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781B1 - 화상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81B1
KR910004781B1 KR1019860011368A KR860011368A KR910004781B1 KR 910004781 B1 KR910004781 B1 KR 910004781B1 KR 1019860011368 A KR1019860011368 A KR 1019860011368A KR 860011368 A KR860011368 A KR 860011368A KR 910004781 B1 KR910004781 B1 KR 91000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ursor
window
edge
cur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485A (ko
Inventor
겐지 나까다
유따까 요시다
마사시 노사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0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6Aligning or centring of the image pick-up or image-fie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처리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의 외관검사 장치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플로우챠트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플로우챠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플로우챠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을 세그먼트 숫자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한 실시예의 설명도.
제 12 도는 세그먼트 숫자와 윈도우의 설정관계를나타낸 설명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의 세그먼트 숫자의 인식을 위한 플로우챠트
제 14 도는 피인식물의 덮게 부착용기의 사시도.
제 15 도는 제 14 도의 피인식물의 패턴과 윈도우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 16a, b는 제 15 도의 윈도우내의 패턴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 17a, b는 제 15 도의 윈도우내의 패턴과 원형윈도우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원형윈도우의 설명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의 원형윈도우의 설정을 위한 플로우챠트
제 20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
제 2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윈도우의 축소방법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물체에 인지된 문자의 판독 혹은 물체의 외관검사 등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전에 설정한 윈도우내의 패턴의 특징량을 산출하여 목적을 실현하는 장치에 바람직한 윈도우의 자동축소방법, 즉 윈도우의 자동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이형의 화상처리 장치는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59-90177호에 기재한 바와같이 처리영역을 전체화면으로 하지 않고, 윈도우라고 불리우는 소영역의 집합에 의하여 구성하고, 처리시간이 걸리는 특징량의 연산등의 처리는 이 윈도우내에 대해서만 행하고, 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기 수법은 패턴의 존재장소가 사전에 명확하게 알려진 경우에는 윈도우를 패턴에 대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처리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으나, 패턴위치의 어긋남이 클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사전에 윈도우의 크기를 크게할 필요가 있고, 이 결과를 처리시간을 그다지 단축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패턴의 위치 어긋남 대책의 점에 대하여 배려가 되어있지 않고, 그로 인해 필연적으로 윈도우를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므로서 그다지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내에 있어서 패턴의 위치가 크게 어긋나더라도 패턴의 위치에 따라 윈도우를 수정하고 패턴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받지 않고 특징량의 연산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도록 패턴에 적합한 윈도우를 자동작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피인식물을 촬상할때마다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피인식물의 패턴보다도 바깥쪽 또는 이 패턴내에 패턴의 연부(패턴의 외연 또는 내연)를 탐색하기 위한 커서를 설정하고, 다음에 상기 커서를 상기 패턴의 연부를 향하여 이 연부에 접촉될때까지 이동시키고, 다음에 상기 커서가 상기 패턴의 연부에 접촉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를 설정하고, 다음에 상기 윈도우의 특징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하여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 도에 있어서 1은 피인식물이며, 예를 들어 너트이다. 2는 피인식물(1)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3은 피인식물의 도착을 검출하는 검출기, 4는 피인식물(1)을 촬상하는 TV 카메라, 5는 TV 카메라(4)로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하는 증폭회로, 6은 증폭회로(5)로 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역치레벨에서 2치화하고 소정의 신호에 의하여 양자화하는 2치화회로, 7은 TV 카메라(4)로부터의 신호중에서 수직동기 신호 및 수평동기 신호를 추출하고 2치화 회로(6)에서의 양자화를 위한 신호를 작성하는 동기 신호검출회로, 8은 2치화회로(6)로부터의 양자화된 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9)에 대한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어드레스 발생회로, 9는 2치화회로(6)로부터의 양자화된 신호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 10은 중앙처리부(CPU), 11은 처리수준 등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ROM), 12는 일시기억용 메모리(RAM), 13은 검출기(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회로, 14는 처리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회로, 15는 시스템 버스이다.
본 장치의 동작은 먼저 컨베이어(2)가 피인식물(1)을 반출하여 온다. TV 카메라(4)의 시야내에 피인식물(1)이 들어가면 검출기(3)가 피인식물(1)을 검출하고, 신호를 입력회로(13)에 출력한다. 여기서 검출기(3)의 검출정도는 낮은 것도 좋으며, 피인식물(1)이 TV 카메라(4)의 시야내에 들어와 있다고 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된다. CPU(10)는 입력회로(13)를 거쳐서 검출기(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면 TV 카메라(4)에 의하여 피인식물(1)의 상을 촬상한다. 여기서 피인식물(1)과 배경인 콘베이어(2) 등은 대조가 충분히 있는 것으로 한다. TV 카메라(4)에 의하여 촬상된 피인식물(1)의 패턴은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증폭회로(5)에 의하여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되어 2치화회로(6)에서 소정의 역치레벨로 2치화됨과 동시에 동기신호 검출회로(7)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양자화된다.
2치화회로(6)에 의하여 양자화된 신호는 동기신호 검출회로(7)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어드레스 발생회로(8)에 의하여 만들어진 화상메모리(9)의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CPU(10)는 피인식물(1)의 패턴을 화상메모리(9)에 기억한후, ROM(11)에서 사전에 설정한 윈도우 정보와 제 3 도의 플로우챠트의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화상메모리(9)내의 패턴상태에 따라 윈도우를 축소하고, 그후 축소된 윈도우내에 대해 특징량의 산출을 행한다. CPU(10)은 얻어진 특징량을 ROM(11)내에 설정된 표준치와 비교하여 판정을 행하고, 결과를 출력장치(14)를 거쳐서 외부에 출력한다.
