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781Y1 -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781Y1
KR910003781Y1 KR2019880021164U KR880021164U KR910003781Y1 KR 910003781 Y1 KR910003781 Y1 KR 910003781Y1 KR 2019880021164 U KR2019880021164 U KR 2019880021164U KR 880021164 U KR880021164 U KR 880021164U KR 910003781 Y1 KR910003781 Y1 KR 910003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spring
cam
st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011U (ko
Inventor
김종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이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이동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2019880021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781Y1/ko
Publication of KR900012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60Q1/4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 B60Q1/4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having mechanical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due to steering-wheel position, e.g. with roller wheel control using a latching element for resetting a switch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생략 분해 사시도.
제 2a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생략 조립 평면도로서 스위치오프 상태도, (b) 도는 (a) 도의 스위치 작동 상태도.
제 3 도는 제 2b 도 상태에서의 스티어링 샤프트 회전에 따른 자동 복귀 행정 순서도.
제 4 도는 종래 고안의 일부 생략 작동 예시 조립 평면도.
제 5 도는 종래 고안에 사용된 와이어 스프링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캔슬캠
4, 4′: 캠돌기 5, 5′: 가이더
10 : 가동 브라켓 11 : 브라켓아암
14 : 조작레버 15 : 관상축
18 : 지지돌기 19 : 스프링 설치대
19′: 지지편 20 : 스프링
21, 21′: 래칫 24, 24′: 나사공
25, 25′: 힌지나사
본 고안은 자동차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향 지시기 자동 복귀 장치라함은 자동차 운전 주행중 회전하려는 쪽으로 조작 레버를 밀거나 당겨 방향스위치를 일단 조작시킨 다음 회전 완료후 핸들을 역회전시킴에 따라 밀거나 당겨 놓았던 조작 레버가 중립 상태로 자동 복귀되면서 스위치가 오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종래 방향 지시기의 자공 복귀장치로서 여러 가지 방식의 장치들이 안출된 바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 발생 요인이 많은 결점이 있었다.
그 일예로서 가장 최근에 안출되고 실용화되어 현재 사용중인 장치를 제 4 도 및 제 5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체(101)의 중앙에는 자동차 핸들과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스티어링휠(102)가 캠돌기(104, 104′)를 갖는 캔슬캠(103)이 설치되고, 일측의 양변부에는 내면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향하는 슬라이트 요입홈을 갖는 가이더(105, 105′)가 형성되며, 이들간의 내측에 삽입되어 스위칭 각도를 이루도록 양단에 스프링(113)에 의하여 지지되는 볼(112)이 설치된 브라켓아암(111)은 가동 브라켓(201)과 일체로 되어 조작레버(114)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브라켓(201)의 양단부측에는 한쌍씩의 지지돌기(118, 118′)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삽입되어 탄동되는 래칫(211, 211′)을 지지하게 되며, 이 래칫의 각 상면에는 스프링 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 받침판(213)과 스프링캡(214) 사이에 중앙이 지지돤 와이어 스프링(200)의 양단이 끼워져 래칫에 탄동력을 부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칭 작동과 자동 복귀를 설명하면, 자동차를 주행해가던 방향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고져 할시에는 먼저 가상선 도시와 같이 조작 레버(114)를 밀거나 당겨 스위칭을 하게 되는데 밑면 우회전 표시등이 점등되고 당기면 좌회전 표시등의 점등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우회전을 가상할 때 조작레버(114)를 밀면 연결된 가동브라켓 아암(111)은 가이더(105)(105′)의 우측 걸림턱과 좌측 걸림턱에 빗겨 걸리면서 가동브라켓(201)을 틀어 상측의 래칫(211)은 캔슬캠(103)쪽으로 붙이고 하측의 래칫(211′)은 이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우회전 표시등은 점등 상태에 있게 되며, 상측 래칫(211)은 캔슬캠(103)을 간섭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핸들과 같이 회전되는 캔슬캠(103)이 우회전할시는 캠돌기(104, 104′)가 회전하는 방향의 각이 큰 경사면 접촉에 의하여 상측의 래칫(211)만 약간 들렸다 복귀할뿐 전체는 복귀되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되면 우회전이 끝나고 핸들을 반대로 풀어줄 때 캔슬캠(103)이 좌회전하게 되면 캠돌기(104, 104′)가 래칫(211)의 타측 급경사면에 걸려 가동브라켓(201) 전체를 원상태의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게 됨으로 조작레버(114)가 자동 원위치되면서 점등 상태에 있던 우회전 표시등을 오프시키게 된다.
