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848Y1 -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848Y1
KR910004848Y1 KR2019890002461U KR890002461U KR910004848Y1 KR 910004848 Y1 KR910004848 Y1 KR 910004848Y1 KR 2019890002461 U KR2019890002461 U KR 2019890002461U KR 890002461 U KR890002461 U KR 890002461U KR 910004848 Y1 KR910004848 Y1 KR 910004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crew
ground terminal
termina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06U (ko
Inventor
지원호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2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848Y1/ko
Publication of KR900017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제 1 도는 종래 접지단자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접지단자를 일부절개하여 분해한 사시도.
제 3a, b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 1a : 숫나사
1b : 내공부 2 : 지지핀
3 : 스프링 4 : 홀더
4a : 고정홈 4b : 환턱
4c : 암나사 5 : 접지단자편
5' : 걸림편
본 고안은 전선(電線)을 연결시키는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방법이 간편, 용이하고 전혀 이탈되지 않는 걸림식 단자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각종의 전자기기를 유니트(unit)간에 서로 연결하거나 호환기종을 경우에 따라 대체 사용할 때, 더 상세하게는, 음향기기의 앰프로부터 스피커선을 연결한다던가 또는 T.V. 안테나선을 수상관에 연결할때는 이러한 연결선을 끼우고 빼기에 편리하게 구성된 접지단자를 필요로 하게된다.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 셋트 스크류(set screw : 나사)에다 피복을 약간 벗겨버린 전선을 1회정도 감아 드라이버로 조이는 것으로서, 이는 작업이 불편하며,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누구나 알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개량된 방식이 도면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으며, 이것은 조절노브(1)에다 나사(2) 뒷부분을 매립시킨 단자고정구와, 이에 대응하는 "Y"자형 단자편(5)을 서로 한조로 하여 이 단자편(5)을 단자 고정구의 나사(2)에 끼운다음 조절노브(1)를 돌려서 단단히 조이는 기술로서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단히 조였을 때 파고드는 나사(2)의 피치(pitch)는 풀렸을때의 간격과의 비교에서 극히 미세한 차이에 불과하므로 조절노브(1)가 약간만 풀림방향으로 돌아가면 압지력이 매우 허약해 질수 있었으며, 또 진동 및 온도변화에 따라 금속재질의 수축, 팽창이 거듭될 경우 전선이 허실하게 이탈될수 있었다.
위와같이 자연적인 현상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외력에 의하여 전선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접지단자가 쉽게 빠질수 있었고, 이들을 풀고 조이는 취급상의 번거로움과 시간소요등의 여러 가지 제반결점이 내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접지 단자 구조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주된목적은 접지단자를 단자고정구에 체워 놓았을 때 전선을 회전시키거나 당기거나 흔들어도 전혀 이탈되지 않는 견실한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번에 채우고 풀수 있어서 취급이 간편 용이하며, 신속성이 제공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 및 작용 효과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부에서 아래로 부품 명칭을 나열하면, 캡(1), 지지핀(2), 스프링(3), 홀더(4), 접지단자편(5), 베이스(6)로 부품이 구분되고, 각 부분의 부호중에서 화살표의 인출선에 해당되는 부품은 서로 결합체를 구성한다.
즉, 홀더(4)의 내부에 스프링(3)을 내장시키고 그 중심으로 지지핀(2)을 끼운다음 캡(1)으로 조립하게 된 것으로서, 홀더(4)의 밑면에는 "U"형의 홈(4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경에 환턱(4b)이 형성되었으며 상부의 내경에는 암나사(4c)가 나 있다.