제 1 도에 의거하여 윈도우의 축소수순을 설명한다. 제 1 도는 화상메모리(9)내를 아날로그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X축은 피인식물(1)을 촬상하는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의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그 직각방향을 나타낸다. 화상데이터는 TV 카메라(4)의 주사에 대응한 화상메모리(9)내에 기억한다. 제 1 도는 피인식물(1)의 패턴이 도면중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혹 레벨로 기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16은 사전에 설정한 설정윈도우이며,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17은 설정윈도우(16)에 대하여 윈도우 축소처리를 행한후의 수정윈도우이다. 여기서, 화상메모리(9)의 시점 즉 도면중 화상메모리(9)의 좌측상단을 원점으로 하여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X축과 Y축을 정한다. 설정윈도우(16)을 구성하는 점 P, Q, R, S의 좌표를 각각(X1, Y1), (X2, Y1), (X1, Y2), (X2, Y2)로 하고, 수정윈도우(17)를 구성하는 점 P', Q', R', S'의 좌표를 각각(X3, Y3), (X4, Y3), (X3, Y4), (X4, Y4)로 한다.
설정윈도우(16)의 상변
Figure kpo00001
, 하변
Figure kpo00002
은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에 평행이며, 좌변
Figure kpo00003
, 우변
Figure kpo00004
는 수평등기선에 직교하는 선이다.
설정윈도우(16)의 각변을 화살표와 같이 패턴측을 향하여 평행이동시키고, 패턴의 외연에 접촉한 위치에서 이동을 정지시킴변 수정윈도우(17)가 된다. 설정윈도우(16), 수정윈도우(17)는 평행 4변형이다.
상기 「피인식물의 외연부를 탐색하기 위한 커서」는 설정윈도우(16)의 4변, 즉 수정윈도우(17)의 4변이고, 커서는 4개로 된다. 단, 이 실시예에서 커서의 표시는 하지 않고, 상변, 하변, 좌변, 우변이라고 칭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상변, 하변, 좌변, 우변의 각각의 커서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을 설정윈도우(16)라 칭한다.
이하 설정윈도우(16)를 수정윈도우(17)로 변환하는 수순을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탭(S1) : 화상메모리(9)에 피인식물(1)의 패턴을 입력한다.
스탭(S2) : 초기치로서 수정윈도(17)의 좌표치를 설정윈도우(16)의 좌표치와 일치시킨다. 즉 X3=X1, X4=X2, Y3=Y1, Y4=Y2로 한다.
스탭(S3) : Y좌표치=Y3이며, 또한 X좌표치가 X3으로부터 X4의 범위의 화소에서 그들의 화소가 모두 백색 레벨이면 상변 P'Q'가 피인식물(1)의 패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하고 스탭(S4)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즉 Y좌표치=Y3이고, 또한 X좌표치가 X3에서 X4의 범위의 화소에서 하나라도 흑색화소가 존재한다면 상변
Figure kpo00005
가 피인식물(1)의 패턴과 접촉하였다고 보고 스탭(S5)로 이동한다. 스탭(S5)로 이동함에 있어서, 이때의 상변 P'Q'의 좌표치(X3, Y3), (X4, Y3)를 기억한다.
스탭(S4) : Y3=Y3+1로 하고, 스탭(S3)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윈도우의 상변
Figure kpo00006
는 패턴의 외연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윈도우는 축소된다.
스탭(S5) : Y좌표치=Y4이며 X좌표치가 X3에서 X4의 범위의 화소에서 그들의 화소가 모두 백색레벨이라면 하변
Figure kpo00007
가 피인식물(1)의 패턴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고 하여 스탭(S6)으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는 경우 즉 Y좌표치=Y4이며, 또한 X좌표치가 X3에서 X4의 범위의 화소에서 하나라고 흑색 화소가 존재한다면 하변
Figure kpo00008
는 피인식물(1)의 패턴과 접촉하였다고 하여 스탭(S7)으로 이동한다. 스탭(S7)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이때의 하변 R'S의 좌표치(X3, Y4)(X4, Y4)를 기억한다.
스탭(S6) : Y4=Y4-1로 하고 스탭(S5)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윈도우의 하변 (그림@)는 패턴의 외연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윈도우는 축소된다.
스탭(S7) : X좌표치=X3이며, 또한 Y좌표치가 상변의 Y3로부터 하변의 Y4의 범위의 화소에서 그들의 화소가 모두 백색레벨이라면 좌변
Figure kpo00009
는 피인식물(1)의 패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하고 스탭(S8)으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으면 X좌표치=X3이며 또한 Y좌표치가 Y3에서 Y4의 범위의 화소에서 하나라도 흑색 화소가 존재한다면 좌표
Figure kpo00010
는 피인식물(1)의 패턴과 접촉하였다고 하고 스탭(S9)으로 이동한다. 스탭(S9)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이때의 좌변
Figure kpo00011
의 좌표치(X3, Y3)(X3, Y4)를 기억한다.
스탭(S8) : X3=X3+1로 하고 스탭(S7)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윈도우의 좌변 P'R'는 패턴의 외연측을 이동하고, 윈도우는 축소된다.
스탭(S9) : X좌표치=X4이며 또한 Y좌표치가 상변의 Y3로부터 하변의 Y4의 범위의 화소에서 그들의 화소가 모두 백색레벨이면 우변
Figure kpo00012
는 피인식물(1)의 패턴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고 하며 스탭(S10)으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으면, X좌표치=X4이고, 또한 Y좌표치가 Y3에서 Y4의 범위의 화소에 있어서 하나라고 흑색화소가 존재한다면 우변
Figure kpo00013
는 피인식물(1)의 패턴과 접촉한 것으로 하고 스탭(S11)으로 이동한다. 스탭(S11)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이때의 우변
Figure kpo00014
의 좌표치(X4, Y3)(X4, Y4)를 기억한다.
스탭(S10) : X4=X4-1로 하고 스탭(S9)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윈도우의 우변
Figure kpo00015
는 패턴의 외연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윈도우는 축소하게 된다.
스탭(S11) : 상기 처리에 의하여 각변의 교점 P', Q', R', S'가 얻어진다. 즉 그 교점의 좌표치 X3, X4, Y3, Y4가 얻어진다. 상기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좌표치 X3, X4, Y3, Y4에 대하여 이하의 보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서 수정윈도우(17)가 설정된다.
X3=X3-1, X4=X4+1
Y3=Y3-1, Y4=Y4+1
이것은 2×2 혹은 3×3등의 근방 연산처리를 윈도우 전역에 제공함으로써 특징량을 구할 수 있는 처리에 대한 배려이다. 즉, 상기 보정에 의하여 피인식물(1)의 패턴은 그 둘레를 모두 백색레벨의 화소로 에워싼 상태에서 수정윈도우(17)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 모양을 제 1 도에 나타낸다.
