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022B1 -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22B1
KR910004022B1 KR1019860004074A KR860004074A KR910004022B1 KR 910004022 B1 KR910004022 B1 KR 910004022B1 KR 1019860004074 A KR1019860004074 A KR 1019860004074A KR 860004074 A KR860004074 A KR 860004074A KR 910004022 B1 KR910004022 B1 KR 91000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gas
nozzle
air
gas generat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827A (ko
Inventor
마사히꼬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지마 도오교오쇼오
마사히꼬 나까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지마 도오교오쇼오, 마사히꼬 나까지마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지마 도오교오쇼오
Publication of KR86000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1Flame-heated soldering irons
    • B23K3/022Flame-heated soldering irons using a gaseous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1Flame-heated soldering irons
    • B23K3/023Flame-heated soldering irons using a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8Radiant burners using catalysis for flameless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 Burners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열가공 장치를 열인두로 사용할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열가공 장치를 불로우 램프 또는 토오치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요부상세도.
제 3 도는 화구부재를 제 1 도의 좌측에서 본 단부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선 IV-IV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선 VI-VI에 따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탱크 5 : 혼합가스 생성부재
6 : 노즐판 8 : 외기취입구
9 : 화구부재 12,32 : 인두선단부재
17 : 연소촉매 21 : 셔터부재
24 : 공기량 조절부재 25 : 눈금
26 : 화염
본 발명은 예컨대 부탄가스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 사용하는 열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가스와 혼합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화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화구부로부터 분사하여 이에 점화되도록 한 불로우 램프(토오치 램프), 또는 일본국 특공소 55-6033호 공보, 일본 특공소 55-29788호 공보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혼합가스를 연소촉매로 유도하여 화염없이 연소시키고, 그 열로 인두선단을 가열하는 납땜인두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열가공 장치는 모두 그 용도가 각각 제한되고, 불로우 램프 또는 토오치 램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납땜인두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제안된 바 없다. 본 출원인은 기출원된 일본국 특원소 59-159850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 4,552,124호 등에서 납땜인두로도, 또는 불로우 램프 및 토오치 램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열가공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들 출원은 액화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를 화구부재로부터 분출시켜서 이에 점화시키고, 그 열로 연소촉매를 완전연소 가능한 온도까지 가열하고 그후 인두선단부재와 화구부재 사이를 셔터에 의하여 폐지하거나 또는 인두선단부재와 화구부재를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그 사이를 밀폐하므로써 화구부재의 화염을 소화시켜 열 인두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및 인두선단부재를 떼어내어 불로우 램프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또는 불로우 램프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공기취입구를 밀폐하므로써 화구부재의 화염을 라이터와 같은 불꽃으로 하며 토오치 램프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이로인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열가공 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열가공 장치를 불로우 램프로서 사용할 경우, 피가공물의 종류 및 가공법등에 적합하도록 화염의 선단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여 화염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또 이와같이 가스량을 조절해도 필요로 하는 화염의 선단온도를 얻는일이 반드시 쉬운일이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4,118,088호에는 외기취입구의 개구면적을 조절하여 혼합가스중의 공기량을 가감하므로써 화염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구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화구부재의 선단에 인두선단부재를 배설하여 납땜인두로 사용할 때에 장치의 대형화에 의하여 큰 출력을 얻으려고 하면 인두선단부재와 화구부재와의 사이를 폐쇄해도 화구부재의 화염이 신속히 소화되지 않고 또한 소화될때까지 다소의 시간이 걸리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소화되지 않는 일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불로우 램프로서 사용할 때 피가공물에 적합하도록 화염의 선단온도를 쉽고 또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납땜인두로서 사용할 때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화구부재의 화염을 신속, 정확히 소화시킬 수 있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연료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기취입구의 개구면적을 공기량 조절부재에 의하여 조절하여 혼합가스 생성부재로의 유입공기량을 제어하고, 그에 의해 불로우 램프로서 사용할 때 피가공물등에 적합하게 화염의 선단온도를 쉽고 또한 정확히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기취입구의 개구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부재를 설치하고, 이 공기량 조절부재에 의하여 완전 개방상태의 외기취입구를 일단 완전 폐쇄후 재차 완전 개방상태로 하여 이에의해 납땜인두로 사용할때에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화구부재의 화염을 신속하고 확실히 끌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열풍에 의하여 납땜, 합성수지의 용착 및 용융, 합성수지 필름의 피복, 건조, 또는 가열등을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풍가공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1)은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서 저장하는 가스탱크, (2)는 유량제어밸브, (3)은 개폐밸브이고, 이들은 통상 손잡이 (4)내에 장치된다. 손잡이(4)의 선단부에는, 개폐밸브(3)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혼합가스 생성부재(5)가 그 선단이 손잡이(4)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장치된다.