좌회전은 역으로 작동될 뿐 그 동작 순서는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향 지시기 자동 복귀장차에 있어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스프링 자체 단가 상승은 물론 별도의 스프링 받침판과 스프링 캡이 필요하게 되며 힘의 작용점을 계산하여 여러 부위를 선정 각도로 벤딩 하여야 하는바, 그 벤딩거리나 각이 약간만 틀려도 스프링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됨으로 제작이 까다롭고 불량률이 많게 되며 특히, 스프링 양 끝단이 걸려진 래칫의 스프링 걸림턱에서 이탈될 경우 래칫이 빠져 나가 고장이 발생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한 개량 고안으로서 래칫을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동될 수 있게 하고 힌지 나사로서 고정시켜 래칫이 지렛대 작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부품수 절감과 제작 조립의 간편화로 원가를 저하시키고 이탈의 염려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중앙에는 자동차 핸들과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되는 스티어링 휠(2)과 캠돌기(4, 4′)를 갖는 캔슬캠(3)을 설치하고, 일측의 양변부에는 내면 양측에 걸림턱(6, 6′)과 중앙에 슬라이드 요입홈(7)을 갖는 가이더(5, 5′)를 각각 형성 설치하여, 이들 사이 중간에는 측 삽입공(8)을 형성하고, 그 앞측 좌우에는 브라켓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스토퍼(9, 9′)를 돌출 형성한다.
이들간의 내측에 삽입되어 스위칭 각도를 이루도록 양단에 스프링(13)에 의하여 지지되는 볼(12)이 설치된 브라켓 아암(11)은 가동브라켓(10)과 일체로 되어 조작레버(14)와 연결 설치된다.
이때, 가동 브라켓의 하면 중앙에는 여러갈래의 절개홈(16)과 단부 주연에 걸림턱(17)을 갖는 관상측(15)를 하향 돌출 형성하여 본체(1)의 축삽입공(8)에 탄력 끼워 맞춤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동 브라켓의 양 단부측에는 지지돌기(18)와 스프링(20)이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대(19)를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끼워져 연장된 일측이 스프링에 받쳐지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경사면(22)과 밀림경사면(23) 및 나사공(24)를 갖는 래칫(21, 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 설치대(19)의 상부 일측을 연장한 지지편(19′)에는 나사공(24′)을 형성 하여 삽입 고정되는 래칫(21, 21′)의 나사공(24)과 일치시킨 다음 힌지 나사(25, 25′)로써 레버 작동 가능토록 체결하여 조립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작동과 자동 복귀를 설명하면, 자동차를 주행해가던 방향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 하고져 할시는 먼저 가상선 도시와 같이 조작레버(14)를 밀거나 당겨 스위칭을 하게 되는데 밀면 우회전 표시등이 점등되고 당기면 좌회전 표시등이 점등됨을 종래와 같다.
제 2a 도의 중립 오프 상태에서 우회전 하고져 할시 조작레버(14)를 (b)도의 상태로 밀면 가동브라켓아암(11)은 상측 가이더(5)의 우측 걸림턱(6)과 하측가이더(5′)의 좌측 걸림턱(6′)에 빗겨 걸리면서 가동브라켓(10)을 틀어 상측의 래칫(21)은 캔슬캠(3)쪽으로 붙이고 하측의 래칫(21′)은 이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우회전 표시등은 점등 상태에 있게 되며 상측래칫(21)은 캔슬캠(3)을 간섭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핸들과 같이 회전되는 캔슬캠(3)이 우회전할시는 캠돌기(4, 4′)가 회전하는 방향의 래칫(21) 슬라이딩 경사면(22)을 미끄럼 접촉하면서 래칫(21)만 약간 들렸다 복귀할뿐 전체는 복귀되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되는 데 이는 우회전 표시등이 점등이므로 핸들을 계속 우회전 하는 동안은 걸넘으면서 점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까지의 순차 행정은 제 3a,b,c,d,e 도에서 순서적으로 그 예를 도시하였다.
즉, (a)도의 상태는 우회전 표시등을 점등시킨후 스티어링 휠을 동일 방향으로 돌리기 시작하면 캔슬캠(3)이 돌기 시작하며 래칫(21)을 밀 준비가 된다.
(b)도의 상태에서는 캔슬캠(3)의 캠돌기(4)가 래칫(21)을 밀기 시작한다.
이때에 힌지나사(25)를 중심으로 래칫(21)의 일측은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고 타측은 반대로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내려오는 지렛대 작용 상태가 된다.
(c)도의 상태는 캔슬캠(3)의 캠돌기(4)가 래칫(21)을 계속 정점까지 밀어 올린 상태이다.
이때, 스프링(20)은 최대 압축 상태가 된다.
(d)도는 캔슬캠(3)이 래칫(21)의 정점 위치를 지나면서 래칫(21)은 스프링(20)의 반발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하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e)도 상태는 캔슬캠(3)의 캠돌기(4)가 완전히 래칫(21)을 지나면서 래칫(21)은 스프링(20) 반발력에 의해 최초 상태로 복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우회전하다가 회전이 끝나고 핸들을 반대로 풀어줄 때 캔슬캠(3)이 좌회전하게 되면 캠돌기(4)가 래칫(21)의 밀림 경사면(23)에 걸려 가동브라켓(10) 전체를 원상태의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게 됨으로 조작레버(14)가 자동 원위치되면서 점등 상태에 있던 우회전 표시등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의 행정 순서는 제 3f,g,h 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f)도의 상태는 방향 전환이 끝나고 스티어링휠을 원상태로 돌리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이때, 캔슬캠(3)의 캠돌기(4)가 래칫(21)의 밀림 경사면(23)을 밀면 가동 브라켓(10)이 원 상태로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우회전시와 같이 래칫이 밀려 올라가지 않고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전체기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래칫(21)의 밀림 경사면(23)을 밀 때 작용되는 힘점이 래칫의 지지점인 힌지나사(25)와 동일 중심선상이 되도록 밀림 경사면(23)의 경사각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g)도는 캔슬캠(3)의 캠돌기(4)가 래칫(21)의 밀림 경사면(23) 최하단 정점까지 밀어 올렸을 때 가동브라켓(10)이 회전함에 따라 브리켓아암(11) 단부에 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된 볼(12)이 가이더(5)의 걸림턱(6)을 막 벗어나 있는 상태이다.