이후의 처리, 즉 패턴의 특징량의 연산은 상기 수순에 의하여 얻어진 수정윈도우(17)에 대하여 행한다. 수정윈도우(17)의 면적은 설정윈도우(16)에 비하여 매우 작아질 수 있으므로 특징량의 연산을 고속으로 행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면 설정윈도우(16)을 수정윈도우(17)로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로 실행할때에 긴 처리시간을 필요로 하는 특징량의 연산을 설정윈도우(16)에 비해 훨씬 작은 수정윈도우(17)에 대하여 행하면 되므로 피인식물(1)의 위치 어긋남이 있을 경우에도 적절한 크기의 윈도우를 자동설정할 수 있고, 처리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처리시간의 단축정도는 윈도우의 축소처리가 특징량의 연산에 비하여 훨씬 짧은 시간으로 마칠 수 있으므로 설정윈도우(16)에 비해 수정윈도우의 면적이 1/N로 되었을 경우에는 약 1/N로 된다고 생각된다.
설정윈도우(16)의 각벽(커서)의 길이는 이 커서에 따른 패턴의 길이와 패턴위치의 변동량과 합보다도 크고, 또 바깥족에서 패턴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있으므로 확실히 패턴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정윈도우(17)의 초기상태를 설정윈도우(16)라고 칭하고 있으나 변(커서)의 이동에 따라서 패턴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윈도우와는 다른다. 설정윈도우(16)는 편의적인 명칭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 스탭(S3, S5, S7, S9)에 있어서의 흑색레벨 유무의 판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스탭에서는 노이즈에 의하여 오판정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흑색레벨의 흑색화소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소정수 연속하고 있을 경우에 "흑색레벨이 있다"라고 판단한다. 즉 패턴에 접촉하였다고 판단하도록 한다. 이 수단은 다른 공지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스탭(S11)에 있어서, 수정윈도우(16)를 1화소분 확대하고 있다. 이 확대 화소수는 근방 연산처리의 화소수 및 스탭(S3, S5, S7, S9)에서의 연속화소수를 총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정하는 것이다.
또한 스탭(S2)에서 4변(4개의 커서)을 최초로 초기화하고, 그후 각변을 이동시키고 있으나 스탭(S3, S5, S7, S9)의 직전에서 각각의 변을 초기화하여도 된다. 또 각변의 보정을 스탭(S11)에서 최후로 행하고 있으나, 스탭(S5, S7, S9)에 이동하기 직전에 각각의 변을 보정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하나의 변의 설정, 이동, 보정의 순서는 변경되지 않으나, 복수의 변 사이에서는 적합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변의 설정작업, 동 이동의 작업, 동 보정의 작업(수정윈도우(17)를 설정하는 작업)이 결과적으로 있으면 되는 것이다.
제 4 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도의 실시예와의 상위점은 하변 (181P-
Figure kpo00016
및 우변
Figure kpo00017
의 설정 방법이 다르다. 하변, 우변은 먼저 구한 상변
Figure kpo00018
좌변
Figure kpo00019
을 기준으로 하여 패턴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하여 패턴의 외연을 발견하도록 하고 있다. 제 3 도의 스탭(S2, S6, S10)이 각각 스탭(S21, S25, S29)로 되어 있다. 또 스탭(S3)과 스탭(S5)와의 사이, 스탭(S7)과 스탭(S9)와의 사이에 각각 스탭(S23, S27)을 추가하고 있다. 그 외에는 제 3 도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4 도에 있어서, 스탭(S1)다음, 스탭(S21)에서 수정윈도우(17)가 상변
Figure kpo00020
의 좌표치, 좌변
Figure kpo00021
의 좌표치를 각각 설정윈도우(16)의 상변
Figure kpo00022
의 좌표치, 좌변
Figure kpo00023
의 좌표치에 초기화한다. 이하 스탭(S3) 이후를 실행한다.
스탭(S3)에 있어서, 수정윈도우(17)의 상변
Figure kpo00024
의 좌표치(Y축 좌표치)가 결정되었으면 스탭(S23)으로 이동하고 하변
Figure kpo00025
의 초기치를 설정한다. 즉, 하변
Figure kpo00026
의 Y축 좌표치를 Y4=Y3+1로 한다.
이하, 스탭(S5)이후를 실행한다. 여기서 하변
Figure kpo00027
는 패턴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탭(S5)에서 흑색레벨이 없을 경우에 스탭(S7)로 이동한다. 또 스탭(25)에서 하변
Figure kpo00028
의 Y축 좌표치를 Y4=Y4+1로 한다.
스탭(S5)에서 하변
Figure kpo00029
이 정해지고 스탭(S7)에서 좌변
Figure kpo00030
가 정하여지면, 스탭(S27)에서 우변
Figure kpo00031
의 초기치를 설정한다. 즉 우변
Figure kpo00032
의 X축 좌표치를 X4=X3+1로 한다.
이하, 스탭(S9)이후를 실행한다. 여기서 우변
Figure kpo00033
는 패턴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탭(S9)에 있어서 흑색레벨이 없을 경우에 스탭(S11)으로 이동한다. 또, 스탭(S29)에서 우변
Figure kpo00034
의 X축 좌표치를 X4=X4+1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피인식물(1)의 패턴의 치수가 작고, 또한 위치변동량이 클 경우에 제 3 도와 같이 상하 좌우에서 윈도우의 변을 축소할 경우에 비하여, 윈도우의 축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탭(S3, S4)의 뒤에 스탭(S23, S5, S25)가 있고, 스탭(S7, S8)의 뒤에 스탭(S27, S29)가 있으면 순서의 변경은 가능하다.
제 5 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도의 실시예와의 상위점은 하변
Figure kpo00035
, 우변
Figure kpo00036
의 설정방법이 다르다. 하변, 우변의 초기치는 먼저 구한 상변
Figure kpo00037
, 좌변
Figure kpo00038
; 과 패턴의 최대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 3 도의 스탭(S2)이 스탭(S21)로 되어 있다. 또 스탭(S3)과 스탭(S5)와의 사이, 스탭(S7)과 스탭(S9)와의 사이에 각각 스탭(S33, S35)를 추가하고 있다. 스탭(S21)은 제 4 도의 스탭(S21)과 동일하다. 그외는 제 3 도와 동일하다.
