자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요동부재(4)는 소정형상으로 타발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강성이 큰 것으로서, 그 양단부에 형성된 상부로 향하는 절곡부(23)(33)에 바깥쪽으로 향하는 돌부(24)(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동부재(4)는 보디본체(2)에 감입되며, 또한 상기 돌부(24)(24)가 보디본체(2)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멍(25)(25)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부재(4)는 지지구멍(25)(25)를 통과한 축심둘레를 중심으로 자유스럽게 요동한다. 지지구멍(25)(25)을 통과하는 상기 축심은 카드(c)의 상기 축심의 전후에 한쪽의 요동단부(26)와 다른쪽의 요동단부(27)가 분할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요동단부(26)(27)는 상부쪽으로 팽출하는 만곡형상 내지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시한 예의 보디본체(2)는 상기 지지구멍(25)에 대향하는 설편(28)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보디본체(2)의 후방으로부터 요동부재(4)를 밀어 넣어가면, 상기 설편(28)과 요동부재(4)의 절곡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절곡부(23)가 설편(28)을 넣은 시점에서 상기 돌부(24)까 지지구멍(25)에 감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요동부재(4)의 양쪽 절곡부(23)(23)의 간격치수나 설편(8)(28)의 간격치수에 고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요동부재(4)가 보디본체(2)에 크게 덜커덩 거림이 없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이점이 있다.
슬라이더(5)는 전단부에 상부면 및 전면이 개방된 오목부(31)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면의 양단부에 낚시바늘 형상의 계합부(32)를 가지고 있다. 또 하부면에는 앞쪽단부에 근접될수록 서서히 하강하는 매끄럽게 만곡한 캠면(32)(33)이 좌우 2개소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슬라이더(5)는 제 5 도와 같이 상기 계합부(32)(32)를 보디본체(2)쪽에 형성된 ㄴ자형상 또는 역 ㄴ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안내부(34)(34)에 감입함으로서 보디본체(2)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5)의 양단부에 스프링 받침대(35)(35)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스프링받침대(35)(35)의 각각과 상기 후부덮개체(3)와 사이에 코일스프링(36)(36)이 개재해서 착설되며, 이 코일스프링(36)(36)에 의해서 슬라이더(5)를 항상 앞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부세되고 있다.
(37)은 슬라이더(5)쪽의 스프링지지용돌기, (38)은 후부덮개체(3)쪽의 스프링지지돌기이다. 또한, 슬라이더(5)의 전진위치는 보디본체(2)쪽에 형성되어 있는 계합부(22)에 의하여 규제되는 구성이다.
작동자(6)는 양단부에 낚시바늘 형상의 돌출부(41)(41)를 갖춤과 동시에, 양단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후방으로 뻗은 계합편부(42)(42)를 갖추고, 이를 계합편부(42)(42)의 선단부에는 그 상하부로 돌출하는 종동부(43)(43)가 구비되어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자(6)는 보디본체(2)의 전단부에 형성된 좌우의 기둥부(51)(51)와 이들 기둥부(51)(51)에 대향해서 착설된 단이 형성된 부분(52)(52)과의 사이에 상기 계합편부(42)(42)를 각각 감입하고, 또한 기둥부(51)(51)에 작동자(6)의 양단부의 전단면을 상하 슬라이드자재하게 지지하고, 단이 형성된 부분(52)(52)에 상기 종동부(43)(43)를 상하 슬라이드 자재하게 지지시킴으로써 보디본체(2)에 결합되어 있다. 이 작동자(6)를 보디본체(2)에 조립할때에는 작동자(6)를 보디본체(2)에 그 후방으로부터 감입하여 상기 계합편부(42)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단이 형성된 부분(52)를 넣어가게 한다. 다음에,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돌출부(41)(41)와 보디본체(2)의 상부벽과의 사이에는 각각 코일스프링(53)(53)이 개재해서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 6a 도 및 제 6b 도와 같이 이들 코일스프링(53)(53)에 의해서 항상 외부로 밀어내리는 힘이 부세된 작동자(6)의 하부면을 상기 요동부재(4)의 다른쪽의 요동단부(27)가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요동부재(4)의 한쪽의 요동단부(26)는 코일스프링(53)(53)에 힘에 의하여 상부로 부세되어서 상기 슬라이더(5)의 캠면(33)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 (54)는 스프링지지용 돌기이다.
