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553A -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553A
KR20040065553A KR10-2004-7006773A KR20047006773A KR20040065553A KR 20040065553 A KR20040065553 A KR 20040065553A KR 20047006773 A KR20047006773 A KR 20047006773A KR 20040065553 A KR20040065553 A KR 2004006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ory card
leaf spring
connecto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히로히사
가와시마마사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5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콘택트의 접촉부와 메모리 카드의 단자가 순간적으로 개리(開離)하고, 메모리 카드로의 급전이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순간 끊김 및 충격에 의한 콘택트의 변형을 방지한다. 콘택트의 선단부의 근방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3개의 판스프링부와, 각 판스프링부의 선단 근방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접촉부를 형성하고, 3개의 판스프링부 중 2개의 판스프링부, 예를 들면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를, 그들 선단부분에서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또 다른 1개의 판스프링부, 예를 들면 중앙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의 길이를,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의 길이보다도 짧게 한다. 그것에 의해, 콘택트의 선단부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접촉부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CONNECTOR AND CONTACT FOR THE CONNECTOR}
SD 메모리 카드와 멀티미디어 카드(MMC) 등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혹은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1-3579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용의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용의 커넥터에서는, 상자모양의 하우징의 전면에 메모리 카드가 삽탈(揷脫)되는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본체의 내부에, 메모리 카드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와 접촉되는 복수의 콘택트가 배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 콘택트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 대략 へ자 모양 단면(doglegged section)을 가지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를 하우징에 삽입하면, 콘택트의 접촉부가 각각 메모리 카드의 단자(접촉자:terminal)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때 콘택트 자체가 탄성 변형된다. 콘택트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부에는 소정의 접촉압이 발생되며, 메모리 카드의단자와 콘택트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보된다.
메모리 카드 자체는 상당히 얇고, 또 작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용의 커넥터도 얇고, 또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콘택트의 소재인 금속재료도, 판 두께가 상당히 얇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 접촉할 때의 콘택트의 탄성 변형량도 적다.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용의 커넥터에,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콘택트의 탄성 변형에 의한 접촉압에 저항하여, 접촉부와 단자가 순간적으로 개리(開離)하고, 재차 접촉하는 현상(이하, 「순시개폐현상(instantaneous make break phenomenon)」이라 부른다)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순시개폐현상이 메모리 카드로 급전(給電)하기 위한 전원단자(또는 그라운드 단자)에서 발생하면, 메모리 카드로의 급전이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이른바 순간 끊김이 생긴다. 그리고 이러한 순간 끊김이 메모리 카드로의 데이터 기록시에 발생하면,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가 파괴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다. 또 콘택트의 기계적인 강도가 낮으므로, 충격에 의해 콘택트 자체가 변형하여 버릴 가능성도 있다.
상술과 같은 순시개폐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혹은 순시개폐현상에 의한 콘택트의 접촉부와 단자가 개리하고 있는 시간을 극히 짧게 하기 위해, 도12A 및 도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200)의 접촉부(201)를 제외한 부위(202)의 폭을 넓혀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카드의 단자간의 피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콘택트(200)의 폭을 넓히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충분한 효과를 얻는 것은 어렵다.
또 도13A~도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210)의 선단부에 소정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각각 독립하여 기능하는 2조(組)의 접촉부(211a 및 211b) 및 암부(212a 및 212b)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2개의 접촉부(211a 및 211b)를 설치함으로써, 접촉부가 1개 일때보다도 순시개폐현상 발생의 가능성이 저감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형상은 콘택트(210)의 길이 치수와 형상에 관한 자유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는 실현 가능하지만,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용의 커넥터와 같이, 콘택트의 치수와 피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는 실현이 곤란하다. 설령 그와 같은 형상의 콘택트가 실현되었다 하더라도, 개개의 암부(212a 및 212b)는 접촉부 및 암부가 1개일 때보다도 그 폭이 좁게 되며, 기계적인 강도가 낮고, 충분한 접촉압을 발생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때에, 접촉부(211a 및 211b)와 암부(212a 및 212b) 등이 변형되기 쉽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2-100440호 공보에서는, 콘택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고, 폭이 다른 2개의 판스프링부를 형성하고 있다. 각 판스프링부의 질량, 스프링 정수, 접촉압 등이 다르므로, 2개의 판스프링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상대부재의 단자로부터 동시에 개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판스프링부는 슬릿에 의해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폭이 좁은 콘택트를 2개 평행하게 배열한 것과 등가이며, 충격에 대한 기계적인 강도는 작게 된다. 그 결과, 커넥터에 충격이 가해지면 콘택트가 변형할 가능성이 높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의 순시개폐현상에 의한 문제점의발생 가능성이 저감된,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 등에 사용 가능한 소형의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형태로서의 커넥터는 커넥터에 장착되는 상대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열되며, 상기 상대부재에 설치된 단자에 접촉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3개의 판스프링부와, 각 판스프링부의 선단 근방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접촉부를 가지고, 3개의 판스프링부 중 2개의 판스프링부는 그들 선단부분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형태로서의 커넥터용 콘택트는, 금속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그 선단부의 근방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3개의 판스프링부와, 각 판스프링부의 선단 근방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접촉부를 가지며, 3개의 판스프링부 중 2개의 판스프링부는, 그들 선단부분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의 수를 3개로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커넥터의 선단에 접촉부를 2개 형성한 것과 비교하여, 충격 등에 의해 콘택트의 접촉부가 상대부재의 단자로부터 순간적으로 개리할 가능성이 저감되며, 혹은 개리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순시개폐현상에 의한 순간 끊김 등의 발생 가능성이 저감되어,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MC)로의 테이터 기록시에, 순간 끊김의 발생에 의한 데이터 파괴 등의 문제점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콘택트는 2개의 판스프링부를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으므로, 접촉부가 1개밖에 없는 종래의 콘택트와 같은 정도의 스프링 특성을 가진다. 그 때문에, 콘택트의 선단부에 소정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2조의 접촉부를 각각 독립하여 기능시키도록 구성한 것과 비교하여, 이 콘택트보다도 높은 접촉압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충격에 의한 콘택트의 개리 및 변형의 가능성이 저감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용의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메모리 카드 및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A~도3D는 각각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베이스 쉘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A~도4D는 각각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커버 쉘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5A~도5C는 각각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콘택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6A~도6B는 각각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슬라이더 암의 선단부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6C 및 도6D는 각각 도6A에서의 X-X 단면도 및 Y-Y 단면도이다.
