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198B1 -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198B1
KR100264198B1 KR1019910013367A KR910013367A KR100264198B1 KR 100264198 B1 KR100264198 B1 KR 100264198B1 KR 1019910013367 A KR1019910013367 A KR 1019910013367A KR 910013367 A KR910013367 A KR 910013367A KR 100264198 B1 KR100264198 B1 KR 10026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arbor
deflec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215A (ko
Inventor
포르쉐 쟝-삐에르
오두 에릭
Original Assignee
데니스 에이취.아이롤벡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057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641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니스 에이취.아이롤벡,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데니스 에이취.아이롤벡
Publication of KR9200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Linear Motor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관련 요크 코일 권선 기기의 암 아버(82)와 수 아버(80) 사이에 형성된 권선 공간(90)내로 돌출되도록, 암 아버(80)의 벽의 홀(102)을 통해 은못형 핀(98)의 구형상 단부(100)를 삽입시킴으로써 CRT 편향 요크 조립체의 편향 코일에 움푹 들어간 부분 혹은 함몰부가 형성된다. 핀 단부는 암 아버(80)의 벽내에 변형부로서 작용하도록 공간(90)내에 일부분만 삽입되어, 그 핀(98)을 덮도록 도선 회선부가 공간 둘레에 감겨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움푹 들어간 부분 혹은 함몰부(76, 78)가 형성되고, 편향 코일의 그 영역내에 도선의 분포가 제어된다.

Description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수평 코일을 포함하는 편향 코일 시스템을 CRT 상에 설치한 상태를 간략화 하여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제2도는 편향 코일 권선 표면의 선택된 영역상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편향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편향 코일 권선 표면에 형성된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의 대표적인 중앙부를 도시하는, 제2도에서의 선 3-3에 대한 단면도.
제4도는 권선 공정중에 편향 코일 권선의 표면상 선택된 위치에 공간 또는 개구를 형성하는 기술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의 암 부재 또는 아버를 간략화하여 도시하는 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수 부재 또는 아버의 간략화된 투시도.
제6도는 권선상의 소정의 위치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를 갖는 편향 권선을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된 장치의 간략화된 부분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구형 단부를 갖는 핀 또는 은못형 로드(dowel-like rod)를 아버의 코일 권선부내로 돌출시킬수 있도록 하는 홀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암 아버의 간략화된 투시도.
제8도는 편향 코일 권선의 표면상의 소정의 위치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제7도의 암 아버와, 그 아버내에 감겨진 편향 코일 권선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CRT(음극 선관) 23 : 스크린
38 : 수평 편향 회로 40 : 수직 편향 회로
74 : 안장형 코일
본 발명의 분야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또는 그와 유사한 시스템용의 편향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권선의 등균성에 물리적인 인터럽션이나 변화들이 있게 하여, 전류가 권선을 통하여 흐를 수 있게 되는 경우에 소정의 자기장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편향 코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및 기타 다른 통상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기초로하는 시스템들에 있어서, 편향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편향 요크 조립 체들은 CRT의 외측 후방 원추부(cone) 및 스템부(stem) 상에 설치된다. 하나의 통상적인 응용예로, 편향 요크 조립체는 CRT에 근접한, 즉 CRT에 대해서 상기 요크 조립체의 최내측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요크 조립체의 외측 부분은 통상적인 응용에 있어 서로 대향하는 환상(toroidal) 권선 또는 편향 코일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통상적인 응용에 있어서, 안장형 코일이 텔레비전 시스템의 수평 편향 회로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환상 코일이 수직 편향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임의의 특정 시점에서 전자빔을 CRT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면상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기타 다른 통상적인 응용에 있어서는, 안장형 코일 권선 또한 수직 편향 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특정 용도에 따라서 안장형 및 환상 편향 코일 권선들의 다른 조합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편향 요크 조립체의 편향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필요한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권선은 정확히 위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히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에 대해 기술한다. 예컨대, 안장형 코일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수 아버(male arbor) 및 암 아버(female arbor) 사이에 형성된 공간(cavity) 내에 코일을 감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수 아버 및 암아버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플라이적(flyer) 기구가 그것들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공간 내에서 예컨대 에나멜 피복 동선을 감아 편향 권선이 형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정지되어 있는 선공급 기구와 관련하여 아버들이 회전될 수도 있다. 권선 공정(winding process) 동안, 권선에서의 도선의 분포를 제어하여 소정의 전자기장 패턴을 얻기 위한 각종 기술들이 사용된다.