제 5 도에 있어서 스탭(S1 내지 S4)를 실행하고, 스탭(S3)에서 상변
Figure kpo00039
의 좌표치가 결정되었으면, 스탭(S33)에서 피인식물의 패턴의 크기를 추정하여 하변
Figure kpo00040
의 초기치를 설정한다. 피인식물(1)의 패턴의 최대치는 알고 있으므로, 이 최대치를 사용하여 패턴의 하단근방에 하변
Figure kpo00041
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스탭(S33)에서 Y4=Y3+N으로 하고, 이 Y4를 스탭(S5)에서 하변
Figure kpo00042
의 최초의 Y축 좌표치로 한다. 여기서 N은 피인식물(1)의 패턴의 최대치에 약간의 수를 가한 것이다. 스탭(S5)의 상변
Figure kpo00043
의 X축 좌표치는 상변
Figure kpo00044
의 X축 좌표치와 동일한 것이다.
이하 스탭(S5)이후를 실행한다. 스탭(S7)에서 좌변
Figure kpo00045
의 X축 좌표치가 결정되었으면, 스탭(S35)에서 X4=X3+N으로 하고, 우변
Figure kpo00046
을 패턴의 우단의 근방에 초기 설정한다. N은 상기와 동일하다. 스탭(S9)의 우변
Figure kpo00047
의 Y축 좌표치는 좌변
Figure kpo00048
의 Y축 좌표치와 동일하다. 이하 스탭(S9)이후를 실행한다.
또 스탭(S5)의 하변
Figure kpo00049
및 스탭(s9)의 우변 ()는 패턴의 크기를 추정하여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변의 이동에 있어서 Y2로부터 스탭(S33)의 Y4까지 및 우변의 이동이 있어서 X2로부터 스탭(S35)의 X4까지는 스탭(S5-S5), 스탭(S9-S10)의 연산을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수정윈도우(17)의 설정까지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TV 카메라(4)로 촬상되는 피인식물(1)의 방향이 항상 동일하며 패턴이 X축의 방향의 크기와 Y축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는 스탭(S33)의 N, 스탭(S35)의 N의 값은 그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정한다.
스탭(S5-S6), 스탭(S9-S10)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2변만을 이동시키는 것이 된다. 이 경우는 수정윈도우(17)의 크기가 커지기 쉽다.
제 6 도 및 제 7 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상변
Figure kpo00051
, 좌변
Figure kpo00052
을 패턴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시켜서 패턴의 외연을 구하도록 한 것이다. 하변
Figure kpo00053
, 우변
Figure kpo00054
도 패턴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시켜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제 5 도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 6 도에 있어서, 커서
Figure kpo00055
는 상변
Figure kpo00056
의 초기상태이며, 커서
Figure kpo00057
는 좌변
Figure kpo00058
의 초기상태이다. 여기서 횡방향의 커서
Figure kpo00059
과 종방향의 커서
Figure kpo00060
와의 교점 A에 피인식물(1)의 패턴이 반드시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즉, 패턴의 위치가 변동하여도 패턴은 교점 A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제 7 도는 제 5 도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 5 도의 스텝(S21, S4, S8)을 스탭(S41, S43, S45)로 변경하고 있다.
스탭(S1)의 뒤, 스탭(S41)에서 수정윈도우(17)의 상변
Figure kpo00061
의 좌표치, 좌변
Figure kpo00062
의 좌표치를 각각 커서
Figure kpo00063
의 좌표치, 커서
Figure kpo00064
의 좌표치로 초기화환다.
이하, 스탭(S3)이후를 실행한다. 여기서 커서
Figure kpo00065
(상변
Figure kpo00066
)은 패턴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탭(S3)에서 흑색레벨이 없을 경우에 스탭(S33)으로 이동한다. 또 스탭(S43)에서 상변
Figure kpo00067
(커서
Figure kpo00068
의 Y축 좌표치를 Y3=Y3-1로 한다.
스탭(S33, S5, S6)는 제 5 도와 동일하다.
스탭(S7)에서 커서
Figure kpo00069
(좌변 )
Figure kpo00070
는 패턴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흑색레벨이 없을 경우에 스탭(S35)으로 이동한다. 또 스탭(S45)에서 좌변
Figure kpo00071
(커서
Figure kpo00072
)의 X축 좌표치를 X3=X3-1로 한다.
스탭(S35-S11)은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패턴이 작고, 패턴의 이동량이 작을 경우에 수정 윈도우(17)의 설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 8 도의 실시예는 모재(20)로부터 돌출된 부분(21)을 피인식물로 한 것이다. 수정윈도우(17)의 좌변은 모재(20)의 부분에 위치한다. 이 좌변은 기준선으로서 사전에 설정된 것이다. 이것으로는 수정윈도우(17)의 상변, 하변 및 우변의 3변을 이동시켜서 윈도우를 축소하고 있다. 상변 및 하변은 그 변에 따라서 백색화소가 소정수이상 연속되어 있을 경우에 돌출부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 실시예에서 피인식물(20, 21)의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은 제 1 도 내지 제 7 도의 실시예에 비하여 정확한 위치결정이 필요할 것이다.
제 9 도의 실시예는 L형상의 위치결정부재(24)에 사각형의 피인식물(23)의 좌변과 상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TV 카메라로 촬상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피인식물(23)의 좌변과 상변의 위치가 거의 정해져 있으므로 직각사각형의 수정윈도우(17)의 우변과 하변을 이동시킨다. 피인식물의 상변과 하변에 위치결정 부재를 설치하였을 경우는 수정윈도우(17)의 좌우의 변을 이동시킨다.
제 10 도의 실시예는 오목형상의 위치결정부재(5)에 사각형의 피인식물(23)의 좌변, 상변, 하변을 접촉한 상태에서 TV 카메랑에서 촬상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피인식물(23)의 좌변, 상변 및 하변의 위치가 거의 정해져 있으므로 직각사각형의 수정윈도우(17)의 우변만을 이동시키고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수정윈도우는 4각형이나 피인식물의 패턴의 형상에 맞추어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다각형이다.