도7은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상기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9는 상기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은 상기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1A~도11C는 각각 상기 일실시형태에서의 콘택트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측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12A 및 도12B는 참고예에서의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13A~도13D는 각각 다른 참고예에서의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측면부분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의 일예로서, SD 메모리 카드용의 커넥터 및 그것에 이용되는 콘택트에 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SD 메모리 카드용의 커넥터 및 그 용도의 콘택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콘택트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접촉압을 발생시켜, 콘택트에 설치된 접촉부를 상대부재에 설치된 단자에 접촉시키는 형식의 커넥터 전반에 관해 적용 가능하다.
도1은 부호 MC로 나타낸 SD 메모리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 및 커넥터(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커넥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편평한 하우징(3)은 베이스 쉘(1)과 커버 셀(2)로 구성되며, 하우징(3)은 그 전면에 형성된 개구(42)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 카드(MC)는 그 개구(42)에서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다. 베이스 셀(1)은 두께가 아주 얇은 스테인레스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된 판(블랭크:blank)을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 쉘(2)도 두께가 아주 얇은 스테인레스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된 블랭크를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은 커버 쉘(2)을 베이스 쉘(1)에 계합(係合)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콘택트 블록(4)은 하우징(3)의 내부의 후단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대략 コ자 모양을 하는 슬라이더(5)는 하우징(3)의 내부에서, 하우징(3)의 개구(42)와 콘택트 블록(4)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5)는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쉘(1)의 상세를, 도3A~도3D에 나타낸다. 도3A는 베이스 쉘(1)의 배면도이다. 도3B는 베이스 쉘(1)의 평면도이다. 도3C는 베이스 쉘(1)의 정면도이다. 도3D는 베이스 쉘(1)의 측면도이다.
베이스 쉘(1)은 펀칭된 블랭크의 양측부를 상방으로 구부려 형성된 측벽(6a, 6b)을 가진다. 베이스 쉘(1)의 선단 및 후단은 해방되어 있다. 베이스 쉘(1)의 후단 근방에는 블랭크를 상방으로 구부림으로써, 4개의 돌기(9)가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9)는 콘택트 블록(4)이 수지 성형된 베이스 부재(7)의 압입구멍(8)으로, 하측부터 압입된다.
콘택트 블록(4)으로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10, 10') 및 스위치 편(30a, 30b, 31a, 31b)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쉘(1)의 후단에서 약간 앞쪽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의 구멍(11)이 베이스 쉘(1)의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6a, 6b)에서 연장된 블랭크의 돌출부분을 구부림으로써, 한쌍의 스피링 가이드 봉(12)이 측벽(6a, 6b)에 대해서 평행하게 또 측벽(6a, 6b)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가이드 봉(12)은 슬라이더(5)를 앞쪽으로 부세(付勢)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13)의 좌굴(座屈)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 코일 스프링(13)의 중앙의 공동부분에 감장(嵌裝)된다.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가이드 봉(12)의 조금 앞쪽에는 측벽(6a)에서 내측으로 구부려진 L자 모양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L자 모양 돌출부(14)는 슬라이더(5)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해 이용되는 로드(16)의 일단을 축지(軸支)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L자 모양 돌출부(14)는 그 입편(立片)(14a)에 형성된 축구멍(14b)을 가지고 있다. 로드(16)의 일단에 설치된 회전축(16a)은 축구멍(1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로드(16)의 타단에 설치된 후크부(16b)는 하트캠 홈부(15)에 접동(摺動)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하트캠 홈부(15)는 슬라이더(5)의 한쪽의 암(5c)의 외측 면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하트캠 홈부(15)의 상세는 후술한다.