편향 요크 코일을 감기 위한 한 공지된 장치 및 방법이, 1970년 6월 30일자로 Gross씨 등에게 부여된 발명의 명칭이 “Deflection Yoke And Apparatus For Its Fabrication Utilizing A Magnetic Ramming Technique”인 미합중국 특허 제3,518,590 호에 개시되어 있다. 편향 코일은, 서로 짝이 맞춰질 때에 상호 간에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암 및 수 부재들과, 상기 공간을 동일한 구획들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부재들간에 연장하는 윈도우 블록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작된다. 상기 공간내의 양 구획 부분들에 도선이 복수회 감겨져 소정의 코일 형태가 형성된다.
또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For Wind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인 Ishikawa씨의 미합중국 특허 제3,912,182 호에도, 서로 짝이 맞춰진 때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수 부재 및 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편향 코일은 그 편향 코일을 위해 소정의 권선 형태를 제공하도록 상기 공간내에 감겨진다. 수 부재 및 암 부재는 안장형 편향 코일을 위해 상기 소정의 권선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점에서 특정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개선된 편향 요크 코일 권선과. 그 권선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 동안의 권선에 대한 손상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편향 요크 코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편향 코일 권선 장치의 암수 부재들 간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코일의 권선을 행하는 동안, 돌출체를 상기 공간내의 하나 이상의 영역내로 진입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 시킴으로써, 권선부 상의 미리 선택한 위치에 움푹 들어간 부분(dimple)이나 함몰부(depression)를 형성하고,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할 때에 그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원하는 형상의 전자기장을 얻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는, 권선중에 원하는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가 편향 코일에 형성되게 하고, 돌출체가 권선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들출체에 근접한 권선의 에나멜 및 관련 도선에 손상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암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공간내로 돌출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의 간략화된 단면도는 CRT(22)에 대한 편향 코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편향 코일(74)이 안장형 권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코일(14)은 환상 권선으로 된다. 또한, 본 예에서, 환상 코일(14)은 연자성 코어편(36)의 둘레에 감겨진다. 절연 라이너(liner)(34)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들이 분리된다.
편향 코일(74)은 수평 편향 회로(38)에 의해 구동되고, 편향 코일(14)은 수직 편향 회로(40)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총(42)은 Z축(44)의 방향을 따라 전자빔을 방사하여 형광 스크린(23)에 충돌하도록 CRT(22)내에 위치한다.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인해 전자빔은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서 CRT(22)의 스크린(23)상의 소정의 점(spot)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도를 참조하면, 제1도의 수평 편향 코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안장형 코일(74)은, 전단 권회부(48), 후단 권회부(50), 플레어형(flared) 측부재(52 및 54), 전단 권회부 구멍 또는 개구(56 및 58), 후단 권회부 구멍 또는 개구(64 및 66)를 포함한다. 구멍 또는 개구(56, 58, 64, 및 66)는, 소정의 크기 및 형태로 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의도적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여, 그것들의 상이한 영역들에서 안장형 권선 또는 코일(46)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의 형태에 대한 제어를 행하게 하고, 빔의 위치 결정 시에 다르게 생길 수있는 각종 에러들을 보정한다. 예컨대, 입구 영역(68)에 생성된 자기장은 상기 영역에서 생길 수도 있는 코마(coma) 에러들을 보정하도록 제어된다. 중간 영역(70)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수렴 에러(convergence error)들을 보정하기 위해 제어되고, 출구 영역(72)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CRT(22)의 스크린(23)상에서 생성된 화상의 에지(edge)들에서 생기는 기하학적 에러들을 보정하기 위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 또는 함몰부(76 및 78)들은 각각 측부재(52 및 54)에 위치하게 된다. 