록크기구(7)는 소위 하아드 캠구기로 이루어지며 핀(61)과, 스프링판(62)과, 상기 슬라이더(5)의 덮개면에 형성된 안내홈(후술한다)을 갖추고 있다. 이 록크기구(7)는 제 2 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와 상기 슬라이더(6)와의 사이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절곡부(63)는 후부덮개체(3)에 형성된 돌출부(81)의 사각형구멍(82)에 상부로 향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판(62)이 상기 돌출부(81)의 홈부(83)에 지지되고, 스프링판(62)의 설편(64)에 의해서 상부로 부세된 핀(61)의 상부쪽의 절곡부(65)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있다. (66)은 스프링판(62)을 상기 돌출부(81)의 계합구멍(84)에 걸어서 고정하는 클릭편이다. 제 7a 도∼제 7c 도는 록크기구(7)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 제 8 도는 제 7a 도의 Ⅷ-Ⅷ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70)은 안내홈을 표시하고 있다. 이 안내홈(70)에는 하아드형의 계합부(1)와 V자형의 안내면(72a)(72b)과 4개소에 형성된 단차부(73a)(73b)(73c)(73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차부(73a)(73b)(73c)(73d)의 작용에 의해서 핀(61)의 절곡부(65)가 특정의 한쪽방향으로만 안내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절곡부(65)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제 10 도는 카드(C)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카드(C)는 8개의 외부단자(C1, C2…C8)를 가지고, 그들 외부단자(C1, C2…C8)가 4개씩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또, 카드(C)의 길이방향, 즉 상기 콘넥터에 대한 삽탕방향에는 2개씩의 외부단자가 늘어서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보디본체(2)와 후부덮개(3)로 구성된 보디(1)의 내부에는, 작동자(6)의 돌출부(41)(41)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공간과 슬라이더(5)의 오목부(31)에 의해서 카드삽탈경로가 구성된다. 따라서, 카드(C)는 보디본체(2)의 카드삽탈구멍(20)을 통해서 상기 카드삽탈경로에 빼고 꽂게된다.
카드(C)가 상기 삽탈경로에 꽂혀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53)의 힘에 의해서 작동자(6)가 밀어내려서 있고, 또 슬라이더(5)는 코일스프링(36)의 힘에 의하여 밀려나와 있다. 또, 길다란 접편(14)의 콘택트(14C) 및 짧은 접편(15)의 콘택트(15C)는 제 6a 도와 같이 어느 것이나 리브(17)에 의하여 위치규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작동자(6)의 돌출부(41)(41)상호간에 형성되는 공간, 즉 카드삽탈경로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도의 가상선 및 제 6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디본체(2)의 카드삽탈구멍(20)을 통해서 상기 작동자(6)의 돌출부(41)(41)의 상호간에 카드(C)를 끼워도, 카드(C)의 표면이나 그 외부단자(C1, C2…C8)에 상기 콘택트(14c)(15c)가 접촉하는 일은없다.
제 6a 도의 상태로부터 카드(C)로 슬라이더(5)의 오목부(31)의 수직면(31a)을 압압하면, 슬라이더(5)가 코일스프링(36)의 힘에 대향해서 제 6a 도의 전진위치로부터 제 6a 도의 후퇴위치까지 밀려들어간다,
이와같이 슬라이더(5)가 밀려들어가면 슬라이더(5)의 캠면(33)에 의해서 요동부재(4)의 한쪽 요동단부(26)가 서서히 밀어내려져서 슬라이더(5)가 후퇴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캠면(33)의 최하위부위에 상기 요동단부(26)가 대응한다. 이때문에, 요동부재(4)의 다른쪽의 요동단부(27)는 상기 한쪽의 요동단부(26)가 밀어내려짐에 서서히 밀어올려져서 상기 콘택트(14c)(15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와같은 요동부재(5)의 작용에 의해서 작동자(6)의 코일스프링(53)의 힘에 대향해서 밀어올려짐과 동시에, 카드(C)가 밀어올려져서 그 외부단자(C1, C2…C8)의 직각이 서로 대응하는 콘태트(14c)(15c)에 압접한다.