로드(16)는 입편(14a)에 평행하게 되도록 암(5c)의 외측의 면상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크부(16b)가 하트캠 홈부(15)에 계합된다.
측벽(6a)의 선단 근방을 잘라 세움으로써, 로드(16)의 측면을 슬라이더(5)의 암(5c)측에 부세하기 위한 판스프링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도2 및 도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쉘(1)의 바닥면의 앞부분(前部)의 양측은 그 중앙부보다도 앞쪽으로 돌출해 있다. 돌출한 앞부분의 양측부분의 내주부(內周部)는 중앙부분의 바로 아래 내주부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베이스 쉘(1)의 블랭크를 상측으로 구부리는 것에 의해, 한쌍의 스톱퍼(18)가 경사진 앞부분의 양측부분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18)는 슬라이더(5)의 뛰어나감을 방지함과 동시에, 메모리 카드(MC)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이들 스톱퍼(18)의 사이의 폭이 메모리 카드(MC)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42)에 대응한다. 각 스톱퍼(18)는 그 상부의 내측 테두리부에 상향의 단차부(18a)를 가지고 있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MC)는 그 양측의 하단을 따라 형성된 한쌍의 가늘고 긴 하향의 단차부(91)를 가지고 있다. 상방의 단차부(18a)보다도 위쪽 부분의 스톱퍼(18)의 안쪽 테두리 사이의 폭은, 메모리 카드(MC)의 최대폭보다도 약간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 쉘(1)의 바닥의 상면과 상향의 단차부(18a)의 하단의 사이의 높이는 메모리 카드(MC)의 하향의 단차부(91)의 높이보다도 약간 높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향의 단차부(18a)보다도 아래쪽 부분의 스톱퍼(18)의 안쪽 테두리 사이의 폭은 메모리 카드(MC)의 하향의 단차부(91)의 안쪽 테두리 사이의 폭보다도 약간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메모리 카드(MC)의 하측의 면이 베이스 쉘(1)의 바닥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메모리 카드(MC)가 바르게 삽입되면, 메모리 카드(MC)의 하향의 단차부(91)가 스톱퍼(18)의 상향의 단차부(18a)의 위쪽을 통과하여, 메모리 카드(MC)가 개구(42)를 통해서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된다. 반대로, 메모리 카드(MC)의 상측의 면이 베이스 쉘(1)의 바닥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메모리 카드(MC)가 잘못 삽입되면, 메모리 카드(MC)의 상측 면의 근방의 양측부는 스톱퍼(18)의 사이의 통로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메모리 카드(MC)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베이스 쉘(1)의 블랭크를 잘라 세움으로써, 베이스 쉘(1)의 바닥면의 소정의 위치에, 메모리 카드(MC)를 전후방향을 잘못하여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스톱퍼(26)가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MC)의 전후방향을 잘못하여 삽입해도 메모리 카드(MC)는 개구(42)에서의 스톱퍼(18)의 상향의 단차부(18a)의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가령 스톱퍼가 없다고 하면, 단자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메모리 카드(MC)의 후단이 콘택트 블록(4)으로 유지된 콘택트(10, 10')를 파손하여 버린다. 그 때문에, 콘택트 블록(4)이 베이스 쉘(1)에 장착되었을 때에, 콘택트 블록(4)의 콘택트(10, 10')보다도 앞쪽의 위치에 스톱퍼(2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쉘(2)의 상세에 관해서, 도4A~도4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A는 커버 쉘(2)의 배면도이다. 도4B는 커버 쉘(2)의 평면도이다. 도4C는 커버 쉘(2)의 정면도이다. 도4D는 커버 쉘(2)의 측면도이다.
커버 쉘(2)은 펀칭된 블랭크를 하향으로 구부려 형성된 측벽(20)을 가진다. 커버 쉘(2)의 블랭크를 하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커버 쉘(2)의 상판의 후단에, 3개의 돌출부(21)가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는 커버 쉘(2)을 베이스 쉘(1)에 계합시켰을 때, 베이스 쉘(1) 상의 콘택트 블록(4)의 수지 성형된 베이스 부재(7)의 압입구멍(22)으로, 상측부터 압입된다.
메모리 카드(MC)의 상면에 인쇄한 마크 등(도시하지 않음)을 시인하기 위한 창(23)이 커버 쉘(2)의 블랭크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 박판을 펀칭함과 동시에, 커버 쉘(2)의 상판의 앞쪽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창(23)의 양측부와 평행하게, 한쌍의 슬릿(24)이 형성되어 있다. 창(23)과 슬릿(24) 사이의 브릿지(25)의 중앙부분은 커버 쉘(2)의 천판(天板)의 하측의 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브릿지(25)의 정점은 메모리 카드(MC)가 하우징(3)에 삽입되었을 때, 메모리 카드(MC)의 상측의 면에 접촉하여 탄성에 의해 메모리 카드(MC)를 하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압압부로서 기능한다.