본 예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76 및 78)들은 다이아몬드 형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용도에 따라서 그리고 중간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전자기장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 또는 함몰부(76 및 78)는 서로 미러 영상 관계에 있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3도에 있어서, 안장형 권선(74)의 단면은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절취되어 있다. 편향 코일(74)은 하기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움푹 들어간 부분 또는 함몰부(76 및 78)가 제공됨으로 인해 그 밑에 있는 도선에 불필요한 크라우딩(crowding) 또는 스트레스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안장형 코일(74)을 만들기 위한 암 아버의 실시예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아버(80)이다. 수 아버(82)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아버(80 및 82)들은 본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아버(82)의 홈이난 위치 결정 나사(54)를, 암 아버(80)와 관련된 아버 받침대(88)에 위치 결정 홀(86)을 통하여 삽입함으로써 서로 짝지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너트는 아버(80)의 후부에 대해 조여지게 나사(84)상에 홈이나 있다. 상기 받침대(88)는 수 아버(82)의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88a)에 꼭 맞게 된다.
짝지어진 경우, 제6도에서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90)이 각각 수 및 암 아버(80 및 82)들 간에 형성된다.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플라이어(도시하지 않음)가 안장 코일(74)을 형성하도록 정지된 아버(80 및 82)들 간의 공간(90)둘레 및 내부에 도선을 감는데 사용된다. 각종 개구 또는 관통 홀들은, 안장형 코일(74)에 대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권선 공정 동안, 암 아버(80)의 랜딩 플랫폼(landing platform) 또는 내측 바닥부(96)에, 흘(102)을 통해서 통상 비교적 끝이 뽀족하게된 팁(tip)을 갖는 핀(92)을 삽입함으로써 각각 형성된다(제7도 참조). 랜딩 플랫폼(96)은 도선들이 아버(80 및 82) 둘레에 감겨질 때에 그 도선들을 받아들여 하나의 안장형 코일(74)을 형성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92)은 도선이 감겨질 때, 수 및 암 아버(82, 80) 간에 제각기, 공간(90)(제6도 참조)을 거의 횡단하여 돌출하도록 만들어진다. 통상적으로, 핀(92)의 직경 및 전체 형상과 공간(90)으로의 그 진입각은 제작 중의 편향 코일내의 그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94)의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한다. 이러한 다수의 핀(92)들은 편향 코일의 제작시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아버(80)의 내측벽(96)내의 홀들을 관통해서 돌출하는 핀(92)과 같은 핀들을 사용함으로써, 편향 코일의 권선중에, 권선 공정 동안 도선들을 보다 정확히 분포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러한 핀(92)들을 사용함으로써, 감겨지는 편향 코일을 관통하는 홀들이나 개구들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관련된 도선들의 위치를 보다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핀들을, 아버들의 중앙부(또한 편향 코일의 중앙부에)에서 도선들의 분포를 제어하도록 편향 코일을 감는데 사용하는 경우, 그 관련 개구들 또는 홀들은 완성된 편향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관련 전자기장의 패턴 및 권선 분포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많은 경우, 그 관련 변화는 원하는 것보다 더 크고, 제어하기가 어렵다. 또한, 핀(92)들은 때때로 관련 아버에 감겨지는 도선을 손상시킨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에나멜 손상은 편할 코일의 권선 동안이나 가열/가압 사이클 동안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상기 사이클 동안 아버들은 편향권선의 형상을 완성시키도록 종래의 기술들을 사용하여 서로 가압된다. 안장형 코일로서 감겨지는 편향 코일은 예를 들면 핀(92)들을 사용함으로써 도선 및/또는 에나멜 손상에 특히 영향을 받기가 쉽다.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약간 뽀족하거나 구 형상의 헤드 또는 팁(100)을 갖는 핀(98)은, 감겨지는 편향 코일에서 제2도의 (76) 및/또는 (78) 등과 같이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가 형성되게 하는 방식으로 암 아버(80)의 플랫폼(96)에 흘(102)을 통해서 삽입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버(80)의 플랫폼(96)은 핀(98) 또는 핀(92)들이 관련된 아버벽의 다른 쪽으로부터 흘(102)들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다수의 관통 흘(102)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그것에 의해, 공간(90)으로의 핀들의 돌출부가 연장되는 것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핀(92)들과 더불어 개구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편향 권선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된다.