이것에 의해서 콘택트(14c)(15c)는 접편(14)(15)에 예비하중에 반해서 밀어올려지므로 콘택트(14c)(15c)가 외부단자(C1, C2…C8)와 각각에 강력하게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확실한 전기적도통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단자(C1, C2…C8)에는 콘택트(14c)(15c)가 약간 접촉하나, 그 정도의 접촉은 외부단자(C1, C2…C8)의 표면의 셀프크리이닝에 유익하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5)가 밀어들어갔을때, 록크기구(7)에 있어서는, 핀(61)의 절곡부(65)가 제 7a 도의 상태로부터 제 7b 도의 상태로 이행해서 계합부(71)에 걸어서 고정되게 되어, 록크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더(5)가 후퇴위치에 지지된다.
카드(C)를 뺄때는, 카드(C)를 제 6b 도의 상태로부터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록크기구(7)에 있어서의 핀(61)의 절곡부(65)가 계합부(71)로부터 제 7c 도와 같이 벗겨진다. 따라서, 코일스프링(36)의 힘에 의하여 슬라이더(5)를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까지 밀어내고, 그에 따라서 상기 절곡부(65)가 제 7c 도의 상태로부터 제 7a 도의 상태로 이행함과 동시에, 요동부재(4)의 한쪽 요동단부(26)가 캠면(33)으로부터 탈출하여, 코일스프링(53)의 힘에 의하여 작동자(6)의 제 6a 도와 같이 하강한다. 이 때문에 카드(C)의 외부단자(C1, C2…C8)가 콘택트(14c)(15c)로부터 떨어져서 슬라이더(5)에 의한 뒤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하여 카드삽탈구멍(20)으로부터 밀려나온다. 이것에 의하여 카드(C)가 뽑아진다. 또한 상기 셀프크리닝은 외부단자(C1, C2…C8)가 콘택트(14c)(15c)로부터 떨어지는 때에도 순간적으로 실행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카드(C)의 외부단자(C1, C2…C8)가 카드(C)의 삽탈방향으로 늘어서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드(C)를 빼고 꽂을 때에, 어떤 외부단자(C1, C2…C8)로 콘택트(14c)(15c)에 접촉할 염려가 없다. 그 때문에 서로 대응하고 있지 않은 외부단자(C1, C2…C8)와 콘택트(14c)(15c)가 카드(C)를 빼고 꽂을 때에 단락된다는 사태를 확실히 회피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에서는 작동자(6)를 개재해서 카드(C)를 밀어올리고, 그 외부단자(C1, C2…C8)를 콘택트(14c)(15c)에 탄성적으로 접속시키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카드(C)가 충분히 감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작동자(6)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작동자(6)는 카드(C)에 휨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어 유용한 것으로서, 강성이 큰 카드(C)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또, 작동자(6)와 요동부재(4)를 별개로할 필요성은 반드시 없고, 예를들면 제 9 도와 같이 작동자(6)와 요동부재(4)를 일체적인 성형품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양자를 별개로 하였을 경우에는 카드(C)가 밀어올려 질때에 평행이동하기 때문에, 콘택트(14c)(15c)에 대해서 외부단자(C1, C2…C8)가 무리없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외부단자(C1, C2…C8)가 어느것인가, 카드(C)의 표면과 같은 면으로 되어 있는 카드(C)는 사용되고 있으나, 카드(C)에는 다른 형식의 것도 있다. 제 11 도에 도시한 카드(C)는 제 10 도의 카드(C)와는 다른 형식의 것으로서, 외부단자(C1, C2…Cn)가 카드(C)의 선단부에 형성된 홈부(10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손에 접촉되기 어렵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홈부(100)의 입구부분에 팽출부(110)가 형성된 것이다(제 13a 도 및 제 13b 도 참조), 이와같은 카드(C)가 사용되는 콘넥트에 있어서, 요동부재(4)의 작용에 의한 작동자(6)의 상하이동폭이 작으면 카드(C)를 빼고 꽂을 때에 콘택트(14c)(15c)가 팽출부(110)에 접촉해서 콘택트(14c)(15c)나 팽출부(110)는 마모되기 쉽다. 따라서, 제 11 도의 카드(C)를 사용하는 콘넥터에 있어서는 작동자(6)의 상하 이동폭을 크게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작동자(6)의 상하이동폭을 크게 할려면, 요동부재(4)의 지점이 되는 돌부(24)와 다른쪽의 요동단부(27)와의 간격을 크게 하면 된다. 