콘택트 블록(4)의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 도5A~도5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A는 콘택트 블록(4)의 배면도이다. 도5B는 콘택트 블록(4)의 평면도이다. 도5C는 콘택트 블록(4)의 정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예를 들면 SD 메모리 카드의 경우 9개)의 콘택트(10, 10')와 한쌍의 스위치 편(30a, 30b)과, 한쌍의 다른 스위치 편(31a, 31b)이 수지의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콘택트 블록(4)의 베이스 부재(7)에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10, 10')는 메모리 카드(MC)의 하측의 면의 단자에 각각 접촉한다. 스위치 편(30a, 30b)은 메모리 카드(MC)가 바르게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스위치 편(31a, 31b)은 라이트 프로택트의 온 또는 오프에 대응하여, 메모리 카드(MC)의 라이트 프로택트 스위치(SW)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각 콘택트(10, 10'), 스위치 편(30a, 30b, 31a, 31b)의 접촉부는 베이스 부재(7)에서 하우징(3)의 개구(42)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콘택트(10, 10') 및 스위치 편(30a, 30b, 31a, 31b)의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납때 단자(32)는 베이스 부재(7)에서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7)는 그 앞쪽의 상단에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고 있다.상기 압입구멍(8)은 베이스 부재(7)의 단차부 상에 상방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압입구멍(22)은 베이스 부재(7)의 상면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5A 및 도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의 후단이 감입되는 한쌍의 노치(47)가 베이스 부재(7)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노치(47)는 베이스 부재(7)의 하단에 있으며, 다른쪽의 노치(47)는 베이스 부재(7)의 상단에 있다. 또한 콘택트(1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슬라이더(5)의 상세에 관해서, 도2 및 도6A~도6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는 수지 성형에 의해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5b 및 5c)은 슬라이더(5)의 횡방향 부분(5a)에서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렬의 홈(33)의 배열은 슬라이더(5)의 횡방향(5a)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5)는 하우징(3)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홈(33)은 슬라이더(5)가 콘택트 베이스(4)의 콘택트(10, 10') 및 스위치 편(30a, 30b, 31a, 31b)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각 암(5b, 5c)은 메모리 카드(MC)의 양측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 암(5b, 5c)의 내측 면의 거리가 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도록 경사면(34)이 암(5b, 5c)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대략 U 모양 단면을 가지는 가늘고 긴 홈(35)이 좌측 암(5b)의 상측의 후단에서 중앙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홈(35)의 후단 및 좌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대략 U 모양 단면을 가지는 가늘고 긴 홈(도시하지 않음)이 우측 암(5c)의 하측의 후단에서 중앙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 홈의 후단 및 우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3)은 각각 홈(35) 등에 감입(嵌入)된다. 홈(35) 등의 종점의 단부는 각각 코일 스프링(13)의 압압력을 받는다. 양쪽의 암(5b, 5c)은 각각 코일 스프링(13)의 앞쪽으로의 압압력을 동일하게 받으므로, 슬라이더(5)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 내부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더(5)의 양 암(5b, 5c)의 내측의 측면에는, 메모리 카드(MC)의 하향의 단차부(91)가 재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트캠 홈부(15)는 우측 암(5c)의 외측의 측면의 선단 근방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6A 및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트캠 홈부(15)는 하트캠(15a)과 가이드 홈(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5b)은, 또한 제1부터 제8의 부(副) 홈(151~158)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16)의 후크부(16b)는 접동 가능하게 가이드 홈(15b)과 계합되어 있다. 슬라이드(5)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따라, 로드(16)의 후크부(16b)는 가이드 홈(15b) 및 하트캠(15a)의 측벽, 및 가이드 홈(15b)의 부 홈(151~158)의 바닥(15c)의 요철의 고저차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가이드 홈(15b)을 따라 소정의 경로를 진행한다. 하트캠 홈부(15)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의 홈부(5a)와 우측 암(5c) 사이의 내측의 각에는 메모리 카드(27)의 선단의 경사진 노치부(92)와 계합할 수 있는 경사부(5d)를 가지는 출장부(5e)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5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의 박판을 펀칭하고,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50)는 가늘고 긴띠판 모양으로, 로크부재(50)가 암(5c)에 유지되었을 때에, 암(5c)의 내측의 측면과 거의 병행하게 배설되는 레버부(50a)를 가진다. 돌출부(50b)는 레버부(50a)의 선단의 하측 테두리의 근방의 테두리에서, 레버부(50a)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접촉부(50c)는 돌출부(50b)의 굽힘부의 후단 테두리의 근방의 부분에서 레버부(50a)로부터 돌출하고, 접촉부(50c)의 중앙부가 바깥쪽으로 활 모양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지후크(50d)는 레버부(50a)의 후단 부분에 형성되며, 크랭크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돌출부(50b) 및 접촉부(50c)가 암(5c)에 설치된 유지홈(36)(도6B 및 도6D 참조)에 압입(壓入)되는 것에 의해, 로크부재(50)가 암(5c) 상에 유지된다. 돌출부(50b) 및 접촉부(50c)가 암(5c)에 설치된 유지홈(36)에 압입되면, 로크부재(50)의 돌출부(50b)의 선단은 하트캠 홈부(15)의 오목부(15d)에 돌출된다. 도6C 및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5c)에는 암(5c)의 상면측 및 암(5b, 5c) 사이의 내부 공간에 개방된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부재(50)의 레버부(50a)가 암(5c)의 오목부(39) 중에 배치된다.