혼합가스 생성부재(5)에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50내지 100μm, 바람직하기로는 80 내지 90μm정도의 직경으로 진원도가 높은 노즐공을 중심에 가지는 원판상의 노즐판(6) 및 10μm정도의 공극을 갖는 다공질의 소결합금 등으로 성형되는 필터부재(7)이 착탈 자재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5)의 노즐판(6)의 출구측에 위치에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노즐판(6)에서 분사되는 연료가스의 분사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외기취입구(8)이 형성된다.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5)의 선단 축심부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구부재(9)가 나사식으로 연결된 연결파이프(10)의 기단이 나합되고, 상기 손잡이(4)의 선단외면에 나사로 연결되는 연결너트(11)을 풀어 후기하는 납땜인두선단부재(12) 및 지지파이프(13)을 분리하므로써 불로우 램프(토오치 램프)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10)은 제 1 도 및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예컨대 외면에 방열핀(110)을 가지는 비교적 긴 스테인레스강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5)에서 생성된 혼합가스는 상기 연결파이프(10)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혼합상태가 균일화되어, 그후 화구부재(8)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구부재(9)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장착되는 원통형의 화구외통(109)와 이 화구외통(109)내에 삽입 고정되는 화구노즐(209)로 구성되며, 화구노즐(209)는 화구외통(109) 선단의 대경 내공에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화구노즐 (209)는 제 1 도 및 제 3 도의 도시와 같이 원통부(14)와 이 원통부(14)의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기어형상부(15)로 구성되어, 화구부재(9)까지 이송되어온 혼합가스는 그 일부가 원통부(14)내를 통해서 분사되는 동시에, 그 나머지는 기어형상부(15)의 각각의 사이로부터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안정된 가스분사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구외통(109)의 선단원주면에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절결부(16)이 형성되고, 화구외통(108)의 내부공간은 이들의 각각의 절결부(16)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화구부재(9)로부터 분사되는 혼합가스는 상기의 각각의 절결부(16)을 통해 외부로부터 점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두선단부재(12)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선단에 연소배기를 열풍형태로 배출하는 첨단 형상의 열풍배출부(112)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화구부재(9)로부터의 혼합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촉매(17)이 일체로 장착된다. 상기 열풍배출구(112)의 기단의 원주면에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연소시에 연소촉매(17)의 선단부의 색을 외부로부터 투시할 수 있도록 확인공(18)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인두선단부재(12)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그 기단이 지지파이프(13)의 선단내에 계지되어 선단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파이프(13)에 착탈 자재하게 연결되고, 그 기단면은 통상의 상태, 즉 상기 연결너트(11)을 조인 상태에서는 상기 화구외통(109)의 선단면에 밀착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소촉매(17)는 제 1 도 및 제 4 도의 도시와 같이 원기둥형태의 부재의 내부 및 주연부면에 복수의 관통공(117) 및 U홈(217)을 각각 형성한 형상의 세라믹제의 담체를 사용하여, 그 표면에 백금 및 로듐을 함유하는 촉매성분을 담지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17) 및 U홈(217)에 의하여 연소촉매(17)의 축방향으로 직선 가스유로가 형성되어 무화염 연소를 계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파이프(13)은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제등의 