그와 같이 하면 요동부재(4)가 대형화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슬라이더(5)의 캠면(33)의 경사를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제 12 도는 슬라이더(5)의 캠면(33)을 급경사로 한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콘넥터의 전체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의 콘넥터와 대체로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후부덮개체(3)에는 길다란 접편과 짧은 접편을 지지하는 복수의 홈(13a)을 가진 돌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부덮개체(3)의 양 측벽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계합편(11a)(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계합편(11a)을 보디본체(2)의 양측벽의 후단부에 형성된 계합구멍(12a)에 감합상태로 계합시킴으로써 보디본체(2)와 후부덮개체(3)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계합편(11a)은 보디본체(2)의 내부에 감입된다. 요동부재(4)의 한쪽의 요동단부(26)에는 브래킷(26a)(26a)이 상부로 절곡되어 있고, 이들 브래킷(26a)(26a)에 로울러(26b)가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있다. 록크기구(7)의 스프링판(62)은 핀(61)을 밀어올리도록 부세하기 위한 2새의 설편(64b)(64b)을 가지고 있다.
보디본체(2), 슬라이더(5) 및 작동자(6)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대체로 마찬가지다.
제 13a 도 및 제 13b 도는 제 6a 도 및 제 6b 도에 대응하고 있다.
이하, 제 12 도, 제 13a 도 및 제 13b 도는 참조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카드(C)가 작동자(6)에 의해서 형성되는 삽탈경로에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53)의 힘에 의해서 작동자(6)가 밀려내려져 있고, 또 슬라이더(5)의 코일스프링(36)의 힘에 의하여 밀려나오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길다란 접편(14)의 콘택트(14c) 및 짧은 접편(15)의 콘택트(15c)는 제 13a 도와 같이 어느 것보다 보디본체(2)에 형성된 리브(17a)(17b)에 의하여 위치규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삽탈경로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 13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디본체(2)의 카드삽탈구멍(20)을 통해서 카드(C)를 끼워도 카드(C)의 팽출부(110)…나 외부단자(C10, C11)(다른 외부단자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이하 동일하다)에 상기 콘택트(14c)(15c)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제 13a 도의 상태로부터 카드(C)로 슬라이더(5)가 코일스프링(36)의 힘에 대향해서 제 13a 도의 전위치로부터 제 13b 도의 후퇴위치까지 밀려들어간다. 이와같은 슬라이더(5)가 밀려들어가면 슬라이더(5)의 캠면(33)에 의해서 요동부재(4)의 한쪽의 요동단부(26)에 착설된 로울러(26b)가 서서히 밀어내려서 슬라이더(5)가 후퇴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캠면(33)의 최하부부위에 로울러(26b)가 대응한다. 여기에서 캠면(33)은 급경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5)의 스트로우크가 짧아져도 요동부재(4)의 한쪽의 요동단부(27)가 크게 밀어올려지며, 그 결과 작동자(6)가 코일스프링(53)의 힘에 대향해서 크게 밀어올려져서, 카드(C)의 외부단자(C10, C11)의 각각이 서로 대응하는 콘택트(14c)(15c)에 압접한다. 또, 로울러(26b)는 회전하면서 캠면(33)을 따르기 때문에, 캠면(33)이 급경사로 되어 있어도 요동부재(4)가 무리없이 요동한다. 슬라이더(5)가 후퇴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록크기구(7)는 록크상태가 된다.
카드(C)를 뺄때는, 카드(C)를 제 13b 도의 상태로부터 약간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면, 록크기구(7)의 록크상태가 해제되고, 코일스프링(36)의 힘에 의하여 슬라이더(5)가 후퇴위치부터 전진위치까지 밀려나와서 요동부재(4)의 로울러(26b)가 캠면(33)으로부터 탈출하고, 코일스프링(53)의 힘에 의해서 작동자(6)가 제 13a 도와 같이 하강한다.