다음에 수정윈도우(17)를 기준으로 하여 그 수정윈도우(17)내에 피인식물(1)의 패턴 보다도 작은 제2의 윈도우를 설정하고 그 제2의 윈도우에 의하여 특징량을 구하고 이 특징량에 따라서 화상의 인식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도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방법의 제 1의 실시예를 제 11 도 내지 제 13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7개의 세그먼트에 의하여 구성되는 숫자의 판독에 사용한 예이다.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상의 숫자는 7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제 11 도는 7세그먼트 숫자에 대하여 제 3 도(또는 제 4 도, 또는 제 5 도)에 의하여 4개의 커서를 이동하여 수정윈도우(17)를 작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TV 카메라에 의한 촬상에 있어서, 숫자의 X축 방향, Y축 방향이 화상메모리의 X축, Y축에 대하여 크게 경사지지 않도록 위치결정한다. 제 8 도, 제 9 도, 제 10 도의 방법에서 수정윈도우를 설정하여도 되지만, 정도가 나빠진다. 스탭(S11)은 불필요하다.
제 12 도는 수정윈도우(17)를 기준으로 하여 이 수정윈도우(17)내에 7개의 제2의 윈도우(31, 32, 33, 34, 35, 36, 37)를 작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7개의 제2의 윈도우(31-37)은 7개의 세그먼트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발생시키고 있다.
숫자의 판독은 7개의 제2의 윈도우(31-37)내에 세그먼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윈도우의 조합에 의하여 행한다.
이하, 수정윈도우(17)를 기준으로 하여 이 수정윈도우(17)내의 7개의 제2의 윈도우를 발생하고 숫자를 판독하는 수순에 대하여 제13도 제1표 및 제2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탭(S51) : 수정윈도우(17)의 좌측상단 P'의 좌표치(X3, Y3) 및 우측하단의 좌표치(X4, Y4)를 사용하여 수정윈도우(17)내의 숫자가 "1"인지의 여부를 구한다. 이 판정은 (1)식을 사용하여 행한다.
Figure kpo00073
(1)식의 좌항이 기준치β(예를들면 3)보다도 크면, 수정윈도우(17)내의 숫자가 1일 가능성이 높다. 기준치 β보다도 클 경우는 스탭(S53)에서 F=1로 하고, 플래그를 세운다. 작을 경우는 스탭(S54)에서 F=0로 한다.
스탭(S55) : 수정윈도우(17)의 좌측상단 P'의 좌표치(X3, Y3) 및 우측하단의 좌표치(X4, Y4)를 사용하여 제2의 윈도우(31-37)을 작성하기 위한 X축 방향, Y축 방향의 기준길이 Δx, Δy를 구한다.
Figure kpo00074
여기서, n은 세그먼트의 장변의 길이를 단변의 길이로 나눈 값이며 예를 들어 정수이다.
(2)식과 (3)식의 분모는 수정윈도우(17)의 단변(X축 방향의 변), 장변(Y축 방향의 변)의 분할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n이 분할수의 기준이 된다.
스탭(S57) : 수정윈도우(7)의 좌측상단 P'의 좌표치(X3, Y3), 우측하단 S'의 좌표치(X4, Y4) 및 기준치 Δx, Δy를 사용하여 제2의 윈도우(31-37)의 좌측상단 및 우측하단의 좌표치를 구하고 제2의 윈도우(31-37)을 작성한다. 이 좌측상단 및 우측하단의 좌표치의 산출식을 제1표에 나타낸다. 제1표의 Xs, Ys는 각 윈도우의 좌측상단의 X축 좌표치, Y축 좌표치를 나타내고 Xe, Ye는 각 윈도우의 우측하단의 X축 좌표치, Y축 좌표치를 나타낸다.
또한 스탭(S53)에서 플래그가 섰을 경우에는 제2의 윈도우(33), (36)만을 설정한다. 이 경우 윈도우(33), (36)을 설정하는 것은 숫자가 1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함이다.
[제 1 표]
Figure kpo00075
스탭(S59) : 제2의 윈도우(31-37)에 있어서, 각 윈도우내의 흑색화소의 수 mi(i=31-37)를 구한다.
스탭(S61-S73) : 각 윈도우내의 흑색화소의 수 mi와 기준치 M을 비교하고,
mi"gM라면 SGi=1
mi〈M라면 SGi=0
로 한다.
여기서 기준식 M은 사전에 설정하여 두어도 된다. 1의 가능성이 높을 경우는 기준치 M를 작게 한다. 또는 기준치 M는 다음식(5)에서 구한다.
M=α·n·Δx·Δy…………………………………………………………… (5)
여기서 α는 계수이다.
SGi=1이라면 윈도우내에 세그먼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SGi=0라면 윈도우내에 세그먼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 스텝(S69)FM F제2의 윈도우(31-37)의 각각에 대하여 행한다.
또한 스탭(S43-S67)은 숫자가 1의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 스탭(S69)에서 윈도우(33, 36)만을 체크하기 위함이다.
스탭(S75) : SGi의 0, 1의 패턴에 의하여 7세그먼트 숫자의 판독을 행한다. SGi의 0, 1의 패턴과 숫자와의 관계는 제2표와 같다.
