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11B1 -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2211B1 KR830002211B1 KR1019800001511A KR800001511A KR830002211B1 KR 830002211 B1 KR830002211 B1 KR 830002211B1 KR 1019800001511 A KR1019800001511 A KR 1019800001511A KR 800001511 A KR800001511 A KR 800001511A KR 830002211 B1 KR830002211 B1 KR 830002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bend
- base shaft
- presses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단면도.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한 축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축의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체인지 레버, 백밀러용 등에 알맞게 쓰여지는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구부를 갖는 축은, 구부에 해당하는 개소를 단조등에 의하여 가동대를 갖게 하여 형성한 후, 기계 가공에 의하여 구부를 가동하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이 많았고, 또한 가공공수도 많기 때문에, 비용이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재료 손실의 감소 및 가공 공수의 감소를 꾀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공소 53-33309호에 있어서, 레버부의 적소에 레버의 외주에 적합한 관통 구멍을 갖는 접속편과 약간 두께가 얇은 원통형 설편(舌片)을 갖는 구부소재를, 상기한 관통 구멍에 적합시켜 삽입하고, 상기한 레버부에 접속편을 결합하고, 그후에 원통형 설편을 구면압조(壓造) 성형하므로서, 레버부에 구부를 설치하는 제조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는, 관상(管狀)의 구부소재에, 레버부의 외주에 적합한 관통구멍을 가지며, 앞서 레버부와 용접등으로 결합되는 접속편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구부소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조 혹은 판금가공을 필요로 하고, 구부소재의 가공공수가 많아지며, 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그 구부소재의 접속편을 레버부에 용접등으로서 결합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고, 가공 공수의 감소에 그다지 효과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 가공 공수가 적고, 값싼 구부를 갖는 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기축(基軸)의 외주의 적소에 원통형상의 관재를 간극을 두고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그 관계를 개구축양쪽에 배치한 2분할된 프레스로서 구면 압조성형하여 구각체(球殼體)로 하고, 그 구각체의 개구양단을 기축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좁히고, 기축을 오목하게 하여 구각체를 기축에 리벳트 고정한 구부를 갖는 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부를 갖는축의 일 실시예이며, 중공의 기축(基軸)(2)의 적소에서 그 기축을 구각체(3)의 중심에 설치한 관통구멍(4)에 삽입하고, 그 구각체(3)의 양측의 축 방향 개구 근방을 플랫트면(5), (5)로 함과 동시에, 그 플랫트면(5), (5)의 말단(6), (6)의 내경을 기축(2)의 외경보다 좁히고, 그 말단(6), (6)에 상응한 기축(2)의 외주에 요부(凹部)(7), (7)을 형성하고, 그 요부(7), (7)에 상기한 말단(6), (6)을 끼어서 고정하고, 따라서, 구부를 갖는 축으로 하고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상기한 제1도에 나타낸 구부를 갖는 축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먼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축(2)를 원통형 가이드(8)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그 기축(2)의 구부를 설치할 부위를 가이드(8)에 출몰가능하게 취부한 보유수단(9)와 향하는위 대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심에 관통구멍(4)를 갖는 원통형상의 관재(10)을 기축(2)에 삽입하고, 보유수단(9)를 가이드(8)로 부터 돌출시키고, 관재(10)의 외주를 보유하고, 기축(2)와 관재(10)이 동심으로 되도록 임시 고정시킨다. 이때, 관재(10)의 내주면과 기축(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균일한 공극(11)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축(2)의 소정위치의 외주에 원통형상의 관재(10)을 배치한 후에, 관재(10)의 축방향 양쪽에 2분할된 프레스(12A), (12B)를 가이드(8)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한다. 그 한쌍의 프레스(12A), (12B)는 관재(10)쪽의 대향면에 구상의 요홈부(13A), (13B)를 가짐과 동시에, 중심부에 축방향의 기축삽입 구멍(14A), (14B)를 가지며, 그 삽입구멍(14A), (14B)에 기축(2)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있다. 상기한 요홈부(13A), (13B)는, 상기한 기축삽입구멍(14A), (14B)와 접하는 소직경부에 수직인 플랫트면(15A), (15B)를 형성함과 동시에 대직경부에 바깥쪽으로 약간 절결한 플러쉬(flush)발생방지용의 경사면(16A), (16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요홈부(13A), (13B)의 길이 ℓ1, ℓ2는, 그의 합보다 상기한 관재(10)의 길이 L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ℓ1+ℓ2<L).
상기한 바와같이 2분할된 프레스(12A), (12B)를 관재(10)의 개구측 양쪽에 배치한 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12A), (12B)의 대향하는 안쪽의 대직경부를 관재(10)의 양측부외측에 설치한다.