내식성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그 원주면에는 상기 외기취입구(8)에 대응하는 공기구(19) 및 상기 절결부(16)에 대응하는 착화구(2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파이프(13)과 상기 화구부재(9)의 사이에는,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지지파이프(13)의 착화구(20) 및 화구외통(109)의 절결부(16)을 통해 화구부재(9)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가스에 착화시킨 후, 착화구(20) 및 절결부(16)을 폐쇄하여 화염을 소화시키는 셔터부재(21)이 축방향으로 활주 자재하게 장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부재(21)은 조작간(22) 및 조작버튼(23)을 통해 상기 손잡이(4)의 상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13)과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5)의 사이에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 형상의 공기량 조절부재(24)가 축방향으로 활주 자재하게 장치되는데, 이 공기량 조절부재는 상기 조작간(22)에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량 조절부재(24)는 조작버튼(2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셔터부재(21)과 연통하여 작동되어, 혼합가스 생성부재(5)의 외기취입구(8)을 완전 개방상태로부터 완전 폐쇄상태까지 그 개구면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이에의해 혼합가스 생성부재(5)로의 유입공기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즉, 셔터부재(21)의 완전 개방위치에서는 제 2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량 조절부재(24)는 외기취입구(8)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어 외구취입구(8)은 완전 개방상태로 되며, 셔터부재(21)을 폐쇄하기 시작하면 외기취입구(8)은 축방향 기단측으로부터 공기량 조절부재(24)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폐쇄되어, 셔터부재(21)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외기취입구(8)은 공기량 조절부재(24)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다음에 셔터부재(21)을 폐쇄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키면 공기량 조절부재(24)는 외기취입구(8)을 축방향 기단측으로부터 점차 개방하게 되어 셔터부재(21)이 완전 폐쇄상태일때에는 제 2 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량 조절부재(24)는 외기취입구(8)의 위치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외기취입구(8)은 완전 개방상태가 된다. 다시말하면, 공기량 조절부재(24)는 셔터부재(21)의 폐쇄동작 동안에 완전 개방상태의 외기취입구(8)을 일단 완전 폐쇄한 후 재차 완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공기량 조절부재(24)가 활주 이동하게 되는 혼합가스 생성부재(5)의 외주면에는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800℃ 내지 1300℃가지의 다수의 눈금(25)을 형성하여, 공기량 조절부재(24)의 축방향의 선단 단부, 즉 도면중 좌측단부를 각각의 눈금(25)에 대응시켜서 상기 외기취입구(8)의 개구면적을 조정하므로써 화구부재(9)에서 얻어지는 화염(26)의 선단온도가 눈금(25)에 나타나는 온도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납땜인두로 사용할 때에는 우선 장치를 제 1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조립하고, 그후 조작버튼(23)을 조작하여 셔터부재(221)을 완전 개방상태로 한다. 이와같이 하면 조작간(22)을 통해 셔터부재(21)과 연동되는 공기량 조절부재(24)도 동시에 작동하여, 제 2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외기취입구(8)을 완전 개방시키는 위치에 오게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셔터부재(21)이 완전 개방되어 있으므로, 화구부재(9)의 화구외통(109)의 내부공간은 절결부(16) 및 착화구(20)을 통해 외부와 연통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개폐밸브를 열면 유량제어밸브(2)에서 설정된 유량의 연료가스가 가스탱크(1)에서 배출되어, 혼합가스 생성부재(5)에서 외기취입구(8)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생성된다. 다음에 상기 혼합가스는 연결파이프(10)내를 통과하는 동안에 그 혼합성상이 균일화되고 그후 화구부재(9)에서 분사된다.