유지홈(36)의 내측의 폭은 그 개구부의 폭보다도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50b) 및 접촉부(50c)가 유지홈(36)에 압입되면, 접촉부(50c)가 유지홈(36)의 개구의 테두리에 계지(係止)되므로, 로크부재(50)가 유지홈(36)에서 빠지는 일은 없다. 한편, 돌출부(50b) 및 접촉부(50c)는 유지홈(36)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로크부재(50)의 돌출부(50b)의 선단은 하트캠 홈부(15)의 오목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로드(16)의 후크부(16b)가 오목부(15d)에 계합되면,슬라이더(5)를 앞쪽으로 압압하는 코일 스프링(13)의 압압력에 의해, 후크부(16b)를 통해서 로크부재(50)의 돌출부(50b)의 선단이 후방향으로 압압된다. 레버부(50a)의 후단부분은 이 압압력에 의해 메모리 카드(MC) 측으로 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계지후크(50d)는 오목부(39)에서 압출되어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에 계합된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MC)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로크된다.
한편, 메모리 카드(MC)의 로크시를 제외하고, 로드(16)의 후크부(16b)가 하트캠 홈부의 오목부(15d)에서 외부로 나와있을 때에는, 로크부재(50)의 돌출부(50b)로의 압압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로크부재(50)의 계지후크(50d)는 레버부(50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에서 암(5c)의 오목부(39)로 대피하고 있다. 그리고, 계지후크(50d)에 의한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의 계지가 해제된다.
다음에, 콘택트(10)의 상세한 구조에 관해서, 도7~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블록(4)의 베이스 부재(7)가 유지된 9개의 콘택트(10, 10') 중, 메모리 카드(MC)의 전원단자(WDD, VSS)에 접촉되는 2개의 콘택트(10), 즉 5B에서의 우측에서 4번째(VSS) 및 5번째(VDD)의 콘택트(10)는 종래의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다른 콘택트(10')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콘택트(10)는 도7~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120)가 연통된 2개의 평행한 슬릿(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슬릿(12) 외측의 제1 콘택트부(101)와, 슬릿(121) 사이의 제2 콘택트부(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콘택트부(101)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가늘고 긴 판스프링부(102)와, 판스프링부(102)의 선단 근방을 메모리 카드(MC)의 단자측에 만곡시켜 대략 ヘ자 모양으로 형성된 접촉부(103)와, 판스프링부(102)를 연결하는 대략 V자 모양의 선단부(104)와, 제2 콘택트부(111)와 연결된 베이스부(105)를 가진다. 제2 콘택트부(111)는 제1 콘택트부(101)의 2개의 판스프링부(102) 사이에서 이들과 평행하게 베이스부(105)에서 돌출된 판스프링부(112)와, 판스프링부(112)의 선단 근방을 만곡시켜 형성된 접촉부(113)를 가진다. 즉 3개의 판스프링부(102, 112)는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2 콘택트부(111)는 제1 콘택트부(101)의 내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콘택트부(111)의 판스프링부(112)의 길이는 제1 콘택트부(101)의 판스프링부(102)의 길이보다도 짧다. 그리고, 제2 콘택트부(111)의 접촉부(113)는 제1 콘택트부(101)의 접촉부(103)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10)는 전체로서 3곳의 접촉부(103, 113)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3곳의 접촉부(103, 113)에 의해, 메모리 카드(MC)의 전원단자(도시하지 않음)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100)에 외부에서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라도, 예를 들면 도13A~도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개의 접촉부를 가지는 콘택트와 비교하여, 전원단자에 대한 순시개폐현상의 발생의 가능성이 저감되며, 혹은 그 계속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순시개폐현상에 의한 순간 끊김의 발생의 가능성이 저감되며, 메모리 카드(MC)로의 데이터 기록시에, 순간 끊김의 발생에 의한 데이터 파괴 등의 문제점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콘택트(10)는 제1 콘택트부(101)의 2개의 판스프링부(102)를 선단부(104)에서 연결하고 있으므로, 슬릿(121)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콘택트(10')와 같은 정도의 스프링 특성을 가진다. 