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44Y1 -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44Y1
KR910004944Y1 KR2019890003495U KR890003495U KR910004944Y1 KR 910004944 Y1 KR910004944 Y1 KR 910004944Y1 KR 2019890003495 U KR2019890003495 U KR 2019890003495U KR 890003495 U KR890003495 U KR 890003495U KR 910004944 Y1 KR910004944 Y1 KR 910004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il
sleeve
mandrel
winding
wi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766U (ko
Inventor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3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944Y1/ko
Priority to MYPI89001797A priority patent/MY104884A/en
Priority to CN89109585A priority patent/CN1018594B/zh
Publication of KR900017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8Manufacture of heaters for indirectly-heated cathodes
    • H01J9/10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제 1 도는 통상적인 권선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이는 일부절단 측면도.
제 2 도는 종래에 슬라이브의 단면을 보이는 횡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권선장치에 의해 제조된 히이터 코일의 외형을 보이는 측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권선장치의 슬리이브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제조된 히이터 코일의 외형을 보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리이브(sleeve) 1a, 1a' : 인입흡
2 : 맨드릴 (mandril) 2a : 지지홈
3 : 다이 (die) ㄹ3a : 권선구멍(coiling hole)
4 : 레그 (leg)
본 고안은 히이터 코일 (heater coil)의 권선장치 (coil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브라운관의 전자총등에 있어서 캐소드 (cathod)를 가열하는 히이터를 권선하는 장치에 개선에 관한 것이다.
히이터 코일은 통상 텅스텐션, 또는 몰리브덴 심선에 감긴 텅스텐 선등의 선재(線材)로 만들어지는데, 이를 코일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통상 제 1 도에 보인 바와같은 권선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권선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 및 작동된다.
외주양측에 소정각도(α')로 경사진 인입홈(groove ; ia')이 형성된 슬리이브(sleevel')의 보스부(boss 部 ; 1b')에 맨드릴(2)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고, 그 선단에 형성된 지지홈(2a)에 선재(W)를 끼워, 이 선재(W)를 지지한채 히이터 코일을 형성할 맨드릴(2) 및 슬리이브(1')의 조립체를 다이(die : 3)의 권선구멍(3a)에 끼우면 선재(W)는 중앙이 맨드릴(2)의 지지홈(2a)에 지지된 양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은 각각 슬리이브(1)의 인입홈(1a')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맨드릴(2) 또는 슬리이브(1')중의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맨드릴(2)과 슬리이브(1')를 상대 회전시키면서 히이터 코일의 권선이 이뤄지게 된다.
이에 사용되는 종래의 슬리이브(1')에는 제 2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중앙에 맨드릴(2)이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보스부(1b')가 형성되고, 그 양 대향측에 회전방향측으로 소정이 경사각 β예를 들어 약 20°30'으로 경사진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의 인입홈(1a')이 형성되며 양 인입홈(1a')간의 간격(d')은 히이터 코일(H')의 래그(leg ; 4')간의 최종설계치수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슬리이브(1')를 구비한 권선장치로 만들어진 히이터는 성형된 코일이 풀려 원상복귀 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발생되는 소위 스프링백(spring back)현상에 의해 래그(4')간의 간격이 성형칫수보다 약 4∼7%정도 커지게 되어 소요 공차내의 양품율이 현저히 낮을 뿐 아니라, 인입홈(1a')이 경사진 형태이므로 제 3 도에 보인 바와같이 양 레그(4')가 회전방향으로 상호 뒤틀린 상태로 형성되므로 이 역시 불량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히이터를 지지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히이터 자체가 뒤틀리게 되어 불량이 많이 발생되므로 양품율(良品率)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또한 권선공정에서 소정 공차내로 양품처리된다 하더라도 초기 변경을 가지고 있어서 코팅이나 소결등 후속공정에서 뒤틀리게 되므로 캐소드와 접촉하여 누전되거나 부분적인 아이크 방전등이 발생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정 칫수내이며 뒤틀림이 없는 히이터 코일을 권선할 수 있는 권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히이터 권선장치는 외주의 양 대향측에 인입홈이 형성된 슬리이브의 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맨드릴의 지지홈에 선재를 끼워 다이의 권선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슬리이브와 맨드릴을 상대회전시키도록 된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외주의 두 인입홈간이 상호 대칭이며 각각 U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기로는 두 인입홈의 간격이 히이터 코일의 레그 내측간의 설계칫수의 93 내지 96%가 되며, 상기 인입홈의 축방향 경사각이 2°이하로 형성된다.
이하에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권선장치는 제 1 도 및 제 4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상호 상대회전 가능한 슬리이브(1)와, 그 내부에 형성된 보스부(1b)에 회전가능하게 수납하는 맨드릴(2)과, 맨드릴(2)이 수납된 슬리이브(1)가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권선구멍(3a)이 형성된 다이(3)로 구성되며, 맨드릴(2)의 선단에는 선재(W)를 끼워 지지하는 지지홈(2a)이 형성되고 슬리이브(1)의 외주 양 대향측에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인입홈(1a)이 형성된다. 이상의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권선장치와 대략 유사하나 본 고안 구성의 특징은 슬리브(1)에 형성되는 인입홈(1a)의 형상에 있다.