혼합가스가 분사되면 외부에서 라이터 등으로 착화구(20) 및 절결부(16)을 통하여 이 혼합가스에 점화시킨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화구부재(9)에서 화염을 내며 연소가 시작되어, 화구부재(9)의 선단에 위치하는 인두선단부재(12)내의 연소촉매(17)이 그 연소열에 의하여 착화후 1 내지 2초 정도후에 산화반응 온도까지 승온 가열된다.
연소촉매(17)이 산화반응을 개시하면 셔터부재(21)을 완전 폐쇄하여 화구외통(109)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킨다. 이에의해 화구부재(9)의 화염은 소화되고, 화구부재(9)로부터 혼합가스가 직접 연소촉매(17)로 분사된다. 이때 연소촉매(17)은 산화반응 온도까지 승온되어 있으므로 혼합가스가 연소촉매(17)의 관통공(117) 및 U홈(217)을 통과하는 동안에 촉매성분과 충분히 접촉하여 무화염의 완전연소가 되고, 이후는 연소촉매(17)이 자신의 연소열에 의하여 산화반응 온도로 유지되므로 무화염의 연소상태가 계속된다. 연소배기는 열풍 배출구(112)의 선단에서 열풍으로서 배출된다. 이와같이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열풍배출구(112)의 기단이 확인공(18)로부터 연소촉매(17) 선단의 색을 눈으로 확인하므로써 대략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두선단부재(12)의 출력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인두선단부재(12)를 대형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고, 화구부재(9) 및 혼합가스 생성부재(5)도 대형으로 하여 다량의 혼합가스를 연속촉매(17)에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장치가 대형화되면 가스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유량이 증대하는 동시에, 이에따라 외기취입구(8)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도 증대되며, 또한 화구외통(109)의 내부공간도 증대하게 된다.
이로인해 화구부재(9)의 화염을 소화시키려고 셔터부재(21)을 완전 폐쇄시켜도 화염이 잘 소화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특히 셔터부재(21)을 완전 폐쇄하여도 어떤 이유로해서 화구외통(109)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충분히 차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염이 소화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량 조절부재(24)을 조작간(22)에 연결하여 셔터부재(21)에 연동시키고, 셔터부재(21)의 폐쇄동작 사이에 완전 개방상태의 외기취입구(8)을 공기량 조절부재(24)에 의하여 일단 완전 폐쇄한 후 재차 완전 개방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장치를 대형화하고 또한 화구외통(109)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충분히 차단되지 않는 경우에도 화구부재(9)의 화염을 산소결핍 상태로하여 신속하고 확실히 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화구부재(9)의 화염을 소화시키기만 할 경우에는 외기취입구(8)을 공기량 조절부재(24)로 완전 폐쇄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재차 완전 개방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셔터부재(21)은 완전 개방상태의 그대로 하여도 좋다.
단, 외기취입구(8)을 공기량 조절부재(24)로 완전 폐쇄한 그대로의 상태로 방치하면 연소촉매(17)만으로 연소시킬시에 산소결핍상태가 되어 무화염의 완전연소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셔터부재(21)을 완전 개방상태로 방치하면 착화구(20) 및 절결부(16)을 통해 외기가 인두선단부재(12)내로 유입되어, 열풍배출부(112)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게된다.
한편, 불로우 램프 또는 토오치 램프로서 사용시에는 먼저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연결너트(11)을 풀어 인두선단부재(12) 및 지지파이프(13)을 분리시킨다. 다음에 조작버튼(23)을 조작하여 셔터부재(21)을 완전 개방위치까지 활주 이동시킨다. 이때 불로우 램프 또는 토오치 램프로 사용할때는 셔터부재(21)의 개폐위치가 특별히 문제되는 일은 없다. 셔터부재(21)을 완전 개방위치까지 활주 이동시키므로써 이에 연동된 공기량 조절부재(24)도 활주 이동되어 제 3 도의 도시와 같이 외기취입구(8)이 완전 개방상태로 된다.