그 때문에, 콘택트의 선단부에 소정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2조의 접촉부를 각각 독립하여 기능시키도록 구성한 것과 비교하여, 이 콘택트보다도 높은 접촉압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콘택트부(101)의 내측에 제2 콘택트부(111)를 배치시키고 있으므로, 접촉부(103, 113)의 수를 3개로 증가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콘택트(10)의 치수는 크게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용의 커넥터 등의 소형의 커넥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11A~도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접촉압이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제1 콘택트부(101)의 접촉부(103) 근방의 판스프링부(102) 및 선단부(104)의 폭을 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콘택트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3개의 판스프링부와, 각 판스프링부의 선단 근방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접촉부를 가지며, 3개의 판스프링부 중 2개의 판스프링부가, 그들 선단부분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면 된다. 그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메모리 카드(MC)를 커넥터(100)의 하우징(3)에 삽입할 때의 각부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메모리 카드(MC)를 하우징(3)의 개구(42)에서,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관해서 바르게 삽입하면, 메모리 카드(MC)의 하부의 양측의 하향의 단차부(91)가 베이스 쉘(1)의 선단에 형성된 스톱퍼(18)의 상향의 단차부(18a) 위쪽을 통과한다. 메모리 카드(MC)의 선단은 하우징(3) 내부의 슬라이더(5)의 양쪽 암(5b, 5c) 사이의 스페이스에 삽입되며, 메모리 카드(MC)의 하향의 단차부(91)는 가이드 레일(19) 상에 유지된다. 메모리 카드(MC)가 하우징(3)의 내부에 더 삽입되면, 메모리 카드(MC)의 선단의 경사진 노치부(92)가 슬라이더(5)의 장출부(5e)의 경사부(5d)에 계합하고, 슬라이더(5)를 후방으로 민다. 슬라이더(5)에 가해지는 코일 스프링(13)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메모리 카드(MC)를 더 밀어넣으면, 메모리 카드(MC)의 삽입에 따라 슬라이더(5)가 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슬라이더(5)가 이동을 개시하면, 슬라이더(5)의 움직임에 따라, 로드(16)의 후크부(16b)가 하트캠 홈부(15)의 가이드 홈(15b)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로드(16)의 후크부(16b)는 도6B에 나타내는 제1의 부 홈(151)의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더(5)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후크부(16b)는 가이드 홈(15b)의 제1의 부 홈(151)의 내부를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한다. 도6B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제8의 부 홈(158)의 바닥의 높이는, 제1의 부 홈(151)의 바닥의 높이보다도 높으므로, 후크부(16b)는 제8의 부 홈(158)으로 진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후크부(16b)는 제2의 부 홈(152)으로 진행하고, 제3의 부 홈(153)에 도달한다. 제2의 부 홈(152)의 바닥은 경사져 있으며, 제3의 부 홈(153)의 바닥의 높이는 가이드 홈(15b) 중에서도 가장 높다.
슬라이더(5)가 종단에서 정지하면, 후크부(16b)는 제4의 부 홈(154)으로 진행하고, 제4의 부 홈(154)의 종단보다도 약간 앞쪽의 위치(P2)에서 정지한다. 메모리 카드(MC)로의 압압력이 해제되면, 코일 스피링(13)의 압압력에 의해 약간 앞쪽으로 이동한다. 후크부(16b)는 슬라이더(5)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제4의 부 홈(154)의 내부를 후방으로 움직인다. 제3의 부 홈(153)의 바닥의 높이는 제4의 부 홈(154)의 바닥의 높이보다도 높고, 또 제4의 부 홈(154)의 바닥의 높이는 제5의 부 홈(155)의 바닥의 높이보다도 높으므로, 후크부(16b)는 반드시 제5의 부 홈(155)으로 진행한다.
제5의 부 홈(155)에는, 후크부(16b)가 계합되는 오목부(15d)가 하트캠(15a)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16b)가 제5의 부 홈(155)으로 진행하면, 위치(P3)에서 후크부(16b)가 오목부(15d)에 계합한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13)의 압압력과, 하트캠(15d)과 로드(16)의 후크부(16b)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반력(反力)과의 밸런스에 의해 슬라이더(5)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이 정지한다.
상기 메모리 카드(MC)가 동작하는 동안, 슬라이더(5)의 횡부분(5a)의 홈(33)을 관통하여 앞쪽으로 돌출된 콘택트(10, 10')의 접촉부는 메모리 카드(MC)의 하측의 면에 설치된 메모리 카드(MC)의 단자에 각각 접촉한다. 도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콘택트(10, 10')는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콘택트는 그 길이에 따라 순서대로 메모리 카드(MC)의 단자에 접촉한다.