또한, 여기에 삽입되는 지지핀(2)은 나사(2a)가 형성되어 베이스(6)의 나사공(6')에 결합시킬수 있도록 되어있고, 상부의 나사머리측에는 와셔(2b)가 끼워져 있어서 스프링(3)에 얹혀지게 되어 있으며, 숫나사(1a)가 형성된 캡(1)으로 상기한 홀더(4) 암나사(4c)에 나사결합시킴에 의하여 이들이 내공부(1b)에 수용된(탄력 설치된)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전선측의 접지단자편(5)에는 걸림편(5')을 내측에 돌출시켜서 상기의 홀더(4)에 형성한 홈(4a)에 끼워질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위와같이 된 본 고안은 도면 제 3a 도에 표현하고 있는 바와같이 홀더(4)와 캡(1)이 일체로 나사결합된 노브(knob)를 화살표 방향처럼 손으로 잡아 당기면 환턱(4b)과 와셔(2b)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3)이 지지핀(2)을 축으로하여 압축되면서 베이스(6)에 밀착되어 있던 홀더(4)의 밑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 것이고, 여기에 접지단자편(5)을 밀어넣어 내면이 지지핀(2)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노브를 놓으면 (B)의 도면과 같이 압축된 스프링(3)의 탄력에 의하여 홀더(4)가 베이스(6)측으로 다시 복원되면서 그 홈(4a)에 접지단자편(5)의 걸림편(5')이 삽입된 상태로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홀더(4)가 접지단자편(5)을 누르는 작용과 함께 걸림편(5')이 홈(4a)에 끼워져 있으므로 이탈됨이 없이 견실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시 진동이나 회전등이 발생되더라도 스프링에 의하여 탄압되어 있게 때문에 전혀 영향을 받지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접지단자편(5)을 베이스(6)에 연결함에 있어서, 홀더(4)를 들어 끼운후 다시 놓으면 결합되는 손쉬운 구조이고, 연결상태도 매우 견고하여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효과가 제공되는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접지단자의 주몸체를 이루는홀더(4)의 밑면에 고정홈(4a)을 환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경에 스프링 받침용 환턱(4b)을 형성한 홀더(4)를 구비하고, 이의 내부에 스프링(3)을 삽입하여 나사 지지핀(2)을 끼운 탄력지지체를 구비하며, 그 상부에 내공부(1b)를 형성한 캡(1)을 씌워 이들의 숫나사(1a) 및 암나사(4c)에 의하여 서로 나사결합하여 일체화 시키는 한편, 접지단자편(5)의 내측에다 걸림편(5')을 돌기되게 하여 상기한 홀더(4)의 고정홈(4a)에 삽입 고정될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KR2019890002461U 1989-03-03 1989-03-03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KR910004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461U KR910004848Y1 (ko) 1989-03-03 1989-03-03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461U KR910004848Y1 (ko) 1989-03-03 1989-03-03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06U KR900017806U (ko) 1990-10-05
KR910004848Y1 true KR910004848Y1 (ko) 1991-07-06

Family

ID=1928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461U KR910004848Y1 (ko) 1989-03-03 1989-03-03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8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06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691B2 (en) Load cell for securing electronic components
JPH0719725U (ja) 眼鏡などの緩まない取付け機構
KR910004848Y1 (ko) 이탈방지용 접지단자
JPH0935702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及びその組付け方法
JP3574916B2 (ja) バッテリアダプター
KR860000538Y1 (ko) 압력식 도선 접속 단자
JP2612551B2 (ja) 電線端末処理キャップ
JP2601802Y2 (ja) 電線端末用の絶縁カバ−
JPH0525130Y2 (ko)
JPS5821090Y2 (ja) 端子装置
GB208958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ble securing devices
JPH04103709U (ja) アンテナの固定構造
KR200315438Y1 (ko) 너트체결용 드라이버
KR200148783Y1 (ko) 배터리 터미널의 와이어 고정장치
JP200829511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取付構造
JPS6326936Y2 (ko)
JP3288636B2 (ja) 同軸ケーブル用プラグ
JPS6326937Y2 (ko)
JPH0425810Y2 (ko)
JPH037887Y2 (ko)
JPS5927035Y2 (ja) Ft型コネクタ
KR890000532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H0229661Y2 (ko)
KR960003003Y1 (ko) 밧데리 단자 접속용 클램프 구조
JPH01401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