제2표에 해당하지 않는 조합의 경우는 해당숫자가 없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수정윈도우(17)이 설정에 의하여 피인식물의 패턴의 위치를 구하고 다음에 이 수정윈도우(17)를 기준으로 하여 실제의 인식이 필요한 피인식부(세그먼트)의 형상에 맞추어 윈도우(31-37)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피인식물의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피인식부를 인식하기 위한 윈도우를 자동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와 같이 윈도우(31-37)를 고정하였다고 하면 피인식물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한편, 위치 어긋남을 고려하여 윈도우(31-37)를 크게하면, 다른 세그먼트를 인식할 가능성이 생기고 바른 인식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매우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표]
Figure kpo00076
또한 수정윈도우(17)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치(Δx, Δy)를 구하고, 이 기준치(Δx, Δy)를 기준으로 하여 제2의 윈도우(31-37)을 작성하게 되므로 제2의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수정윈도우(17)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이로 인해 피인식물(1)의 패턴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게 되고 TV 카레라 등의 장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수정윈도우(17)는 패턴의 위치를 구하고 제2의 윈도우(31-37)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위치를 정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윈도우와는 상이하다. 수정윈도우의 명칭은 편의적인 것이고, 4개의 커서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숫자를 구하는 것이었으나 수정윈도우(17)에서 피인식물을 구하고, 다음에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위치의 피인식부에 제2의 윈도우를 설정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또한 수정윈도우(17)내를 메시형상으로 분할하여 특징량을 구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제 14 도 내지 제 19 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용기의 위 뚜껑의 부착상태의 검사에 제2의 윈도우를 사용한 것이다.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플라스틱제용기(40)의 상면에는 위 뚜껑(41)이 풀로 붙여져 있다. 이 위 뚜껑(41)은 용기(40)의 상단에 어긋나지 않고 붙어 있어야 하고, 이같은 어긋남 검사에 적용한 예이다. 제 15 도는 위 뚜껑(41)을 붙인 용기(40)를 위 뚜껑(41)측으로부터 촬상하고, 제 3 도(또는 제 4 도 또는 제 5 도 또는 제7)의 처리를 실시하여 수정윈도우(17)를 설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인식물이 백색화소이고, 배경이 흑색화소이기 때문에 수정윈도우(17)의 자성에 있어서의 백색화소와 흑색화소에 대한 처리를 교환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위 뚜껑(41)이 용기(40)에 대하여 어긋나게 부착되고, 위 뚜껑(41)과 용기(40)의 상단과의 사이에 간극(42)이 발생하면, 제 16b 도의 표시된 바와같이, 이 간극(42)이 흑색화소로 되어 발생한다. 즉 백색화소의 연속 영역내에 흑색화소의 연속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위 뚜껑(41)의 어긋남이 커지면, 간극(42)에 의한 흑색화소의 수가 많아진다. 위 뚜껑(41)이 올바르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6a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위 뚜껑(41) 및 용기(40)에 의한 백색화소의 영역내에 흑색화소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는 이 간극(42)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정윈도우(17)내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위 뚜껑(41)의 외연근 방에 제2의 윈도우로 원형의 윈도우(45)를 작성하고, 이 원형 윈도우(45)내의 흑색화소의 면적을 구하고, 기준치와 비교하여, 어긋남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처리수순을 제 18 도, 제 19 도와 함께 설명한다.
스탭(S81) : 수정윈도우(17)의 좌측상단(P')의 좌표치(X3, Y3), 우측하단(S')의 좌표치(X4, Y4)를 사용하여, 수정윈도우(17)의 중심좌표(Xc, Yc)를 구한다. 이 중심좌표가 원형윈도우(45)의 중심좌표로 된다.
Xc=(X3+X4)/2 …………………………………………………………………(11)
Yc=(Y3+Y4)/2 …………………………………………………………………(12)
로 한다.
스탭(S83) : 중심좌표(Xc, Yc)를 사용하여 원형윈도우(45)의 설정을 행한다.
여기서 원형윈도우(45)의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수의 사각형 윈도우(46)에 의해 구성된다. 이 윈도우(46)의 좌표는 X1, Y1로 표시된다.
원형윈도우(45), 즉 그 중심좌표 및 다수의 윈도우(46)의 각각의 좌표는 메모리(11)에 사전 설정된다. 그러므로, 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원형윈도우(이하 기준의 원형윈도우라 함)을 중심좌표(Xc, Yc)를 중심으로 하여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기준의 원형윈도우의 좌표를 중심좌표(Xc, Yc)의 위치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 원형윈도우의 수정은 아래(13)식 및 (14)식에 의해 행한다.
여기서 기준의 원형윈도우의 중심좌표를 (X'c,Y'c)로 한다. 그리고 원형윈도우를 구성하는 다수의 윈도우(46)의 각각의 윈도우 좌표를 (X'1,Y'1)로 한다.
X1=X'1+(Xc-X'c) ………………………………………………………………(13)
Y1=Y'1+(Yc-Y'c) ……………………………………………………………… (14)
스탭(S85) : 원형윈도우(45)내의 흑색화소의 수(m)를 구한다.
스탭(S87) : 스탭(S85)에서 구한 흑색화소의 수(m)와 기준치 M을 비교하여,
m
Figure kpo00077
M이면 간극(42)이 있음
m〈M이면 간극(42)이 없음
이라고 판단한다. 기준치(M)는 노이즈와 간극과의 관계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와 같이 실제로 인식이 필요한 피인식부(간극(42))의 형상에 맞추어 작은 원형윈도우(45)를 설정하게 되므로 인식을 위한 처리시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피인식물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형 원호형상이나 타원형의 윈도우를 설정하고, 목적의 특징량을 연산하면 피인식물을 인식할 수가 있다.
상기 제 2의 윈도우의 설정방법으로서, 윈도우의 4변을 이동시키고 있으나, 소망의 변만을 이동시켰을 경우에도 제 2의 윈도우는 설정된다. 예를들어, 상변과 좌변을 이동시켰을 경우도 그 교점(P')을 기준으로 하여 제 2의 윈도우를 설정한다. 또 제 13 도의 실시예와 같이 대각선상의교점 P', S'를 기준으로 하여 제 2의 윈도우를 설정하는 경우는 하변 및 우변은 사전 설정한 기준선으로 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이동시킬 커서변의 길이는 그 커서에 연하는 패턴의 길이 및 패턴의 이동량을 고려한 길이로 한다. 그러나 제 20 도 및 제 21 도의 표시에 나타낸 바와같이 패턴의 연부형상이나 패턴의 이동등의 조합에 따라서는 커서의 길이는 패턴의 길이보다도 짧아도 가능할 경우가 있다.
제 20 도에 있어서, 패턴(50)은 상하좌우로 이동하나, 그 범위는 적은 것으로 한다. 또 패턴은 상하 좌우로만 이동하고, 회전은 실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한다. 패턴(50)의 상단은 삼각형상이다. 상방의 커서(51)의 길이는 패턴(50)의 좌우 방향이 이동량 보다도 약간 길면 된다. 좌측의 커서(52), 우측의 커서(53)의 길이는 패턴(50)의 수직인 좌변과 수직인 우변의 위치에 설정하면 패턴(50)의 수직높이 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커서(53)도 패턴(50)이 하변이 수평이면 짧게 할 수 있다. 윈도우의 교점은 커서(51) (54)의 Y축 좌표치, 커서(52), (53)의 X축 좌표치에 의하여 구할 수가 있다.