핀(98)들은 편향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공간내에 감겨지는 도선들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반면,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핀(92)들을 이용함으로써 때때로 야기되는 도선 및 에나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편향 코일이 감겨지고 있는 동안 편향 코일에서 소정의 위치에서의 도선 분포를 제어하도록 편향 코일 권선중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핀 또는 핀들(98)은 최초로 아버(80)의 랜딩 플랫폼(96)상에 감겨질 편향 코일(104)(제8도 참조)의 층 또는 최초 권회에 대해 후퇴된다. 용도에 따라서, 핀(98)은 최초의 권회보다 더 많은 권회에 대해 후퇴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으며, 권선 장치는 핀(98)으로 하여금 편향 코일(104)이 감겨지는 소정의 영역에 적어도 핀(95)의 구형상 헤드(100)를 부분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프로그램되어진다. 그 다음으로 코일(104)의 권선을 완결하는데 필요한 권회가 완성된다 핀(98)을, 아버(80) 또는 공간(90)의 권선 영역에 부분적으로 상기와 같이 삽입함으로써, 권선 공정 동안, 핀(93)은 공간(90) 내측에 아버(80)의 플랫폼(96)상에 변형이 형성되게 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주목하자. 통상적인 용도에 있어서, 5.Omm 내지 6.Omm의 반경 범위를 갖고 보다 큰 반경의 구형상 단부(100)를 갖는 하나 이상의 핀(95)들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상의 움푹 들어간 부분 또는 함몰부(106)들을 형성시킨다.
구형상 단부 또는 헤드(100)를 갖는 핀(93)들의 설계는, 핀들의 공간(90)내로의 프로그램에 따른 부분적인 삽입과 함께,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핀(98) 또는 핀들(98) 위 및 그 둘레에 감겨지는 도선들 및 핀의 단부 사이에 소프트 콘택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106)들은 본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선들의 권선 동안에 편향 코일 권선(104)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핀(98)들이 공간(90)내로 충분히 길게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핀(98)들로 인해서 개구가 함몰부 혹은 움푹 들어간 부분 대신에 그 권선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98)들은, 그들의 구형상 팁(1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편향 코일로 감겨지는 도선과의 그들 간의 소프트 콘택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공간(90)내로의 핀(98) 삽입의 범위의 제어로 인한 상기와 같은 소프트 콘택트, 및 핀단부(100)의 구 형상에 의해서, 편향 코일 권선 공정 동안 도선상의 에나멜이나 도선에 대한 어떠한 손상도 거의 방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히 안장형코일의 권선에 웅용할 수 있다.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106)를 포함하는 영역들에서, 편향 코일 권선(104)의 도선들은 편향 코일(104)의 다른 영역들에서보다 밀도가 낮으므로, 전류가 통과할 때 편향 코일(104)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장의 형상을 제어한다. 상술한 개구 또는 공간부들을 이용하여 이와 비숫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개구들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106)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근본적인 자기장 형상에 대해 보다 훨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어떤 용도에 있어서는, 개구들 및 움푹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들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또한, 편향 코일(104)의 권선중에, 핀(98)들을 후퇴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권선 경로내의 고정된 위치로 삽입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 권선 경로내의 하나 이상의 핀(98)들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변화시켜 그러한 핀(98)들 주위에 원하는 도선들의 분포를 얻도록, 상기 장치를 프로그램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다른 용도들에 있어서는, 핀들(98) 및 핀들(92)의 조합을 전술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제작 공정 동안 (104)와 같은 편향 코일 권선의 측부재들의 외측 부분들상의 소정의 위치들에 개구들 및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8도에서, 암 아버(80)가 편향 코일(104)의 플레어 측부(108)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106)를 갖는 거의 완성 상태의 편향 코일 권선(104)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편향 코일(104) 전체를 통해서, 특히 그 측부 중앙의 도선들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그것들에 국한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면, 제작시에 편향 코일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암 아버(80)의 플랫폼(96)내의 홀(102)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핀(98)들을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대신에, 플랫폼(96)내에 고정적인 변형부를 형성하여 상기와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형태의 편향 코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 변형 패턴들을 갖는 변환 가능한 플랫폼(96)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핀들을 수 아버(82)내에 도입시켜 코일 권선의 내 측면상에 함몰부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13)