메모리 카드(MC)의 선단의 경사진 노치부(92)가 스위치 편(30a)에 접촉하면, 스위치 편(30a)의 접촉부가 스위치 편(30b)에 접촉하도록, 스위치 편(30a)이 휘어진다. 스위치 편(30a, 30b)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가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 편(30a, 30b)에서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스위치 편(30a, 30b)으로부터의 스위치 온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검출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메모리 카드(MC)가 바르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MC)의 측면에는 라이트 프로택트 스위치(SW)의 노브(94) 및 노브(94)가 슬라이드되는 오목부(95)가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MC)가 바르게 삽입되면, 오목부(95)에서의 노브(94)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 편(31b)의 선단부는, 노브(94) 상을 미끄러지든지 또는 오목부(95)로 떨어진다. 스위치 편(31b)의 선단부가 오목부(95)로 떨어지면, 스위치 편(31b)의 선단부가 다른 스위치 편(31a)의 선단부에 접촉한다. 스위치 편(31a, 31b)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가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 편(31a, 31b)에서 스위치 온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스위치 편(31a, 31b)으로부터의 스위치 온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검출회로에 의해 메모리 카드(MC)가 라이트 프로택트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더(5)의 동작은 로드(16)의 후크부(16b)를 하트캠(15a)의 오목부(15d)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로크 기구가 없으면, 메모리 카드(MC)를 커넥터(100)의 하우징(3)에서 무리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메모리 카드(MC)를 커넥터(100)의 하우징(3)에서 빠져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에 계합되는 로크부재(50)가 슬라이더(5)에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MC)가 적정하게 유지된 슬라이더(5)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여, 로드(16)의 후크부(16b)가 하트캠(15a)의 오목부(15d)의 로크위치에 정지하면 하트캠 홈부(15)의 오목부(15d)에 돌출되어 있는 로크부재(50)의 돌출부(50b)의 선단은 로드(16)의 후크부(16b)에 의해 역방향으로 눌려진다. 이 압압력에 의해, 레버부(50a)의 후단부는 메모리 카드(MC)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계지후크(50d)는 오목부(39)에서 돌출하여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에 계합한다. 그것에 의해, 메모리 카드(MC)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로크된다.
메모리 카드(MC)를 커넥터(100)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5)와 함께 메모리 카드(MC)를 하우징(3)의 후단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우징(3)의 개구(42)에서 돌출된 메모리 카드(MC)의 후단을 더 후방으로 민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로드(16)의 후크부(16b)와 하트캠 홈부(15)의 로크가 해제되어, 로드(16)의 후크부(16b)가 제5의 부 홈(155)의 내부를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한다. 하트캠(15a)의 오목부(15d)에 대향하는 제5의 부 홈(155)의 종단벽은 경사져 있으며, 제5의 부 홈(155)의 바닥의 높이는 제4의 부 홈(154)의 바닥의 높이보다도 낮으므로, 후크부(16b)는 반드시 제6의 부 홈(156)으로 진행하여, 위치(P4)에서 정지한다. 제6의 부 홈(156)의 바닥면의 높이는 하트캠 홈부(15) 중에서 가장 낮다.
메모리 카드(MC)로의 압압력이 해제되면, 슬라이더(5)는 코일 스프링(13)의 압압력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5)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후크부(16b)는 제6의 부 홈(156)의 내부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움직인다. 제5의 부 홈(155)의 바닥의 높이는 제6의 부 홈(156)의 바닥의 높이보다도 높으므로, 후크부(16b)는 반드시 제7의 부 홈(157)으로 진행한다.
로드(16)의 후크부(16b)가 오목부(15d)에서 떨어지면, 로크부재(50)의 돌출부(50b)는 역방향으로 누르는 압압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돌출부(50b)의 선단은 오목부(15d)로 돌출하고, 로크부재(50)의 계지후크(50d)는 로크부재(50)의 레버부(50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목부(39)로 대피된다. 그 때문에, 로크부재(50)의 계지후크(50d)에 의한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의 계지가 해제된다.
다음에, 로드(16)의 후크부(16b)는 제7의 부 홈(157)의 내부를 진행하고, 제8의 부 홈(158)에 도달한다. 제7의 부 홈(157)의 바닥은 제8의 부 홈(158)의 바닥의 높이가 제1의 부 홈(151)의 바닥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후크부(16b)가 제8의 부 홈(158)에서 더 진행하면, 제1의 부 홈(151)에 떨어져 초기 위치(P1)로 되돌아간다. 이때 슬라이더(5)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메모리 카드(MC)는 커넥터(100)의 하우징(3)의 개구(42)에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며, 메모리 카드(MC)를 커넥터(10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MC)를 인출할 때에 메모리 카드(MC)에 무리하게 힘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계지후크(50d)가 메모리 카드(MC)의 오목부(93)에 계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계지후크(50d)를 포함하는 로크부재(50)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용도는, 상기 메모리 카드 기록 재생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용 콘택트도, 상대부재인 메모리 카드 등의 전원단자용에는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데이터의 기록재생용의 단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국특허출원 2002-316602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에 합체되어야 할 것이다.
또 본원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하게 기재되어 있어도, 여러가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것에 의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 발명의 번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커넥터에 장착되는 상대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열되어 상기 상대부재에 설치된 단자에 접촉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적어도 1개의 콘택트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3개의 판스프링부와, 각 판스프링부의 선단 근방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접촉부를 가지며,
    3개의 판스프링부 중 2개의 판스프링부는, 그들 선단부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3개의 판스프링부 중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가, 그들 선단부분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의 길이는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에 형성된 접촉부는, 상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에 형성된 접촉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각각 상기 상대부재의 단자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彎曲)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부재의 전원단자에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부재는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금속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커넥터용 콘택트로서,
    그 선단부의 근방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3개의 판스프링부와, 각 판스피링부의 선단 근방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접촉부를 가지며,
    3개의 판스프링부 중 2개의 판스프링부는, 그들 선단부분에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콘택트.
