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76Y1 -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76Y1
KR910003976Y1 KR2019880011312U KR880011312U KR910003976Y1 KR 910003976 Y1 KR910003976 Y1 KR 910003976Y1 KR 2019880011312 U KR2019880011312 U KR 2019880011312U KR 880011312 U KR880011312 U KR 880011312U KR 910003976 Y1 KR910003976 Y1 KR 910003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tape
electronic device
roller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225U (ko
Inventor
구연집
Original Assignee
구연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집 filed Critical 구연집
Priority to KR2019880011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976Y1/ko
Publication of KR900004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제 1 도는 전자소자를 가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테이프 박리장치의 개략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테이프 박리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실린더 7 : 이송로울러
8 : 스풀 10 : 가이드로울러
S : 지그이송감지부 J : 지그
P : 롤이송부 T2 : 가접착테이프
본 고안은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컨덴서나 저항과 같은 전자소자의 리이드를 본체에 접합시키기 위하여서는 지그가 사용되어진다.
전자소자의 리이드는 그 기능에 따라 소자 1개에 2개 이상의 리이드가 접합됨에 기인하여 이들 리이드를 잡고있는 지그는 다수개의 리이드를 잡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이들 리이드는 자동화 라인에서 접합이 이루어진 후, 불량소자나 그 등급을 선별하는 선별공정으로의 이송과정에 접합한 구조를 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한 제반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지그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양산시 연속작업을 위하여 지그(J)는 매거진이나 T판 등에 적재시키기 용이하도록 틀체(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상면에 다수개의 리이드(L)을 잡을 수 있는 테이프(T1)T2)가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T1)의 일정위치에 먼저 리이드(L)를 올려놓고, 테이프(T2)를 그 위에 접착시킴으로서 가고정을 시키게 된다.
리이드(L)이 정위치에 가고정되면 접합공정에서 소자(F)가 접합된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소자(F)는 지그(J)에 가고정된 상태로 매거진이나 T판 등에 적재되어 선별공정으로 순차 공급되어 불량내지는 그 등급이 선별된다.
이때, 테이프(T2)를 테이프(T1)으로부터 박리시켜 지그(J)와 소자(F)를 분리시켜야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테이프 박리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함에 따라 작업의 자동화가 실현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테이프 박리작업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할 수 있는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은 지그의 이송을 감지하여 시그널을 보내는 감지장치와, 그 상측에 설치되어 감지장치의 시그널에 의해 롤을 이송시키는 롤 이송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지그상의 테이프를 롤에 밀착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 3 도는 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컨베이어(1)에는 지그(J)가 실려져 별도로 작동되는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이송 가능케 되어 있다.
소자(F)를 가고정시키고 있는 지그(J)의 테이프(T2) 선단은 통상적으로 박리시킬 때 잡기 용이하도록 연장부(T2')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컨베이어(1)의 하측에는 지그(J)가 이송되어 오면 그 이송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2)가 설치되어 지그 이송감지부(S)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지그(J)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그 이송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족하다.
그리고, 컨베이어(1)의 하측에는 전기한 마이크로 스위치(2)의 시그널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솔레노이드밸브(3)은 그 시그널에 따라 전, 후진 작동되는 실린더(4)와 공압라인(5)(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는 브래키트(6)에 의해 몸체에 고정설치되어지며, 로드 선단에는 이동로울러(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테이프 밀착부(Q)를 형성한다.
선별기의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스풀(8)에는 롤(9)가 감겨져 있으며, 이 롤(9)는 가이드 로울러(10)(11)(12)에 의해 가이드되어 별도의 구동장치(도시생략)로 회전하는 구동 스풀(13)에 그 선단이 고정되어 있어 구동스풀(13)이 회전하게 되면 스풀(8)에 감겨져 있는 롤(9)가 구동스풀(13)에 감기도록하는 롤 이송부(P)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기한 실린더(4)의 로드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로울러(7)이 실린더(4)의 전진작동으로 전진된 상태로 있을때 이 이동로울러(7)과 구름접촉되도록 고정로울러(1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로울러(14)와 가이드로울러(12) 사이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역회정 방지로울러(15)(16)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7은 가고정이 해제된 소자를 집어가는 클램프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지그(J)에 소자(F)가 가고정된 상태로 되어 컨베이어(1)를 타고 이송되어오면 마이크로 스위치(2)에 의해 감지되어 그 시그널이 솔레노이드밸브(3)으로 전해진다. 그러면, 솔레노이드밸브(3)이 작동하여 공압라인(5')로 에어를 유입시킴으로서 실린더(4)를 전진작동시키게 된다.