  1. 음극선관(CRT)용 편향 요크 조립체의 편향 요크 코일로서, 상기 코일은, 서로간에 윈도우 개구를 갖는 서로 대향하는 측부재들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도선 회선부(convolution)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재들에 대해 통상 횡방향으로 각각 감겨지는 전단 권회부 및 후단 권회부를 구비하는, 상기 편향 요크 코일에 있어서, 소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 또는 안보이게 움푹 들어간 부분(blind dimple)(77, 78)이 상기 함몰부(76,78)에 근접한 상기 도선의 분포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측부재(52, 54)들 각각의 중간 영역(7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단 개구(56, 58)가 관련 전단 권회부(48)에 근접한 상기 측부재(52, 54)들 각각을 통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단 개구(64, 66)가 관련 후단 권회부(50)에 근접한 상기 측부재(52, 54)들 각각을 통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52, 54)들은 상기 후단 권회부(50)로부터 상기 전단 권회부(48)을 향해 외측으로 플레어링(fla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코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52, 54)들에서의 상기 함몰부(76, 78)들 각각은 상기 측부재들중 타측부재에서의 동일한 위치 및 형상의 함몰부와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코일.
  6. 한 단부에서 전자총을 격납하는 거의 원통형의 목 부분과, 상기 목 부분의 다른 단부로부터 최전면 형광 스크린에서 끝나도록 하는 외향 플레어링 부분들을 갖는 음극선관 상에 위치하는 편향 요크 조립체에 안장형 코일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의 왼도우 개구의 서로 대향된 길이 방향 측부들상에 배치되고 상기 음극선관의 상기 원통형 목 부분 및 플레어 부분에 거의 합치하는 한편 상기 음극선관의 통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재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도선 회선부와, 상기 길이 방향 측부재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음극선관의 통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권회부 및 후단 권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재들은 오목하며 상기 후단 권회부로부터 상기 전단 권회부로 바깥쪽으로 플레어링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52, 54)들 각각은 상기 음극선관(2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도선부들내에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안보이는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76, 78)들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재들중 한 측부재내의 상기 함몰부(76, 78)들 각각은 상기 코일(46)의 타측부재들에서의 동일한 위치 및 형상의 함몰부와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52, 54)들 각각을 관통하는 복수의 후단 권회부 개구들(64, 66)및 전단 권회부 개구들(56, 58)이 상기 코일(46)의 상기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근접하고, 한 측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개구들은 타측부재를 관통하는 거의 동일한 현상 및 위치의 개구와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수 아버 및 암 아버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편향 코일을 제작하는 동안 도선 분포를 제어하기 위하여 편향 요크 조립체용 편향 코일에 안보이는 함몰부들 및 개구들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 아버는 상기 코일이 복수의 도선 회선부로부터 감겨지는 소정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암 아버와 짝지어지고, 상기 암 아버는 상기 도선 회선부들이 덮는 상기 공간의 벽을 형성하는 내측면을 갖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96)은 상기 코일(104)이 감겨지는 위치보다 밑의 소정의 위치에서 복수의 홀(102)들을 갖고, 상기 방법은, 제1 반경의 은못형 몸체 및 제2 반경의 거의 구형상 단부(100)를 갖는 제1 핀(98)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에 도선의 적어도 1 권회 또는 층을 감는 단계와, 상기 암 아버(80)의 상기 벽에 소정의 홀(102)을 통하는 상기 핀(98)의 부분적인 삽입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에 변형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핀(98)의 단부가 상기 공간 내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는, 상기 변형부 형성 단계와, 상기 편향 코일(104)을 완성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내로 도선의 추가적인 층들이나 회선들을 감는 단계로서, 상기 핀(98)으로 인해서 그 둘레에 특정 도선 분포가 생성되고 상기 핀(98)을 덮는 영역 둘레를 감는 상기 편향 코일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나 함몰부(106)가 형성되게 하는, 상기 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암 아버(80)내의 소정의 홀(102)을 관통하는 비교적 끝이 뾰족한 헤드를 갖는 제2 