상기 상태에서 개폐밸브(3)을 개방하면 유량제어밸브(2)를 통해 설정된 유량의 연료가스가 가스탱크(1)로부터 배출되어, 혼합가스 생성부재(5)에서 외기취입구(8)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된다. 이 혼합가스는 연결파이프(10)을 통해 화구부재(9)로부터 분사된다.
분사된 혼합가스에 라이터등으로 점화하면 제 2 도의 도시와 같은 화염(26)이 얻어진다. 화염(26)은 외기취입구(8)이 완전 개방되어 있고, 혼합가스중에 충분한 공기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그 선단온도는 1300℃까지 도달된다. 그러나, 열가공할 재료의 종류등에 따라서는 1300℃의 온도는 너무 높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공기량 조절부재(24)를 활주 이동시켜서 외기취입구(8)의 개구면적을 작게한다. 외기취입구(8)의 개구면적이 작아질수록 유입공기량이 적어지므로 공기량 조절부재(24)의 미끄럼 이동위치를 눈금(25)에 맞춤으로써 화염(26)의 선단온도는 1200℃, 1100℃, 1000℃와 같이 차차로 낮아지게 된다. 공기량 조절부재(24)로 외기취입구(8)을 완전 폐쇄했을때는 가스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그대로 화구부재(9)로부터 분사되어, 화염(26)은 가스라이터와 같은 화염으로서 그 선단온도는 800℃ 정도가 되어 약한 열기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우에는 열인두로서 사용할때와는 달리 공기량 조절부재(24)에 의하여 외기취입구(8)을 완전 폐쇄하여도 화염(26)이 소화되는 일은 없다. 이는 납땜인두의 경우에는 화구부재(9)의 선단측에 인두선단부재(12)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셔터부재(21)을 완전 개방상태로 하여도 화염의 선단에는 충분한 공기가 공급이 안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화염(26)의 선단온도는 종래와 같이 유량제어밸브(2)로 가스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에는 화염(26)의 크기가 극단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또한 온도조절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공기량 조절부재(24)로 외기취입구(8)의 개구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은 화염(26)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 선단온도만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절부재(24)에 의한 제어는 온도표시를 한 눈금(25)를 따라 하기 때문에 소망의 온도를 정확하고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소배기를 열풍으로 배출하는 행태인 상기한 비접촉형의 납땜인두의 실시예의 인두선단부재(12) 대신에 연소열에 의하여 인두선단을 가열하는 형의 통상적인 이른바 접촉형의 납땜인두인 인두선단부재(32)를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인두선단부재(32)는 제 5 도의 도시와 같이 그 선단에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인두선단(33)을 고정설치한 스테인레스강제의 파이프(34)를 마련하고, 상기 파이프(34)내에는 연소촉매(17)을 내장시키고, 파이프(34)의 기단부에는 연소촉매(17)이 파이프(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또한 인두선단부재(32)가 지지파이프(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랜지부재(35)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34)의 선단원주벽에는 제 5 도 및 제 6 도의 도시와 같이 프레스 가공으로 원주방향에 대향되는 한쌍의 절곡편(36)을 형성하여, 이 절곡편(36)이 형성된 부분이 연소배기구(37)로부터 배출되는 유속을 늦추어 연소배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는 기능과, 파이프(34)내의 연소촉매(17)을 플랜지부재(35)의 사이의 위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밖의 점에 대해서는 전기한 제 1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상기 인두선단부재(32)를 사용하므로써 접촉형의 열인두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고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셔터부재(21)과 공기량 조절부재(24)를 연동시키도록한 것으로 설명했으나, 각각 별도로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인두선단부재(12)와 화구부재(9)를 원근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그 사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셔터부재(21)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공기량 조절부재(24)를 축방향으로 활주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축회전 방향으로 회동시켜 외기취입구(8)의 개구면적을 조절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납땜인두와 불로우 램프, 또는 토오치의 겸용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납땜인두 전용기, 불로우 램프, 토오치 전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기취입구의 개구면적을 공기량 조절부재(24)에 의하여 조절하여 혼합가스 생성부재로 공급되는 유입공기량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불로우 램프로서 사용할때에 화염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화염의 선단온도만을 용이하고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기취입구를 완전 폐쇄할 수 있으므로 토오치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원의 다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기량 조절부재에 의하여 완전 개방상태의 외기취입구를 일단 완전 폐쇄한후 재차 완전 개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납땜인두로 사용할때에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화구부재의 화염을 신속하고 확실히 소화시킬 수가 있고, 완전무화염 연소를 하는 촉매 연소방식의 납땜인두로서 특히 적합하다.