실린더(4)가 전진작동하게 되면 로드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로울러(7)의 테이프(T2)의 연장부(T2')에 닿게됨과 동시에 고정로울러(14)에 접촉되어 테이프(T2)의 연장부(T2')가 이동로울러(7)과 고정로울러(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스풀(13)이 회전하게 되는데, 고정로울러(14)에는 롤(9)가 안내되는 상태로 감겨 이송됨에 기인하여 롤(9)에 테이프(T2)가 접착되어지면서 상방향으로 함께 이송된다.
이러한 작동이 이루어질 때 지그(J)는 컨베이어(1)을 타고 계속 이동됨에 따라 테이프(T2)가 점차 박리되어 롤(9)에 접착된 상태로 구동스풀(13)에 감겨진다.
이때 가고정상태에서 해제되는 소자(F)는 클램프(17)이 클램핑하여 다음공정으로 보내게 된다.
이렇게 하여 지그(J)에 접착되어 있는 테이프(T2)가 완전박리되면 지그(J)는 마이크로 스위치(2)의 감지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로 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이 역작동을 하여 공압라인(5)로 에어를 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전진상태의 실린더(4)는 후진작동을 하게된다.
그리고 컨베이어(1)에 또다른 지그(J)가 이송되어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2)에 감지되어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동로울러(7)이 고정로울러(14)와 이격된 상태로 있을때나 그외의 경우에는 역회정방지로울러(15)(16)에 의해 테이프(T2)가 끊어지지 않고 박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는 종래 인력에 의존하던 테이프의 박리작업을 자동화시킴으로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지그의 이송을 감지하는 지그이송감지부(S)와, 스풀(8)과 구동스풀(13) 사이에 가이드로울러(10)이 다수개 설치됨과 아울러 고정로울러(14)가 설치되어 스풀(8)에 감겨 있는 롤(9)를 구동스풀(13)에 감기도록 하는 롤이송부(P)와, 지그이송감지부(S)의 시그널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4)의 로드선단에 이송로울러(7)을 설치하여 롤(9)에 지그(J)의 가접착테이프(T2)가 접착되도록 하는 테이프 밀착부(Q)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롤이송부(P)에는 역회전 방지로울러(15)(16)이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자 선별기의 박리장치 테이프.
KR2019880011312U 1988-07-11 1988-07-11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KR910003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312U KR910003976Y1 (ko) 1988-07-11 1988-07-11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312U KR910003976Y1 (ko) 1988-07-11 1988-07-11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225U KR900004225U (ko) 1990-02-08
KR910003976Y1 true KR910003976Y1 (ko) 1991-06-08

Family

ID=1927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312U KR910003976Y1 (ko) 1988-07-11 1988-07-11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9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843A (ko) 2015-03-25 2016-10-06 주상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포펫트
KR102179745B1 (ko) * 2019-05-16 2020-11-17 박용환 가스 제거용 사출기 노즐 어셈블리
KR102234468B1 (ko) * 2020-04-17 2021-04-01 주식회사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 그래핀 또는 탄소 소재-고분자 수지 복합체의 제조시설
KR102298636B1 (ko) * 2021-06-08 2021-09-07 양창준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225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0754A (en) Automatic motorless label applying system
US6516854B1 (en) Automatic label-sticking device for optical disc drive
CN111762369B (zh) 贴膜机
WO2006038384A1 (ja) 接着膜貼付装置及び接着膜テープ送り機構
CN100355048C (zh) 胶粘层附着装置和方法、元件粘贴装置及显示面板生产方法
KR910003976Y1 (ko) 전자소자 선별기의 테이프 박리장치
CN210603414U (zh) 预处理流水线
JPH04243757A (ja) チップ部品連の自動接続装置
JP4656360B2 (ja) ラベル貼付システム
KR100479932B1 (ko) 양면 라벨부착기
CN213200239U (zh) 一种双头贴膜机
CN210592865U (zh) 一种自动连续贴标机
JP2003175922A (ja) 自動ラベル貼付装置
KR20140136754A (ko) 라벨 부착 장치
CN211110271U (zh) 一种用于灯条贴合的加工系统
JPH0840429A (ja) ラベル貼り付け方法及び装置
JP3745874B2 (ja) 巻取仕立て装置
JPH0228347A (ja) 半導体ウエハの自動貼付け装置
JPS6112815B2 (ko)
CN112747785A (zh) 预处理流水线
KR0122305Y1 (ko) 일체부착형 리드온칩 및 칩온리드용 접착테이프 및 그 부착장치
JPH0115627Y2 (ko)
KR102165538B1 (ko) 라벨 피더의 공급 제어 방법
JPS63155643A (ja) 半導体ウエハの自動貼付け装置
JP4346730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