즉, 본 고안 인입홈(1a)은 제 4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양 대향측에 형성되는 인입홈(1a)이 상호 대칭되도록 U향으로 형성되며(즉 단면방향 경사각 β=0임), 인입홈 내측간의 간격(d)은 형성된 히이터 코일(H)의 레그(4)내측간의 설계칫수(S)보다 스프링백을 보상할 만큼 작은 간격∼즉 히이터 코일(H)의 레그(4) 내측간의 설계칫수(S)보다 4∼7%작은 93 내지 96%의 간격(d)을 가지게 되고, 인입홈(1a)의 축방향 경사각(α)은 2°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30'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바, 먼저 맨드릴(2)의 지지홈(2a)에 히이터 코일(H)을 성형할 선재(W)를 끼우고 이를 다이(3)의 권선구멍(3a) 하방으로 부터 끼워 넣으면 선재(W)는 중앙부가 맨드릴(2)의 지지홈(2a)에 끼인채 그 양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은 각각 슬리이브(1)의 두 인입홈(1a)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권선구멍(3a)의 내벽과의 사이에 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맨드릴(2) 또는 슬리이브(1)중의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맨드릴(2)과 슬리이브(1)가 상대 회전하게 되면 선재(W)가 권선(coiling)되어 히이터 코일(H)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만들어진 히이터 코일(H)은 인입홈(1a)의 단면방향 경사각(β)이 0°이며 축방향 경사각(α)도 종래에 비해 작으므로 양 레그(4)는 상호 뒤틀리지 않게 되며, 또한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생산된 히이터 코일(H)의 레그(4) 내측간의 거리는 최초에 양 인입홈(1a)간의 간격(d)으로 형성되어 약간의 소요시간이 경과하면 스프링백 현상이 발행하여 설계칫수(S)가 되도록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제조된 히이터 코일은 소경공차내의 칫수를 갖게되며, 레그가 뒤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초기 변형이 작으므로 전착(電着)이나 침지(浸漬)등의 코팅공정에서 소결등 고온을 가하는 후속공정에 있어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히이터 코일의 수율(收率)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이다.
본 고안자의 실험에 따르면 코팅을 완료한 히이터의 최종 수율이 종래 약 30%에 불과하던 것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약 96%까지 약 3배이상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주의 양 대향측에 인입홈이 형성된 슬리이브의 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맨드릴의 지지홈에 선재를 끼워 다이의 권선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슬리이브와 맨드릴을 상대 회전시키도록 된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이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외주의 두 인입홈이 상호 대칭이며 각각 U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인입홈간의 간격이 상기 히이터 코일의 레그 내측간의 설계칫수의 93 내지 96%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의 축방향 경사각이 2°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KR2019890003495U 1989-03-27 1989-03-27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KR910004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495U KR910004944Y1 (ko) 1989-03-27 1989-03-27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MYPI89001797A MY104884A (en) 1989-03-27 1989-12-18 Heater coil coiling machine.
CN89109585A CN1018594B (zh) 1989-03-27 1989-12-21 绕线式灯丝绕线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495U KR910004944Y1 (ko) 1989-03-27 1989-03-27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66U KR900017766U (ko) 1990-10-05
KR910004944Y1 true KR910004944Y1 (ko) 1991-07-10

Family

ID=1928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495U KR910004944Y1 (ko) 1989-03-27 1989-03-27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10004944Y1 (ko)
CN (1) CN1018594B (ko)
MY (1) MY1048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1572A (ko) * 1996-07-30 1998-04-30 손욱 음극선관용 히터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6711016B (zh) * 2017-02-05 2018-03-27 海宁市新宇光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灯丝电极自动绕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94B (zh) 1992-10-07
KR900017766U (ko) 1990-10-05
CN1046066A (zh) 1990-10-10
MY104884A (en) 199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944Y1 (ko) 히이터 코일의 권선장치
ES8607638A1 (es) Proceso para la fabricacion de casquillos de resorte para contactos
US3223875A (en) Electric heating tube in which enlarged convolutions of filament coil act as filament supports
US259652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axial barrels of different diameters
JP2002035877A (ja) 傾斜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KR100264198B1 (ko)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310983A (en) Electrode for luminous tub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920006823Y1 (ko) 히이터 코일 권선장치
US5680003A (en) Coiled-coil filament design for an incandescent lamp
US4179636A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US2879436A (en) Traveling wave tub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H0457057B2 (ko)
JPH0259583B2 (ko)
US3036236A (en) Electric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KR930000795B1 (ko) 스프링 접점 소켓의 제조방법
CA1149898A (en) Electrical contact
US4774431A (en) Arc tube wire support
US1681329A (en) Vacuum tube
DE1069794B (ko)
KR830002211B1 (ko)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US2000560A (en) Thermionic tube stem machine
US2528425A (en) Electron tube cathode heater
US1904261A (en) Indirectly heated cathode
JP2787865B2 (ja) らせん形遅波回路構体
EP0635868B1 (en) Electric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