그런 상태에서, 관재(10)은 그의 양측이 프레스(12A), (12B)로서 보유되므로, 다음에, 관재(10)을 임시 고정하고 있는 보유 수단(9)를 가이드(8)에서 철회시키고 보유수단(9)에 의한 고정을 푼다. 프레스(12A), (12B)를 다시 근접이동시키면, 관재(10)은 요홈부(13A), (13B)를 따라서 관통구멍(4)의 축방향 중심이 최대직경으로서 양측개구측이 소직경인 구상(球狀)으로 압조성형되며 구각체(3)을 형성하여 간다. 프레스(12A), (12B)의 내단면(內端面)이 접하는 제5도에 나타낸 최종 공정에서, 관재(10)의 양측단부는 프레스(12A), (12B)의 플랫트면(15A), (15B)에 의하여 플랫트면(5), (5)가 형성됨과 동시에, 플랫트면(5), (5)의 말단(6), (6)(관재(10)의 개구 양단)이 수축력에 의해서 기축(2)의 외주를 오목하게 하여 먹혀들어간 상태로 끼어 고정된다. 또, 프레스(12A), (12B)의 접촉면에는 플러쉬 발생방지용의 경사면(16A), (16B)가 있으므로, 구각체(3)의 최대외경부(3a)에는 플러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레스(12A), (12B)에 상기한 플러쉬 발생방지용의 경사면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구각체(3)을 프레스로 기축(2)에 끼어 고정한 후, 다음 공정에서 플러쉬 절삭가공을 하여도 되고, 또, 최대직경부를 프레스로 플랫트면에 성형하고, 발생하는 플러쉬를 구(球)의 윤곽내에 수납하여 러플쉬 절삭가공을 없애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구각체(3)의 개구양측에 플랫트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플랫트면(5), (5)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는, 개구양측부에 근접한 부분이 약간 얇게 됨과 동시에, 개구부 말단에 주름이 발생하고, 끼워 고정되는 힘이 약간 불안정해지는데, 상기한 플랫트면(5), (5)를 설치하면, 플랫트면에 근접한 약간 얇은 부분은 프레스면에 적극적으로 따라붙는 경향으로 되며, 구체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또한, 말단의 주름 발생이 방지되며, 끼워 고정하는 힘이 안정된다. 단, 반드시 구각체의개구 양측을 플랫트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구부를 갖는축의 사용조건에 따라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각체(3')의 개구양단을 원윤곽에 따른 형상으로 하고, 그 말단(6')를 기축(2)에 끼어 고정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제6도 및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구 각체의 말단전체를 기축의 요부(7)에 삽입한 상태로 하고 있는데, 구각체의 길이(관재의 축방향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각체(3")의 말단(6")의 일부를 기축(2)에 끼어 고정하여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는 기축이 중공형상이지만,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축이 둥근봉처럼 생겼을 경우, 구각체를 기축에 먹혀들어가게 하여 끼어 고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축(2')의 표면(2'a)를 세레이션(serration) 가공등을 하여 거칠게 하면 물려들어가는 힘이 향상된다.
상기한 제2도에서 제5도에 나타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원통상의 관재(10)를 가이드(9)로서 임시 고정하고 있을때, 가이드(9)를 없애고, 프레스(12A), (12B)로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관재(10)의 개구양측을 지지하여도 되고, 또, 프레스(12A), (12B)는, 모두가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쪽만을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구부를 갖는 기축(1)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용 백밀러(20)의 지지축등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각체(3)을 지지구멍(20a)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므로서 백밀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상과 같은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축의 적소에 원통상의 관재를 배치하고, 그 관재를, 2분할된 프레스로 구면압조성형함과 동시에 관재의 개구양단을 기축에 끼어 고정하여 구부를 갖는 축을 형성하므로, 가공공수가 종래방법보다 감소되고, 또한, 구부를 형성하는 관재의 형상도 원통형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비용이 대폭적으로 저하된다. 또, 특히, 관재를 프레스로 압조하기전에 보유수단으로 임시 고정한 경우에는, 가축축심에 대한 구각체의 오정렬을 최소로 할 수 가 있으며, 정밀도가 좋은 구부를 갖는 축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 직선상의 기축(基軸)의 적소에 원통형상의 관재를 삽통하여 대응시킨후, 그 관재를, 개구양측에 배치된 프레스로 구면압조(壓造)성형하고, 관재의 개구양단의 수축력에 의하여 관재를 기축에 끼워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1511A KR830002211B1 (ko) | 1980-04-11 | 1980-04-11 |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1511A KR830002211B1 (ko) | 1980-04-11 | 1980-04-11 |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3015A KR830003015A (ko) | 1983-05-31 |
KR830002211B1 true KR830002211B1 (ko) | 1983-10-19 |
Family
ID=1921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00001511A KR830002211B1 (ko) | 1980-04-11 | 1980-04-11 |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2211B1 (ko) |
-
1980
- 1980-04-11 KR KR1019800001511A patent/KR830002211B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3015A (ko) | 1983-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72606A (en) | Process for producing contact-spring bushes and a spring contact bush | |
JPS60230383A (ja) | 接点ばねソケツトの製造方法 | |
JPH0145190B2 (ko) | ||
US6325643B1 (en) | Press-in contact | |
KR830002211B1 (ko) | 구부(球部)를 갖는 축의 제조 방법 | |
US4345373A (en) | Method of manufacture of low-cost, high quality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socket | |
JPS60187434A (ja) | 金属管端部の外向きフレア成形工具及び外向きフレア成形方法 | |
US6880240B2 (en) | Crimping device for crimping crimp pieces of a metal terminal | |
US11458521B2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bent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ent pipe | |
JPS6230849B2 (ko) | ||
JPH10249459A (ja) | 金属製パイプの縮管方法 | |
JPH06238352A (ja) | 金属管を小曲率半径で曲げ加工する方法 | |
JP3449491B2 (ja) | 金属管を小さい曲率半径で曲げ加工する方法 | |
JP2007155009A (ja) | スリット付きスライド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91247A (ja) | パイプ加工方法及びその加工方法に用いる装置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JPS61283422A (ja) | パイプ曲げ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H06262282A (ja) | 曲げ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 |
US11370011B2 (en) | Device for manufacturing ben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nt pipe | |
JPS6231202B2 (ko) | ||
US1143114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fit contact | |
CA1113168A (en) | Low-cost, high quality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 |
JP3718880B2 (ja) | 金属パイプ継手の製造方法 | |
JPH05199695A (ja) | 回転電機の固定子枠 | |
JPS637900B2 (ko) | ||
JPH0139290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