  8. 제 7 항에 있어서,
    3개의 판스프링부 중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가, 그들 선단부분에서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중앙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의 길이는,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콘택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에 형성된 접촉부는, 양측부에 위치하는 판스프링부에 형성된 접촉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콘택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각각 상기 상대부재의 단자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콘택트.
KR10-2004-7006773A 2002-10-30 2003-10-22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 KR20040065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6602A JP2004152623A (ja) 2002-10-30 2002-10-30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構造並びにコネクタ
JPJP-P-2002-00316602 2002-10-30
PCT/JP2003/013501 WO2004040709A1 (ja) 2002-10-30 2003-10-22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53A true KR20040065553A (ko) 2004-07-22

Family

ID=3221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773A KR20040065553A (ko) 2002-10-30 2003-10-22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20137A1 (ko)
JP (1) JP2004152623A (ko)
KR (1) KR20040065553A (ko)
CN (1) CN1685569A (ko)
TW (1) TWI227578B (ko)
WO (1) WO2004040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1885B2 (en) * 2001-12-11 2006-01-03 Molex Incorporated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JP2006202269A (ja) 2004-12-22 2006-08-0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052295B1 (en) * 2005-03-18 2006-05-30 Chant Sincere Co., Ltd. Simulated SD memory card converter
JP2006344489A (ja) * 2005-06-09 2006-12-21 Hirose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ソケット
JP4844927B2 (ja) * 2006-06-02 2011-12-28 Smk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M310488U (en) * 2006-08-08 2007-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385047B2 (ja) 2006-12-06 2009-12-16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US7626826B2 (en) * 2007-01-31 2009-12-01 Sun Microsystems, Inc. Expansion card carr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08270081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取外し用工具
JP4374074B1 (ja) * 2009-06-10 2009-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D642578S1 (en) 2009-09-30 2011-08-02 Sony Corporation Memory card adapter
KR101679430B1 (ko) * 2010-09-30 2016-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심카드의 삽입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20597B1 (ko) 2012-03-12 2013-10-23 (주)씨엘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JP5794254B2 (ja) * 2012-09-13 2015-10-14 Smk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点ばね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カードコネクタ
CN103682732B (zh) * 2012-09-13 2016-01-06 Smk株式会社 连接器用接点弹簧及利用该连接器用接点弹簧的卡连接器
JP5938067B2 (ja) * 2013-05-24 2016-06-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746205A (zh) * 2013-12-12 2014-04-23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具有单支点簧片结构的印制板插座
JP5718506B1 (ja) * 2014-04-09 2015-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322323B (zh) * 2014-06-30 2017-1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Sim卡座端子及其应用的卡座
CN104577416B (zh) * 2014-12-23 2017-11-17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565237B (zh) * 2017-05-12 2020-04-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325720B1 (ja) 2017-06-06 2018-05-1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多接点コネクタ
JP7136549B2 (ja) * 2017-11-14 2022-09-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KR102397460B1 (ko) * 2020-04-16 2022-05-12 캠아이티(주) 전류인가용 컨택트핀이 개선된 커넥터
DE102022002193A1 (de) 2022-06-17 2023-12-2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s Kontaktsystem für einen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69Y2 (ko) * 1981-03-17 1986-01-20
JPS587477U (ja) * 1981-07-08 1983-01-18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タ
US5009606A (en) * 1989-12-18 1991-04-23 Burndy Corporatio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FR2773275B1 (fr) * 1997-12-26 2000-01-28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de tres faible epaisseur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JP2001357943A (ja) * 2000-06-15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3507434B2 (ja) * 2000-07-21 2004-03-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JP4841756B2 (ja) * 2001-06-08 2011-12-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とこれを装着した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52623A (ja) 2004-05-27
US20050020137A1 (en) 2005-01-27
CN1685569A (zh) 2005-10-19
WO2004040709A1 (ja) 2004-05-13
TWI227578B (en) 2005-02-01
TW200414616A (en) 200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5553A (ko) 커넥터 및 커넥터용 콘택트
US7210950B2 (en) Connector for memory card
US7717724B2 (en) Connector card housing with a slider restraining protrusion
US7309259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shutter mechanism
US6332790B1 (en) Card connector
EP1605393B1 (en) Card connector
US7632117B1 (en) Card connector with ejecting member
US7744391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sliding structure to reduce friction
US7070430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an eject mechanism
US676432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end position switch
US7131853B2 (en) Card connector
US7670188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spring tab
US7686633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switch structure
US6835077B2 (en) Card connector having a card engaging locking mechanism
US6790061B1 (en) Two-stage ejection mechanism of card connector
JPH07272793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のカード排出機構
US20050282440A1 (en) Card connector
US724705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946867B2 (en) Card connector with a spring member for retaining an electrical card
EP1450448B1 (en) Card connector
JP4023389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01111371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945432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00129155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67652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