Claims (6)

  1. 가스탱크내의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서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출구측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통상의 혼합가스 생성부재와,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원주벽에 형성되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가스의 분사작용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혼합가스 생성부재 내로 흡인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외기취입구와, 혼합가스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분사하여 화염이 있는 상태로 연소시키는 화구부재와,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주부에 축방향 또는 원부방향으로 활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기취입구의 개구면적을 조절하여 혼합가스 생성부재로의 유입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조절부재와, 상기 공기량 조절부재의 활주경로의 부근에 설치되어 공기량 조절부재를 소정부분에 위치 설정함으로써 외기취입구의 개구면적을 완전 개방으로부터 완전 폐쇄상태까지 복수단으로 조절하도록 되어진 안내눈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눈금이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주면의 외기취입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한편 공기량 조절부재의 활주 이동방향으로의 선단부가 가이드 눈금의 각 눈금에 위치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부재가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활주 이동되는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4. 가스탱크내의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서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출구측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통상의 혼합가스 생성부재와,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원주벽에형성되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룟가스의 분사작용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혼합가스 생성부재내로 흡인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외기취입구와, 혼합가스 생성부재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분사하여 화염이 있는 상태로 연소시키는 화구부배와, 가공부재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산화반응에 의하여 혼합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연소촉매를 내장하는 인두선단부재와, 상기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주부에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활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완전 개방상태의 외기취입구를 일단 완전 폐쇄한 후 재차 완전 개방하므로써 가공부재의 화염을 끄고 혼합가스가 직접 인두선단부재로 공급되도록 하기위한 공기량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인두선단부재가 가공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화구부재와 인두선단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화구부재와 인두선단부재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개폐부로서, 그 폐쇄방향으로의 동작의 공기량 조절부재에 의한 외기취입구의 완전 폐쇄 및 완전 개방동작과 연동되는 개폐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KR1019860004074A 1985-05-25 1986-05-24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KR910004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2763 1985-05-25
JP60112763A JPS61272518A (ja) 1985-05-25 1985-05-25 液化ガスを用いた熱加工装置
JP112763 1985-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827A KR860008827A (ko) 1986-12-18
KR910004022B1 true KR910004022B1 (ko) 1991-06-22

Family

ID=1459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074A KR910004022B1 (ko) 1985-05-25 1986-05-24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88551A (ko)
JP (1) JPS61272518A (ko)
KR (1) KR910004022B1 (ko)
DE (1) DE3617546A1 (ko)
FR (1) FR2582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952A (en) * 1987-08-05 1990-05-01 Masahiko Nakajima Heat processing apparatus using liquified gas
FR2621981B1 (fr) * 1987-10-20 1990-02-09 Applic Gaz Sa Appareil chauffant avec bruleur catalytique
FR2654192B1 (fr) * 1989-11-03 1992-02-07 Applic Gaz Sa Appareil chauffant a gaz, avec bruleur catalytique et organe de regulation.