이 때문에 카드(C)의 외부단자(C10, C11)가 콘택트(14c)(15c)로부터 떨어져서 슬라이더(5)에 의한 뒤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서 카드삽탈구멍(20)로부터 밀어낸다. 기타의 작용효과는 제 1 도∼제 8 도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 12 도 및 제 13a 도, 제 13b 도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도 및 제 6a 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고안의 콘넥터에 의하면, 카드를 꽂을 때에 접편의 콘택트가 카드의 표면이나 그 외부단자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카드와 콘택트와의 마찰저항에 대향해서 카드를 끼우거나 빼낼 필요가 없게 되며, 그 결과, 현저히 마모를 회피 할수 있으며, 또한 카드를 꽂을 때의 힘이 요동부재의 지랫대작용에 의해서 카드를 밀어올리는 힘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카드를 빼고 꽂는데 필요한 조작력이 경감되어서 조작성이 향상되는 의에, 예를들면 외부단자가 카드삽탈방향으로 줄지어서 배열되어 있어도, 카드를 빼고 꽂을 때에 서로 대응하고 있지 않은 콘택트와 외부단자가 단락되는 것이 회피되어 오작동이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또, 카드가 끼워진 시점에서는 카드가 요동부재의 다른쪽의 요동단부에 압입되어서 콘택트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때의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힘을 크게 해도 그것이 카드를 빼고 꽂을 때의 조작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조작성을 희생하는 일이 없이 전지적으로 도통상태와 확실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수 있게된다.

Claims (1)

  1. 카드삽탈경로에 간격을 두고 대향된 콘택트(14a)(15a)와, 상기 카드삽탈경로에 끼워진 카드(C)에 의하여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밀려들어가는 슬라이더(5)와, 상기 카드삽탈경로에 끼워진 카드(C)와 상기 슬라이더(5)에 걸친 위치에 배치된 요동부재(4)를 갖추고, 상기 요동부재(4)는 카드(C)의 삽탈방향과 직교하는 축심둘레에서 요동자재케 보디(1)에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축심의 전후에 한쪽의 요동단부(26)와 다른쪽의 요동단부(27)가 분할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5)가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밀려들어감에 따라서 상기 요동부재(4)의 한쪽의 요동단부(26)에 작동해서 다른쪽의 요동단부(27)를 상기 콘택트(14a)(15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변위시키는 한편, 슬라이더(5)가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로 밀려나올때 따라서 상기 한쪽의 요동단부(26)에 대한 작동상태가 해제되는 캠면(33)이 상기 슬라이더(5)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2019880018329U 1987-11-11 1988-11-08 콘넥터 KR9100049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2107 1987-11-11
JP1987172107U JPH0424625Y2 (ko) 1987-11-11 1987-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57U KR890011757U (ko) 1989-07-15
KR910004998Y1 true KR910004998Y1 (ko) 1991-07-12

Family

ID=1593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329U KR910004998Y1 (ko) 1987-11-11 1988-11-08 콘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74323A (ko)
JP (1) JPH0424625Y2 (ko)
KR (1) KR910004998Y1 (ko)
FR (1) FR2623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235Y2 (ko) * 1988-04-08 1992-04-23
JPH0517826Y2 (ko) * 1988-07-29 1993-05-12
US5066241A (en) * 1990-06-18 1991-11-1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for use with an integrated circuit card
US5161992A (en) * 1992-01-17 1992-11-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card contain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EP0698247B1 (de) * 1993-05-14 1998-09-0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mt-leser für sim- und standardkarten
EP0698248A1 (de) * 1993-05-14 1996-02-2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iersystem für chipkarten, sowie leser dafür
JP3559319B2 (ja) * 1994-09-29 2004-09-02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情報処理装置
DE19506606C2 (de) * 1995-02-24 1996-12-19 Amphenol Tuchel Elect Chipkartenleser
DE19508363C1 (de) * 1995-03-10 1996-07-25 Amphenol Tuchel Elect Aufnahmegehäuse für eine Chipkarte
DE19516987A1 (de) * 1995-05-09 1996-11-14 Amphenol Tuchel Elect Kartenlesevorrichtung für Chipkarten und/oder SIM-Karten mit unterschiedlicher Dicke
US6033253A (en) * 1997-04-11 2000-03-07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e and latch
FR2763414B1 (fr) * 1997-05-13 1999-07-02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d'un type a atterrissage des contacts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icrocircuits