제 21 도는 패턴(56)내의 사각형의 내연부(57)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2의 윈도를 설정하는 경우이다. 내연부(57)은 X축, Y축에 평행이다. 커서(58), (59)는 내연부(57)의 각변의 길이보다도 짧다. 커서(58),(59)는 내연부(57)보다도 도면과 같이 안쪽으로 설정해 두고 그리고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시켜 내연부(57)을 탐색한다. 또한 상기 내연부를 외연부로 하여도 좋다.

Claims (16)

  1. 피인식물을 촬상할 때마다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해 얻어진 그 피인식물의 패턴(1, 20, 21, 23, 40, 41, 50, 56)보다도 바깥쪽 또는 그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안쪽에 커서 (
    Figure kpo00078
    51, 52, 53, 58, 59)를 설정하는 제1공정(S2, S21, S23, S27, S33, S41)과, 상기 커서(
    Figure kpo00079
    51, 52, 53, 58, 59)를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연부로 향하여 이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2공정(S3-S10, S25, S29, S43, S45)과, 상기 커서(
    Figure kpo00080
    51, 52, 53, 58, 59)가 상기 패턴(1, 20, 21, 23, 41, 50, 56)의 연부에 접촉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17)를 설정하는 제3공정과, 상기 윈도우(17)의 특징량을 구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17)는 상기 피인식물을 촬상하는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 및 이 수평동기선에 대하여 직각인 선으로 이루어진 직각사각형이고, 상기 커서(
    Figure kpo00081
    51, 52, 53, 58, 59)는 1개에서 4개까지의 소망하는 개수이고, 이 커서(
    Figure kpo00082
    51, 52, 53, 58, 59)는 상기 수평동기선 또는 이 수평동기선에 직각인 선이고, 상기 커서(
    Figure kpo00083
    51, 52, 53, 58, 59)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연부에 접한 커서(
    Figure kpo00084
    Figure kpo00085
    Figure kpo00086
    51, 52, 53, 58, 59)와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준선과의 교점에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윈도우(17)를 설정하는 화상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Figure kpo00087
    의 길이는 그 커서
    Figure kpo00088
    Figure kpo00089
    에 따른 상기 패턴의 길이와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의 이동량을 합한 길이 이상인 화상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Figure kpo00090
    51, 52, 53)는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보다도 바깥쪽에 설정하고 이 패턴(1, 20, 21, 23, 40, 41)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화상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연부에 접촉한 상기 커서를 소정의 화소의 수만큼 그 패턴의 연부가 없는 쪽으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를 상기 윈도우(17)의 근처 위치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6. 피인식물을 촬상할때마다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그 피인식물의 패턴(1, 40, 41)의 연부를 따라 직각사각형의 배치로 4개의 커서
    Figure kpo00091
    를 설정하는 제1공정(S2, S21, S23, S27, S33, S35, S41)과, 상기 4개의 커서
    Figure kpo00092
    중의 2개의 커서
    Figure kpo00093
    가 상기 피인식물을 촬상하는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이고, 다른 2개의 커서
    Figure kpo00094
    가 상기 2개의 커서(PQ, RS)에 대하여 직각으로 그 2개의 커서
    Figure kpo00095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도, 상기 4개의 커서
    Figure kpo00096
    의 각각을 상기 패턴(1, 40, 41)에 연부를 향하여 이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2공정(S3-S10, S25, S29, S43, S45)과, 상기 각각의 커서
    Figure kpo00097
    가 상기 연부에 접촉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17)를 설정하는 제3공정과, 상기 윈도우(17)의 특징량을 구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7.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이 피인식물의 패턴(1)의 연부보다도 바깥쪽으로 직선상의 적어도 1개의 커서
    Figure kpo00098
    를 설정하는 제1공정(S21)과, 이 커서
    Figure kpo00099
    가 상기 피인식물을 촬상하는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 똔느 이 수평동기선에 대하여 직각인 선이고, 상기 커서
    Figure kpo00100
    를 상기 패턴의 연부를 향하여이 연부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시키는 제2공정(S3, S4, S7, S8)과, 상기 제2공정(S3, S4, S7, S8)에서 상기 외연부에 접촉한 커서
    Figure kpo00101
    를 계속 동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패턴(1)의 타단의 연부에 접촉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3공정(S23, S5, S25, S27, S9, S29, S33, S35)과, 상기 제2공정 및 제3공정에 의하여 상기 패턴(1)의 연부에 접촉한 커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17)를 설정하는 제4공정과, 상기 윈도우의 특징량을 구하는 제5공정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8.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이 피인식물의 패턴(1)의 외연부보다도 바깥쪽 또는 이 패턴내에 적어도 1개의 커서
    Figure kpo00102
    를 설정하는 제1공정(S21, S41)과, 상기 커서
    Figure kpo00103
    가 상기 피인식물을 촬상하는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 또는 그 수평동기선에 대하여 직각인 선이고, 상기 커서(PQ, PR, P1Q1, P2R2)를 상기 패턴(1)의 연부를 향하여 그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2공정(S3, S4, S7, S8, S43, S45)과, 상기 연부에 접촉한 커서의 위치와 그 커서의 이동방향의 상기 패턴(1)의 최대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커서에 대향하는 새로운 커서
    Figure kpo00104
    를 설정하는 제 3공정(S33, S35)과, 상기 제 2공정(S3, S4, S7, S8, S43, S45) 및 제 3공정(S33, S35)에 의하여 설정한 커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17)를 설정하는 제 4공정과, 상기 윈도우의 특징량을 구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공정(S33, S35)에서 새롭게 설정한 커서를 상기 패턴(1)의 타단의 연부를 향하여 이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커서를 설정하는 화상처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정(S21)에서 설정하는 커서
    Figure kpo00105
    상기 패턴(1)의 외연부보다도 바깥쪽에 설정하는 화상처리방법.