핀을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핀의 헤드는 상기 감는 단계 동안 상기 편향 코일(104)이 감겨질 때 상기 도선이 상기 핀의 측부 둘레를 씌울 수 있게 되도록 실질적으로 상기 공간 내로 돌출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핀의 위치에서 상기 편향 코일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조립체의 편항 코일을 제작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암 아버 및 수 아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 아버는 상기 코일이 복수의 도선 회선들로부터 감겨지는 소정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암 아버와 짝지어지며, 상기 암 아버는 도선의 상기 도선 회선부가 덮는 상기 공간의 벽을 형성하는 내측면을 갖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 코일(104)을 형성하는 상기 도선 회선부의 분포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편향 코일(104)의 권선중에, 상기 편향 코일(104)의 소정의 위치에 안보이는 함몰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공간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암 아버(80)의 벽(96)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공간(90)내로 돌출하는 변형 수단(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위치에 상기 암 아버(80)의 상기 벽(96)을 관통하는 홀(102)과, 제1 반경의 은못형 몸체 및 제2 반경의 구형상 단부를 갖는 제1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핀은 인접해 있는 상기 편향 코일에 소정 크기 및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핀 위치에서 필요한 거리만큼 상기 공간 내로 핀의 헤드 단부를 돌출시키도록 상기 암 아버벽(96)을 관통하는 상기 홀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핀의 제2 반경은 제1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공간(90)에서 상기 편향 코일의 권선중에 상기 핀의 위치에서 상기 편향 코일(104)을 통해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비교적 끝이 뾰족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10013367A 1990-08-07 1991-08-02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6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0402261.3 1990-08-07
EP90402261A EP0470315B1 (en) 1990-08-07 1990-08-07 Coil for deflection yok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215A KR920005215A (ko) 1992-03-28
KR100264198B1 true KR100264198B1 (ko) 2000-08-16

Family

ID=820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367A KR100264198B1 (ko) 1990-08-07 1991-08-02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02927A (ko)
EP (1) EP0470315B1 (ko)
JP (1) JP3126427B2 (ko)
KR (1) KR100264198B1 (ko)
CN (1) CN1041033C (ko)
AT (1) ATE133005T1 (ko)
DE (1) DE69024798T2 (ko)
MX (1) MX9100545A (ko)
MY (1) MY107447A (ko)
PL (1) PL167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8016B1 (fr) * 1998-04-24 2000-06-02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flexion pour tubes a rayons cathodiques couleur comportant des bobines asymetriques
FR2782410B1 (fr) * 1998-08-14 2000-10-13 Alstom Technology Procede et dispositif de bobinage
FR2791468B1 (fr) * 1999-03-24 2001-05-11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a differentiel de trapeze reduit
US6958573B1 (en) 1999-12-03 2005-10-25 Thomson Licensing S.A. Asymmetric shunt for deflection yoke for reducing diagonal symmetric defects
EP1139378A1 (de) 2000-03-29 2001-10-04 Matsushita Electronics (Europe) GmbH Ablenkeinheit für In-Line-Elektronenstrahlröhre
DE60035261T2 (de) * 2000-05-17 2008-02-21 Ict, Integrated Circuit Test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attelspulen
DE60038006T2 (de) * 2000-05-24 2009-02-05 Thomson Licensing Ablenkjoch mit asymetrischem Shunt zur Verminderung von diagonalen symetrischen Defekten
WO2002078017A2 (en) 2001-03-27 2002-10-03 Sarnoff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KR100439502B1 (ko) * 2001-12-27 2004-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권선금형 및 이를 이용한 편향요크
KR101578841B1 (ko) * 2014-04-22 2015-12-18 복동규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566A (en) * 1971-02-27 1976-07-1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Method of forming a deflection yoke system