JP3173438B2 (ja) * 1997-06-04 2001-06-04 ソニー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及び装着装置
DE19757625B4 (de) * 1997-12-23 2006-03-1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Chipkartenleser
FR2790143B1 (fr) * 1999-02-22 2006-07-28 Whitaker Corp Dispositif de contact pour etablir un contact avec des cartes a puce
JP2001015194A (ja) * 1999-05-05 2001-01-19 Thomas & Betts Corp <T&B> プリント配線板から持ち上げた配置で使用する改良型スマート・カード読取器
US6325653B1 (en) * 1999-07-15 2001-12-04 Kabushiki Kaisha Yokowo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US6508673B2 (en) 2000-04-05 2003-01-21 Mcdowell Jennifer Lyn Low cost smart card reader, extension style, with wiping contacts
JP2001351735A (ja) * 2000-06-08 2001-12-21 Hirose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TW545653U (en) * 2001-10-30 2003-08-01 Carry Computer Eng Co Ltd Improved mechanism of electronic signal adapting module for silicon disk
KR20040043252A (ko) * 2002-11-18 2004-05-24 쵸우수안 차이 카드 커넥터
JP3536212B1 (ja) * 2002-12-27 2004-06-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ダ付きカードコネクタ
US6821137B2 (en) 2003-01-23 2004-11-2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a card-typ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07436A1 (fr) * 1975-04-11 1976-11-05 Bonhomme F R Perfectionnements aux cartes a circuits imprimes
SU587539A1 (ru) * 1976-01-06 1978-01-0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203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зъем
FR2445560B1 (fr) * 1978-12-27 1985-09-13 Cii Honeywell Bull Connecteur pour objets portatifs, notamment des cartes de credit
US4355856A (en) * 1980-10-06 1982-10-26 Ncr Corporatio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using non-noble metal contact plating
FR2492213A1 (fr) * 1980-10-15 1982-04-16 Labo Electronique Physique Boitier pour carte porteuse d'information muni d'un systeme de verrouillage de ladite carte
DE3645268C2 (de) * 1986-01-29 1996-08-14 Amphenol Corp Kartenaufnehmner für ein Lesegerät für eine Chip-Karte
FR2594988B1 (fr) * 1986-02-21 1989-11-24 Radiotechnique Ind & Comm Appareil pour etablir des transferts de donnees avec une carte electronique port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74323A (en) 1989-10-17
JPH0175983U (ko) 1989-05-23
KR890011757U (ko) 1989-07-15
FR2623025B1 (fr) 1992-04-10
FR2623025A1 (fr) 1989-05-12
JPH0424625Y2 (ko) 199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998Y1 (ko) 콘넥터
JPH0326628Y2 (ko)
KR920001750Y1 (ko) 카아드 코넥터
US7182645B2 (en)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KR900008976Y1 (ko) 코넥터
US7381069B2 (en)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ing member with which a cam follower and a locking member are integrally coupled
US6776640B2 (en) Card connector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 card to mounting position
KR200144035Y1 (ko) Ic 카드 커넥터 장치용 이젝터 시스템
US6027350A (en) Ejecting mechanism for card cartridge connector
US8142229B1 (en) Card connector with cam feature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a card
JPH07288154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KR20040065553A (ko)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
US20040266237A1 (en)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lever with a swingable locking member mounted thereto
JP2004213957A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50282440A1 (en) Card connector
JP3320365B2 (ja) 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EP1548897B1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JP2879412B2 (ja) イジェクト機構付きコネクタ
EP1450448B1 (en) Card connector
JPH088539Y2 (ja) 多極コネクタ
KR20090004541A (ko) 메모리카드용 소켓
JP2006114437A (ja) カードコネクタ
JPH054705Y2 (ko)
GB2251134A (en) Ejector-equipped card connector
CN219040892U (zh) 一种电子卡罩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