(h)도의 상태는 상기 (g)도의 상태까지는 캔슬캠(3)의 캠돌기(4)가 래칫(21)을 밀어 가동 브라켓(10)이 복귀하고 있는 상태였으나 캠돌기(4)가 래칫(21)의 밀림 경사면(23) 최하단 정점을 넘어서면 여기서부터는 브라켓아암(11)으 볼(12)이 스프링(13) 탄력을 받는 상태로 가이더(5) 내측의 슬라이드 요입홈(7)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 중앙에 이르기 때문에 가동 브라켓(10)이 완전 복귀되고 점등 상태에 있던 우회전 표시등은 오프된다.
좌회전은 역으로 작동될 뿐 그 동작 순서는 상기 순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래칫에 탄력을 주기 위한 스프링을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이의 설치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와이어 스프링 제작의 까다로움과 원가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스프링 받침판과 스프링캡이 삭제될 수 있게 되며, 힌지 나사에 의하여 지렛대 작용할 수 있도록 래칫이 체결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래칫의 스프링 걸림턱에서 와이어 스프링의 끝단이 이탈하여 래칫이 빠져나가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염려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등 원가 절감과 제작 조립의 간편화로 인한 생산성 향상 및 고장의 염려의 근원적 해결로 인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스티어링휠(2)과 캠돌기(4, 4′)를 갖는 캔슬캠(3)을 설치하며, 걸림턱(6, 6′)과 요입홈(7)을 갖는 가이더(5, 5′)와 축삽입공(8) 및 스토퍼(9, 9′)가 형성된 본체(1)에, 스프링(13)에 의하여 지지되는 볼(12)이 양단에 설치된 브라켓 아암(11)이 일체로 되고 조작레버(14)가 연결 설치도며, 하면 중앙에는 절개흠(16)과 걸림턱(17)을 갖는 관상축(15)이 형성된 가동브라켓(10)을 회동 스위칭 가능한 상태로 삽입 연결 설치한 것에 있어서, 가동 브라켓(10)의 양단부측 지지돌기(18)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대(19)에는 래칫에 탄동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0)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부 일측을 연장하여 형성한 지지편(19′)에는 나사공(24′)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경사면(22)과 밀림 경사면(23) 및 나사공(24)를 갖는 래칫(21, 21′)을 각각 맞추어 삽입 시킨 다음 이를 힌지나사(25, 25′)로써 레버 작동 가능토록 체결하여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장치.
KR2019880021164U 1988-12-21 1988-12-21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KR910003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164U KR910003781Y1 (ko) 1988-12-21 1988-12-21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164U KR910003781Y1 (ko) 1988-12-21 1988-12-21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011U KR900012011U (ko) 1990-07-03
KR910003781Y1 true KR910003781Y1 (ko) 1991-06-03

Family

ID=1928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164U KR910003781Y1 (ko) 1988-12-21 1988-12-21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7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47B1 (ko) * 2001-12-20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의 중립위치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011U (ko)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0844A (en) Wiper device
SU562224A3 (ru) Кнопоч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US4748298A (en) Bistable switch, in particular for use as a headlamp dipswitch on a motor vehicle
US4929806A (en) Headlight dimmer switch device
KR910003781Y1 (ko) 방향 지시기의 자동 복귀 장치
US4352967A (en) Switch actuating mechanism
JPH0887930A (ja) シーソスイッチ
CN1259680C (zh) 按钮开关
KR19980063536A (ko) 레버스위치 장치
US2086800A (en) Reverse signal light switch
US4617437A (en) Ignition switch with self-adjusting headlamp dimmer
JPH0367887B2 (ko)
US6600115B2 (en) Switching device
JPS5939394Y2 (ja) 車両用レバ−コンビネ−シヨンスイツチ
JPH0732823U (ja) スイッチ装置
EP0162399B1 (en) Switch device and switch control for vehicles fitted with such a device
JPH0637555Y2 (ja) 自動車のワイパーウォッシャースイッチ
JP2588376Y2 (ja) ユニット取付装置
JPH0338748Y2 (ko)
KR960000547Y1 (ko) 모터 사이클 방향지시 신호점멸등의 복원장치
JPH02997Y2 (ko)
CN113130221A (zh) 一种限位开关
JPH0336056Y2 (ko)
JPH0633330U (ja) 自己保持スイッチ
JPH0643965Y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