  11.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이 피인식물의 패턴(1)내에 적어도 2개의 직선상의 커서
    Figure kpo00106
    Figure kpo00107
    를 설정하는 제1공정(S41)과, 이 2개의 커서중의 1개
    Figure kpo00108
    가 상기 피인식물을 촬상하는 쇼 카메라의 수평동기선이고, 다른 1개
    Figure kpo00109
    가 상기 수평동기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선이고, 상기 2개의 커서
    Figure kpo00110
    Figure kpo00111
    의 직각을 상기 패턴(1)의 연부를 향하여 이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 2공정(S3, S43, S7, S45)과, 상기 2개의 커서
    Figure kpo00112
    를 상기 제 2공정(S3, S43, S7, S45)의 커서
    Figure kpo00113
    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패턴(1)의 타단의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 3공정(S33, S5, S6, S35, S9, S10)과, 상기 제 2공정(S3, S43, S7, S45) 및 제 3공정(S3, S43, S7, S45)에 의하여 상기 패턴(1)의 연부에 접한 커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17)를 설정하는 제 4공정과, 상기 윈도우의 특징량을 구하는 제 5공정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12. 피인식물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이 피인식물의 패턴(1, 20, 21, 23, 40, 41, 50, 56)보다도 바깥쪽, 또는 이 패턴(1, 20, 21, 23, 40, 41, 50, 56)내에 소망하는 개수의 직선상의 커서(
    Figure kpo00114
    , P2R2, 52, 53, 58, 59)를 설정하는 제 1공정(S2, S21, S23, S27, S33, S35, S41)의 각각 이 상기 피인식물을 촬상하는 TV 카메라(4)의 수평동기선 또는 그 수평동기선에 대하여 직각인 선이고, 상기 커서(
    Figure kpo00115
    , P2R2, 52, 53, 58, 59)의 각각을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연부를 향하여 이 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이동시키는 제 2공정(S3-S10, S25, S29, S43, S45)과, 상기 제 2공정(S3-S10, S25, S29, S43, S45)에 의하여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연부에 접한 4개의 커서로 이루어진 직각사각형의 4각의 좌표(P′, Q′, R′, S′) 또는 이동시킨 커서와 미리 설정된 기준선으로 이루어진 직각사각형의 4각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이 직각사각형안에서 이 직각사각형의 크기보다도 작은 직각사각형의 윈도우(31-37, 45, 46)를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의 인식 필요장소에 설정하는 제 3공정(51, S73, S81, S83)과, 상기 윈도우(31-37, 45, 46)의 특징량을 구하는 제 4공정(S75, S85, S87)으로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S51-S73, S81, S83)에 의하여 설정하는 윈도우(31-37, 45, 46)의 개수가 복수인 화상처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S51-S73, S81, S83)에 의하여 상기 커서끼리 또는 상기 커서와 상기 기준선에 의하여 직각사각형(17)을 설치하고, 상기 윈도우(31-37, 45, 46)의 크기 및 위치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직각사각형(17)의 크기 및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사각형(17)이 4개의 상기 커서(P′Q′, R′S′, P′R′, Q′S′)에 의해 설정하여 이루어진 화상처리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정(S3-S10, S25, S29, S45)에 의하여 상기 패턴(1, 20, 21, 23, 40, 41, 50, 56)을 포위하는 직각사각형(17)의 커서
    Figure kpo00116
    를 설정하고, 상기 직각사각형(17)의 대각선상의 좌표치로부터 그 직각사각형(17)의 중심좌표를 구하고, 미리 설정된 상기 윈도우(45)의 중심좌표를 상기 직각사각형(17)의 중심좌표에 일치시켜 그 윈도우(45)를 설정하는 화상처리방법.
KR1019860011368A 1985-12-27 1986-12-27 화상처리 방법 KR91000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731 1985-12-27
JP60292731A JPS62154076A (ja) 1985-12-27 1985-12-27 画像処理方法
JP85-292731 198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485A KR870006485A (ko) 1987-07-11
KR910004781B1 true KR910004781B1 (ko) 1991-07-13

Family

ID=1778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368A KR910004781B1 (ko) 1985-12-27 1986-12-27 화상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2154076A (ko)
KR (1) KR910004781B1 (ko)
GB (1) GB21848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557B2 (ja) * 1987-02-17 1996-10-23 マツダ株式会社 画像処理における物品識別方法
GB2212961A (en) * 1987-11-23 1989-08-02 Gen Electric Co Plc Target recognition
JPH0769959B2 (ja) * 1988-01-11 1995-07-31 工業技術院長 パターン認識のための頂点検出方法
US5199084A (en) * 1991-08-16 1993-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characters on a lab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7574A (en) * 1960-11-25 1963-02-06 Solartron Electronic Grou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 reading apparatus
US4403340A (en) * 1981-01-06 1983-09-06 Caere Corporation OCR Matrix extractor
US4457015A (en) * 1981-12-17 1984-06-26 Ncr Corporation Matrix character pre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30579D0 (en) 1987-02-04
JPS62154076A (ja) 1987-07-09
GB2184879A (en) 1987-07-01
KR870006485A (ko) 1987-07-11
GB2184879B (en) 198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594B1 (ko) 화상 처리 장치
US5793901A (en) Device and method to detect dislocation of object image data
KR940006120B1 (ko) 기준마아크패턴 검출장치
JPH03257304A (ja) 位置認識装置
US688577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image processing paramete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the same
JP2873883B2 (ja) 線画像の線幅検出方法
KR910004781B1 (ko) 화상처리 방법
JP4581424B2 (ja) 外観検査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6240202B1 (en)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for electronic parts
KR940003791B1 (ko) 폭측정장치
JPH09161056A (ja) 円形容器内面検査方法
CN117168299A (zh) 一种aoi轨道标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S63241405A (ja) 硬度計
JPH05231842A (ja) 形状パターン検査方法及び装置
JP3111434B2 (ja) 画像処理装置
JPH10153407A (ja) 計測処理装置
JPH0133870B2 (ko)
JPH11173817A (ja) 寸法測定方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する装置
JP3235392B2 (ja) 対象パターンの回転角検出方法
JPS63142476A (ja) 画像処理方法
JP3216767B2 (ja) レベル変動補正可能な画像処理装置
JP2625429B2 (ja) 画像処理方法
JPS61239147A (ja) 画像処理による欠け検査方法
JPS63223505A (ja) 位置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142474A (ja) 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