WO1992009853A1 (fr) * 1990-11-30 1992-06-11 Tokai Corporation Dispositif d'allumage
JPH0830567B2 (ja) * 1991-06-29 1996-03-27 中島銅工株式会社 ガス燃焼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490496A (en) * 1995-02-17 1996-02-13 Lin; Arlo H. T. Electric ignition type handy gas torch
DE19915456A1 (de) 1999-04-01 2000-10-0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US6457628B1 (en) * 2001-01-08 2002-10-01 Arlo H. T. Lin Safety switch device for gas jet soldering gun
EP2835581B1 (de) * 2013-08-09 2018-03-14 BSH Hausgeräte GmbH Gaszufuhreinrichtung für einen Gasbrenner mit einer Abdeckeinrichtung zum Abdecken einer radialen Öffnung in einer Gaszufuhrleitung für einen Gasbrenner und Kochstelle
US11491631B2 (en) * 2017-05-05 2022-11-08 Oglesby & Butle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Gas powered tool and a method for retaining an isolating valve of a gas powered tool in an isolating state
CN109202207B (zh) * 2018-11-27 2020-12-22 嘉兴米世电器有限公司 一种陶瓷贴片电容器缩热差防微裂的焊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346A (en) * 1902-03-04 1903-05-26 Charles Elmer Huff Curling-iron heater.
US976112A (en) * 1909-10-28 1910-11-15 Abraham Zarembowitz Jeweler's and dentist's burner.
US1134165A (en) * 1912-12-18 1915-04-06 Charles Stichler Soldering-iron.
US3301306A (en) * 1964-03-23 1967-01-31 Turner Corp Combination pencil type and heavy duty burner
CA1066138A (en) * 1974-08-14 1979-11-13 Nigel L. Sim Soldering irons
JPS5426539A (en) * 1977-07-30 1979-02-28 Fujiwara Rika Kk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fuel to gas torch lamp
JPS57175809A (en) * 1981-04-23 1982-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talytic combusting device of gaseous fuel
US4419072A (en) * 1982-03-10 1983-12-06 Sankin Industry Co., Ltd. Handy torch
EP0100060B1 (en) * 1982-07-22 1987-11-25 PRINCE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 Catalyst combustion curling device
JPS6138319A (ja) * 1984-07-31 1986-02-24 Nakajima Doukoushiyo:Kk 液化ガスを用いた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17546C2 (ko) 1990-04-12
JPS61272518A (ja) 1986-12-02
US4688551A (en) 1987-08-25
FR2582384B1 (fr) 1989-03-31
KR860008827A (ko) 1986-12-18
DE3617546A1 (de) 1986-11-27
FR2582384A1 (fr) 1986-11-28
JPH026965B2 (ko) 199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849A (en) High velocity burner, system and method
JP3633671B2 (ja) NOx放出の低い産業用のバーナ
KR910004022B1 (ko)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 장치
KR910004020B1 (ko)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인두
JPS6217507A (ja) 燃料燃焼装置
CA2112765C (en) Premix burner for furnace with gas enrichment
IE46538B1 (en) Blue-flame oil burner
KR890003485A (ko) 액화가스를 사용한 열가공장치
JPS5848803B2 (ja) 溶融炉の操作方法およびこの操作に使用するバ−ナ−
GB1298781A (en) A metallurgical burner
US4309165A (en) High velocity combustion furnace and burner
JPH02295634A (ja) バーナーで物体面を煤吹きする方法
JP2000193224A (ja) 含塵排ガス燃焼処理装置
JPS6137369A (ja) 液化ガスを用いた熱ごて
JPH0510512A (ja) ガス燃焼装置
JPH08226621A (ja) バーナに燃料を供給する方法と装置
SU1698571A1 (ru) Газова горелка
JPH01139915A (ja) スラリバーナの制御方法
JPH044492B2 (ko)
SU567020A1 (ru) Газосварочна горелка
SU781501A1 (ru) Газова горелка
JP3019479U (ja) 酸素バーナ
JP3999343B2 (ja) 灰溶融炉
JPS589041Y2 (ja) 燃焼装置
JP2021081093A (ja) バーナー装置及び加熱処理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