US4228414A (en) * 1979-01-12 1980-10-14 Bauzhis Albertas V Magnetic deflection system
EP0366196A1 (en) * 1988-10-27 1990-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and display tube comprising a deflection system us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8590A (en) * 1969-02-12 1970-06-30 Rca Corp Deflection yoke and apparatus for its fabrication utilizing a magnetic ramming technique
US3855694A (en) * 1970-11-27 1974-12-24 Philips Corp Method of winding deflection coils for picture display tubes
US3912182A (en) * 1973-08-21 1975-10-14 Sony Corp Apparatus for wind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JPS56130137A (en) * 1980-03-19 1981-10-12 Olympus Optical Co Light source apparatus for endoscope
NL8300031A (nl) * 1983-01-06 1984-08-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televisiebeelden en afbuigeenheid daarvoor.
NL8600933A (nl) * 1986-04-14 1987-11-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omagnetische afbuigeenheid.
SG93772A1 (en) * 1989-10-31 2003-01-21 Thomson Tubes & Displays Color picture tube display device
KR910004065Y1 (ko) * 1988-12-13 1991-06-13 삼성전관 주식회사 칼라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고정장치
KR930000791B1 (ko) * 1989-11-09 1993-02-04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편향 요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566A (en) * 1971-02-27 1976-07-1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Method of forming a deflection yoke system
US4228414A (en) * 1979-01-12 1980-10-14 Bauzhis Albertas V Magnetic deflection system
EP0366196A1 (en) * 1988-10-27 1990-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and display tube comprising a deflection system us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4798D1 (de) 1996-02-22
CN1058861A (zh) 1992-02-19
EP0470315B1 (en) 1996-01-10
KR920005215A (ko) 1992-03-28
EP0470315A1 (en) 1992-02-12
JP3126427B2 (ja) 2001-01-22
JPH04233138A (ja) 1992-08-21
DE69024798T2 (de) 1996-08-01
CN1041033C (zh) 1998-12-02
MY107447A (en) 1995-12-31
MX9100545A (es) 1992-08-10
PL167719B1 (pl) 1995-10-31
ATE133005T1 (de) 1996-01-15
PL291342A1 (en) 1992-04-21
US5302927A (en) 199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198B1 (ko)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493793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US5506469A (en) Display tube with deflection unit comprising field deflection coils of the semi-saddle type
US461252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and deflection system hav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s
US501396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and display tube comprising a deflection system us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s
US4524340A (en)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US4272727A (en) Self-converging deflection units for color display tubes of different screen formats
US534004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US5001390A (en) Combination of a display tube and a deflection unit, with reduced north-south raster error
US5864204A (en) Supplementary coil of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US6548951B1 (en) Deflection unit for a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JPH07288090A (ja) サドル形偏向コイルとその製作方法
JP3534829B2 (ja) 偏向ヨーク装置
WO2001033601A1 (en) Deflection unit for a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KR20020018684A (ko) 음극선관의 편향 유닛
JPH08167390A (ja) 鞍型偏向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50039A (ja) 偏向ヨーク装置
JPH07161312A (ja) 偏向ヨーク装置
KR20010081140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JPH04207386A (ja) コンバーゼンス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